네레토바

Neretva
네레토바
Lower Neretva Valley - pictured from behind the walls of Počitelj, looking north and upstream towards Počitelj village and its Citadel, and further behind Mostar
하부 네레트바 계곡 - 포치텔리 성벽 뒤에서 포치텔리 마을과 그 성채를 북쪽과 상류로 바라보며 모스타르 뒤쪽을 바라본다.
Neretva is located in Bosnia and Herzegovina
Neretva
네레트바 삼각주
Neretva is located in Dinaric Alps
Neretva
네레트바 (다이나리아 알프스)
어원학인도-유럽 베이스 *너-, *nor- "잠수, 담그기, 담그기"에서 유래한 일리리아 기원의
위치
나라들.
타운즈
물리적 특성
원천
• 장소레브르슈니크젤렝고라 산맥, 디나르 알프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좌표43°16°18°N 18°33°27°E/43.271619°N 18.557508°E/ 43.271619, 18.557508
• 고도1,227 m (4,026 피트)
아드리아 해
• 장소
플로체, 크로아티아
• 좌표
43°011717nN 17°265454eE/43.021385°N 17.448328°E/ 43.021385, 17.448328좌표: 43°01°17°N 17°26°54°E / 43.021385°N 17.448328°E / 43.021385, 17.448328
• 고도
0 m (0 피트)
길이225 km (140 mi)[1]
유역 크기11,798km2(4,555평방마일)[1]
방전
• 평균341 m3/s (12,000 cu ft/s)
유역 특징
진행네레트바아드리아해
하천계아드리아어
지류
• 왼쪽모스타르스카 비젤라, 부나, 브레가바, 크루파
• 오른쪽라키트니차, 라마, 트레비자트
워터바디울로스코 호, 보라치코 제제로, 블라타코 호, 자블라니치코 호, 람스코 호, 살라코바치코 호, 그라보비치코 호, 모스타르스코 호, 후토보 블라토, 브루탁, 네레트바 델타
브릿지스타라 추프리야, 스타리 모스트
내륙 항만메트코비치
Neretva + Trebishnjica 분수령(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의 경우 빨간색과 녹색으로 강조 표시됨)

네레트바 강(세르비아 키릴어: еːе pron pron pron pron, 발음: [nrerettaa])아드리아 분지 동부에서 가장 큰 강 중 하나입니다.대형 댐(150,[2]5m 이상)이 있는 4개의 HE 발전소는 홍수 방지, 전력 및 저수 기능을 제공한다.자연환경과 [3]풍경의 다양성으로 인정받고 있다.

담수 생태계는 증가하는 인구와 그에 따른 개발 압력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크로아티아가장 귀중한 천연자원 중 하나는 풍부한 맑은 [4][5]강으로 둘러싸인 담수자원이다.[4]주요 지역 강(동쪽의 드리나 강, 서쪽의 우나 강, 사바 강) 사이에 위치한 네레트바 유역은 식수의 가장[4] 중요한 원천을 가지고 있습니다.

네레트바 강은 디나릭 알프스 지역의 강 중에서 특히[6][7] 다양한 생태계서식지, 동식물, 문화 및 역사적 [4][5]유산에 관해 유명하다.

그 이름은 "잠수하다"는 뜻의 인도-유럽어근 *ner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같은 뿌리가 세르보-크로아티아 뿌리 "로니티"[8]에서도 발견된다.

지리학과 수문학

네레트바 강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크로아티아를 지나 아드리아 해까지 흐릅니다.아드리아 분지/수역 동부에 있는 디나릭 알프스 산맥에서 가장 큰 카르스트 강입니다.총 길이는 225km(140마일)이며, 그 중 208km(129마일)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 있고, 마지막 22km(14마일)는 크로아티아의 [9]두브로브니크-네레트바 카운티에 있다.

네레트바 강 유역은 총 11,798 평방 킬로미터(4,555 평방 마일)이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경우 11,368 평방 킬로미터(4,389 평방 마일), 크로아티아의 경우 430 평방 킬로미터(170 평방 마일)[1]이다.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프로필 지토미슬리치의 평균 유량은 233 입방 미터(8,200 cuft)/s이며, 크로아티아 하구에서는 트레비셴히카 강의 402 입방 미터(14,200 cuft)와 더불어 341 입방 미터(12,000 cuft)/s이다.트레비셴히카 강 유역은 다공질 카르스트 지형에 의한 두 분지의 물리적 연결로 인해 네레트바 유역에 포함된다.

네레트바의 수문학적 매개변수는 크로아티아 [10]메트코비치에서 정기적으로 모니터링된다.

섹션

2010년 여름 자블라니카 외곽의 고원과 마을 루그가 있는 "U"자형 선회 모습

지리적으로나 수문학적으로 네레바는 세 부분으로 [11]나뉜다.

그 근원과 상수원 협곡은 젤렝고라 산맥과 레브르슈니크 산맥의 기슭, 특히 그레델지 안장 아래에 있는 디나릭 알프스 깊은 곳에 위치해 있습니다.그 강의 원천은 해발 1,227미터에 있으며 5개의 작고 뚜렷한 샘으로 구성되어 있다.첫 번째 구간을 통과하는 90km의 항로에서 네레트바 강은 두 개의 뚜렷한 깊고 좁은 협곡과 두 개의 뚜렷하고 넓고 비옥한 계곡을 가르며 울로그 주변글라바티체보 주변, 그리고 콘지치 마을에 도달합니다.이 구간은 상부 네레트바(보시안: Gornja Neretva)로도 더 잘 알려져 있으며, 이곳 강은 다뉴브 강 유역에 속하는 대부분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강처럼 일반적으로 남동쪽에서 북서쪽으로 흐르며 평균 1.2%의 고도를 가지고 약 1,390 평방 킬로미터(540 평방 mi)를 덮고 있다.Konjic 바로 아래, Neretva는 Jablanica [11][12]마을 근처에 Jablanica 댐을 건설한 후 형성된 큰 인공 저수지인 Jablanichko 호수에 의해 범람하기 전에 비옥한 농경지를 제공했던 세 번째 가장 큰 계곡으로 다시 확장됩니다.

