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안 클로스엔
Marianne Clausen마리안 클로스엔(Marianne Closen, 1947년 12월 25일 ~ 2014년 9월 17일)은 덴마크의 음악학자 겸 합창단 지휘자였다.그녀는 작곡가, 합창단 지휘자, 음악학자 칼 클라센(1904–1972)의 딸이었다.1970년대 초 아버지와 손잡고 시작돼 1990년대 들어 더욱 심화되고 사망 몇 주 전에 결론을 내린 그녀의 주요 업적은 그녀가 다수의 음표기음반과 함께 발표한 전통적인 파라오 민요의 보존이었다.20세기 내내 자신을 포함한 많은 학자들이 수집한 6천 개가 넘는 그러한 음반들을 바탕으로, 그녀는 지금까지 발표되지 않은 노래 텍스트와 함께 역사적이고 음악적인 분석과 함께 전통적인 파라오 노래의 다양한 장르의 음악 표기법 사례 3,350여 개를 발표했다.
마리안 클로센은 또한 여러 아마추어 합창단을 이끌고 지휘했는데, 가장 두드러진 것은 1978-2000년 코펜하겐의 파라오 합창단, 후사코리쉬와 1984-2013년 덴마크 합창단 콘 브리오였다.
초기 작업
고등학교 교사인 칼 클로스텐과 그레테 클로스텐의 딸로 젠센으로 태어났으며, 4남매 중 막내인 마리안 클로스센은 18세기 코펜하겐 인근 코펜하겐 고드브스베지에 있는 빌라 '스톰리'의 큰 임대 아파트에서 자랐다.1950년대 동안, 그녀의 아버지는 당시 유명한 합창단 지휘자 겸 음악학자로 포크송에 특화된 매우 부유한 파라오 포크송의 전통을 점차 알게 되었다.[1]그는 테이프 리코더를 들고 여러 차례 섬으로 가서 수집했는데, 우선 지금까지 수집가들로부터 큰 관심을 받지 못했던 킹오싱으로 알려진 종교적이고 영적인 노래의 예들이다.
1960년대 중반 이후부터 아버지와 함께 여행하는 동안 마리안 클로센은 파라오 사람들과 그들의 노래를 소개했다.그녀의 아버지는 그녀가 음반에서 부르는 멜로디인 음악적 고조파나 음계와 관련하여 정확하고 편향되지 않은 글을 쓴 것에 대해, 그녀 자신의 것을 능가하는 특별한 재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그가 죽은 후, 그녀는 97개의 멜로디 예제와 함께 파로즈 정신의 노래에 대한 가사를 수록한 책을 완성했다.[2]이 책의 일부분은 그녀가 1975년 아르후스 대학에서 음악 전공의 논문으로 사용하였다.1983년 그녀는 코펜하겐 대학에서 영어 부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마쳤다.조금 후에 그녀는 PO 오르가니스트의 시험에도 합격했다.
불안하고 충격적이었던 첫 결혼에 실패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아버지의 죽음에 이어 마리안 클라우센은 1980년경 알코올 남용으로 몇 년을 고생했다.1983년 가까스로 학대에서 벗어났고, 평생 술을 한 번도 입에 대지 않았다.그러나, 그러한 사건들로 인한 정신적, 육체적 손상의 영향은 아마도 수년 후 그녀의 조기 사망에 최소한 부분적인 책임이 있었을 것이다.
그 이유 중의 일부 w., 그곳에서 주로 합창단과 함께 일했던 회복된 몇년 후, 그녀는 페로스 제도. 1988-94는 정신적 singing[3]과 하나에 대해 덴마크 언어 발라드에 대한 간행물에 결과에 컬렉션 여행을 갔다, Hundredesyv-visebogen[4]은 특히 후자는 Faroese,[5][6]사이에서 긍정적인 주목을 받게 됐다1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수십 년 동안 파라즈 춤의 현대화를 가장 잘 견딘 민요 장르인 파로즈 춤을 다루기 위해 여러 해[7] 동안 출판되었으며, 오늘날과 같이 덴마크의 파로즈 커뮤니티뿐만 아니라 섬 전역의 다양한 무용 협회에서 여전히 번창하고 있었다.
백세시브-비세보겐은 한 세기 전의 안데르스 쇠렌센 베델의 노래책 백세보그에서[9] 영감을 얻은 페더 시브의 노래책 300주년 기념일에 발매되었다.[8]백세시브-비세보겐은 마리안 클로센의 마지막 책으로, 그녀의 마지막 5권은 주로 다른 초기 수집가들의 포크송 음반을 바탕으로 했다.
