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나 파크 시드니

Luna Park Sydney
루나 파크 시드니
03.01.2009-luna entrance2.jpg
루나 파크 페이스
위치올림픽 드라이브 1개, 밀슨 포인트, 뉴사우스웨일스, 오스트레일리아
좌표33°50′51″s 151°12′36″E / 33.8476°S 151.2100°E / -33.8476; 151.2100좌표: 33°50′51″S 151°12′36″E / 33.8476°S 151.2100°E / -33.8476; 151.2100
슬로건그냥 재미로!
소유자루나파크 리저브 트러스트
열린1935년 10월 4일; 86년(1935-10-04)
이전 이름시드니의 루나 파크, 루나 파크 밀슨 포인트, 하버사이드 놀이공원
영업시즌일년 내내
명소
합계23
롤러코스터.4
웹사이트www.lunaparksydney.com
상태운영하는
루나 파크 경내
Luna Park Sydney is located in Sydney
Luna Park Sydney
시드니 루나 파크 경관의 위치
좌표33°50′51″s 151°12′36″E / 33.8476°S 151.2100°E / -33.8476; 151.2100
빌드됨1935–
건축가
  • 루퍼트 브라운
  • 허먼 필립스
공식명루나 공원 경내; 입구와 탑; 크리스탈 팰리스; 코니 아일랜드; 알프레드 스트리트 입구; 야생 쥐; 사암 절벽;
유형국가 유산(복수/그룹)
지정된2010년 3월 5일
참조번호1811
유형펑페어
카테고리레크리에이션 및 엔터테인먼트
빌더
  • 스튜어트 브라더스 주식회사
  • 데이비드 앳킨스
  • 테드('호피') 홉킨스

루나 파크 시드니는 호주 뉴사우스웨일즈밀슨 포인트 항구 교외 1번지 시드니 하버 해안에 위치한 유산으로 등재된 놀이공원이다. 놀이공원은 뉴사우스웨일스 정부기관인 루나파크 리저브 트러스트(Luna Park Reserve Trust)가 소유하고 있으며, 2010년 3월 5일 뉴사우스웨일스 주립 유산 등록부에 추가되었다.[1]

공원은 1935년 시드니 하버 브리지 북쪽 접근으로부터 약 600m(2,000ft) 떨어진 곳에 건설되었으며, 연중 개방된 1972년까지 70개월 동안 운영되었다. 루나 파크는 6명의 어린이와 1명의 성인 사망자를 낸 고스트 열차 화재 직후인 1979년 중반 폐쇄되었다. 대부분의 공원이 철거되었고, 새로운 놀이공원이 건설되었는데, 이것은 원래 루나 공원 이름을 재개하기 전에 하버사이드 놀이공원이라는 이름으로 운영되었다. 이 공원은 1988년 독립된 엔지니어링 검사 결과 여러 개의 놀이기구를 긴급하게 수리해야 하는 것으로 확인되면서 다시 폐쇄되었다. 소유주들은 뉴사우스웨일스 정부 시한이 지나기 전에 공원을 보수하고 재개장하는 데 실패했고, 소유권은 새로운 기구로 넘어갔다.

1995년 재개장한 루나파크는 북두칠성 롤러코스터 때문에 13개월 만에 다시 문을 닫았는데, 이 때문에 공원 위쪽의 클리프탑에 있는 주민들의 소음 공해로 인해 승차 시간이 크게 제한되었고, 이로 인한 참석자 감소로 공원은 수익을 낼 수 없게 되었다. 루나파크는 또 다른 재개발을 거쳐 2004년 다시 문을 열었고 이후 영업을 계속하고 있다.

루나 파크는 정부 입법으로 보호되고 있는 세계 2개 놀이공원 중 하나이다. 그 자리에 있는 건물들 중 몇 채도 국립 유산 등록부와 뉴사우스웨일스 주립 유산 등록부에 등재되어 있다. 루나파크(Milson's Point, New South Wales)의 건축 계획과 놀이기구 및 건물 도면이 고스트 트레인 놀이기구 등 뉴사우스웨일스 주립도서관에서 열린다. 계획과 도면에는 루나 파크(St Kilda, Victoria)와 루나 파크(Glenelg South Australia)의 일부가 포함되어 있다.[2]

그 공원은 몇몇 영화와 텔레비전 쇼의 촬영지로 이용되어 왔다.

역사

유럽이 호주에 정착하기 전과 19세기에 이르기까지 루나 공원의 터는 더 큰 쿠링가이 부족의 일부인 캄메라이갈(Cammeraaygal이라고도 한다) 클랜에 의해 점령되었다.[1][3]

1805년 로버트 캠벨은 밀슨 포인트와 루나 파크의 미래 부지로 구성된 내륙 약 550m(600yd)에 걸쳐 있는 라벤더 베이와 케어닝 베이 사이의 노스 쇼어 수변에서 한 소포의 토지를 구입했다. "이것은 원래 1함대에 도착한 민간 군인 로버트 라이언에게 주어졌던 120에이커의 한 블록이었고, 찰스 그라임스 조사관을 거쳐 새 소유주에게 넘겨졌다." 제임스 밀슨은 1806년에 그곳에 정착했다. "로버트 캠벨의 은총에 의해, 그는 그의 무리를 방목하고 그의 집을 지었다."[1]

1822년부터 밀슨은 매년 8파운드씩 지불하는 이 땅의 임대차계약에 서명했지만 나중에 캠벨의 주장에 대해 이의를 제기했다. 1830년에 또 다른 12년 임대 계약이 체결되었지만, 캠벨은 결국 밀슨을 불법침입 혐의로 고소했다. 이 보조금 중 어떤 부분도 "캠벨이 죽은 직후까지" 밀슨의 손에 넘어가지 않았다.[4] (1846년 1830년 자메이카의 전과자 빌리 블루시드니 하버를 가로지르는 첫 여객선 운항을 시작했다. 7년 후, 그 장소로부터 정기적인 부두와 수인 서비스가 운영되고 있었다. 1842년 밀슨 포인트는 공공 착륙 장소로 선언되었고 1860년까지 밀슨 포인트와 포트 맥쿼리 사이에서 정기적인 여객선 운항이 이루어졌다. 1886년에 밀슨 포인트에서 새로 건설된 종착역과 노스 시드니 사이에 트램 서비스가 시작되었다.[1]

1890년 혼스비세인트 레오나드 사이에 노스쇼어 철도선이 개통되었다. 3년 후 이 부지는 세인트 레오나르드에서 라벤더 만 해안선을 따라가는 밀슨 포인트까지의 북부 해안 철도 노선 연장 공사를 준비하기 위해 채석되었다. 기존의 부두와 트램 종착지에 인접한 밀슨 포인트의 끝에 기차역이 위치하였고, 1915년 새로운 임시 정거장을 가로질러 다리를 건설하기 위한 준비로 북부의 주요 교통 요충지가 되었으며, 라벤더 만에서 페리 부두는 더 뒤로 가는 노선에 완공되었다.[5] 1800년대 중반부터 그 장소 위의 절벽 꼭대기에 있는 지역은 주거용으로 개발되었다. 바로 위로는 1920년대에 철거된 노스클리프 하우스(Northcliff House)가 있었는데, 절벽 꼭대기에 있는 공원에 있는 무화과나무는 이 시기의 잔재로 추정된다.[6][1]

1916년에 시드니 하버를 가로지르는 다리 계획이 의회 작업 위원회에 의해 승인되었다. 이 새로운 다리 건설 입찰은 1924년 영국 엔지니어링 회사인 도만 롱과 컴퍼니에 낙찰되었다. 그 다음 해에 다리 위에서 작업이 시작되었다. 도만 롱은 계약 조건에 따라 다리 건설에 사용되는 강철 부품의 제작과 조립을 위해 루나 파크 부지에 다수의 작업장을 건설했다. 밀슨 포인트 철도역은 1924년에 건설된 역의 부지로 이전되었다. 시드니 하버 브리지(Sydney Harbour Bridge)는 라벤더 베이/밀슨 포인트 역과 차량용 페리 이용이 중복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1932년에 공식적으로 개통되었다.[1]

시작

사우스 오스트레일리아 글렌글렉에 있는 루나 파크 글렌글. 이 공원의 놀이기구는 시드니로 가져와 시드니 루나 파크를 개장하는 데 사용되었다.

