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릴린 크리스펠
Marilyn Crispell마릴린 크리스펠 | |
---|---|
![]() 2008년 4월 29일 크리스펠 콘서트 | |
배경 정보 | |
태어난 |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 필라델피아 | 1947년 3월 30일
장르 | 재즈, 클래식 |
직업 | 음악가, 작곡가 |
계기 | 피아노 |
년 활동 | 1977-현재 |
레이블 | Leo, Black Saint, Music & Arts, ECM |
관련 행위 | 배리 가이, 헨리 그라임스, 앤더스 조민 |
웹사이트 | www |
마릴린 크리스펠(Marilyn Crispell, 1947년 3월 30일 출생)은 미국의 재즈 피아니스트 겸 작곡가다.스콧 야노우는 그녀를 "힘 있는 선수"라고 표현했다.자신만의 공간 사용법을 가지고 있는 사람...뉴욕 타임즈의 존 파렐스는 "마릴린 크리스펠이 솔로 피아노를 치는 것은 활화산을 관찰하는 것과 같다"고 썼다.[1]그녀는 프리 재즈의 도전에 발돋움하는 극소수의 피아니스트 중 한 명이라고 말했다.[2]크리스펠은 독주자나 밴드 리더로서 자신의 광범위한 활동 외에도 1980년대와 90년대 색소폰 연주자 앤서니 브랙스턴의 4중주단의 오랜 멤버로도 알려져 있다.[3]
전기
크리스펠은 필라델피아에서 태어났고, 10살 때 볼티모어로 이사를 갔고, 그곳에서 그녀는 웨스턴 고등학교를 다녔다.[4][5]그녀는 7살 때부터 피바디 음악원에서 클래식 피아노를 공부했고, 모든 학생들이 그들의 기술 수준에 상관없이 즉흥 연주를 하도록 요구하는 선생님 덕분에 어린 나이에 즉흥 연주를 시작했다.[4]그녀는 후에 뉴잉글랜드 음악원에 다녔고 그곳에서 피아노와 작곡을 공부했고 1968년에 졸업했다.[6][1][7]크리스펠은 1975년 케이프 코드에 사는 동안 존 콜트레인의 A Love Supreme을 처음으로 들었을 때까지 재즈에 관심이 없었다.그녀는 회상한다: "그것의 감정적, 정신적 자질이 나를 압도했다...솔직히 내 인생에서 경험했던 것 중 가장 벅찬 경험일 수도 있어.A Love Supreme을 몇 번이고 반복해서 듣는 그 어느 날 밤은 내 인생을 완전히 바꾸어 놓았어."[7]
크리스펠은 곧 보스턴으로 돌아와 찰리 바나코스와 2년 동안 개인적으로 재즈를 공부했다.크리스펠에 따르면, "나는 정말 처음부터 다시 해야만 했다.나는 모든 것을 12개의 열쇠로 해야 했다.나는 매 작품마다 모든 키에 일곱 개의 솔로 곡을 적어야 했다.이 시간 주기나 화음의 범위 안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듣고 이해할 수 있도록 수많은 것들을 듣고 옮겨 써야 했다.사람들은 화음, 음표, 화음, 음계를 어떻게 사용하고 있었는가?그 사람들 어디 밖으로 나갔지?"[8]
보스턴에 있는 동안 그녀는 색소폰 연주자 찰리 마리아노를 만났는데, 그녀는 칼 버거, 잉그리드 세르소, 그리고 오넷 콜맨이 설립한 뉴욕 우드스톡의 크리에이티브 뮤직 스튜디오에서 세션에 참석하는 것을 고려해보자고 제안했다.[4]1977년 여름을 맞아 스튜디오를 찾았고, 세실 테일러, 돈 체리, 로스코 미첼, 와다 레오 스미스, 앤서니 데이비스, 올리버 레이크 등 뮤지션들과 접촉했다.[7]테일러와의 첫 만남에 대해 그는 "세실 테일러를 처음 만났던 날을 기억한다"고 회상했다.그는 당구를 치고 있었고, 당구장 뒤에는 피아노가 있었다.그래서 나는 피아노 앞에 앉아 그가 들어주길 바라며 즉흥 연주회를 열어 주었다.