레진 달 녹음
주작을 시작하기 전에(1918~2007년) 그녀는 파라즈 시인과 작곡가 레진 달(1918~2007년)의 작곡을 음악으로 적는 프로젝트를 맡았다.세월이 흐르면서 달은 자신의 시와 다른 시인과 작가들, 예를 들어 페로즈 야곱 달, 한스 A와 같은 수백 개의 멜로디를 작곡했다. 주루우스 J.H.O. Djurhuus, Christian Matras, Jóannes Patursson, Mikkjal á Ryggi and Símun av Skarði, the Norwegians Knut Hamsun and Nordahl Grieg, the Dane Jeppe Aakjær and the Swedes Gustaf Fröding and Erik Axel Karlfeldt, as well as many others.예외적인 경우에만 레진 달은 그의 음악을 적었지만, 대신 파로즈인들 사이에서 관례처럼 그것을 외우고 있었다.1972년 레긴 달(Rigin Dahl)이 작곡한 축음기 음반을 발매한 데 이어 1973년 4월부터 1977년 1월까지 15회의 녹음실에서 레진 달(Rigin Dahl)이 녹음 스튜디오에서 피아노로 노래를 부르며 전곡을 연주하도록 주선했다.[10]
1990년대 중기에, 메리앤 클로슨, 콤팩트 카세트로, 음악 전사에 그 해에 그녀의 선호하는 미디어,(2006년부터 그녀는 주로 아이팟을 사용했다)으로 필사와 439명 Fafnir가 지키고 있는 달의 melodi를 옮겼다 이 녹음뿐만 아니라 그의 축음기 records[10][11]고 프로젝트 과정에서 등장한 다른 레긴:거룡 Fafnir형제 대장장이 달 녹음했다.에스, toge가사를 [12][13][14]붙이다이것들은 손으로 쓴 악보가 있는 그녀의 책들 중 마지막이었고, 그녀의 다음 다섯 권의 책들을 위해 그녀는 음악 표기법을 사용했다.
파로즈 민요
20세기 중반, 파로 제도의 고립되고 여전히 전통적인 삶의 방식은 예를 들어 영화와 라디오와 후기 TV 방송과 같은 모더니즘적 관점이 결합된 유럽과 북아메리카의 경우보다 수십 년 더 오랫동안 이곳에서 전통적인 포크송을 흥성하게 했다.전통적인 삶의 방식을 바꾸고 민요를 축출했다.
1890년대부터 축음기, 특히 1940년대부터는 휴대하기 쉽고 가격도 비싸지 않은 녹음기가 수십 년의 시간 창을 열었는데, 그곳에서 스칸디나비아와 독일의 음악학자들이 현대 기술을 파로 제도에 가져와 수많은 의 예를 녹음했다.여전히 활기찬 육지인들의 노래 전통1950년대 후반의 파로즈 라디오 방송의 도입과 1970년대 후반의 텔레비전 방송의 도입으로 전통 가창은 심각한 좌절을 겪었다.
반면에 수천 예를 녹음기의세기 중반 역설적으로 기록된 다소 제한적인 학구적인 프로 망명자가 수백 folk 예 축음기 왁스의 원통에 20세기 초 수십년에 기록된 노래Faroese 민속 singing,[15][16]의 여러 학술 연구의 기초를 이루었습니다.한눈 운동.
크비지
1998년 마리안 클로센은 다양한 스칸디나비아 기록 보관소로부터 파라오 kvæi의 음반을 수집하기 시작했다.녹음파일(누가 노래하고 무엇이 노래하는지)을 등록한 후, 그녀는 총 2,050장의 녹음을 위해 멜로디와 가사를 포함한 모든 녹음파일들의 손으로 직접 필사본을 만들기 시작했다.
그런 다음 그녀는 모든 녹음을 다시 재생하고, 그것들을 필사본과 비교하면서 오류나 오열을 확인했고, 그녀가 끝나면 모든 녹음을 한 번 더 재생하여 다시 확인했다.그녀 역시 다음 책에서 사용했던 이 반복적인 과정 동안 그녀는 책 원고에 포함될 멜로디를 고르기 시작했다.그녀는 이 선택을 사람, 지리, 시간(가능한 한 많은 섬과 마을의 녹음, 큰 레퍼토리를 가진 유명 가수들과 새로운 음반뿐만 아니라 때로는 오래되고 다소 불명확한 신곡을 중심으로)에 관하여 다양한 kvæi 텍스트와 멜로디가 포괄적으로 표현되도록 하는 기준에 근거했다.1902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구구식 축음기 녹음.
In 2003, Marianne Clausen's work with the kvæði recordings resulted in the eighth and conclusive volume, Føroya kvæði VIII, Løgini / Melodies[17] of the magnum opus Føroya kvæði, the first seven volumes of which were published 1941-54, 1963–72 and 1996, containing the lyrics of 236 Faroese kvæði, with indexes.이 책은 그녀의 책 중 가장 큰 책으로 1,343개의 멜로디 음반을 수록하고 있다.