Neretva 원류 - Ulog의 바로 하류에 있는 세 개의 다른 협곡 중 첫 번째
네레트바가 풍부한 민물 카르스틱 대수층 - 글라바티체보 바로 하류, Konjic 바로 전 세 개의 협곡 중 두 번째

두 번째 구간은 Konjic과 Jablanica 사이의 Neretva와 Rama의 합류에서 시작하여, Neretva는 갑자기 거의 180도 방향을 바꾸어 Jablanica 마을에 도달하기 전에 짧은 다리를 흐르며, 여기서 다시 남쪽으로 돌아간다.자블라니차에서 네레트바 강은 세 번째로 큰 협곡으로 들어가 프렌즈, 체브르니차, 차불자의 가파른 경사지 산맥을 통과해 깊이가 800~1,200m(2,625~3,937피트)에 이른다.야블라니카와 모스타르 [12]사이에는 세 개의 수력 발전 댐이 운영되고 있다.

네레트바가 두 번째이자 마지막으로 팽창할 때, 세 번째 부분에 도달합니다.이 지역은 흔히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캘리포니아"라고 불린다.강의 마지막 30km(19마일)는 강이 아드리아 [13]해로 흘러들기 전에 넓은 충적 삼각주를 형성합니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모스타르의 네레트바 강

지류

타티낙 강(제르니카 강이라고도 함), 고르지 크루팍 강 및 돈지 크루팍 강, 류타 강(딘돌카 강이라고도 함), 제세니카 강, 비젤리미치카 리제카 강, 슬라티니카 강, 라키트니카 강, 류타니카 강(디콘카 강)오른쪽에서 네레트바, 예체르니카, 지바스키포토크(지바슈니카라고도 함), 라다니카, 크루팍, 부코비카, 시슈티카, 비젤라, 이드바, 글로고슈니카, 비젤라, 비젤라, 비젤라, 비젤라, 비젤라, 비젤라, 비젤라, 지바, 지바스키포토크니카, 지바시카, 지바시카, 비젤라.

글라바티체보 근처의 상부 네레트바 협곡

마을과 마을

네레트바 강의 마을과 마을에는 울로그, 글라바티체보, 콘지치, 첼레비치, 오스트로작, 자블라니차, 그라보비차, 드레즈니차, 비젤로 폴제, 브랍치치치치, 모스타르, 부나 마을, 블라가지치 등이 있다.크로아티아에 있는 오체.네레트바 강의 가장 큰 도시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모스타르입니다.

상부 네레트바

네레트바 계곡 상부, 콘지치 상류 글라바티체보 마을 지역
라키트니카 강과 협곡.

네레트바 강의 상류는 단순히 상부 네레트바라고 불립니다.이곳에는 수많은 하천과 우물, 강 근처의 세 개의 주요 빙하 호수, 넓은 지역의 트레스카비카와 젤렝고라 산맥에 흩어져 있는 더 많은 호수, 산, 봉우리, 숲, 동식물군이 포함된다.상부 네레트바에는 1급[14] 순도의 물이 있고, 거의 확실히 세계에서 가장 차가운 강물이며,[citation needed] 여름에는 종종 섭씨 7도에서 8도까지 내려갑니다.젤렝고라 과 레브르슈니크 산의 기슭에서 솟아오른 네레트바 원류는 600~800m(2,000~2600ft) 깊이의 가파른 협곡을 깎아내리며 방해를 받지 않는 급류와 폭포를 따라 흐릅니다.

라키트니카 강

라키트니카 강은 첫 번째 구역(보시안: 고르냐 네레트바)의 주요 지류이다.라키트니차 강은 [15]32km(20마일) 길이의 협곡을 형성하며 사라예보에서 남동쪽으로 비젤라슈니차비소치카 사이에 걸쳐 있다.협곡에서 라키트니차 협곡 능선을 따라 800m 아래로 내려오는 등산로가 유명한 루코미르 마을까지 내려갑니다.이 마을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 남아있는 유일한 반 유목민 마을이다.거의 1,500미터의 루코미르에는 벚나무 기와가 있는 석조 가옥이 특징입니다.그곳은 그 나라에서 가장 높고 가장 외딴 산골 마을이다.이 마을은 12월 첫눈부터 4월 하순까지 그리고 때로는 스키나 도보로 접근하지 못한다.

미들 네레트바

Neretva's 중부 협곡의 Grabovica fl. 위의 철도교, 1970년, 인공호수 형성 10년 전
Neretva의 중간 부분 협곡에 있는 Drezanka Fl. 위의 철도 다리, 1970년, 인공 호수의 10년 전 형성
2000 m.a.s.l.에서 바라본 모스타르스카 비젤라 계곡.