루나파크의 위치는 이전에는 시드니 하버 브리지 건설에 필요한 작업장과 크레인, 철도 사이드 등이 잇달았다. 1932년 하버 브리지가 완공되자 노스 시드니 의회는 부지 개발을 위한 입찰 신청서를 개설했다. 동시에 사우스호주 글렌글그에 있는 글렌글그 루나파크 뒤에 숨은 마음인 허먼 필립스, 데이비드 앳킨스, 테드 '호피' 홉킨스는 글렌글리그 평의회와 지역 주민들과의 어려움 때문에 새로운 루나파크를 세울 장소를 찾기 시작했다.[7]: 49

최초의 "루나 파크"는 1903년 뉴욕 코니 아일랜드에 문을 열었다. 호주 최초의 루나 공원은 1912년 멜버른세인트 킬다에 문을 열었고, 그 이후로 거의 지속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1930년 글레넬의 또 다른 루나 파크가 루퍼트 브라운의 설계로 이어졌다. Luna Park, Glenelg는 Phillips 형제의 소유였다. 허먼, 레온, 해롤드 그리고 데이비드 앳킨스가 관리한다. 1934년 남호주 벤처기업이 어려움에 직면했을 때 필립스는 시드니에서 적당한 장소를 찾았다. 동시에 입찰자들은 이전의 도만 롱 사이트를 공공 오락용으로 이용하려고 했다. 루나파크(NSW)를 설립한 허먼 필립스(Herman Phillips). A. Abrahams)가 입찰에서 이겼다. 임대차 계약은 1935년 9월 11일 연 1,500파운드의 임대료로 20년 동안 시작되었다. 이 직후 루나 파크 글레넥은 자발적인 청산에 투입되었다.[7]: 49 글레넬에서 온 놀이기구는 필립스와 그의 동료 감독들이 구입하여 해체하고 시드니로 운송한 뒤 밀슨스 포인트 부지에서 다시 조립했다.[7]: 49 건축과 재조립에 6만 파운드의 비용이 들었고, 1935년 스튜어트 브라더스가 데이비드 애킨스와 테드 홉킨스의 지휘 아래 3개월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호피와 아서 "아트" 바튼이 이끄는 거의 1,000명의 기술자, 구조 노동자, 핏터, 예술가들을 고용했다.[7]: 56–57

공식 개장과 전성기

헐리우드 호텔의 공연자들은 1935년에 북두칠성을 타는 것을 재개했다.

루나 파크는 1935년 10월 4일 공식적으로 대중에게 공개되어 거의 즉각적인 성공을 거두었다.[7]: 58, 68 루퍼트 브라운이 디자인한 이 공원의 주목할 만한 입구의 거대한 얼굴 앞에서 긴 줄들이 기다리고 있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달려들어 그 공원의 구불구불한 롤러코스터인 북두칠성에 먼저 가고 싶었다.[8] 노스 시드니 올림픽 수영장은 다음 해에 인접한 부지에 개장되었다.[1] 개장 시즌이 성공적으로 끝난 후, 그 공원은 겨울 몇 달 동안 문을 닫았다. (1972년까지 반복되는 과정)[7]: 68 휴업 시즌에는 놀이기구를 정비하여 다시 칠하고, 새로운 놀이기구와 볼거리를 추가하여 3개월간의 휴업 기간 동안 공원이 바뀌었다는 느낌을 고객들에게 주었다.[7]: 68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루나 파크는 군인들의 자석이었다. 여자 친구에게 외박을 대접하는 자석이나 누군가를 만나고 싶어 하는 자석이었다.[7]: 78 시드니에 대한 일본군의 기습공격에 대비해 공원의 외부 조명을 '찾아내고', 네온 조명이 끊겼으며, 비필수적 전기사용(주로 라이드 파사이드용)이 축소됐다.[7]: 78 군인의 유입으로 매춘부들이 그 지역으로 몰려들었고,[7]: 79 대규모의 싸움은 보통 호주 본토 방어군과 해안 휴가 중인 미국 선원들 사이에서 흔한 일이었다.[7]: 76

루나 공원, 1948년 11월 풍차에 불을 붙였다.

1950년대 초, 루나 파크에 수많은 변화와 추가가 이루어졌다. 앳킨스와 홉킨스는 네덜란드, 미국, 독일, 영국의 놀이공원에서 새로운 놀이기구 디자인과 오락거리를 가지고 세계 투어에 나섰다. 로터는 건설되고 설치되었고, 많은 스턴트의 무대가 되었다.[7]: 90 아서 바튼은 처지고 일그러지기 시작한 공원 입구 위로 거대한 얼굴을 재설계하고 재구성했다.[7]: 90 이 페이스의 디자인은 올드의 삽화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지금의 페이스 화신의 기초가 되었다.[7]: 90

루나 파크의 전성기는 1935년에서 1970년 사이였다. 이 기간 동안 박씨는 새로운 놀이기구와 오락거리를 도입하는 등 일련의 변화를 겪었다. 원래의 입구와 유명한 얼굴은 1938–9, 1946–7, 1960, 1973, 1982, 1995년에 리모델링되었다. 1950년 현재 60대인 필립스 형제는 데이비드 애킨스, 테드 홉킨스 그리고 다른 사람들에 의해 매수되었다. 홉킨스('호피'로 알려진)는 앳킨스가 사망한 후 1957년 루나 파크의 매니저가 되었다. 홉킨스가 1969년에 은퇴했을 때 임대차계약은 세계무역센터 Pty Ltd에 의해 인수되었다. 새 관리 하에서 겨울 휴업은 포기되었다. 루나파크가 1년 내내 문을 열었기 때문에 놀이기구 정기 정비 작업을 할 기회가 없었다.[1]

하버 브릿지에서 본 루나 파크와 밀슨 포인트.

1951년 영국 페스티벌에서 큰 인기를 끌었던 호프마이스터 교수가 발명한 회전 기계 로터의 버전이 루나 파크에 세워졌다. 이것은 원심력으로 작용하여 오늘날에도 여전히 작동하고 있다. 톰슨이라는 사람이 1902년 뉴욕 코니 아일랜드에서 "달로 여행"이라는 이름의 놀이기구를 타려고 아이디어를 냈고, 이것이 세계 최초의 루나 공원의 중심축이 되었다.[8][1]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초반에 텔레비전과 자동차의 이용가능성이 증가하면서 대중에게 중요한 오락대안이 제공되었다.[7]: 98 와일드 마우스 설치, 실루엣 아티스트 S 채용 등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내내 대중의 관심을 유지하려는 홉킨스(당시 파크 매니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존 로스(30년 동안 공원에 머물렀던 사람), 공원과 나머지 6년간의 임대 기간이 1969년에 매각되었다.[7]: 97–99 [9]

새 소유권

세계무역센터 Pty Ltd라는 이름의 컨소시엄이 이 부지를 매입하고 75만 달러에 임대했다.[7]: 99 이 공원을 짓고, 운영하고, 유지했던 '원조 쇼맨' 중 마지막인 홉킨스와 바톤은 1970년 은퇴해 이 공원은 구매 컨소시엄의 손에 맡겨졌다.[7]: 99 곧이어 세계무역센터 Pty Ltd는 루나파크 부지에 929,000평방미터(1,000,000,000평방피트)의 고층 건물과 929,000평방미터(1,000,000평방피트)의 전시 공간, 헬기장 등으로 구성된 5000만 달러의 국제무역센터 건설을 신청했다.[7]: 102 계획은 뉴사우스웨일스 정부에 의해 거부되었고, 컨소시엄 내의 개편을 거쳐 놀이공원으로 계속 운영하기로 결정되었다.[7]: 102

그 후 몇 년 동안, 새로운 관리자들은 낡은 놀이기구 몇 개를 폐기했고, 낡은 놀이기구들을 미국이 고안한 새로운 스릴 놀이기구들로 대체했다.[7]: 104 루나파크의 슬로건은 한나-바르베라와 협의한 끝에 '그냥 재미로'에서 '행복이 있는 곳'[7]: 104 으로 일시적으로 바뀌었다. 이번 상담의 또 다른 결과는 단명 공원 마스코트인 '루나 베어 - 우주 시대 코알라'[7]: 104 를 만든 것이다. 이 공원은 1972년에 연중 개방되어 승차 정비와 정비 기간이 없어졌다.[7]: 105 1973년 마틴 샤프와 피터 킹스턴은 입구 면에 새로운 표현이 포함된 팝 아트 스타일로 공원에 대한 재포장 작업에 착수했다.[7]: 106 1975년까지 루나 파크는 라벤더 베이 해안가를 '티볼리 가든'[1]으로 개발할 계획으로 일주일 단위로 임대 운영을 하고 있었다.

1975년 루나파크의 임대가 만료되자 이사들은 뉴사우스웨일스 정부와 재계약을 위한 협상에 들어갔다.[7]: 108–109 그러나 1976년 네빌 란이 수상이 되었을 때 협상은 중단되었다. 공원은 계속 운영할 수 있도록 허용되었다.[7]: 108–109 1977년 NSW 아트갤러리에서 루나 파크의 중요한 측면을 강조하는 전시회가 열렸다. 예술가 마틴 샤프, 피터 킹스턴, 리차드 리니, 게리 셰드는 공원 곳곳에서 주요 색채 구성과 예술 작품을 했다. "루나 파크가 그 자체로 예술품이고, 환상 속의 도시 상태며, 상상력을 가진 공학의 눈부신 위업이고, 남자들에 의해 창조되고 유지된다는 것을 깨닫는 데 시간이 걸렸다. 시드니는 루나 파크의 중요성을 인정해야 한다. 지금 그것을 잃는 것은 비극이 될 것이다."[1][10]

폐쇄: 북두칠성과 유령 열차 사건

1979년 4월 16일 북두칠성에서 13명이 부상을 입었다.[7]: 108–9 한 강철 주자가 세 대의 롤러코스터 열차 중 하나를 멈추면서 헐거워져 있었다.[7]: 108–9 뒤따르던 열차가 정지해 있던 기차에 부딪혀 부상자가 발생했다.[7]: 108–9