내가 말을 마치자 그는 내 손에 입을 맞추며, '이 아가씨는 연주할 수 있어!'라고 말했다.같은 숨결에 내 이름이 거론되는 것을 들으니 지금도 우쭐해진다.([9]이 기간 동안 사람들은 그녀의 피아노에 대한 불같은 접근과 '음표 뭉치'를 늘 연주하는 경향 때문에 그녀를 '여성 세실 테일러'라고 자주 불렀다.쉴 새 없이.")[10][7][5] 크리에이티브 뮤직 스튜디오에서의 시간에 대해, 그녀는 이렇게 말했다: "그곳은 우리가 하는 음악의 종류에 있어서 세계에서 유일한 장소였고, 또 그 장소였습니다...만약 그것이 뉴욕에서 일어났다면 나는 그 느낌이 같지 않았을 것이라고 생각한다.여기서 당신은 이 시골 모텔에서 지도하는 예술가들과 함께 살고 먹고 놀고 있었다.사람들은 밤새도록 모닥불을 피우며 전 세계의 음악가들과 함께 잔디밭에서 놀고 있을 것이다.그것은 매우 중요한 인간 경험이었고 결국 함께 놀게 된 많은 사람들을 만났다."[7]세션이 끝나자 크리스펠은 재빨리 우드스톡으로 자리를 옮겨 그 후 줄곧 그곳에 거주해 왔다.[4][11]
크리에이티브 뮤직 스튜디오에 있는 동안 크리스펠은 앤서니 브랙스턴도 만났는데, 앤서니 브랙스턴은 그녀를 자신의 그룹과 함께 앉도록 초대했다.그녀는 다음과 같이 회상한다: "우리가 처음 공연할 때 앤서니는 내 손에 맥주를 들고 '릴렉스, 그렇게 많은 음을 연주하지 마.'나는 1분에 천음처럼 연주하고 있었는데, 그는 끊임없이 빗발치는 것과는 반대로 공간과 호흡과 표현에 대해 생각하게 만든 최초의 사람이었다."[9]그녀는 곧 브랙스턴의 크리에이티브 뮤직 오케스트라와 그의 4중주단에 초대되었는데, 이 중 1983년부터 1995년까지 회원이었으며 베이시스트 마크 드레서, 드러머 게리 헤밍웨이가 출연했다.[6]이 기간 동안 그녀는 브랙스턴과 함께 대략 십여 개의 녹음을 만들었고, 그녀 자신의 이름으로 녹음을 발표하기 시작했다.그녀는 그 그룹에서의 자신의 재임 기간과 관련해 "나는 가족과 같았다.앤소니와 함께 놀면서 공간과 침묵과 숨결, 즉흥적으로 작곡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정말 많은 것을 알게 되었다...그의 작품 안에 있는 것만으로도 작곡에 대해 많은 걸 배웠어정말 인상 깊었던 것은 그가 현대 클래식 음악가들과 매우 비슷하면서도 훨씬 더 자유로워 해석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작곡을 하고 말했다.[4]그 이후로 침묵과 공간은 그녀의 녹음의 중심 부분으로 알려지게 되었다.마릴린은 포스트제너와의 인터뷰에서 "처음부터 창작 음악을 연주하기 시작했는데, 공연에서 별다른 침묵을 남기지 않은 것 같다.나는 정력적으로 놀고 내가 할 수 있는 것을 보여주는 데 집중했다.그런 생각은 이제 내 마음가짐과는 아주 거리가 멀다고 말했다.[12]
During the late 1970s and 1980s, she also worked and recorded with Reggie Workman, Roscoe Mitchell, Wadada Leo Smith, the Barry Guy New Orchestra, the Henry Grimes Trio, the European Quartet Noir (with Urs Leimgruber, Fritz Hauser, and Joëlle Léandre), and Babatunde Olatunji.1981년 그녀는 크리에이티브 뮤직 스튜디오 10주년을 기념하여 열린 우드스톡 재즈 페스티벌에서 공연을 했다.