중부 네레트바 구간은 Konjic 마을부터 시작되지만, Jablanica 수력 발전소의 건설과 중세부터 단순히 "Neretva"로 알려진 Konjic과 Jablanica 사이의 거대한 비옥한 계곡의 홍수 이후, 수로 분할의 새로운 지점은 역시 Jablanica HPP의 댐이 되었다.네레트바와 라마강의 합류점여기서 네레트바 강은 갑자기 동남동쪽으로 거의 180도 방향을 틀어 짧은 다리를 흐른 후 야블라니카 마을에 도달합니다.이 지점에서 다시 남쪽으로 방향을 틀고 세 번째로 큰 협곡으로 들어가 프렌지, 체브르니차, 차불야 산의 가파른 경사면을 지나며 깊이가 800~1,200m(2,625~3,937피트)에 이른다.이 구간은 가파르고 비교적 좁은 협곡과 울퉁불퉁한 카르스트 지질학과 수문학이 특징이다.협곡 벽을 형성하는 산허리에 네 개의 거대한 계곡 크기의 물줄기가 나타나는데, 두 개는 강 양쪽에서 거의 수직으로 메인 협곡과 교차합니다.Neretva는 이 섹션에서 4개의 작은 스트림만 수신하며, 모두 비교적 짧은 사이드밸레를 통과합니다.Jablanica에서 하류로 내려가면 왼쪽에는 Glogoshnica 하천이 있고, 오른쪽에는 협곡과 역사 마을이 있는 Grabovica 하천이 있습니다.더 하류에는 두 개의 훨씬 더 큰 계곡이 양쪽에서 다시 나타난다.처음에는 드레잔카 시내와 그 크고 가파른 계곡의 오른쪽에 두 개의 동명 마을인 돈자(하층)와 고르냐(상층) 드레즈니카와 모스타르스카 비젤라보다 독특한 특징과 함께 나타난다.왼쪽의 프렌지 산 깊숙이 파고든 지하 하천.이러한 하천은 유출이 적지만, 강둑의 협곡 양쪽에 많은 샘이 솟아 있어 대용량 방류를 하고 있습니다.네레트바의 이 구간에는 3개의 대형 수력발전소가 가동되고 있다.자블라니카와 모스타르 사이, 즉 그라보비카 HPP, 살라코박 HPP, 모스타르 HPP.[12]

호수

자블라니카 호수와 오스트로작 마을의 현수교

Jablanica 호수는 네레트바 강에 있는 큰 인공호수로, 네레트바 강이 넓은 계곡으로 확장되는 Konjic 바로 아래에 있습니다.그 강은 호수가 범람하기 전에 비옥한 농경지를 제공했다.이 호수는 1953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중부의 자블라니차 근처에 거대한 중력 수력 발전 댐을 건설한 후 만들어졌다.그 호수는 불규칙하고 길쭉한 모양을 하고 있으며 폭은 길이에 따라 다양하다.그 호수는 인기 있는 [2]휴양지입니다.

하부 네레트바

지류인 트레비자트브레가바 강의 합류 지점에서 하류로 흐르는 계곡은 20,000헥타르(49,000에이커)에 이르는 충적 부채꼴로 퍼져 있습니다.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7,411 헥타르의 상류 계곡은 후토보 블라토라고 불립니다.

후토보 블라토 습지

후토보 블라토
후토보 블라토

Neretva Delta는 1992년부터, Hutovo Blato는 2001년부터 Ramsar 사이트로 인정되었습니다.두 지역 모두 주 [3]경계에 의해 분할된 자연 실체인 하나의 통합된 람사르 사이트를 형성합니다.Birdlife International이 실시하는 중요 조류 지역 프로그램은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16]보호 지역을 대상으로 한다.

1995년부터 Hutovo Blato는 Hutovo Blato Nature[17][18] Park로 보호되고 있으며 공공 기관에 의해 관리되고 있습니다.이 지역 전체가 인간의 영향으로부터 보호되며 많은 식물과 [16]동물에게 서식지를 제공한다.올드 포트리스 후토보 블라토는 네이처 파크에 있다.

고르네 블라토-데란스코 호수는 국경 언덕에서 발원하는 트레비슈니차 강의 카르스트 수원에 의해 공급된다.이 강은 5개의 호수(슈크르카, 데란자, 제림, 오라, 드리엔)로 이루어진 유출수인 크루파 강을 통해 네레트바 강과 수문 지질학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많은 부분이 영구적으로 침수되고 넓은 갈대숲과 나무들로 고립됩니다.그것은 더 흥미로운 보존 [18]지역을 나타냅니다.

크루파 강

크루파 강

크루파 강은 후토보 블라토의 주요 지류이며, 고르네 블라토와 스비타브스코 호수에서 네레타바 강으로 물을 나른다.크루파의 길이는 9km(6마일)이고 평균 깊이는 5m(16피트)입니다.크루파강은 특별한 근원은 없지만 데란스코호의 만이다.또한 크루파 강은 양방향으로 흐르기 때문에 유럽의 독특한 강이다.그것은 입에서 앞뒤로 흐른다.이것은 높은 수위가 Neretva가 Krupa를 반대 [18]방향으로 밀어낼 때 발생합니다.

네레트바 삼각주 습지

복잡한 Neretva Delta의 경작된 슬롯과 자연 습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마을과 마을을 지나 아드리아해로 흘러나와 람사르 협약에 따라 국제적으로 중요한 [19][16]습지 삼각주를 건설한다.

크로아티아 플로체 항구 도시 근처의 네레트바 강 하구

크로아티아의 이 하층 충적 계곡에서는 네레트바 강이 여러 코스로 갈라져 약 12,000 헥타르에 이르는 삼각주를 형성합니다.크로아티아의 삼각주는 대규모 간척 사업으로 인해 감소하여 강의 흐름이 원래 12개에서 불과 3개로 감소했습니다.한때 이 평야를 점점이던 습지, 석호, 호수는 사라지고 옛 지중해 습지의 일부만 남아 [20]있다.습지, 습지, 석호, 호수, 해변, 강, 험모크(암석 언덕), 산이 삼각주를 이루고 있으며, 총 면적 1,620ha의 5개 보호 구역이 있다.이것들은 조류학, 어류학,[20] 경관 보호구역입니다.