1979년 6월 9일 그 공원의 유령 열차에 불이 붙었다.[7]: 110 이 불로 인근 북두칠성과 하천 동굴로 번지기 전 진압됐지만 인력은 부족하고 공원 소방호스 시스템으로는 제대로 덮이지 않은 놀이기구가 순식간에 파괴됐다.[7]: 110 검게 그을린 잔해를 수색한 결과 6명의 아이들과 1명의 어른의 시신이 발견됐다.[7]: 110 공원은 즉시 폐쇄되었다.[1][7]: 110 검시 결과 루나파크의 관리자와 운영자는 화재 원인을 규명할 수 없었지만 공원 관리인에 대한 주의 의무를 다하지 못한 것으로 결론 내렸다.[7]: 110

NSW 정부는 1979년 7월 말에 입찰자를 요청했다.[7]: 111 두 차례의 입찰에서 정부와 신청자 모두에게 만족스러운 결과를 내지 못했다.[7]: 111–112 1980년 3월에 3차 입찰자가 소집되었다.[7]: 112 이러한 입찰자들이 고려되고 있는 가운데, 전·현직 루나파크 예술가들과 관련 시민들이 설립한 단체인 '루나파크의 친구들'이 오페라하우스에서 페이스로 '루나파크를 구하라'는 항의 행진을 조직했다.[7]: 112 이어 멘탈 애즈 애니매이션(Mental As Anything)이 주창한 무료 콘서트가 열려 박씨의 곤경에 대한 인식을 증진시켰다.[7]: 112 그 결과 중 하나는 호주의 내셔널 트러스트(National Trust of Australia)가 루나 파크 페이스(Luna Park Face)를 국가유산으로 등재한 것이며, 나머지 루나파크에는 '기록된' 분류가 주어졌다.[7]: 112 북두칠성 롤러코스터는 1981년 6월에 종말을 맞이했다. 원래 공원의 상당 부분과 함께 당시 소유주인 콜 골드스타인에 의해 철거되었다. 철거되기 전 달에, 분리 가능한 모든 것이 경매에 부쳐졌다; 예를 들어, 리버 동굴은 루나 파크의 프렌즈 사에 의해 20달러에 팔렸다. 오래 전에 사라진 놀이기구에는 텀블 버그, 터키 트로트, 재미의 배럴, 그리고 강 동굴이 포함되어 있었다. Davey Jones's Locker는 이제 페인트를 칠한 정면에 불과하다.[8] 1981년 루나파크 사이트 법안이 통과되었는데, 이는 루나파크 홀딩스가 사이트를 비워야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1935년부터 1981년까지의 루나 파크 기념품과 놀이기구가 경매에 부쳐졌다.[7]: 112–120 루나 공원의 친구들은 1981년에 보존 계획을 준비했다.[1]

하버사이드

오스트레일리아 어뮤즈먼트 어소시에이츠는 1980년 9월에 입찰에서 낙찰되었고 1981년 6월 초에 부지 관리를 맡았다.[7]: 114 5월 31일과 6월 1일, 공원에서 제거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팔기 위한 경매가 열렸다.[7]: 115 이틀 후, 팔리지 않은 모든 것(페이스, 크리스탈 팰리스, 코니 아일랜드 제외)이 불도저로 땅에 떨어져 불에 탔다.[7]: 115 이 공원은 텍사스에 본사를 둔 LARC International의 디자인 조언에 따라 오스트레일리아 어뮤즈먼츠에 의해 재건축되었다.[7]: 115

새로 이름 붙여진 하버사이드 놀이공원은 1982년 4월에 개장했다. 명칭 변경은 그해 8월까지 루나파크 명칭을 사용하지 못하게 한 현 소유주와 이전 소유주 간의 분쟁으로 인한 것이다.[7]: 116 [11] 그 공원은 1988년까지 운영되었다. 이 6년의 기간 동안, 더 페이스는 두 차례에 걸쳐 출입문 너머로 제거되었고, 하버사이드의 소유주들은 공공사업부와 두 번의 분쟁에 연루되었고, 한 명의 이사는 기업위원회의 조사 대상이었다.[7]: 118 공원은 1988년 4월 10일 폐쇄되었는데, 그 때 독립 기술자들로부터 "개축과 수리"를 위해 공원의 여러 놀이기구를 폐쇄해야 한다는 보고가 있었다.[7]: 119 1973년 마틴 샤프 얼굴의 피브레글라스 카스트였던 입구 면은 파워풀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던 창고에 다시 배치되었다.[1]

1988년 11월, 하버사이드의 임대는 루나 파크 인베스트먼트 Pty Ltd로 양도되었다.[7]: 119 1년 후, 루나 파크를 수리하고 재개장하려는 어떠한 노력도 이루어지지 않았고, 놀이공원의 대부분을 고층 아파트 블록과 호텔로 대체하기 위한 몇 건의 제출이 있은 후, 뉴사우스 웨일즈 주 정부는 1990년 6월 1일까지 루나 파크를 개장하지 않으면 임대 계약을 잃게 된다는 최후통첩을 회사에 보냈다.[7]: 119–120 이런 최후통첩에도 불구하고 루나파크인베스트먼트는 현장을 준비하는 데 별 도움이 되지 않았다. 놀이기구를 이리저리 옮기고, 다시 칠하고, 이름을 바꾸어 새 주인이 노력하려는 모습을 보였다.[7]: 121 이사들은 자신의 부지에 노조 금지까지 선언하면서 연장에 나서려고 계속 핑계를 [7]: 121 댔다. 정부 최후통첩이 통과된 지 나흘 만에 임대가 종료되고 루나파크 예비신탁이 설립됐다.[7]: 121 그 직후, 국립유산신탁은 보호 구조물 목록에 그 부지에 있는 몇 개의 건물을 추가했다.[7]: 121

1990년 10월 12일, 하버사이드의 임대를 종료하고 루나 파크 예비 신탁을 설립하기 위해 이 법이 사용되었지만, "루나 공원 부지법 1990"이 고시되었다.[7]: 121 이 법은 공원 부지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놀이 및 공공 휴양 목적으로 지정되었다.[7]: 121 이 법은 루나 파크를 세계에서 유일하게 두 개의 놀이공원 중 하나로 만들었고, 다른 하나는 덴마크티볼리 가든이었다.[12]

루나 파크 르네상스

1991년 루나파크 3단계 재개발·복구계획의 첫 2단계에 청신호가 켜졌고, 오픈 스페이스·헤리티지 펀드로부터 2천 5백만 달러를 지원받았다.[7]: 122 노스쇼어선 구간 철거(1932년 이후 피크시간 외 열차의 보금자리 구역으로 사용)와 원형경기장, 미술관, 박물관 건립 등 3단계는 승인되지 않았다.[7]: 124 1992년에 신탁은 고든 맥케이 유산 컨설턴트들에게 그 부지에 대한 보존 계획을 준비하라고 의뢰했다. 1993년에서 1995년 사이에 이 보존 계획에 따라 루나 공원 보호 신탁은 보존과 건설에 착수했다. 실제 건설 계획은 1992년 8월 노스 시드니 평의회에 의해 승인되었고, 테드 홉킨스 또한 그에게 보여진 계획을 지지했다.[7]: 124 1993년 1월에 공사가 시작되었고, 페이스가 다시 출입문을 넘어 제자리로 옮겨졌다.[7]: 124 상인들과 예술가들로 구성된 '육군'은 공원의 건물들을 복원하고 아서 바튼의 벽화 몇 점을 포함한 수많은 미술품들을 수리하는 데 6개월 동안 일했다.[7]: 127

재건축 과정에서 인근 주민과 기업 등 여러 곳에서 다양한 이슈에 대한 반대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7]: 125 개장 후 공원의 소음 수준과 40m(130ft)[7]: 126–127 높이의 철제 롤러코스터(원본을 따라 북두칠성) 설치 등이 반대론의 주요 골자였다. 환경보호청은 신탁이 엄격한 소음 통제 지침을 준수하고 과도한 소음으로 피해를 입은 주민은 방음 비용을 부담한다는 조건으로 새로운 북두칠성의 건설을 승인했다.[7]: 126–127 게다가, 노스 시드니 의회는 롤러 코스터가 작동하지 않는 것을 여러 차례 부과했다.[7]: 126–127

루나 파크는 1995년 1월에 재개장했다. 그 후 몇 달 동안, 그 공원은 나쁜 기상 조건의 영향을 받아, 예측된 방문객보다 적은 수의 영향을 받았다.[7]: 130 공원 및 롤러코스터 운영에 대한 법적 청구는 일부 지역 주민들이 제기했으며 재개발 입찰자가 받아들여지지 않은 사업체 인사들의 지지를 받았다.[7]: 130 새로 선출된 Carr State Government는 공원의 장기적 생존 가능성을 의심했다; 우선 신탁에 1400만 달러의 대출에 대한 정부 보증을 제거한 다음 신탁 이사회를 해산하고 행정관을 임명했다.[7]: 131 이 공원은 1996년 2월 14일에 다시 문을 닫아야 했다.[7]: 131–134