1990년대 초, 그녀의 스타일은 스톡홀름에 방문하면서 더욱 발전하기 시작했는데, 그곳에서 그녀는 베이시스트 안데르스 조르민이 포함된 스웨덴 그룹의 말을 들었다.그녀는 회상한다: "그냥 내 신경을 건드렸다...그것은 내가 하고 싶어도 하지 않았을 서정적인 일들에 대한 문을 열어주었다."[6] "이런 종류의 아름다움과 노르딕 사운드와 부드러움은 내가 정말 항상 강해지려고 노력했기 때문에 숨겨두었던 어떤 것을 내게서 열어주었다.로맨틱한 것들을 할 때도 나는 많은 에너지를 가지고 그것들을 연주했다.그래서 갑자기 이 다른 소리가 내 의식 속으로 들어와 내가 표현할 수 없었던 내 안의 무언가와 함께 울려 퍼졌다."[4]그녀는 곧 조르민과 그의 보텀 퀸텟과 함께 공연하고 녹음했다.1996년에 그녀는 "Nothing Ever Was"를 녹음했다. 어쨌든: 게리 피콕, 폴 모티안, 그리고 ECM을 위한 첫 앨범인 아네트 피콕과 함께하는 아네트 피콕.자신의 ECM 기록과 관련해 그는 "ECM과 함께 해온 많은 일들은 외적인 것보다 내적인 강도에 관한 것"이라고 말했다.나는 두 주 사이에 야생의 에너지와 극단적 내성적인 두 가지 동전의 양면성이 연관되어 있다고 느낀다.나는 둘 다 하고 그들 사이에 유기적인 연관성이 있다고 느낀다 - 그들 사이의 통합.ECM 레코딩으로 시간 내에 거의 정지될 정도로 느리게 재생한다는 생각이 마음에 든다고 말했다.[10]
Crispell has continued to perform and record extensively as a soloist and leader of her own groups, as well as with the Evan Parker Trio, an all-female trio led by Denmark’s Lotte Anker, Tisziji Munoz, Ivo Perelman, Scott Fields, the Copenhagen Art Ensemble, Trio Tapestry with saxophonist Joe Lovano and bassist Carmen Castaldi, Trio 3 (Reggie Workma, 올리버 레이크, 앤드류 시릴), 데이브 더글러스 트리오, 타이숀 소리, 그리고 많은 다른 음악가들.그녀는 또한 존 케이지, 폴린 올리버스, 로버트 코간, 포지 에스코트, 만프레드 니하우스, 앤서니 데이비스(뉴욕 시티 오페라와의 그의 오페라 X, The Life and Times of Malcolm X 포함)와 같은 현대 작곡가들의 음악을 연주하고 녹음했다.