풍토종 및 멸종위기종

디나릭 카르스트 수계는 유럽 546종의 총 어종 중 25%를 지원하며, 많은 고유 어종이 있다.네레트바 강은 지중해의 다른 4개 지역과 함께 가장 많은 수의 멸종 위기에 처한 민물고기 종을 [21]보유하고 있다.카르스트 생태 지역에서 내생성의 정도는 10% 이상이다.여러 어종이 작은 서식지를 가지고 있고 취약하기 때문에 2006년 현재 멸종위기 어류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아드리아 해 분지에는 88종의 어류가 있으며, 그 중 44종은 지중해 고유종, 41종은 아드리아 해 고유종이다.아드리아 강 유역 어종의 절반 이상이 네레타 강, 옴블라 강, 트레비슈니차 강, 모라차 강 및 그 지류에 서식하고 있으며, 30종 이상이 [22]풍토적이다.

침습종

Neretva River 유역에서 갯장어(Sander lucioperca Linnae 1758)[23] 개체군이 1990년에 처음으로 관찰되었다.네레트바 강의 오른쪽 지류인 라마강과 그 라마호에는 알 수 없는 양의 이 알로치톤성 종들이 살고 있다.네레트바 호수의 인구 추정치는 증가했다.이 사실은 Ramsko 호수에서 Rama 강으로, 그리고 강 하류 및 호수로의 파이크 횃대 이동(이동) 가능성을 예측한 Schkrijelj(1991, 1995)의 이전 과학적 가정을 확인시켜 준다.1990년에는 라마호 어류 개체수의 1.95%를 농어 개체수가 차지했다.10년 만에 인근 야블라니치코 호수에서 25.42%로 상승했습니다.

갯장어 개체수의 빠른 증가 속도와 이동 속도는 [clarification needed]이 물고기의 생태학적 중간 가격부터 환경 조건에 부합할 것으로 예상된다.그런 의미에서, 살라코바치코 호수에서 비교적 좋은 대표성이며, 그라보비치코 호수에서 인구 증가의 시작인 자블라니치코 호수에서 파이크 농어의 개체군 역학이 확립되고 가속화된 것이다.유럽 chub, 하얀색 chub(Squalius 두부) 같은 풍토병 토착종의 병렬 민물 농어 증가로 감소한 것이다, 아드리아 해의 데이스 같고 풍토병 희귀한 종 또한 발칸 시래기(Squalius 또한 Leuciscus svallize 헤켈 &, Kner 1858년 svallize),Neretvan softmouth 송어(Salmothymus obtusirostris 옥시의 소멸.rhinchus Steind.)와 대리석 송어(Salmo marmoratus Cuv.)입니다.

파이크 홰는 야블라니치코 호수의 자생종에 뚜렷하게 눈에 띄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살라코바치코 호수에서는 이러한 영향이 덜 눈에 띄지만 진행 중이지만, 그라보비치코 호수에서는 아직 명확하게 보이지 않는다.

살몬류

송어
대리석 송어
덴텍스송어

네레트바 분지에서 나는 연어과 물고기형태학, 생태학, [24][25]행동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가장 멸종위기에 처한 송어는 세 가지 고유종이다.Neretvan 소프트구트 송어(Salmothymus obtusirostris oxyrhinchus Steind.),[26] Toothrout(Salmo dentex)[27]대리석 송어(Salmo marmoratus Cuv.)[28]

네레트바강의 세 가지 고유 송어 종 모두 서식지 파괴나 대형/[2]주요 댐 건설 때문에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다른 문제로는 외래종 송어 도입으로 인한 잡종이나 유전자 오염, 불법 어업, 부실한 물과 어업 [29][30]관리 등이 있다.

잉어목

가장 멸종 위기에 처한 잉어과(잉어과)는 풍토병이다.

특히 흥미로운 것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서부 헤르체고비나 동부의 고립된 카르스티 평원(밭)에 서식하는 5종의 폭시넬루스(아종)로, 최종적으로 달마티아 남동부의 네레트바 유역 및/또는 해안 배수구에 도달한다.