영성가곡
파로즈 kvæi와 덴마크 발라드 가창을 곁들인 파로즈 춤이 전통적인 파로즈 사회에서 세속적인 맥락에서 사용되었던 반면, 사람들의 삶의 종교적인 측면은 널리 퍼져 있는 영적인 노래와 169년부터의 찬송가 작사가인 덴마크 주교와 찬송가 작가 토머스 킹고(164-1703)의 이름을 딴 킹고싱에 크게 반영되었다.9는[18] 노르웨이의 페테르 다스(1647-1707)[19][20]와 다른 몇 개의 바로크 찬송가의 종교적인 노래처럼 20세기 중반까지 여전히 파라오들 사이에서 널리 쓰였다.그 멜로디를 노래의 이 장르에서의 사용하는 다시 킹고의 멜로디 컬렉션 또는 Gradual,[21]에서의 그것들과 1699년에서Faroese 포크 가수들의 세대 사이에서 2세기 동안 뒤 멜로디를 종종 매우melismatic에 리드미컬하게 그리고 harmonically 매우 복잡한, 그렇게 했었다 역급할 수가 있다.만났다거의 명상에 잠기다
2003년 가을, 마리안 클로센은 아버지와 함께 30여 년 전에 시작했던 영적인 노래 멜로디로 작업을 재개했다.그녀는 1,350개의 멜로디 예제를 녹음한 음악을 바탕으로 2006년부터 다음 권에 수록될 768개의 예를 선택했으며, 안드릭 비술뢰그 아이 프뢰이움 - 파로스의 영적 노래들을 선택했다.[22]
덴마크 발라드
1~2세기 전까지만 해도 유럽 전역에서 페로즈 체인댄스와 유사한 춤이 사용되었고, 종종 kvæði와 비슷한 장문의 발라드 원문에 사용되기도 했다.덴마크 발라드 원문은 종종 중세풍의 것이었는데, 이는 마그넘 오퍼스 댄마크스 겜레 폴케비저에서 나타난다.이 문헌들은 종종 12세기에서 15세기까지의 역사적 사건들을 다루고 있으며, 이러한 덴마크 문헌들의 수집은 16세기 중반에 시작되었는데, 종종 귀족들과 여성들에 의해 이루어졌다.16세기 후반 이후부터는 인쇄된 발라드 문자집이 등장했고,[8][9] 페로 제도에도 진출했다.여기서 덴마크의 발라드는 파로즈 춤의 레퍼토리의 필수적인 부분을 형성하게 되었다.
1980년대 후반 영적인 노래를 위한 수집 여행에서 마리안 클라우센은 여전히 많은 덴마크 발라드가 파로즈 포크 가수들 사이에서 사용되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고, 1991-93년 7번의 추가 여행 동안 45명의 가수들을 방문하여 650개의 멜로디 예시를 덴마크어로 된 발라드 텍스트와 161개의 다른 노래들을 수집하는 데 성공했다.이전의 수집가들의 기록과 결합한 그녀 자신의 앨범은 2010년 출판된 파라오에 있는 덴마크 민속 발라드인 Visuløg i Föroyum의 다음 책의 기초를 형성했다.[23]총 1,846개의 녹음파일 중에서 그녀는 이 책에 출판될 935개의 음반을 선택했다.
스칼두르와 라임
어떤 장르의 파로어 노래는 학자들 사이에서 꽤 오랫동안 주목을 받지 못했는데, 예를 들어, skjaldur와 라임들은, 아기를 위한 자장가든, 혹은 나이든 아이들을 위한 언어 운동이나 일상생활에 대한 지침으로 사용되든, 또한 재미있거나 꽤 자주 다소 무시무시하거나 소름끼치는 텍스트로 사용되기도 했다.
그녀는 2012년부터 4번째이자 마지막 책인 Skjaldur, Rimur og ramsur - Faroese Skjaldur, Rymes에서 450개의 녹음파일 중에서 선별된 310개의 skjaldur와 라임들을 출판했으며 지금까지 발표되지 않은 많은 가사들을 출판했다.[24]
파로스의 소리
위에서 언급한 네 권의 책은 1998~2012년에 제작된 것으로, 모든 장르의 파로즈 민요를 다루기 때문에, 이 시점에서 마리안 클라우센의 이러한 민요를 보존하고 출판하는 작업이 마무리되었다.그러나 그녀는 많은 사람들로부터 파로스 등지에서 음악 교습에 사용될 수 있는 입문서, 즉 교과서를 쓰라는 요구를 받았다.이것은 그녀의 마지막 책인 Föroya ljoó - Sound of the Faroes[25] 2014의 결과를 낳았는데, 트룬두르 파튀르손에 의해 그려진 표지와 책 척추에만 텍스트가 있는 그녀의 이전 책 4권과 같다.여기서 그녀는 이전에 발표한 280개의 멜로디 예를 제시했고, 무엇보다도 아래에서 간략하게 언급된 멜로디의 톤성에 대한 토론에 그것을 이용했다.
톤리티
마리안 클라우센의 작업에 앞서 1908년[15] 헤알마르 투렌에 의해 그리고 1945년 하콘 그뤼너-닐슨에 의해 파로즈 kvæi 멜로디의 톤성이 두 가지 중요한 연구에서 다뤄졌다.[16]투렌은 kvæi 멜로디를 오순절 음계를 기반으로 분류했고, 그뤼너-닐슨은 교회모드에 초점을 맞췄다.마리안 클라우센은 둘 다 옳다고(혹은 틀렸다) 결론 내렸다:kvii 멜로디와 덴마크 발라드에 대한 멜로디는 물론 뚜렷하게 오순절적 성질을 가지고 있지만, 또한 교회 모드, 특히 도리안이나 믹솔리디안에도 강한 영향을 받고 있다.댄스 멜로디와 관련해 그녀는 덴마크 발라드 멜로디와 kvæi 멜로디의 상당한 차이점에 주목했다: 덴마크 발라드 멜로디는 kvæi 멜로디보다 4배 더 자주 사용하며, 텍스트 음절의 수와 관련하여 '반속'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다.Kvæði 멜로디와 비교했을 때, 춤에서.
영적 가창의 멜로디는 장음계, 단음계 등 매우 다양한 톤의 소재를 가지고 있지만, 16세기 이전과 그 이전의 페루인이 가톨릭 신자였을 때부터 그레고리우스 성가대에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지는 교회 모드의 영향도 강하게 받는다.