그녀는 즉흥연주 워크샵을 가르쳤고 전세계에서 강연/시연을 했으며 시인, 댄서, 영화제작자, 비디오 작가들과 협력했다.그녀는 구겐하임 음악회(2005-2006년),[13] 메리 플래글러 캐리 자선 신탁 작곡 위원회(1988-1989년), 뉴욕 예술 펠로우십 후원금(1988-1989년, 1994-1995년, 2006-2007년)의 수상자로 활동했다.1996년 크리스펠은 뉴잉글랜드 음악원에서 우수 동문상을 수여받았고, 2004년에는 지난 100년간 가장 우수한 100명의 동문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다.[14]그녀는 교육용 DVD "즉흥연주를 위한 피아니스트의 안내서: 창의력을 발휘할 수 있는 열쇠"(2002년, 홈스펀 비디오)의 저자다.[15]
2000년에 크리스펠은 길레스 코레의 프랑스 영화 'Women in Jazz'에 출연했다.[16]2005~2006년에는 밴쿠버에서 NOW 오케스트라와 협연하고 녹음했으며, 밴쿠버 크리에이티브 뮤직 연구소의 공동 연출자와 밴프 센터 국제 재즈 워크숍에서 교수진을 지냈다.[6]그녀는 또한 사비아 버거의 안무와 함께 사이 투블리 드림하우스라는 제목의 멀티미디어 제작을 제작하고 감독했다.[17]2017년에는 뉴욕 우드스톡의 클라인어트/제임스 갤러리에서 그래픽 점수 전시인 드로잉 사운드에서 비주얼 아티스트 조간터, 스코틀랜드 출신 색소폰 연주자 레이먼드 맥도날드와 협업했다.[18]
음반 목록
리더/공동 리더로서
개봉년도 | 제목 | 라벨 | 메모들 |
---|---|---|---|
1983 | 미사용 하늘에 걸려 있는 리듬 | 레오 | 솔로 피아노 |
1983 | 스피릿 뮤직 | 캐던스 | 4중주단은 빌리 방(바이올린), 웨스 브라운(기타), 존 베치(드럼스)와 함께 연주한다. |
1983 | 베를린에서 열린 콘서트 83 | FMP | 솔로 피아노 |
1984 | 베를린에 산다 | 블랙 생트 | 4중주단은 빌리 방(바이올린), 피터 코왈드(바스), 존 베치(드럼스)와 함께 한다. |
1985 | And Your Ivory Voice Sings | 레오 | 듀오, 더그 제임스와 함께 (파격) |
1987 | 콰르텟 즉흥연주, 1986년 파리 | 레오 | 4중주단, 디디에 페티트(첼로), 마르치오 마토스(바스), 요발 민세마허(드럼) |
1988 | 미로 | 빅토 | 솔로 피아노 |
1988 | 가이아 | 레오 | 트리오, 레지 워크맨(베이스, 드럼, 타악기), 더그 제임스(드럼, 타악기)와 함께 |
1989 | 샌프란시스코에 산다 | 음악 & 예술 | 솔로 피아노; 협연하여 |
1990 | 듀엣 밴쿠버 1989 | 음악 & 예술 | 듀오, 앤서니 브랙스턴(알토 색슨, 플루트)과 함께; 협연하여 |
1990 | 취리히에 산다 | 레오 | Trio, Regie Workman (bass), Paul Motian (drums)과 함께; 함께. |
1991 | 서클 | 빅토 | 퀸텟은 올리버 레이크(소프라노 색스, 알토 색스), 피터 부에트너(테너 색스), 레지 워크맨(베이스), 게리 헤밍웨이(드럼스)와 함께 호흡을 맞춘다. |
1991 | 키친 콘서트 | 레오 | 트리오, 마크 드레서(바스), 게리 헤밍웨이(드럼스)와 함께 |
1991 | 오버래핑 핸즈 | FMP | 듀오, 아이린 슈바이저(피아노)와 함께 |
1992 | 듀오 | 뜨개질 공장 | 듀오, 게리 헤밍웨이와 함께 (드럼스) |
1992 | 피아노 듀엣(조율된 피아노 및 분리된 피아노용) | 레오 | 듀오, 게오르크 그라웨와 함께 |
1993 | 콜트레인용 | 레오 | 솔로 피아노; 협연하여 |
1993 | 산투에리오 | 레오 | 마크 펠드만(바이올린), 행크 로버츠(첼로), 게리 헤밍웨이(드럼스)와 함께 하는 4중주단. |
1993 | 1992년 여름 미국 투어의 하이라이트 | 음악 & 예술 | 트리오, 레지 워크맨(bass), 게리 헤밍웨이(drums)와 함께 |