  • Karst minnow(Poxinellus methiensis)는 VU(취약)로 간주됩니다.
  • 남달마티안 민어(Phoxinellus pstrossii)는 멸종위기에 처해 있으나 데이터 부족(DD)으로 표기되어 있어 IUCN Red List of Threatened Classion Version 2009.1에는 지정되어 있지 않다.
  • 달마시안 민어(Phoxinellus ghetaldii)는 취약하다고 여겨진다.
  • 아드리아산 민어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크로아티아의 고유종으로 해류가 적은 저지대 수역에서 발견된다.그것은 오염과 서식지 [31]파괴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그것은 멸종 위기에 처한 것으로 여겨진다.
  • 티할지나강의 풍토종으로, 이모츠코 밭의 지하수를 먹이로 해, 믈라다 강을 개입시켜 트레비자트강과 연결되어 있습니다.그것은 또한 Mostarsko Blato 습지에서도 발생한다.크로아티아 메트코비치 네레트바 하류의 오른쪽 지류인 노린강 발원지, 네레트바 하류의 왼쪽 지류인 쿠티호, 홍호(크로아티아)의 이모츠코 밭과 마티카 [32]강 인근 브를라치카 강 유역에서 물고기가 발견됐다.취약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 민노우나제(연골동토마폭시누스)는 멸종위기종(CR)으로 분류된다.
  • Neretvan nase(또한 Dalmatian nase와 Dalmatian soife)[33] Neretva의 고유종이다.네레반나제는 주로 하부와 델타, 크루파 강, 네이처 파크 후토보 블라토 습지, 네레타 델타 습지에 분포한다.그것은 전류가 거의 없는 수역에서 발생한다.그것은 서식지 파괴와 [34]오염으로 위협받고 있다.VU(Vulnerable)로 간주됩니다.
  • 아드리아산 다이스(Squalius svallize 또한 Leuciscus svallize Heckel & Kner 1858)[35]는 몬테네그로와 알바니아에서도 볼 수 있지만 취약한 풍토입니다.성충은 물살이 거의 없는 낮은 평원이나 호수에서 산다.그들은 무척추동물을 먹고 삽니다.오염, 서식지 파괴, 그리고 다른 종의 유입으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
  • 일리리아 데이스(Squalius ilyricus, Leuciscus ilyricus Heckel & Kner 1858)[36]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크로아티아 알바니아 카르스트 해역에 서식한다.그것은 낮은 평원의 물길에서 발생하며, 물살이 거의 없다.무척추동물을 먹이로 한다.그것은 서식지 파괴, 오염 그리고 유입된 종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는다.Near Threated(NT; 위협 근방)로 간주됩니다.
  • Turskyi dace(Leuciscus turskyi 또한 Squalius turskyiTelestes turskyi)[37]는 카르스트 해역, 부스코 블라토 호수, 크르카 강, 치콜라 강에 서식합니다.그것은 낮은 평원에서 발생하며, 조류와 호수에서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무척추동물을 먹이로 한다.위협에는 물의 추상화와 오염이 포함된다.그것은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한 동물로 여겨진다.
  • 달마티안 바르벨구전([38]Aulopyge huggugeon)은 글래모코 밭, 리반즈코 밭, 두반즈코 밭, 부슈코 블라토, 블리딘제, 세티나, 크르카, 즈르마냐 강의 배수지의 카르스틱 하천에서 서식한다.그것은 렌즈류 물에서 발생하며 식물을 먹는다.이 물고기는 수질 오염과 서식지 파괴로 위협받고 있으며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그것은 리반즈코 들판의 철새이다.

코비트과

네레트반 스파인 미꾸라지(Corbitis narentana Karaman, 1928)는 아드리아 해 유역의 풍토로서 크로아티아 네레트바 유역,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하류 네레트바 및 마티카 강 같은 작은 지류에서만 서식합니다.크로아티아에서는 엄격하게 보호되고 있으며, 네레트바 삼각주와 그 작은 지류인 (노린)과 네레트바 삼각주(바치나 호수, 쿠티, 데스네, 모드로 오코)[39]의 호수계에서만 서식하고 있다.VU(Vulnerable)로 간주됩니다.

네레트바 델타 엔데믹스

네레트바 삼각주에는 20종 이상의 고유종이 서식하고 있으며, 그 중 18종은 아드리아 해 유역의 고유종이며, 크로아티아에는 3종의 고유종이 있다.이 지역에 서식하는 총 종의 거의 절반(45%)이 위협의 범주 중 하나에 포함되며 주로 [22]풍토병이다.

수력 발전 논쟁

수력 발전 댐이 가져오는 혜택은 환경적,[40][41] 사회적 비용을 수반한다.두 개의 주요 지류인 라마강과 트레비슈니차강이 있는 네레트바 강의 물은 이미 9개의 대형 이 있는 수력발전소, 네레트바 본류 4개, 라마 지류에 주요 댐이 있는 수력발전소, [2]트레비슈니차 강에 있는 수력발전소 3개에 의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시설은 다음과 같습니다.

리슈티카Mostarsko Blato 수력발전소(HPP의 하류인 Jasenica), 트레비자트Pech Mlini 수력발전소, 그리고 Treacinica와 같은 작은 강의 수많은 작은 수력발전소와 같은 다양한 용량의 수력발전소가 더 있다.돌얀카, 글로고슈니차 강, 이드바 에 버려진 작은 수소를 가진 이카와 두시치카.

상부 Neretva의 프로젝트

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정부, Glavaticevo 수력 발전소와 Glavatičevo의 마을에서, 그리고 상류로 Bjelimići 수력 발전 플랜트와 Ljubuča 수력 발전소에 소재한 사람들부터 시작하여 계획 댐과 150.5 m에 대한 기존의 식물에서 height[2]상류에서 3개의 수력 발전소 건설 계획을 발표했습니다.dn이름 붙여진 마을, 그리고 스르프스카 공화국의 또 다른 마을은 강의 근원 근처의 네레트바 원류 협곡에 있다.이는 젤레니-네레트바 콘지치와[42] 세계야생동물기금[5][19][43][44][45]같은 환경단체와 NGO에서도 비슷하게 반대하고 있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고르냐 네레트바(영어: Upper Neretva) 전 지역을 포함하는 대형 국립공원을 조성하고 공원 내에 수력발전소 3기를 갖추는 병행 계획을 준비하고 있다.가장 최근의 생각은 공원을 둘로 나누어야 한다는 것인데, 네레트바는 둘 다에서 제외되어 공원 사이의 경계가 될 것이다.이 계획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이 지역을 상부 네레트바의 국립공원으로 만들고 실질적인 [40][46][47]개발 없이 공원을 떠나기를 희망하고 있다.