스카알두르 멜로디는 일반적으로 3분의 1의 시리즈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오순절 음계의 일부로 간주될 수 있다.멜로디는 어린이들을 위한 것이고, 따라서 꽤 단순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Church 모드의 흔적, 특히 Dorian과 Prygiana를 포함한다.
마리안 클로스엔은 마지막 책을 '[파로즈 민요] 장르가 서로를 보완하고, 정합성이 있는 음악적 우주를 형성한다'는 말로 마무리했는데, 이는 특히 파로즈다.
저명한 가수들
총 456명의 파라오 포크 가수들이 마리안 클라우센의 마그넘 오푸스 4권의 책에 수록된 3,350곡의 음반에 멜로디 예시를 기렸다.많은 가수들이 몇 가지 사례만 기고했을 뿐, 몇몇 유명한 가수들은 매우 큰 레퍼토리를 마스터했다.아래 표에는 50개 이상의 멜로디 예시를 기고한 가수들이 나열되어 있다.
이름 | 전기 | 멜로디 예시 수 |
---|---|---|
알베르트 아 호구게일 (알베르트 주루우스) | Sumba 1912년 출생, 1999년 사망, Akraberg에서 등대지기 | 234 |
트룬두르 við AA | 벨바스타슈르 1901년 출생, 1978년 사망, 왕의 소작인 | 149 |
비야른 아이 슈타인후시눔 (비야른 베스테르가르드) | 1931년 섬바 선장 | 131 |
마르틴 토르가르 | 토르샤브 1925년 출생, 선원, 마리 에이드 피터슨의 조카 | 128 |
옌스 루드비크 이 스토루시 (옌스 루드비그 요하네스엔) | 1918년 달루르에서 태어나 1999년 우달만 | 76 |
벤젤 아 벨바스타시 (사뮤엘 웬젤 안드레아센) | 1866년 벨바스타수르에서 태어나 1958년 사망, 주울 아 벨바스타의 아버지인 크로커트와 돌절도사 | 74 |
모탄 아 플뢰티눔(모튼 크리스티안 홀름) | 1892년 허발바에서 태어나 1972년 선장 | 65 |
요그반 아 트뢰프 (Joen Trondesen) | 1889년 스칼라비크에서 태어나 1983년 레이푸르 트룬다르손의 동생인 노동자로 사망했다. | 63 |
마리우스 이 카트리나르스토부 (마리우스 요아네손) | 1873년 푸닝구르에서 태어나 1939년 사망, 보트 제작자 | 61 |
마리 아이드 피터슨 | 1894년 Nolsoy에서 태어나 1994년 마르틴 툴가르트의 이모, 선생님으로 돌아가셨습니다. | 60 |
단잘 아이 부지니 (단잘 파울리 다니엘센) | 벨바스타수르 1919년 출생, 2010년 사망, 란즈슈트리 회원 | 59 |
마그누스 파울리 아 키그자르함리 (마그누스 파울리 마그누센) | 1877년 츠외르누비크에서 태어나 1961년, 삭순에서 왕의 소작인으로 사망하였다. | 58 |
줄 아 벨바스타시 (빌헬름 줄 안드레아센) | 1902년 벨바스타수르에서 태어나 1977년 사망, 벤젤 아 벨바스타슈의 아들 스톤커터 | 53 |
레이푸르 트롯다르손 아 트뢰레(라이프 트론데센) | 1901년 스칼라비크에서 태어나 1980년 요그반 아 트뢰의 동생인 교사로 세상을 떠났다. | 52 |
다부르 에밀 아이 티외누비크 (데이비드 에밀 마그누센) | 1881년 Tjörnuvik에서 태어나 1957년 사망, 어부 | 51 |
합창단
마리안 클로센의 첫 번째 합창단은 그녀가 1970년부터 71년까지 살았던 페로이스 섬 스트레이모이의 키비크에서 마을 주민들 사이에서 창설한 합창단이다.후에 그녀는 Torshavn으로 이사했고, 그곳에서 그녀는 교사 대학에서 음악을 가르쳤다.
그녀에게는, 어떤 전문적인 음악 훈련도 받지 않고 일반인들 역시 음악을 연주하는 흥과 즐거움을 누릴 수 있게 되어, 세월이 흐르면서 그녀는 수준도 높고 동시에 아마추어들이 통달하기에도 그리 어렵지 않은 합창단 음악을 선택하는 데 매우 능숙하게 되었다.그녀는 새로운 합창단원들을 위한 입학시험을 결코 사용하지 않았지만, 그녀의 주의 하에, 보통 수준의 노래 실력을 가진 잠재적으로 재능 있는 가수들이 개선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허락했다.
후사코리제 1978-2000
1971년 창단된 지 몇 년 후, 마리안 클라우센은 코펜하겐의 파로즈 하우스와 연계된 혼성 합창단 후사코리제를 인수했는데, 당시 멤버들은 주로 코펜하겐으로 유학을 떠난 젊은 파로즈인 뿐만 아니라 그곳에 정착한 파로즈인이었다.마리안 클라우센의 시대에는 오늘날과 같이 레퍼토리가 파라오 포크 멜로디의 편곡을 포함한 파라오 작곡에 의해 지배되었지만, 또한 많은 스칸디나비아 음악이 레퍼토리에 올라 있었다.
