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5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포르투갈 선수단
Portugal in the Eurovision Song Contest 1975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1975 | ||||
---|---|---|---|---|
나라 | ![]() | |||
국민선발 | ||||
선정과정 | 다 칸상 1975년 축제 | |||
선택일자 | 1975년 2월 15일 | |||
선택된 진입자 | 두아르테 멘데스 | |||
선택곡 | "마드루가다" | |||
선택한 작곡가 | 호세 루이스 티노코 | |||
파이널 퍼포먼스 | ||||
최종결과 | 16위, 16점 | |||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포르투갈 선수단 | ||||
|
포르투갈은 지난 3월 22일 스톡홀름에서 열린 1975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서 '마두르가다'라는 곡으로 두아르테 멘데스가 대표했다.'마두르다'는 2월 15일 그랑데 프레미오 TV 다 칸상 포르투게사에서 포르투갈어 엔트리에 선정되었다.
유로비전 이전
다 칸상 1975년 축제
그란데 프레미오 TV 다 칸상 포르투게사 1975는 독재정권 말년에 검열관 지정을 선호해 검열위나 예심위 체위를 통과하지 못한 첫 사례였다.1975년 포르투갈에는 매우 혁명적인 풍토가 있었는데, 당시는 프로세스오 리볼루치오나리오 엠 쿠르소(PREC) (옹고잉 혁명 과정)의 시기였는데, 이 때문에 이 대회에서 10곡의 높은 정치적 내용이 담겨 있었다.우승자인 두아르테 멘데스는 자신이 에이프릴의 주장이었다.[1]
이 판은 마리아 엘리사 도밍게스와 호세 누노 마르틴스가 주최한 리스본의 테아트로 마리아 마토스에서 열렸다.10곡이 결승전에 참가했다.[2][3]
처음으로 무료 노래제출을 위한 공모전이 열리지 않았다.대신에 포르투갈의 라디오와 텔레비전은 모든 작곡가들에게 콘테스트를 열 시간이 부족하고 또한 이 행사에 어느 정도 품질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이것은 사용된 논쟁이었다) 14명의 작곡가들(마지막 공연 작품에서 가장 두드러졌던 사람들, 이 14명의 작곡가들 중 경쟁자로 받아들여진 10명의 초청을 선택했다.가사와 통역사의 각 작가들의 선택을 책임진다.[1]제카 아폰소와 아드리아노 코레아 데 올리베이라가 앙골라에 있다는 이유로 초대를 거절했고 페르난도 토르도와 호세 칼바리오도 출전 준비가 돼 있지 않다고 주장했다.
투표는 자신의 곡이 아닌 다른 곡에 1~5점을 주어야 하는 경연에 참가한 작가와 작곡가의 책임이었다.[4]이에 따라 10곡의 작사가는 투표를, 작곡가는 또 다른 투표를 거쳐 1분간의 투표 선언을 할 수 있는 권리를 갖게 되었다.[5]
이 페스티벌의 전송도 달라 일반 대중에게 10곡의 발표를 2월 14일 오후 1시 RTP1과 9시 RTP2(당시에는 모든 사람이 이 채널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로 미루었다.다음날인 토요일, 노래 녹음은 다시 진행되었고 투표는 라이브로 진행되어 작가와 작곡가의 의지가 드러났다.[1]
그리다 | 아티스트 | 노래 | 지휘자 | 배심원 | 투표 | 장소 | |
---|---|---|---|---|---|---|---|
작곡가 | 작가들 | ||||||
1 | 페르난도 지랑 & 호르헤 팔마 | "페카도(도) 자본" | 페드로 오소리오 | 16 | 17 | 33 | 7 |
2 | 두아르테 멘데스 | "마드루가다" | 30 | 31 | 61 | 1 | |
3 | 파코 반데이라 | "바탈하포보" | 21 | 20 | 41 | 6 | |
4 | 파울루 데 카르발호 | Com uma arma, com uma flor | 호세 칼바리오 | 27 | 26 | 53 | 3 |
5 | 카를로스 카발헤이로 | "A boca do lobo" | 페드로 오소리오 | 28 | 31 | 59 | 2 |
6 | 페르난도 가스파르 | "레이랑 데 라타" | 페드로 조르당 | 11 | 11 | 22 | 10 |
7 | 빅토르 레이탕 | "칸상아세사" | 페르난도 코레아 마틴스 | 17 | 13 | 30 | 9 |
8 | 파울루 데 카르발호 | "메모리아" | 호세 칼바리오 | 26 | 21 | 47 | 4 |
9 | 호세 마리오 브랑코 | "알레르타" | 루이스 페드로 | 21 | 21 | 42 | 5 |
10 | 호르헤 팔마 | "비게임" | 호르헤 팔마 | 17 | 14 | 31 | 8 |
유로비전
결승 멘데스가 열린 이날 밤에는 핀란드와 앞선 스페인에 이어 러닝 오더 16위를 기록했다.올해는 새로운 채점 제도가 시행되었다.각 나라는 11명으로 구성된 배심원으로 대표될 것이며, 그 중 적어도 절반은 26세 미만이어야 했다.각 배심원들은 모든 노래에 1-5점 사이의 점수를 주어야 했지만, 그들 자신의 국가 입성에 투표할 수는 없었다.이 곡이 공연된 직후에 투표하여 심사자가 바로 채집하였다.마지막 곡이 공연된 후, 배심원 비서는 모든 투표수를 합산하여 최고점수 10점수 10점수 2점수 12점을 부여하였고, 이어서 3위 8점수 7점수 4점수 6점수 5점수 1점수까지 내려가는 등 오늘날까지 계속 사용되고 있는 포인트 제도인 10위에 해당하는 점수를 부여하였다.
투표가 마감되었을 때, 그 노래는 16점을 받아 19개 경쟁국들의 분야에서 16위를 차지했다.[6][7]포르투갈어 엔트리의 오케스트라는 페드로 오소리오에 의해 지휘되었다.[8]
투표
|
|
참조
- ^ a b c 인포메타상 소브레 오 시아이 그란데 TV 다 칸상 포르투게사 1975
- ^ Ficha tecnica, leetras das cansões e as capas dos discos, sempre que os temas concorrentes for aditados.
- ^ ESC 전국 결승 데이터베이스 1975
- ^ A ordenasang classificativa final das 10 cansues
- ^ "Balanço do XII Grande Prémio TV da Canção 1975" (in European Portuguese). Retrieved 2021-03-30.
- ^ "Final of Stockholm 1975". European Broadcasting Un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April 2021. Retrieved 9 April 2021.
- ^ ESC 기록 - 포르투갈 1975
- ^ Roxburgh, Gordon (2012). Songs for Europe: The United Kingdom at the Eurovision Song Contest. Vol. One: The 1950s and 1960s. Prestatyn: Telos Publishing. pp. 93–101. ISBN 978-1-84583-065-6.
- ^ a b "Results of the Final of Stockholm 1975". European Broadcasting Un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April 2021. Retrieved 9 April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