어퍼 호라이즌스 - 트레비셴히카

최근 스르프스카 공화국 정부는 더 어퍼 호라이즌스(The Upper Horizons, Bosian: Gornji horizoni)라는 이름의 프로젝트를 완료했다.는 네레트바 유역의 지하수를 트레비슈니차 발전소 및 트레비슈니차 유역의 다른 곳으로 우회시키는 대규모 수력발전 프로젝트이다.이 프로젝트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크로아티아의 NGO에 의해 반대되었다.그들은 이 프로젝트가 네레트바 강의 오른쪽 둑에 있는 모든 지표면과 지하수의 염도 수준을 증가시키고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람사르 유적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보호되는 네이처 파크 후토보 블라토, 크로아티아의 보호되는 네레트바 델타, 그리고 중요한 담수의 저수지와 농경지를 손상시킬 것이라고 주장했다.네레트바 계곡 [citation needed]하류지

문화적 역사적 의의

초기 역사

고대 동안, 네레트바는 나렌타, 나로나 그리고 나로로 알려져 [48][49][50]있었고 고대 일리리아 부족인 아르디아이의 내륙의[51] 고향이었다.그들은 선박 건조업자, 선원, 어부가 되었다.일리리아 문화의 고고학적 발견은 네레트바 [52]강 근처의 후토보 블라토에서 발견된 고대 일리리아 난파선의 발견과 같은 일상생활과 종교 생활을 다루었다.

후토보 블라토의 데실로 고고학 수중 유적지

2008년 가을 후토보 블라토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발굴한 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모스타르 대학스웨덴 룬드 대학고고학자들이 2000년 이상 된 일리리아 교역소의 흔적을 발견했다.이 발견은 유럽인의 관점에서 독특하며 고고학자들은 데실로가 일리리아인과 로마인 사이의 접촉에 있어 매우 중요한 교역소였다고 결론지었다.고고학적 발견물로는 정착촌유적, 무역소 역할을 했을 것으로 보이는 항구잔해, 그리고 기원전 [53]1세기 와인 주전자를 가득 실은 많은 침몰한 배들이 있다.고고학자 아담 린드하겐은 이것이 가장 중요한 일리리아 [54][55]유적이라고 주장했다.

로마 시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로마 시대의 가장 중요한 기념물 중 하나는 모고르젤로입니다.4세기 로마 교외 빌라 루스티카의 모고르젤로 유적지는 채플리나 마을에서 남쪽으로 1km 떨어진 곳으로 고대 로마의 농업 생산과 사유지, 제분소, 제빵소, 올리브 정유소, [56]위조지물을 상징한다.빌라는 4세기 중반, 서부 고트족의 침공으로 파괴되었다.살아남은 주민들은 원래의 화려함을 되찾지 못했다.모고르젤로의 이름은 슬라브어로 '번'(Slavic – goriti)을 뜻하는 단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생각되거나 5세기 말에 교회가 빌라의 폐허 위에 세워졌고 성 성 성모 마리아에게 바쳐졌다. Hermagor [57] 모고루

중세 시대

곤지치의 오래된 석조 보행교

중세 초기에는 남슬라브계 나렌티네족이 이 지역을 지배했다.그들은 해적질로 유명했고 10세기와 11세기 [citation needed]초에 베네치아인들에게 패할 까지 기독교화에 저항했다.

가벨라차플리나에서 남쪽으로 5km(3마일) 떨어진 네레트바 강둑에 있는 풍부한 고고학 유적지다.주목할 만한 중세 건물, 구시가지 성벽의 잔해, 그리고 베네치아 문화의 상징돌사자 조각상이 남아 있습니다.

오스만 시대

스타리 모스트(오래된 다리), 16세기 모스타르

오래된 다리는 1557년 술레이만 대왕에 의해 오래된 나무 현수교를 대체하기 위해 의뢰되었다.1557년에 착공하여 9년이 걸렸는데, 비문에 따르면 다리는 서기 974년에 완성되었으며, 이는 1566년 7월 19일부터 1567년 7월 7일까지의 기간에 해당한다.추억과 전설, 건축가인 미마르 헤이루딘(오트만 건축가 미마르 시난/코카 시난의 제자)의 이름이 글로 보존됐다.사상 초유의 크기의 다리를 건설하기 위해 사력을 다한 이 건축가는 마침내 완성된 구조물에서 발판이 제거된 날 자신의 장례식을 준비했다고 한다.그것이 완성되었을 때 그것은 세계에서 가장 넓은 인공 아치였다.비계가 어떻게 세워졌는지, 돌이 어떻게 한 둑에서 다른 둑으로 운반되었는지, 그리고 건설 중에 비계가 어떻게 유지되었는지와 같은 관련된 기술적 문제는 여전히 불분명합니다.1993년 11월 9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전쟁지속적[58]포격으로 파괴되었다.전쟁 후, 말 그대로 분쟁의 양면을 잇는 평화와 민족 화합의 상징으로 다리를 재건하기 위한 즉각적인 계획이 제기되었다.그들은 가능한 한 많은 원료를 재사용하려고 시도했다.국제사회의 자금 지원을 받은 인양작업은 강바닥에서 돌과 다리의 잔해를 인양했다.누락된 요소나 사용할 수 없는 부품은 원래 채석장에서 잘라낸 것입니다.현재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이 다리는 유네스코의 보호 아래 재건되었다.그것의 1,088개의 돌은 원래 기술에 따라 약 1,200만 유로의 비용이 들었다.그랜드 [citation needed]오픈은 2004년 7월 23일에 열렸다.

네레트바 강 하류를 내려다보는 요새화된 포치텔리

마을의 젊은이들이 24미터(79피트) 다리에서 네레트바 강으로 뛰어드는 것은 전통이다.그 관습은 다리가 건설된 1566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매년 여름 사람들 앞에서 행사가 열렸다.누군가 다리에서 뛰어내린 것은 1664년에 처음 기록된 일이다.1968년 정식 다이빙 대회가 개최되어 매년 [59]여름 개최되었습니다.