1993년 마리안 클라우센은 푸타트라슈크가 제안한 아이디어에 따라 후사코리슈와 무용협회 포타트라슈크가 북서부 폴란드를 여행할 수 있도록 주선했다: 1930년대 독일의 고고학자들이 바이킹 거점 점보르그의 유해를 발견했다.파로즈 kvii 레퍼토리는 이곳 주민들에 대해 많이 쓰이는 텍스트인 줌스비키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폴란드 투어의 목적은 무엇보다도 바이킹의 거점이 사라진 지 대략 1천 년이 지난 지금과 마찬가지로 두 개의 파로즈 음악 앙상블이 짐스보리 유적지에서 공연하는 것이었다. - 이듬해 마리아.nne Clausen은 Husskorið을 폴란드 여행에 데려갔다.
콘 브리오 1984-2013
마리안 클로슨은 아마추어 가수들의 혼합 합창단인 콘 브리오를 창단했다.세월이 흐르면서 합창단은 단원 수와 노래 실력에서 모두 꾸준히 성장했고, 1990년대 중반 이후부터는 오르프의 카르미나 부라나, 비발디의 글로리아, D장조 드보락 미사처럼 더 큰 곡을 차지할 수 있었다.2012년, 합창단은 칼 젠킨스의 미사 The Armed Man의 덴마크 첫 공연을 만들었다.약 2년마다 1994~2013년 콩 브리오는 봄철에 폴란드 북서부의 여러 곳을 순회하며 3일간의 콘서트 투어를 떠났는데, 이 투어는 합창단원들과 폴란드 관객들에게 큰 인기를 얻었고 많은 사랑을 받았다.마리안 클로센이 합창단을 위해 선택한 음악은 매우 국제적인 것이었고, 신성하고 세속적인 음악을 포함하여 수 세기에 걸쳐 있었다.
말년에 마리안 클로센은 스트레스, 불안, 식욕부진으로 점점 쇠약해졌다.안타깝게도, 2013년 12월 콘 브리오와의 크리스마스 콘서트가 그녀의 마지막 공연으로 밝혀졌다.
인용구
마리안 클라우센은 부지런하고 꼼꼼하며 매우 생산적인 학자일 뿐만 아니라 열성적이면서도 감정이입적인 성격을 지녔는데, 이는 그녀에 대한 이러한 진술에 반영되어 많은 감탄을 받았다.
그녀의 생애 연구는 10명의 학자들의 업적을 쉽게 능가한다. - 그녀의 파라어 언어 상담자인 하누스 캄반 (Politiken, 2014년 10월 13일 자)
우리가 잊혀지고, 아무도 우리에 대해 알지 못하며, 우리가 선과 악에 대해 무엇을 했는지를 알게 되면, 파로이스 세대 이후의 세대들은 마리안느에 대해 언급할 것이다. - 그녀의 출판사인 자카리아스 왕 (Email, 2014년 12월 25일)
마리안느는 살아 있는 전선이었고, 생동감 있고 함께 있으면 재미있었지만, 동시에 결심하기도 했다. 그 말은 당신이 그녀를 어디에 두었는지, 그리고 그녀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항상 알고 있었다는 것을 의미했다. - 존 달스가리, 그녀의 레이어드 (2014년 11월 22일, 토르샤브에 있는 노루라두시에서 행해진 기념사)
그녀의 합창단원이 되는 것은 단순히 노래하는 것 이상의 것이었다. 당신은 펠로우쉽의 일원이 되었고, 특히 그녀와 친구가 되었다. - Con Brio의 베이스 가수인 Lars Euggerard (2014년 10월 9일, 폴리티켄의 악보)
그녀는 가장 충실한 친구였고, 누구나 가질 수 있는 친구였다. - 엘수바 아이버센, 오랜 친구 (지속 통신, 2014년 9월 말)
학계가 존중하는 기초적인 연구와 더 넓은 학파를 예술적, 사회적 성과로 이끌어 내는 학자는 극히 드물다. 마리안느는 거기에 성공했다. 더 이상 커지지 않는다. - UJDS 출판사 회장 Marita Akhøj Nielsen (2015년 2월 10일 코펜하겐 Föroyahsið에서 열린 추모식에서 연설)
콩브리오 합창단에 가입해 마리안느를 만났을 때는 마치 귀가하는 것 같았다. - 콩브리오 소프라노 가수 아니타 뷔크(2015년 8월 2일 방송)
참고 문헌 목록
Karl Clausen og Marianne Clausen (1975): Åndelig Visesang på Færøerne, in: Fra Færøerne : Úr Føroyum, vol. VII-VIII, 205 pp, w. gramophone record, Dansk-Færøsk Samfund (contains 97 melody transcriptions of spiritual singing).서평:[26][27][28][29]
마리안 클라우센 (1989): 칼 클라우센스 옵타겔서아프 af델릭 비세상 Ok Kingosang på Færøne 1967-1973 • Registerring ved Marianne Closen; 180 페이지(녹음에는 공개되지 않은 색인)
마리안느 클라센 & 조그반 톰센(1990): 딘델리게 비저 오그산지르 / 안달리가 31pp, w. 축음기 음반(14개 녹음, 음악 녹음 포함)도서 리뷰:[30]
마리안느 클로센(1991): 킹고상 p og F ogrøne • 등록자 • Bnd optaget og registrereret a Marianne Closen i årene 1988, 1989 og 1990; 52ppp. (녹음에 대한 미발표 지수)
마리안 클로센(1995):백세시브-비세보겐 - 단스케 폴케비저 오그 앙드레 비저 p 단스크 메드 færøke 멜로디, 280 pp, w. 콤팩트 카세트, H.N. Jacobsens bokahandil(덴마크 발라드의 250개의 멜로디 녹취록 포함)서평:[5][6][31]
레진 달(1996):마리안 클라우센과 자카리아스 왕이 편집한 아틀란틀뢰그 (Atlantsløg), 282 pp, Stiðin (369 멜로디 녹음 포함)도서 리뷰:[32]