1997년 국토보전부(DLWC)는 루나파크의 향후 사용을 위한 도시설계와 토지이용 선택권을 조사하기 위해 UDAS(Urban Design Advisory Service)를 실시하였다.[13] 루나파크 관리계획은 뉴사우스웨일스 정부가 1998년 루나파크 보호구역의 향후 관리를 지도하기 위해 마련한 것이다. 루나파크 관리계획은 루나파크의 향후 사용을 위해 선호되는 선택권을 주민, 일반 국민 및 기타 이해관계자와 협의하여 결정하였다. 경영진의 루나파크 계획에 의해 확인된 선호 옵션은 1997년 루나파크 부지 개정법의 매개변수에 따라 생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새로운 용도를 도입하면서 루나파크의 놀이공원 성격을 보존하고자 하였다.[14]

메트로 에들리 개입

폐원 당시 정부는 루나 공원 부지를 활용하기 위한 제출은 고려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지만, 몇몇 단체들은 어떻게 공원이 대다수를 만족시키기 위해 변경되고 운영될 수 있는지에 대한 그들의 생각을 공개하였다.[7]: 136–137 루나파크의 재개를 위한 '뿌리뿌리 지원'도 있었다. 그 한 예로 고등학생 한 쌍이 5000명의 서명 청원을 모은 것이 있다.[7]: 136–137 1997년 6월, 뉴사우스웨일스 정부는 4개의 개발 제안을 대중에게 제시했다.[7]: 138–139 한달간의 공개시청과 논평이 끝난 후, 승선계획으로 놀이기구와 오락, 식당, 카페, 기능능력을 아우르는 '다중 이용' 계획이 발표되었다.[7]: 138–139 1998년 2월 NSW 공공사업서비스부는 루나파크를 재개발하기 위한 제안서를 요청했고, 20건의 제안서가 제출되었으며, 8건은 추가 검토 대상으로 선정되었다.[7]: 138–139

1999년 7월 입찰 과정의 결과가 공개되었다.[7]: 143 메트로 에들리 그룹(메트로 에들리, 멀티플렉스 시설 관리, 개인 투자자 그룹)이 입찰에 응했다.[7]: 143 그들의 제안은 대부분의 놀이기구들이 머물 것을 의도했지만, 북두칠성이 다목적 콘서트 장소로 대체될 것을 요구했고, 기능 센터로서 크리스탈 팰리스의 재개발을 요청했다.[7]: 140, 143 고든 맥케이 로건이 작성한 유산 보고서를 포함한 이 부지의 마스터 플랜은 1999년에 작성되었다. 노스 시드니 의회와의 추가 협의로 개발은 교착상태에 빠졌으며, 에들리 메트로 이사회와 메트로 이사회는 제안된 재개발의 몇 가지 측면을 놓고 충돌했다.[7]: 144 2002년 1월에 기획부 장관은 그 부지에 대한 개발 신청을 승인했다.[15][1][7]: 144–147 이 외에도, 계획의 각 요소에 대해 구체적인 신청서가 제출되어야 했고, 각 신청서는 차례로 지역사회 협의가 필요할 것이다. 개발은 결국 2003년에 시작되었다.[7]: 147

긴 결정과 승인 과정 동안, 루나 파크는 버라이어티 클럽과 스파스틱 센터를 포함한 몇몇 자선 행사들에서 운영될 수 있도록 허락되었다.[7]: 146–147 이 공원은 또한 엄격한 법정 지정 조건 하에서 2000년 말과 2001년 초에 선택된 주말과 학교 공휴일에 운영될 수 있도록 허용되었다.[7]: 146–147 2001년 7월, 북두칠성 롤러코스터(1995년 설치)는 퀸즐랜드의 드림월드에 판매되었다. 최근 작업에는 2,000석 규모의 대형 탑, 구내 주차장, 식당, 크리스탈 팰리스 기능 센터 개조, 놀이기구 정비 등이 포함되었다.[16][1]

2004년 현재로 재개장

시드니 하버에서 온 밤 공원은...
...그리고 낮에도.

루나파크의 재개발과 복원은 14개월에 걸쳐 이루어졌다.[7]: 148 놀이기구들은 제거, 복원, 그리고 어떤 경우에는 현대적인 안전 기준을 준수하도록 업그레이드되었다.[7]: 148 크리스탈 팰리스는 모듈식 기능실 몇 개로 재설계되었는데, 그 중 가장 큰 것이 전체 아랫층을 차지하고 있었다.[7]: 148 2,000석 규모의 다목적 강당인 빅탑이 건설되었다.[7]: 148 루나 파크는 2004년 4월 4일에 다시 개장했다.[7]: 152 비와 저온에도 불구하고 개막 당일 수천 명이 참석했고, 두 달 만에 누적 관객 수 20만 명에 이르렀다.[7]: 152

밀슨포인트 주민 7명과 개발자 1명이 2005년 4월 공원을 상대로 한 법적 조치가 다시 시작됐다.[17] 그 주장은 놀이 기구, 특히 말로니 코너에 있는 놀이 기구들로 인한 소음 방해에 대한 것이었다.[17] 이 사건은 뉴사우스웨일스 정부가 루나 파크를 그러한 주장으로부터 보호하는 법안을 통과시켰을 때 패소되었다. 비록 이 법들이 두 명의 루나 파크 간부들에 의해 당시 관광, 스포츠, 레크리에이션 장관이었던 산드라 노리에게 유출된 법정 문서에 의해 영향을 받았을 수도 있다는 것이 나중에 밝혀졌다.[17] 그 간부들은 2007년 8월에 법정 모독죄로 기소되었다.[17] 2007년 6월에 새로운 사례가 시작되었는데, 그 대신 주민들은 무역관행법 위반을 주장하고 있다.[18] 주민과 개발업자는 말로니 코너에 위치한 놀이 기구의 종류에 대해 오도당했다며 2000만 달러 이상의 손해배상을 청구하려 했고 레인저와 스파이더 기구의 이전이나 영구 폐쇄를 요구했다.[18] 이 사건은 2009년 2월 6일 뉴사우스웨일스 대법원에서 공원이 제출한 개발 신청서가 주장대로 "오도하거나 기만적인 것이 아니었다"는 주심 판결과 함께 기각됐다.[19]

2007년 1월 1일, 골든웨이 어뮤즈먼트 소유의 스피드(크리스마스 휴일 동안 고용된)에서 일하는 직원이 놀이기구가 움직이는 동안 전기자에 머리를 맞았다.[20] 그 직원은 병원으로 옮겨져 중환자실에 입원했다.[20] 2007년 10월, 멀티플렉스 사는 루나 파크의 미개발 구역 중 하나에 임대 계약을 판매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21] 약 700만 달러에 광고된 토지의 구역은 처음에 NSW 정부로부터 A$1에 임대되었는데, 그 부지에 건설된 부동산으로 벌어들인 수익이 놀이공원에 투자된다는 조건이었다.[21] 이 돈은 루나파크의 시설 운영과 유지보수를 위해 쓰이지 않고 멀티플렉스 측이 공원 재개발 시 지출한 재정을 회수하는 데 쓰일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21][22]

2011년 말, NSW 정부는 공원의 조명을 LED로 업그레이드하고 공원의 건물을 수리하는 데 7만8천 달러를 주 예산으로 배정했다.[23]

2020년 3월 19일 루나 파크는 COVID-19 대유행 이후 공원이 폐쇄될 것이라고 확인했다. 공원은 2020년 7월 3일 정기적인 놀이기구 간 청소, 놀이기구 1대당 방문객 수 제한, 도착시 건강검진 등 추가 안전대책이 시행되면서 재개장했다.[24] 방문에 박차를 가하기 위해, 3천만 달러 규모의 공원 업그레이드가 2021년 12월까지 완료될 예정이다. 이 공원은 2021년 1월 문을 닫았으며 롤러코스터 3개, 게르스트라우어 가족 셔틀코스터 1개,[26] 어린이 전용 코스터 1개 [25]등 9개 이상의 놀이기구가 새로 지어질 예정이다.[27] 세 번째 코스터는 호주 최초의 단일 철도 코스터가 될 인타민 핫레이서로, 이전에 운행했던 코스터들의 이름을 따서 북두칠성으로 명명된다.[25][28]

공원 배치도

더 페이스

2018년 루나파크 얼굴

호주의 루나파크와 멜버른, 미국의 스프래클레이체스파크에서 펼쳐지는 거대한 웃는 얼굴을 바탕으로 루나파크의 폭 9m(30ft)의 웃는 얼굴은 물론 옆구리 탑들이 거의 모든 공원의 존재를 정문을 관장했다. 1935년, 1938년, 1939년, 1946년, 1950년, 1973년, 1982년, 1994년에 설치된 8개의 뚜렷한 얼굴이 있다. 세 번째 페이스는 1994년 5월에 파워풀 박물관에 기증되었다.[7]: 125 1994년에 완성되어 폴리우레탄으로 조각된 8번째이자 현재의 페이스는 아서 바튼의 1950년판 "올드 킹 콜"에 바탕을 두고 있다.

미드웨이

미드웨이

페이스에서 코니 아일랜드까지 이어지는 미드웨이는 언제나 루나 파크의 주요 도로였다. 미드웨이는 언제나 그랬듯이 공원의 주요 구역 전체에 걸쳐 출입이 가능하다. 많은 활동과 오락의 초점이며, 루나파크의 영구 놀이기구 대다수와 함께 크리스탈 팰리스, 빅탑, 코니 아일랜드에 대한 접근성을 제공한다.