포치텔리는 모스타르 근처의 언덕에 위치해 버스로 쉽게 갈 수 있습니다.다른 많은 보스니아 유적지와 마찬가지로 이 마을은 오스만 제국의 디자인이다.이곳은 호스텔(캐러밴세라이)과 그 아래에 하맘이 있는 역사적인 요새화된 마을입니다.전통적인 이슬람 사원이 있습니다.보스니아 전쟁 중 포치텔리는 큰 피해를 입었고 주민 대부분은 도망쳐 돌아오지[60] 않았다

제2차 세계 대전: 네레트바 전투

네레트바 전투의 요충지인 유명한 다리

유명한 네레트바 전투제2차 세계 대전과 실제 네레트바 [61]전투의 사건들을 묘사한 1969년 오스카 후보작이다.웨이(Fall Wei,)라는 코드네임으로 불리는 이 작전은 1943년 초 점령된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에 대한 독일군의 연합 공격 계획이었다.공세는 1943년 1월과 4월 사이에 일어났다.사회주의 유고슬라비아 시절에는 제4차 적 공세 또는 부상자 전투로 알려져 있었다.

전투 중 어느 순간, 파르티잔들은 네레트바 강으로 등을 돌린 채 주머니 속에 갇혔다.야블라니카 인근에서는 요시프 브로즈 티토 원수가 이끄는 2만 명의 빨치산들이 15만 명의 추축군 [62]전사들에 맞서 최고본부, 본병원과 함께 부상당한 4500여 명의 전우들과 발진티푸스 환자들을 구하기 위해 고군분투했다.

크로아티아 메트코비치의 네레트바 강

대중문화에서

보스니아와 헤르체고비나 시인으로 유명한 막 디즈다는 그의 시에 그의 고향인 헤르체고비나의 다른 역사적, 문화적, 그리고 자연적 특징과 함께 네레트바 강을 모티브로 자주 사용했습니다.유명한 네레트바 전투는 제2차 세계 대전실제 네레트바 [61]전투의 사건들을 묘사한 1969년 오스카상 후보에 오른 영화이다.많은 민요들이 네레타를 주제로 작곡되거나 공연된다.