레진 달(1997):아틀란틀뢰그 2세, 마리안 클라우센과 자카리아스 왕 편집 69쪽, 스티진 (70곡의 멜로디 녹취록 포함)
마리안 클로센(2003):Föroya Kvæi 8세, Løgini/Meladies (FK VIII), 735 pp, Universitet-Jubilæets Danske Samfund, 559번, Stiðin (kvæi 노래의 1,343 멜로디 녹음 포함)도서 리뷰:[33]
마리안 클로센(2006):안드릭 비술뢰그 이 포에로이움 / 파로의 영적 노래 542 pp, Sti (in (파로즈 킹고싱과 영적 노래의 768 멜로디 녹음 포함.서평:[33][34][35]
마리안 클로스엔(2010):Visuløg i Föroyum / Faroes의 덴마크 민속 발라드 506 pp, Universitet-Jubililets Danske Samfund, No. 573 Stiðin (덴마크 민속 발라드의 935 멜로디 녹음 포함)서평:[36][37][38]
마리안 클로스엔(2012):Skjaldur, og rimur og ramsur – Orð og øg / Faroese Skjaldur and Rhymes – Laists and Melodies, 257 ppp, Stiinin (파로즈 skjaldur의 310개의 멜로디 녹취록 포함)서평:[39][40]
마리안 클라우센(2014년):포에로야 로이 / 사운드 오브 더 파로즈 319 pp, 2 cds인 Stiðin(이전에 출판된 멜로디 녹취록 중 280개를 가진 프라이머)이 있다.서평:[41][42]
기사들
Karl Closen(1958):단스크 폴케상 젠넴 150 år, 스atsradiofoniens Grundböger, Fremad, 338쪽; 1975년 팅루티 포라크의 재인쇄에서 마리안 클라우센은 344-346페이지에 에필로그에 기고했다.
마리안 클로스엔(1990):킹오상 Og 페테르 다스상 på Færøne, 페이지 65-66 in: 얀 클뢰브슈타트 (ed.): 아르보크 1990 노를란다후시ð 이 프뢰이움
마리안 클로스엔(2000):킹고상 og og og Færøerne, 페이지 79-100 in:찬미곡가 메델렐서, 2000, 1호 살미히스토리스크 셀스카브노르디스크 찬미곡가 연구소
마리안 클로스엔(2000):Åndelig visesang - en del af forfatternes kulturelle ballast, p. 35-45 in: Malan Marnersdóttir & Turið Sigurðardóttir (eds.): Úthavsdagar (Oceaniske dage), Annales Societatis Scientiarum Færoensis Supplementum XXIX, 221 pp, Føroya Fróðskaparfelag and Nordens Hus på Færøerne, ISBN99918-41-29-6
마리안 클로센(2006):파로 제도의 정신적 노래와 킹고 노래, 197-226 in: Kirsten Sass Bak & Svend Nielsen (eds.) : 영적 포크 노래 – 북유럽과 발트해 프로테스탄트 전통, 284 ppp, Forlaget Kragen, ISBN 87-89160-11-8
올레 브린스, 피터 발슬레프-클라우센, 시그발트 트베이트, 데이비드 스콧 햄네즈, 구드런 로피 구문드스도티르, 마리안 클라우센, 폴케 볼린 & 에르크키 투푸라이넨(2008):멜로드라마에른 틸트로 루터스가 이 노든, 페이지 449-534 in: 스벤-ke케 셀랜더 & 칼-요한 한손 (eds.): 마틴 루터스의 프살머 i 드 노르드카 포크렌즈 리브, 아르쿠스, 룬드, ISBN 978-91-88553-16-4
마리안 클로센(2008):덴 프뢰스케 루터상, 페이지 583-590 in: 스벤-å케 셀란더 & 칼-요한 한손(eds). 마틴 루터스는 노디스카 포크렌스 리브, 아르쿠스, 룬드, ISBN 978-91-88553-16-4
수상
- 2012년 - 헤이주르가바 란신스(파로 제도 명예상)[43]
- 2010년 - 헤이슈르스브르æ프 무식클라펠라긴스(파로즈 음악 교사 협회 명예 편지)
- 2003 - M. A. Jacobsens (Torshavn Council의 문학상)
레거시
마리안 클로스텐의 파로이스 번역가 마틴 프잘슈타인은 사망 직후인 2015년 2월 10일 코펜하겐 푸로야후시예에서 두 합창단 콘 브리오와 후사코리예가 참여한 가운데 추모의 저녁을 시작했는데, 이 저녁은 그녀가 시작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2016년 2월 토르샤븐 투틀레코드는 닐스 미도르드와 에일린 한센이 부른 파라오 시인 미크잘 아 리기가 마리안 클라우센의 선율을 이용해 부른 원문을 담은 DVD와 cd(Tutl SHD161)를 발매했다.[44]
2016년 7월 27일 투틀레코드는 여성 합창단 카타가 마리안 클로센의 책에서 주로 빈수르와 스키잘두르를 중심으로 한 문자와 멜로디의 12가지 편곡을 공연하는 cd(Tutl SHD163)를 발매했다.[45]
2018년 5월, Froðskaparsetur Føroya(파로이스 대학)는 마리안 클라우센의 작품의 근간을 이루었던 많은 음반을 홈페이지에 업로드하기 시작했다.[46]
참조
- ^ Karl Closen(1958):단스크 폴케상 젠넴 150 år, 347 pp, 포를라게 프레마드, 1975년 팅글루티 포를라크가 재인쇄했다.