크리스탈 팰리스

1935년 피심홀과 사무공간으로 시작한 크리스탈 팰리스는 댄스홀, BMX 트랙, 게임 아케이드, 레스토랑과 바 등 공원 역사에 걸쳐 많은 용도를 보아왔다.

2004년 재개관 이후 크리스탈 팰리스는 루나파크의 기능 사업에서 사용하는 7개의 방 중 4개를 주최하고 있다. 메인룸은 크리스탈 팰리스의 아랫층 전체에 걸쳐 있으며, 결혼 피로연과 기타 큰 사교적 행사에 자주 사용된다. 미드웨이 면의 건물 외관은 '웃는 광대', '미친 크로너', '고인 피싱'[29]과 같은 수많은 사이드쇼 게임을 진행한다.

더 빅 탑

빅탑

2003년 고스트 트레인 부지 재개발 때 건설된 빅탑([7]: 152 원래 루나 서커스라는 명칭)은 2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완전 인허가 다목적 공연장이다(입석 전용 콘서트의 경우 3000명까지 수용 가능). 무대 및 좌석의 모듈식 설계로 행사장 전체가 다양한 이벤트 유형에 맞춰 쉽게 재구성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건물은 방음성이 뛰어나 소음 공해를 줄일 수 있다. 빅탑에서 운영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콘서트(Kylie MinogueAnti Tour와 연례 Come Together Music Festival의 쇼 포함), 시상 쇼와 발표(MTV Australia Video Music Awards 또는 호주 넥스트탑 모델의 2005-2008 시즌 라이브 파이널과 같은), 스포츠 대회(호주처럼)가 있다. 종합격투기 케이지 파이팅 챔피언십과 2013년 시드니 다츠 마스터스), 무역 박람회 및 기타 대형 이벤트.[30]

코니 아일랜드의 내부

코니 섬

1935년에 처음 건설된 코니 아일랜드 - Funnyland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남은 1930년대 재미난 집의 운영 사례다. 비록 몇 년 동안 약간의 변화가 있었지만, 이 레이아웃은 1935년 루나 파크가 개장했을 때와 거의 동일하다. 이 디자인은 유럽과 미국의 재미난 집을 기반으로 했으며 회전 통, 움직이는 플랫폼, 대형 슬라이드, 아케이드 게임 등이 포함되어 있다. 오늘의 코니 아일랜드에는 1970년 은퇴할 때까지(루나 공원의 85년 역사를 담은 사진과 기념품과 함께) 35명의 예술가 중 한 명으로 출발한 아서 바튼의 복원된 미술품도 있다. 슬라이드와 오락물은 1935년에 처음 사용된 것과 동일하지만 현대적인 안전 기준에 맞게 변형된 것이다. 1981년 '루나 파크의 친구들' 행동 단체가 9,200달러에 그것들을 구입하여 문화 유산 목록에 등재된 건물에 남아 있는 것을 조건으로 철거한 것에서 이 오락물들을 구했다.[7]: 115

맬로니의 코너

루나 파크의 오랜 직원인 토니 말로니의 이름을 딴 말로니의 코너는 1994년 개발 당시 뉴사우스웨일스 정부와 주철도청으로부터 매입한 토지에 건설돼 북두칠성에 대한 지원이 이뤄질 수 있었다.[7]: 92 [citation needed] 2003년 재개발 때 이 지역은 포장되었고 미드웨이에서 키즈 놀이기구, 레인저, 스파이더를 이곳으로 이전하여 다른 개발의 여지를 제공하였다.[citation needed] 또 이 지역에는 루나파크가 성수기(학교 휴일 등)에 사용하기 위해 고용한 임시 놀이기구가 설치돼 있다.[citation needed]

놀이기구

현재 놀이기구

코니 아일랜드의 외부
와일드 마우스 롤러코스터

2020년 현재 루나파크에서 운행 중인 모든 놀이기구 목록이다.[31] 이 목록에는 피크 기간에 루나 파크에서 일하기로 계약된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투어 또는 임시 승차권은 포함되지 않는다.

  • 헤어라이저 - 2013년 라슨 인터내셔널 슈퍼 샷 드롭 타워가 공원에 추가되었다.[32]
  • 와일드 마우스 - 와일드 마우스 롤러코스터인 루나 파크의 와일드 마우스는 1962년에 처음 설치되었으며, 여러 차례 분해 및 제거되었지만 항상 돌아왔다. 2004년 원더랜드 시드니 폐쇄 이후, 와일드 마우스는 뉴사우스웨일즈에서 유일한 영구 롤러 코스터가 되었다. 그것은 세계에 3개의 나무로 된 와일드 무스 롤러 코스터 중 하나이다.
  • 관람차 - 35미터 높이의 24개의 곤돌라 관람차는 1982년 하버사이드 개발 중에 공원에 소개되었다.
  • 로터 - 루나 파크의 로터는 1951년에 처음 설치되었다. 1986년 말 철거될 때까지 계속 인기 있는 놀이기구였다. 1995년 재개발 때 약간 더 작은 로터가 건설되었다.
  • Carouzel - John H. Rundle Ltd.의 회전목마.[33]
  • 볼라레 - 호주에서 가장 높은 스윙 라이드와 루나 파크의 2013년 이후 첫 영구 라이드.
  • 도검시 - 19대의 자동차 도검시, 도검시는 1935년 크리스탈 팰리스 내부를 시작으로 공원에 건설된 일련의 도검차 트랙 중 가장 최근의 것이다.
  • 제2차 탱고 열차 - 2016년 재개관 말한 대로 교체되지 않았다.
루나 파크 시드니 입구 너머

이전 주의사항

  • Big Dipper I - Luna Park Glenelg를 위해 1930년에 건설된 나무 롤러 코스터. 1935년부터 1981년까지 밀슨 포인트 부지에서 운영되었는데, 1979년 공원의 폐쇄에 따라 철거되고 불에 탔다.
  • 고스트 트레인 - 1935년부터 1979년 6월 9일 루나 공원에서 운행하던 유령 열차. 그 화재로 7명이 죽었다.
  • Big Dipper II - 1994년에 건설된 강철 롤러 코스터. 주민대책회의의 소음공해 민원은 주로 북두칠성을 중심으로 1995년 말 가동을 중단했다. 1996년 이 공원이 폐쇄된 데는 수익 손실이 일부 원인이었으며, 2001년 이 놀이기구가 사이클론이라고 이름을 바꾸고 드림월드로 이전했다. 이 놀이기구는 현재 골드코스터로 알려져 있다.
  • 제로니모 - 1982년부터 1988년까지 운행한 슈바르츠코프 제트 스타 2.
  • Tango Train I - A Music Express. Tango Train II라는 또 다른 놀이기구로 대체하기 위해 2016년 4월 25일에 문을 닫았다. 탱고 열차는 해체되어 부품으로 판매되었다.[34][35]
  • 비행접시 - 1988년 HUSS UFO. 2013년에 폐쇄되었고 2019년에 볼라레로 대체되었다.
  • 문 레인저 - 1995년에 HUSS 레인저가 공원에 온다. 2020년에 폐쇄되고 제거되었다.
  • 텀블벅 - 1988년 HUSS 트로이카, 텀블벅은 1995년에 설치되었다.[36] 루나파크가 1935년부터 1973년까지 운영한 텀블 버그(Tumble Bug)의 이름을 딴 이 놀이기구는 2020년 폐쇄됐다가 철거됐다.
  • 스파이더 - 1995년 재개발 설치된 A HUSS 브레이크댄스, 스파이더는 이 공원의 1938년 놀이기구에서 이름을 따왔다. 이는 지난 1995년 이 공원을 찾은 4대의 HUSS 놀이기구 중 마지막이며, 2020년 11월 말 폐쇄 및 철거 당시 남아 있었다.
  • 문어 - 1995년에 공원에 왔던 문어 놀이기구는 1996년에 공원이 문을 닫은 후 제거되었다.
  • 키즈 놀이기구 - 루나 파크는 어린이들을 위해 특별히 고안된 4개의 놀이기구를 주최하곤 했다. 원래 1995년부터 2001년까지 얼굴 뒤쪽에 위치했고 2004년부터는 공원의 Maloney's Corner 구역에 위치했다. 2021년에 그들은 새로운 명소를 위한 길을 만들기 위해 제거되었다. 다음은 다음과 같다.
    • 휘리 휠 - 소형 관람차.
    • 미니 해적선 - 소형 스윙 선박 탑승.
    • Crazy Cars - 차를 테마로 한 찻잔 타기.
    • U-Drive - 소형 트랙을 주행하는 자동차 '열차'

설명

루나 파크는 몇 가지 구조와 중요한 항목을 포함하며,[1]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다음과 같다.