갤러리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a b c Statistical Yearbook of the Republic of Croatia 2017 (PDF) (in Croatian and English). Zagreb: Croatian Bureau of Statistics. December 2017. p. 47. ISSN 1333-3305. Retrieved 23 May 2018.
  2. ^ a b c d e "Methodology and Technical Notes". IUCN - Watersheds of the Worl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July 2007. Retrieved 15 July 2009. A large dam is defined by the industry as one higher than 15 metres high and a major dam as higher than 150.5 metres
  3. ^ a b "Transboundary management of the lower Neretva valley". Ramsar Convention. 14 March 2002. Retrieved 6 April 2012.
  4. ^ a b c d "UNDP H2O Knowledge Fair - Bosnia and Herzegovina". UNDP H2O Knowledge Fai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November 2007. Retrieved 19 March 2009. There are about 30 water reservoirs in Bosnia and Herzegovina primarily on the Neretva and Trebisnjica basin, ...
  5. ^ a b c "Living Neretva". WWF - World Wide Fund. Retrieved 18 March 2009.
  6. ^ "Geoheritage of the Balkan Peninsula" (PDF). The Geological Survey of Sweden (SGU). Retrieved 18 March 2009.[영구 데드링크]
  7. ^ "Database of researchers and research institutions in BiH - Project of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sation of autochthonous human, animal and plant resource of the Neretva - Resume". Database of researchers and research institutions in B&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July 2011. Retrieved 18 March 2009.
  8.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August 2020. Retrieved 22 July 2017.{{cite web}}: CS1 maint: 제목으로 아카이브된 복사(링크)
  9. ^ "Neretva River Sub-basin". Internationally Shared Surface Water Bodies in the Balkan Reg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February 2009. Retrieved 19 March 2009.
  10. ^ "Daily hydrological report". State Hydrometeorological Bureau of the Republic of Croatia. Retrieved 9 September 2010.
  11. ^ a b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of Bosnia and Herzegovina - Adriatic watershed". Hydro-meteorological institute of Federation of B&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March 2009. Retrieved 10 March 2009.
  12. ^ a b c "HE Jablanica - Elektroprivreda BiH". www.elektroprivreda.ba. JP Elektroprivreda Bi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November 2013. Retrieved 20 June 2018.
  13. ^ "EuroNatur: Neretva-Delta". www.euronatur.org. EuroNatu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May 2020. Retrieved 20 June 2018.
  14. ^ "Water Quality Protection Project - Environmental Assessment". World Bank. Retrieved 18 June 2009.
  15. ^ BHTourism - 라키트니카
  16. ^ a b c "Neretva Delta". Transboundary Cooperation Through the Management of Shared Natural Resources. Regional Environmental Center for Central and Eastern Europe (REC).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June 2010. Retrieved 15 May 2012.
  17. ^ Hutovo Blato Nature Park 2009년 4월 18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
  18. ^ a b c "Hutovo Blato Nature Park". Network of Adriatic Park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March 2009. Retrieved 21 June 2018.
  19. ^ a b "Water power: the upper Neretva River, Bosnia-Herzegovina". WWF - World Wide Fund. Retrieved 10 March 2009.[데드링크]
  20. ^ a b "Nature in Neretva Delta". Neretva.info - Neretva Delt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August 2010. Retrieved 13 March 2009.
  21. ^ Smith, Kevin G.; Darwall, William R. T. (2006). The Status and Distribution of Freshwater Fish Endemic to the Mediterranean Basin. IUCN. pp. 6–. ISBN 978-2-8317-0908-6.
  22. ^ a b Skaramuca Boško; Dulčić Jakov (14 December 2007). Endangered and endemic species of fish in the basins of the Neretva river, Trebišnjica and Morača. Dubrovnik: Sveučilište u Dubrovniku; EastWest Institute. pp. 43–46. ISBN 978-953-7153-18-2.
  23. ^ "Sander lucioperca". Fishbas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July 2011. Retrieved 16 July 2009.
  24. ^ "Marble trout (Salmo marmoratus)". Balkan Trout Restoration Group.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September 2015. Retrieved 10 March 2009.
  25. ^ S. MUHAMEDAGIĆ; H. M. GJOEN; M. VEGRA (2008). "Salmonids of the Neretva river basin - p" (PDF). EIFAC FAO Fisheries and Aqauculture Report No. 871. European Inland Fisheries Advisory Commission (EIFAC): 224–233. Retrieved 6 January 2014.
  26. ^ "Salmo obtusirostris". Balkan Trout Restoration Group. Retrieved 10 March 2009.
  27. ^ "Salmo dentex". Balkan Trout Restoration Group. Retrieved 10 March 2009.
  28. ^ "Salmo marmoratus". Balkan Trout Restoration Group.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September 2015. Retrieved 10 March 2009.
  29. ^ Freyhof, J.; Kottelat, M. (2008). "Salmo dentex". 2008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Retrieved 5 August 2007.
  30. ^ Crivelli, A.J. (2006). "Salmo marmoratus".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06: e.T19859A9043279. doi:10.2305/IUCN.UK.2006.RLTS.T19859A9043279.en. Retrieved 12 November 2021.
  31. ^ "Adriatic minnow (Phoxinellus alepidotus)". Fishbase. Retrieved 16 July 2009.
  32. ^ "Spotted minnow (Phoxinellus adspersus)". Fishbase. Retrieved 16 July 2009.
  33. ^ "Neretvan Nase (Chondrostoma knerii)". Fishbase. Retrieved 16 July 2009.
  34. ^ Crivelli, A.J. (2006). "Chondrostoma knerii".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06: e.T4788A11094572. doi:10.2305/IUCN.UK.2006.RLTS.T4788A11094572.en. Retrieved 12 November 2021.
  35. ^ "(Squalius svallize also Leuciscus svallize)". Fishbase. Retrieved 16 July 2009.
  36. ^ "Ilirski klijen (Squalius illyricus)". Fishbase. Retrieved 16 July 2009.
  37. ^ "Turkish chub (Leuciscus turskyi)". Fishbase. Retrieved 16 July 2009.
  38. ^ "Dalmatian Barbelgudgeon (Aulopyge hugeli)". Fishbase. Retrieved 16 July 2009.
  39. ^ a b Mrakovchich 2006. 오류:: 2006
  40. ^ a b "Our view of the Hydroelectrical Power Station System "Upper Neretva"" (PDF). Konjic NGO For Preservation of the Neretva River And Environment Protection. Retrieved 22 June 2009.
  41. ^ "Dams–Impact of dams". Science Encyclopedia, vol.2.
  42. ^ "ZELENI-NERETVA Konjic NGO For Preservation of the Neretva River And Environment Protection". Retrieved 10 March 2009.
  43. ^ "Fondacija Heinrich Böl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May 2012. Retrieved 24 March 2009.
  44. ^ "REC - The Regional Environmental Center for Central and Eastern Europe". Retrieved 24 March 2009.
  45. ^ "Declaration for the Protection of the Neretva River". NGO For Preservation of the Neretva River And Environment Protec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July 2011. Retrieved 22 June 2009.
  46. ^ 조용한 강:거대 댐의 생태와 정치학, 패트릭 맥컬리, 제드북스, 런던, 1996
  47. ^ "Arguments Pro&Contra - Why Are We Contra The Hydroelectrical Power Station System "Upper Neretva"". ZELENI-NERETVA Konjic NGO For Preservation of the Neretva River And Environment Protec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September 2016. Retrieved 22 June 2009.
  48. ^ 나로나 고고학 박물관[영구 데드링크]
  49. ^ 2009년 4월 22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된 고대 도시 나로나
  50. ^ 네벤 카자조비치, 타지네 네레트베
  51. ^ 마르제타 샤셀 코스의 아피앙과 일리리쿰은 "아르디아이족도 적어도 곤지크 지역까지 나로강 연안의 내륙지대에 정착했다.
  52. ^ Illyria 2009년 3월 4일 Wayback Machine에서 아카이브 완료
  53. ^ "Bosnian archaeologists discover fabled ships". iol.co.za. Retrieved 17 March 2009.
  54. ^ "The world's first Illyrian trading post found". Apollon - University of Oslo.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March 2009. Retrieved 17 March 2009.
  55. ^ "Unique Archaeological Discovery in Balkan: World's First Illyrian Trading Post Found". Science Daily. Retrieved 17 March 2009.
  56. ^ 헤르체고비나 포도나무 길의 모고르젤로
  57. ^ 차플리나 시 - Mogorjelo 2008년 12월 11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
  58. ^ "ICTY: Prlić et al. (IT-04-7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August 2009.
  59. ^ 다이빙 클럽 Mostar 2009년 7월 12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
  60.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세계유산 2009년 2월 23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
  61. ^ a b IMDbNeretva
  62. ^ WEISS 작전 – 네레트바 전투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