- ^ 카를 클로스엔 오그 마리안느 클로스엔(1975): el델리그 비세상 å 프뢰에르네, in: 프라 프뢰에른 : 우르 프뢰위움, VIII vol. 203 pp, 단스크-Færøsk Samfund.
- ^ 마리안느 클라센 & 조그반 톰센(1990): 옌델리게 바이저 오그 갠지 / 안달리가 비수르 오그 산기르, 31 페이지, w. 축음기 음반.
- ^ 마리안 클로센(1995):백세시브-비세보겐 - 단스케 폴케비저 오그 앙드레 비저 p 단스크 메드 færøke 멜로디, 280 pp, H.N. 제이콥센스 보카한딜 ISBN 99918-907-0-X
- ^ a b 1995년 6월 22일, 딤말슈팅에서 Pol ala Kletti의 책 리뷰 Trý hundrað ar ar eftir Peder Syv.
- ^ a b Nýutkomið Bokastorverk gull vert, Beate L. Jensen의 책 리뷰, 1995년 6월 23일 페이지
- ^ Egil Bakka, Mortan Nolsøe & Olvur Hátun (1977년):페로즈 댄스, 페이지 24-37 in: 패로 이슬즈 리뷰, 제2권, 제2권, 보카가르쥐르, 토르샤브네
- ^ a b Peder Syv(1695):Et 백에 우드발데 단스케 비저 … 포레게데 메드 데트 안데 백베 비저 … 틸 리스트 오그 루돔P.M.에 의해 1787년 재인쇄되었다.코펜하겐 호프너
- ^ a b 안데르스 쇠렌센 베델(1591년):백비즈보그.1993년 레이첼스 포를라그 카렌 투센이 재인쇄했다.ISBN 87-7421-740-2
- ^ a b 레진 달(1972년):Luckurimar og fagnarljoð, 축음기 음반, Mentanargrunnur Studentafelagsins, Mahl 105-106
- ^ 레긴 달 (1974년): 바르나리무르 하야 한스 A.주루우스, 축음기 음반, 멘타나그룬누르 학생아펠라긴스, 말 107-108, 투틀이 2010년 재발행
- ^ 레진 달(1996):마리안 클라우센과 자카리아스 왕이 편집한 아틀란틀뢰그, 282쪽, 스티진 ISBN 99918-42-02-02
- ^ 레진 달(1997):마리안 클라우센과 자카리아스 왕(69쪽), 스티친 ISBN 99918-42-03-9
- ^ Regin Dahl(2005):아틀란틀뢰그(Atlantsløg), 크리스티안 블락(Kristian Blak), 투틀(Atlantsløg 및 Atlantsløg II, Marianne Closen 및 Zakarias Wang 편집)이 제작한 25개의 cdsds로 구성된 상자
- ^ a b 할마르 투렌(1908):폴케상겐파아 피뢰른 337쪽 안드르.프레드. 호스트 오그 쇠스 포를라크, 코펜하겐
- ^ a b Hakon Grüner-Nielsen(1945):드 퓌뢰스케 크바드멜로디에스 토날리테트 이 미들랄데렌, 프뢰엔시아, 제1권, 에이나르 문스가르드, 코펜하겐
- ^ 마리안 클로센(2003):Føroya Kvæi 8세, Løgini/Meladies (FK VIII), 735 pp, Universitet-Jubililets Danske Samfund, 559호, Stiiin, ISBN 9918-42-29-2
- ^ 토마스 킹고(1699년):Dend Forordnede Ny Kirke-Salme-Bog... Trykken befordret af Thomas Kingo.오덴세 (킹고의 찬송가)
- ^ Petter Dass(1711):코펜하겐의 Aandelige Tids-Fordriv eller Bibelske Viise-Bog.Cjell Heggelund / Sverre Inge Apenes, 1980년 오슬로 주, Samlede Verker, 2권 Petter Dass에서 발행
- ^ 페터 다스(1714): D.모트: 루터스는 살찐 I beqvemme Sange, 코펜하겐 (Katechismus-Sange로 알려져 있다)을 위해 케이트치스무스를 릴링했다.Cjell Heggelund / Sverre Inge Apenes, 1980년 오슬로 주, Samlede Verker, 2권 Petter Dass에서 발행
- ^ 토마스 킹고 (1699년): 점진적, 오덴세.에릭 노먼 스벤센과 헨릭 글랜의 팩시밀리 판, 헨리크 글랜의 애프터 워드: "옴 멜로디포홀덴 아이 킹노스 스레게" 1967년 코펜하겐
- ^ 마리안 클로센(2006):안드릭 비술뢰그 아이 포에로이움 / 파라오 영성가 542 pp, Stiðin, ISBN 99918-42-41-1
- ^ 마리안 클로스엔(2010):Visuløg i Föroyum / Faroes의 덴마크 민속 발라드, 506 pp, Universitets-Jubililets Danske Samfund, 573, Stiðin, ISBN 978-9918-42-59-2
- ^ 마리안 클로스엔(2012):Skjaldur, og rimur og ramsur – Orð og øg / Faroese Skjaldur and Rhymes – Laists and Melody, 257 ppp, Stiðin, ISBN 978-9918-42-67-7
- ^ 마리안 클라우센(2014년):Føroya Ljoð / Sound of the Faroes, 319 pp, 2 cds, Sti 9in ISBN 978-9918-42-73-8
- ^ 살메상 이 노르다틀란텐, 닐스 쉬외링, 베를링스케 티덴데, 1975년 10월 22일 서평
- ^ “Åndelig visesang på Færøerne”, book review by Sesom., Dimmalætting?, 6 December 1975
- ^ 프뢰에르네, 1975년 12월 12일 칼 헤르만센, 크리스텔리그트 다그블라드 서평
- ^ å델리그 비세상 å Førøerne, Poul Grubb의 서평, Chandelogiske Meddelleler no., 1975?