입구의 면과 탑

루나 파크의 첫 번째 입구는 세인트 킬다에 있는 멜버른 루나 파크의 입구 설계를 바탕으로 1935년에 건설되었다. 그것은 거대한 얼굴을 사이에 두고 있는 두 개의 탑과 벌어진 입을 통해 들어온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 얼굴은 여러 번 리모델링되었고 그 성격은 몇 년 동안 발전해 왔다. 소금 공기에 노출되면 입구 면은 주요 유지 보수 작업이 필요했다. 이것이 실행될 때마다 얼굴 표정이 바뀌었다. 출입구 전체가 1988년에 철거되었다. 현재의 입구 면과 탑은 1995년 1월에 완공되었다. 36미터(118피트) 높이의 탑은 1935년 아트 데코 원래의 디자인을 모방하였다. 현재의 얼굴의 표현은 아서 바튼이 디자인한 1960년의 얼굴을 바탕으로 한다. 그 탑들은 섬유 시멘트 시트를 입힌 강철 프레임으로 벽돌 기초 위에 지어졌다. 얼굴은 섬유유래와 거품으로 되어 있다.[37][1]

미드웨이

그 공원의 중요한 측면은 해안선을 따라가는 중심 척추로 배치되는 방식이었다. "미드웨이는 모든 일이 일어난 곳이었어. 거리, 포럼, 광장, 무대, 관객이었다. 그 공원은 미드웨이 강에 그것의 유일한 굴곡을 표시한 풍차 외에는 어떤 매력도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었다." 그 풍차는 후에 광택으로 대체되었는데, 지금은 헬터 스켈터가 되었다. 보행자 교통이 이 척추를 오르내렸다. 첫 시즌이 끝난 후 미드웨이를 따라 캔버스 웨이닝이 추가되었다. 거리극장과 예능이 벌어졌던 곳이었다.(샘 마샬, 재미로 루나파크 저스트)[1]

로터

로터는 1940년대 후반에 독일의 엔지니어인 에른스트 호프마이스터에 의해 디자인되었다.로터는 1분에 30바퀴 회전하는 직립형 대형 배럴이다. 배럴의 회전은 1 g에서 1.5 g 사이의 원심력을 생성한다. 통이 최고 속도에 도달하면 바닥이 접혀져 기수들이 북벽에 붙게 된다. 주행 사이클이 끝나면 드럼이 느려지고 중력이 이어받는다. 기수들이 벽을 천천히 미끄러져 내려간다. 호프마이스터가 설계자였지만, 대부분의 로터스는 라이선스 하에 건설되었다. 최초의 루나 파크 로터는 1951년 테드 홉킨스에 의해 만들어졌다. 호프마이스터의 디자인을 바탕으로 호주에 로터 3대가 건설되었다. 비록 약간 재설계된 로터가 1995년에 루나 파크 시드니를 위해 재건되었지만, 1980년대에 이르러서는 모두 철거되거나 파괴되었다.[1]

코니 아일랜드 (또한 Funnyland)

1935년 루나 파크의 원래 건물 중 하나인 코니 아일랜드가 글렌글의 루나 파크에 처음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지만, 이는 입증되지는 않았다. 가장 긴 옆면이 동서로 뻗어 있는 직사각형 건물이다. 골판지 철제 고관지붕을 갖추고 있으며, 외벽이 양쪽으로 포개진 벽을 이루고 있다. 코니 섬의 기본 구조는 크리스탈 팰리스의 구조와 사실상 동일하다. 너비는 비슷하지만 약간 짧고 12베이가 있다.[38] 내부적으로는 1994년에 보존된 벽화 판넬이나 장식된 모티브에 의해 주요 구조물의 철골이 숨겨져 있다. 지붕 퍼링과 시트링이 노출되어 있다. 산업용 조명 설비가 지붕에 매달려 있다. 열린 공간에는 크고 작은 재미난 장치, 거대한 슬라이드 1-4, 조이휠, 칠면조 트로트, 그리고 재미의 배럴이 담겨 있다.[1][37][39]

크리스탈 팰리스(Dogm Building)

크리스탈 팰리스는 원래의 밀슨 포인트 철도역(1893 10 1924)의 진입로와 기관차 창고가 있는 부지에 인접해 있다. 크리스탈 팰리스의 본질적인 형태는 직사각형의 13베이 철골 구조로, 확장된 벽 뒤에 고관 지붕이 있는 높이 2층이다. 끝 베이에는 무거운 오리건 멤버로 액자가 되어 있고, 그 위 지붕 끝에는 게이블의 루버 환기가 있는 통풍구 엉덩이가 달려 있다. 외관은 원래 대칭으로 되어 있었는데, 두 개의 긴 고도는 강한 중심 요소와 끝 정자를 가지고 있었다. 파라펫은 주 지붕을 덮고 있으며, 주탑 모티브를 제외하고는 기계화를 모방한 모조 목재가 심어져 있다. 한때 석면 시멘트가 주를 이루던 외피부는 1990년대 초에 섬유 시멘트로 대체되었다. 동쪽이나 미드웨이 입구의 중앙은 높은 봉우리 사이에 가파른 히프 지붕이 있고, 끝 정자의 네 개의 "탑"은 가파른 피라미드 지붕을 가지고 있다.[1][37][40]

와일드 마우스

코니 아일랜드에 인접해 있는 와일드 마우스는 작은 롤러 코스터다. 선로는 지상에서 위로 올라간 콘크리트 플랫폼에 철골 난간이 가설된 적층목재로 만들어졌다. 와일드 마우스 차에는 두 사람이 한 사람 뒤쪽에 앉아 있다. 그 놀이기구는 직사각형 계획을 따라 앞뒤로 움직인다. 그것은 가파른 구배와 급회전, 그리고 그들이 항구로 날아갈지도 모른다는 느낌을 주도록 설계되었다. 1962년 루나파크에서 테드 홉킨스가 시애틀 세계무역박람회에서 구매한 디자인에 의해 건설되었고 시드니, 브리즈번 쇼에 가기 위해 매년 해체되었다. 1970년과 1979년 사이에 그것은 야생 고양이로 대체되었다가 1995년 공원이 재개장하면서 반환되었다.[41][1]

클리프 페이스

루나 공원 동쪽을 따라 형성된 사암형성은 1890년대 북해안 철도 발굴과 1920년대 도만 롱 워크샵 설립 등 예년에 다양한 목적으로 절토되어 유럽 정착 이후 형성되어 왔다. 구술역사는 2차 세계대전 당시 루나파크 직원들이 (기지의) 절벽 면의 터널과 방을 공습 대피소로 건설했으며, 직원과 지역주민들은 시드니 항구에 있는 선박에 대한 잠수함 공격 때 그곳에 은신해 있었다고 진술했다. 그러나 이 공간의 용량은 매우 제한적이었다.[1][37][42]

무화과나무

루나 파크 뒤편 절벽 위에는 19세기 말 노스클리프 저택이 자리 잡은 나무들이 다수 있다. 모내기 이후, 그들은 건강한 성장을 보여 왔다. 나무 높이와 확산은 다음과 같다.[43][1]

  1. 그림 트리 10m(33ft) 높이 20m(66ft) 직경
  2. 그림 트리 20m(66ft) 높이 25m(82ft) 직경
  3. 그림 트리 9m(30ft) 높이 8m(26ft) 직경
  4. 그림 나무 10m(33ft) 높이 15m(49ft) 직경.

조건

2009년 8월 17일 현재, 입구 면과 타워는 복제품으로 재구축되었다. 코니 아일랜드와 콘텐츠가 복원되었다. 수정궁은 개조되어 복원되었다.[44][1]

루나 공원 부지에 대한 고고학적 모니터링은 재개발 과정에서 1993년에 실시되었다.[45] 1993-1994년[46][37][1] 철거를 위해 1997년에 실시된 보존 작업

루나 파크 유원지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진화하고 변형되었으며, 구조물과 놀이기구의 원래의 많은 부분이 비슷하거나 동일한 구성요소로 대체되었다. 원단 교체에도 불구하고, 그 장소의 중요성은 세심한 재구성과 독창적인 디자인 미학에 대한 헌신을 통해 유지되어 왔다. "따라서 그 장소의 주요한 중요성은 특정한 직물보다는 장소의 개념, 설계 및 연상적 가치에 가득 차 있다. 따라서 장소의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직물과 물적 증거를 보관하기보다는 디자인, 개념, 기억과 같은 문제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Richard Mackay는 Luna Park Sydney Pty Ltd 2009에서[1] 보낸 편지에서 인용했다.

수정 및 날짜

지난 65년 동안 루나 파크에는 수많은 놀이기구와 명소가 소개되고 제거되었다.[1]

영화와 텔레비전에서

루나 파크 시드니는 여러 편의 영화와 텔레비전 작품의 촬영지로 이용되어 왔다. 1959년, 전체 공원은 레이 롤러의 희곡을 바탕으로 레슬리 노먼의 17번째 인형 여름 각색에 사용되었다.[7]: 95–96 또한, 이 10년 동안, 6시 록부시 캥거루 텔레비전 시리즈를 위해 시퀀스가 촬영되었다.[7]: 95–96

In 1976, television soap opera Number 96 had characters Dorrie and Herbert Evans, Flo Patterson and Junior Winthrop (Pat McDonald, Ron Shand, Bunney Brooke and Curt Jansen) visit the park, including scenes of them in Coney Island, eating fairy floss, and riding on the Big Dipper and the Topsy-Turvy House. 에피소드 920의 이 영상은 디지털로 보존되어 있으며, 2006년 장편 영화 버전인 "96: 그리고 그들은 오래가지 않을 거라고 말했다"[47]에 수록되어 있다.

루나 파크는 1989년 프로그램인 베티 번치의 두 에피소드에 출연했다.