1994 | 밴드 온 더 월 | 비길 데 없는 | 듀오, 에디 프레보스트(드럼스)와 함께; 함께. |
1995 | 백 더 나이트 | B&W 뮤직, X-Talk | 퀸텟, 프리츠 하우저, 힐데가드 클렙, 우르스 라이프그루버, 엘비라 플레나르와 함께. |
1995 | 캐스케이드 | 음악 & 예술 | 3인조, 배리 가이(bass), 게리 헤밍웨이(drums, vibrampone, gamelan)가 함께한. |
1995 | 대조: 요시네 집에서 산다(1995) | 음악 & 예술 | 솔로 피아노; 협연하여 |
1995 | 하이페리온 | 음악 & 예술 | 트리오(Peter Brözmann, saxopones, clarinets, tarogato), Hamid Drake(드럼스)와 함께. |
1995 | 스프링 투어 | 앨리스야. | 안데르스 조르민(바스), 레이먼드 스트리드(드럼스)와 함께한 트리오 |
1995 | 추론 | 음악 & 예술 | 듀오, 팀 베른(알토 색스)과 함께; 함께. |
1995 | Live at Mills College, 1995 | 음악 & 예술 | 솔로 피아노; 협연하여 |
1996 | 우드스톡 콘서트 | 음악 & 예술 | 솔로 피아노; 협연하여 |
1996 | 데스티니 | 옥카 디스크 | 트리오, 프레드 앤더슨(테노르 색스), 하미드 드레이크(파악)와 함께; 함께. |
1996 | 커넥팅 스피릿 | 음악 & 예술 | 듀오, 조셉 자먼(알토 색스, 플루트)과 함께; 협연하여 |
1997 | 지금까지 없었던 일, 어쨌든:아네트 공작의 음악 | ECM | 게리 피콕(바스), 폴 모티안(드럼), 아네트 피콕(보컬)이 추가된 트랙 4중주. |
1998 | 다크나이트, 그리고 루미너스 | 에디시온 노바 시대 | 아구스티 페르난데스(피아노)와의 듀오; 협연 |
2000 | 빨간색 | 블랙 생트 | 듀오, 스테파노 말티스(자유)와 함께 |
2001 | 파랑 | 블랙 생트 | 스테파노 말테세(자유)가 속한 대부분의 트랙 듀오, 지오콘다 실리오(보컬스)가 추가된 트랙 트리오도 있다. |
2001 | Selected Works 1983-1986 (Solo, Duo, Quarth) | 새로운 재즈의 황금시대 | 컴파일 |
2001 | 아마릴리스 | ECM | 트리오, 게리 피콕(바스), 폴 모티안(드럼스)과 함께 |
2001 | 콤마사이트 | 빅토 | 3디스크 세트.크리스펠은 한 디스크에서 솔로 피아노를 연주하고, 다른 두 디스크는 폴 플림리 / 존 오스왈드와 세실 테일러가 연주한다. |
2004 | 이야기꾼 | ECM | 트리오, 마크 헬리아스(바스), 폴 모티안(드럼스)과 함께 |
2005 | 1982년 10월 16일: 독일 도나우슈칭거 무식지 | 부틀레그 / 승인되지 않음 | 4중주단은 빌리 방(바이올린), 피터 코왈드(바스), 존 베치(드럼스)와 함께 한다. |
2007 | 비그네트 | ECM | 솔로 피아노 |
2008 | 시바네 (We Are One) | 인탁트 | 듀오, 루이 모홀로 모홀로(드럼, 타악기)와 함께 |
2009 | Nya Perspektiv Festivals 2004 및 2007에서 공동 작업 실행 | 레오 | 다양한 앙상블: Magnus Broo(트럼펫), Palle Danielsson(바스), Fredrik Ljungkvist(클라리넷과 색소폰), Paal Nilssen-Love(드럼), Lars-Goran Ulander(삭스폰), Per Zanussi(바스)와 함께. |
2010 | 어느 어두운 밤 나는 조용한 집을 떠났다. | ECM | 듀오, 데이비드 로텐버그와 함께 |
2011 | 친근감 | 인탁트 | 듀오, 게리 헤밍웨이와 함께 (드럼, 타악기, 비브라폰) |
2011 | 이 떠오르는 세상 | 래틀 레코드 | 트리오, 제프 헨더슨(자유), 리처드 넌스(타옹가 푸오로)와 함께 |