- ^ 킹고 Og Dass-Salmar Hoyrast runt landið, B.의 도서 리뷰, 1990년 11월 20일 딤말팅.
- ^ 마리안 클로스엔:백세시브-비세보겐.Magareta Jersild, Dansk Erbog for Musikforskning, 1996, 제24권, 페이지 113-114
- ^ Sungið의 HEVur sanniliga pinggii tonaververina, Pol á Kletti, Dimmalmaltting, 페이지 6, 페이지 12, 1996년 11월 12일.
- ^ a b Kvad og ådelig visesang p p Færöerne, Bagner Lund, Charsonologi, Vol. 36, No. 3, 2007년 10월, 페이지 141-142, ISSN 1901-5976.
- ^ 멘타나르바르지 이 외엘디르, 2007년 6월 1일, 페이지 40-41의 아그나르 람하우지, 딤말루팅의 서평
- ^ 클로스엔, 마리안느 (Hrsg.) : 안드리그 비술뢰그 아이 웁티킨 1902-2002.파로스 산맥의 영적인 노래들.멜로디는 1902-2002년 노르베르트 B의 서평으로 녹음되었다.Vogt, Tjaldur - Mitteilungsblatt des Deutsch-Féröischen Frundeskreises e.V. - Tskskt-Föroyskt Vinafelag, 2006, 39번, 페이지 111-112
- ^ 마리안 클라우센 (Hrsg.) : 비술뢰그 아이 웁티킨 1902-2004.Faroes에 있는 덴마크 민속 발라드; 멜로디는 1902-2004년, 노르베르트 B의 서평을 녹음했다.Vogt, Tjaldur - Mitteilungsblatt des Deutsch-Féröischen Frundeskreises e.V. - Týskt-Forroyskt Vinafelag, 2010, 45번, 페이지 99-101
- ^ 베가모트 이 미졸트, 하누스 캄반, 딤말레팅, 2011년 1월 4일, 페이지 6-7
- ^ 단스케 폴케비저 å Færøerne, 찬송가놀로지의 질너 룬드의 서평, 제41권, 제1-2호, 2012년 4월, 페이지 83, ISSN 1901-5976
- ^ Rura, Rura Barnið, 2012년 9월 17일자 Leif Hansen의 서평: http://www.kor.fo/rura-rura-barnid-bokaummaeli/
- ^ 마리안 클로스엔:스카알두르, 리무르 오그 람수르Orð og 뢰그 - Faroese skjaldur and rhymes, Norbert B의 서평.Vogt, Tjaldur - Mitteilungsblatt des Deutsch-Féröischen Frundeskreises e.V. - Tskskt-Föroyskt Vinafelag, 2013, 페이지 129-131
- ^ in.fo - HEVur Skrivava ni niur ni ni ut 3.300 løg - II Gjar com komkin "Föroya ljoð" eftir Marianne Closen, skrevet af Eiiikur Lindenskov 23. 2014.
- ^ 마리안 클로스엔:Föroya Ljoð i kvæum, visum, salmum og skjaldrum / Sound of the Faroes.전통 노래와 찬송가, 노버트 B의 서평.Vogt, Tjaldur - Mitteilungsblatt des Deutsch-Féröischen Frundeskreises e.V. - Tskskt-Föroyskt Vinafelag, 2014, 페이지 153-155
- ^ Féröische Landeskulturpreise 2012 verliehen, Norbert B의 통지.Vogt, Tjaldur - Mitteilungsblatt des Deutsch-Féröischen Frundeskreises e.V. - Tskskt-Föroyskt Vinafelag, 2013, 페이지 113-116
- ^ CD 릴리스 노트(Faroese)
- ^ KATA fløguutgava: Tivils døtur.
- ^ 마리안 클로스엔 전기(파로즈어로)와 음반 연결, 세투르.적으로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