1996년 공원 폐쇄 이후, 루나 파크(특히 북두칠성)는 메리 케이트와 애슐리 올슨이 주연한 "우리 입술은 봉인되어 있다"의 한 섹션에 사용되었다.[citation needed] 파스케이프 에피소드 '무한가능성 제1부: 다이달로스 디맨드'의 '메모리 시퀀스'와 JAG의 '100부'의 소재, '부메랑'의 소재, 발리우드 영화 '딜 차타하이'의 장면은 1996년 폐막 시점부터 2001년 빅디퍼 제거 시점 사이의 지점에서 촬영되었다.[citation needed] 기간 동안 카니발의 정령 - 재미를 위한 탐구는 일반적으로 '루나 파크'라는 이름의 놀이공원의 역사를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루나 파크 시드니'[48]가 촬영되었다. 2004년 루나 파크의 재개봉에 이어 2006년 영화 '캔디'의 로터에서도 소재가 촬영됐다.[49] 루나파크는 호주 TV 시리즈 댄스 아카데미의 몇 회에도 출연했다.

루나 파크는 1983년 앨범 '카고'에서 호주 밴드 맨앳워크의 곡 'Upstors In My House'에 언급됐다.

2016년 10월 16일 공개된 세븐틴의 힐링 뮤직비디오에도 등장한다. 이 영화는 그들이 팬 미팅을 위해 호주로 갔을 때 촬영되었다. 멜버른과 시드니의 아시아 태평양 투어).[citation needed]

Lady Leshurr는 "On My Way" 뮤직비디오를 루나 파크 시드니에서 촬영했다.[50]

호주 갓 탤런트 시즌9 오디션은 루나파크 빅탑 빌딩에서 촬영됐으며, 일부 에피소드 초반에는 심사위원들이 놀이기구 위에서 모습을 드러냈다.

2021년 3월 ABC TVABC iView에서 방영된 3부 다큐멘터리 'EXPORTED: 생존자와 화재로 숨진 가족, 루나파크 직원 등 이번 사건에 노출된 사람들의 인터뷰가 담긴 '고스트 열차 화재'가 공개됐다.

유산상장

2009년 10월 15일 현재 루나파크 경내로 알려진 이 부지는 역사적으로 최초의 시드니-노스 쇼어 간 정기 여객선 운송이 이루어진 곳이며, 이후 순환 퀘이를 제외하고 하버에서 가장 붐비는 여객선 부두가 있는 곳으로 의미가 크다. 밀슨 포인트 부지는 19세기 후반 여객선, 기차, 전차를 연결하는 주요 교통 교환소였다. 그 부지는 나중에 시드니 하버 브리지 건설에 결정적이 되었다. 1925년 도만롱앤컴퍼니 워크숍에서 교량용 강재 부품 제작 및 조립이 현장에서 이루어졌다. 작업장을 철거한 후 루나파크 놀이공원은 1935년에 그 부지에 건설되었고, 여러 세대 시드니 주민들과 방문객들을 위한 휴양 센터가 되었다.[1]

루나 파크는 전 공원 예술가 루퍼트 브라운, 피터 킹스턴, 게리 쉬드, 샘 립슨, 아서 바튼, 리처드 리니, 마틴 샤프와 강한 유대감을 가지고 있다. 마틴 샤프는 1960년대와 70년대 호주 팝 아트 운동에 영향을 끼친 세계적인 명성을 지닌 시드니에서 중요한 예술가다. 루나 파크 경내는 그 자체로 중요한 미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데, 원래 예술 데코 스타일로 색과 환상의 축제로, 시드니 하버의 랜드마크로서도 그러하다.[1][51]

루나 파크는 시드니 하버의 북부 해안에서 중요하고 눈에 띄는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원형 퀘이, 오페라 하우스 및 기타 주요 항만에서 매우 잘 보인다. 루나 파크는 시드니에서 가장 인지도가 높고 인기 있는 아이콘 중 하나이며, 특히 루나 파크의 얼굴은 즉시 알아볼 수 있는 시드니의 상징이다. 루나 파크의 특징은 높은 채석된 절벽 면과 무화과 나무들이 동쪽을 바라볼 때 하버 브릿지에 의해 액자화된 형태와 함께 조경된 배경을 제공함으로써 더욱 돋보인다. 루나파크는 20세기 중반의 대중적이고 전통적인 기술을 보여주는 벽화와 오락물의 희귀한 수집품을 포함하고 있다. 이것들은 마틴 샤프, 리차드 리니, 게리 쉬드, 피터 킹스턴의 예술 작품들로 보완되었는데, 이들 중 일부는 공원과 관련된 이동 가능한 물품으로 살아남아 파워풀 박물관과 같은 다른 장소에 보관되어 있다.[1][51]

루나 파크는 호주 공공의 세대들에게 중요한 장소로서, 특히 그 장소와 강한 기억력과 유대감을 가지고 있는 시드니 사이다들에게 중요하다. 시드니 항구의 중심부에 위치한 랜드마크 위치와 인정받을 수 있는 특성은 시드니 항구의 상징적인 지위를 부여하면서 훨씬 더 넓은 소유의식을 부여했다. 루나 파크는 1979년의 비극적인 고스트 열차 화재와 그에 따른 단기 폐쇄 이후 상당한 관심을 받았다. 재개발로 위협받았을 때 상당한 대중행동의 초점이 되었고, 여전히 높은 국민적 관심의 대상으로 남아 있다.[1][51]

루나 공원 경관은 유적지 점령의 모든 단계에 대한 정보를 산출할 가능성이 높은 고고학적 자원으로서 매우 높은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특히 도만 롱 부두와 철도의 증거. 루나파크는 1930년대 아트 데코 스타일로 지어진 놀이공원과 판타지 건축의 보기 드문 사례로 독특하다. 루나파크의 독창적인 벽화와 디자인은 원래 미국에서 계승되어 호주의 문맥으로 재해석된 놀이공원 미학을 보여준다. 루나 공원 구역에는 많은 개별적인 중요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다. 가장 중요한 요소는 입구 면과 탑; 미드웨이; 로터; 코니 아일랜드; 크리스탈 팰리스; 야생 마우스; 클리프 페이스와 그림 나무들이다.[1][51]

루나 파크 경관은 2010년 3월 5일 뉴사우스웨일스 주립 유산 등록부에 등재되어 다음과 같은 기준을 충족시켰다.[1]

그 장소는 뉴사우스웨일즈에서 문화 또는 자연사의 경로나 패턴을 증명하는데 중요하다.

현재 루나파크 경내로 알려진 이 부지는 역사적으로 시드니에서 노스쇼어 사이를 오가는 최초의 정기 여객선 운송장, 그리고 후에 순환 퀘이를 제외하고 하버에서 가장 번화한 여객선 부두가 있는 부두로 의미가 크다. 밀슨 포인트 부지는 19세기 후반 여객선, 기차, 전차를 연결하는 주요 교통 교환소였다. 그 부지는 나중에 시드니 하버 브리지 건설에 결정적이 되었다. 1925년 도만롱앤컴퍼니 워크숍에서 교량용 강재 부품 제작 및 조립이 현장에서 이루어졌다. 루나파크 놀이공원은 1935년 작업장이 철거된 후 이곳에 조성된 것으로 시드니 주민과 방문객들의 세대별 휴양 중심지가 되어 왔다. 폐쇄와 재개발로 위협을 받자 상당한 대중행동의 초점이 됐다.[1]

그 장소는 뉴사우스웨일스 역사의 문화 또는 자연사를 중요시하는 사람 또는 집단과 강력하거나 특별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루나 파크는 전 공원 예술가 루퍼트 브라운, 피터 킹스턴, 게리 쉬드, 샘 립슨, 아서 바튼, 리처드 리니, 마틴 샤프와 강한 유대감을 가지고 있다. 마틴 샤프는 1960년대와 70년대 호주 팝 아트 운동에 영향을 끼친 세계적인 명성을 지닌 시드니에서 중요한 예술가다. 이러한 작가들의 작품의 예는 공원과 관련된 이동 가능한 물품으로 살아남아 파워풀 뮤지엄과 같은 다른 장소에 보관되어 있다.[1][51]

이 장소는 뉴사우스웨일스에서 미적 특성 및/또는 높은 수준의 창조적 또는 기술적 성과를 입증하는 데 중요하다.

루나 파크 경내는 그 자체로 중요한 미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데, 원래 예술 데코 스타일로 색과 환상의 축제로, 시드니 하버의 랜드마크로서도 그러하다. 루나 파크는 시드니 하버의 북부 해안에서 중요하고 눈에 띄는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원형 퀘이, 오페라 하우스 및 기타 주요 항만에서 매우 잘 보인다. 루나 파크는 시드니에서 가장 인지도가 높고 인기 있는 아이콘 중 하나이며, 특히 루나 파크의 얼굴은 즉시 알아볼 수 있는 시드니의 상징이다. 루나 파크의 특징은 높은 채석된 절벽 면과 무화과 나무들이 동쪽을 바라볼 때 하버 브릿지에 의해 액자화된 형태와 함께 조경된 배경을 제공함으로써 더욱 돋보인다.[51] 루나파크는 20세기 중반의 대중 예술과 전통 기술을 보여주는 벽화와 오락물의 희귀한 컬렉션을 포함하고 있다. 이것들은 마틴 샤프, 리처드 리니, 게리 쉬드, 피터 킹스턴의 예술 작품으로 보완되었다.[1]

그 장소는 사회적, 문화적, 정신적 이유로 뉴사우스웨일스의 특정 공동체 또는 문화 단체와 강력하거나 특별한 관계를 맺고 있다.

루나 파크는 호주 공공의 세대들에게 중요한 장소로서, 특히 그 장소와 강한 기억력과 유대감을 가지고 있는 시드니 사이다들에게 중요하다. 시드니 항구의 중심부에 위치한 랜드마크 위치와 인정받을 수 있는 특성은 시드니 항구의 상징적인 지위를 부여하면서 훨씬 더 넓은 소유의식을 부여했다. 루나 파크는 1979년의 비극적인 고스트 열차 화재와 그에 따른 단기 폐쇄 이후 상당한 관심을 받았다. 재개발로 위협받았을 때 상당한 대중행동의 초점이 되었고, 여전히 높은 국민적 관심의 대상으로 남아 있다. 그는 "항만해안 처리, 고층 개발 반대, 공유지 소유권 보유 등의 이슈에 대한 정치·공동체 관심의 상징이 됐다"[1][51]고 말했다.

그 장소는 뉴사우스웨일스의 문화적 또는 자연적 역사에 대한 이해에 기여할 정보를 산출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루나파크 경내는 고고학적 조사를 통해 정보를 산출할 가능성이 높은 자원이다. 물리적 및 시각적 증거는 지역 내에서 수행되는 대부분의 주요 사용 및 활동 단계로부터 존속된다. 루나파크는 유럽 이전의 점령, 이 지역의 교통 시스템 개발, 도만 롱 앤 코 활동 및 개발 단계, 루나파크의 설립과 개발 자체 등 유적지 개발의 모든 역사적 단계와 관련된 고고학적 자원을 포함할 가능성이 있다. 원주민 유물의 온전한 퇴적물이 존재할 가능성은 희박하지만, 이것들은 상당한 연구 잠재력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1]

그 곳은 뉴사우스웨일스의 문화 또는 자연사 중 흔치 않은, 희귀한, 또는 멸종위기의 측면을 가지고 있다.

루나파크는 1930년대 예술 데코 관용어에 나오는 유원지와 판타지 건축의 흔치 않은 생존 사례로 독특하다. 루나파크의 독창적인 벽화와 디자인은 미국으로부터 계승되어 호주의 문맥으로 재해석된 놀이공원 미학을 보여준다.[1]

그 장소는 뉴사우스웨일스의 문화적 또는 자연적 장소/환경의 한 부류의 주요 특성을 입증하는 데 중요하다.

이 기준을 충족하지 않음.[1]

참고 항목

참조

  1.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c ad ae af ag ah ai aj ak al am an ao ap "Luna Park Precinct". New South Wales State Heritage Register. Office of Environment and Heritage. H01811. Retrieved 2 June 2018.
  2. ^ "Series 01: Architectural plans and drawings of rides and buildings at Luna Park (North Sydney, New South Wales), Luna Park (St Kilda, Victoria) and Luna Park (Glenelg, South Australia); and plans of buildings and rides at Royal Agricultural Society Showground, Moore Park, New South Wales, ca. 1926-1979 / Call Number PXD 1086". State Library of New South Wales Catalogue. Retrieved 5 June 2021.
  3. ^ North Sydney Council Heritage Letter 1, 2001, DUAP/DLWC 1998, 부록 1:1
  4. ^ 뉴먼 1961: 39, 154-155
  5. ^ DUAP/DLWC 1998, 부록 1:3-4
  6. ^ 오토 세할미 & 파트너스 2006
  7.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c ad ae af ag ah ai aj ak al am an ao ap aq ar as at au av aw ax ay az ba bb bc bd be bf bg bh bi bj bk bl bm bn bo bp bq br bs bt bu bv bw bx by bz ca cb cc cd ce cf cg ch ci cj ck cl cm cn co cp cq Marshall, Sam (2005). Luna Park - Just for fun (2nd ed.). Sydney, Australia: Luna Park Sydney Pty Ltd. ISBN 0-646-44807-2.
  8. ^ a b c 레이시, 2010년
  9. ^ Meacham, Steve (5 January 2005). "The silhouette man of Luna Park cuts a fine figure". The Sydney Morning Herald. Retrieved 21 November 2009.
  10. ^ 마틴 샤프는 샘 마샬의 "루나 파크 - 그냥 재미로"에서 인용했다.
  11. ^ 1982년 4월 25일 데일리 텔레그래프 미러
  12. ^ 카니발의 정령들 - 재미를 위한퀘스트, 53:00 - 54:00
  13. ^ DPWS/DLWC 1998: 1
  14. ^ HASSELL 1999: 1-2
  15. ^ SHFA 데이터베이스에서 소싱된 역사 정보; Luna Park 보존 계획 Godden Mackay 1992 및 Luna Park Sydney 2009의 편지
  16. ^ 2009년 10월 루나 파크 시드니에서 온 편지
  17. ^ a b c d "Two guilty in Luna Park contempt case". The Sydney Morning Herald. Australian Associated Press. 17 August 2007. Retrieved 21 November 2009.
  18. ^ a b Lamont, Leonie (11 June 2007). "Neighbours suing Luna Park for $20 m". The Sydney Morning Herald. Retrieved 21 November 2009.
  19. ^ "Locals lose battle against Luna Park". The Sydney Morning Herald. Australian Associated Press. 6 February 2009. Retrieved 21 November 2009.
  20. ^ a b "Man dies under mower in dam". The Sydney Morning Herald. Australian Associated Press. 3 January 2007. Retrieved 29 November 2009.
  21. ^ a b c "Developer sells Luna Park lease for $7m". The Sydney Morning Herald. Australian Associated Press. 16 October 2007. Retrieved 21 November 2009.
  22. ^ "$1 deal: Luna Park developer could make millions". ABC News. Australia. 16 October 2007. Retrieved 21 November 2009.
  23. ^ Smith, Alexandra; Cubby, Ben (7 September 2011). "Saving face as energy-efficient makeover lights up Luna Park". The Sydney Morning Herald. Retrieved 31 December 2011.
  24. ^ "Luna Park is Back". Just for fun. Retrieved 25 June 2020.
  25. ^ a b Gorrey, Megan (24 November 2020). "'Big Dipper' to return as Sydney's Luna Park gets $30 million overhaul". The Sydney Morning Herald. Nine Entertainment Co.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November 2020.
  26. ^ Marden, Duane. "unknown – Luna Park". Roller Coaster DataBas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November 2020. Retrieved 25 November 2020.
  27. ^ Marden, Duane. "unknown – Luna Park". Roller Coaster DataBas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November 2020. Retrieved 25 November 2020.
  28. ^ Marden, Duane. "Big Dipper – Luna Park". Roller Coaster DataBas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November 2020. Retrieved 25 November 2020.
  29. ^ Sydney.com, Luna Park
  30. ^ 루나 파크 시드니, 과거 쇼와 이벤트
  31. ^ 루나 파크 시드니, 놀이기구
  32. ^ 크로포드, 일어나, 만세!
  33. ^ "Rundle's ride into Sydney". Park World Magazine: 18. November 2013.
  34. ^ 루나 파크 시드니, 탱고 트레인
  35. ^ Hoh, Amanda. "Luna Park's Tango Train to come off the rails after 21 thrilling years". ABC News. Retrieved 25 April 2016.
  36. ^ 버튼, 트로이카
  37. ^ a b c d e SHFA 데이터베이스 번호: 4500504
  38. ^ 고든 맥케이 로건 1999: 31-33
  39. ^ 고든 맥케이 로건 1999: 35-42
  40. ^ 고든 맥케이 로건 1999: 47-51
  41. ^ 루나 파크 시드니 2009
  42. ^ 고든 맥케이 로건 1999: 81
  43. ^ "Fig and Coral Trees Luna Park, Glen St, Milsons Point, NSW, Australia (Place ID 17950)". Australian Heritage Database. Department of the Environment. Retrieved 27 August 2018.
  44. ^ "Luna Park Precinct, Milsons Point, NSW, Australia (Place ID 17944)". Australian Heritage Database. Department of the Environment. 24 June 1997. Retrieved 27 August 2018.
  45. ^ 에드워드 히긴보텀 1993
  46. ^ 고든 맥케이 1992, 1999
  47. ^ Number 96 - 2 Disc Collectors Edition. Umbrella Entertainment. access-date= 필요로 하다 url= (도움말)
  48. ^ IMDB.com, 카니발의 정령들 (1998년)
  49. ^ 도슨, 캔디 무비 리뷰
  50. ^ Lady Leshurr (18 May 2018), Lady Leshurr - OMW, retrieved 18 May 2018
  51. ^ a b c d e f g Godden Mackay Pty Ltd Heritage Consultantants (1992). Luna Park Conservation Plan.

참고 문헌 목록

귀인

CC-BY-icon-80x15.png 이 위키백과 기사에는 2018년 6월 2일 접속한 뉴사우스웨일스 주 및 오피스의 CC-BY 4.0 면허에 따라 발행된 뉴사우스웨일스 주립유산등록부(New South Wales State Heritage Registry Register)에 등재된 01811 루나 파크 경의 자료가 수록되어 있다.

외부 링크

필립스 형제 전기: [2], 브루스 코네일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