2011 | Free Flight: Live At Living Jazz Festival 2010 | 픽셀 | 트리오, 에르윈 디츠너, 세바스티안 그램스와 함께 |
2012 | 플레이 브랙스턴 | 짜디크 | 마크 드레서, 게리 헤밍웨이와 함께한 트리오 |
2013 | 아즈레 | ECM | 듀오, 게리 피콕과 함께 |
2015 | 변경사항 표 | 인탁트 | 듀오, 게리 헤밍웨이와 함께 (드럼스) |
2016 | 인 모션 | 인탁트 | 트리오, 게리 피콕(바스), 리처드 풀(드럼스)과 함께 |
2018 | 드림월크 | 두 개 아님 | 트리오, 조 폰다(바스), 하비 소르겐(드럼스)과 함께 |
2018 | 드림 리브레토 | 레오 | 대부분의 트랙 듀오, 타냐 칼마노비치(바이올린), 일부 트랙 트리오, 리처드 테이텔바움(전자공학)이 추가됐다. |
2019 | 시간의 장식 | 파이 | 듀오, 티숀 소리와 함께 (드럼, 타악기) |
2020 | 달을 돌리는 방법 | 화쇄성 | 듀오, 안젤리카 산체스와 함께 |
사이드 뮤지션으로서
- 시적 정의 (Dacapo, 2001)
- 앤서니 브랙스턴과 함께
- 구성 98(HATART, 1981)
- 식스 컴포지션 (쿼텟) 1984 (블랙 생, 1985)
- 사중주 (런던) 1985년 (Leo, 1985년[1988년]
- Pragmatic 1984 (Quartet Performance) (사운드 측면, 1984 [1990])
- 사중주 (버밍엄) 1985년 (Leo, 1985년 [1991년])
- Wilisau (Quartet) 1991 (HATART, 1991년)
- 4중주 (코벤트리) 1985년 (Leo, 1985년 [1993년])
- (빅토리아빌) 1992년 (빅토, 1993년)
- 12가지 구성:1993년 7월 캘리포니아 오클랜드의 요시즈에서 라이브로 녹음 (뮤직 앤 아트, 1994)
- 크리에이티브 오케스트라 (Köln) 1978 (HATART, 1978 [1995])
- 사중주 (산타 크루즈) 1993 (HATART, 1993 [1997])
- Coventry 콘서트 (Bootleg / United, 2006)
- 오케스트라 (파리) 1978 (부틀그 / 승인되지 않음, 2011)
- 4중주단 (뉴욕) 1993 - 세트 1 (부틀거 / 무허가, 2011)
- 4중주 (뉴욕) 1993 - 세트 2 (부틀거 / 무허가, 2011)
- The Complete remastered Records on Black Saint & Soul Note (C.A.M. Jazz, 2011)
- 사중주 (Karlsruhe) 1983 (라이브, 아카이브) (뉴 브랙스턴 하우스, 2012)
- 4중주단 (Mulhouse) 1983 (라이브, 아카이브) (New Braxton House, 2012)
- CMS Archive Selections, Volume 2 (Planet Arts, 2015)
- Andrea Centazzo와 함께
- 도난당한 순간(Ictus, 2020)
- 아구스티 페르난데스 씨와 함께
- 리버 타이거 화재 (Fundacja Swuchaj!, 2015)
- 스콧 필즈와 함께
- 48 동기, 1996년 1월 11일 (Cadence, 1996년)
- 냉동 계란 5개 (음악과 예술, 1997)
- 스테판 뎀스키 – 소노트로피즘 (음악예술, 1997년)
- 존 게기, 닉 프레이저와 함께
- 게기 프로젝트(Abamations Magnettique, 2008)
- 글래스고 즉흥 연주자 오케스트라와 에반 파커와 함께
- Parallel Moments Unbreak (FMR, 2018)
- 블루 호라이즌. 배리 가이@70 [Ad Libitum Festival 2017] (Fundacja Swuchaj!, 2018)
- 배리 가이 런던 재즈 작곡가 오케스트라와 함께
- 배리 가이 뉴 오케스트라와 함께
- 삽입—Tableaux (Intakt, 2001)
- 가이-구스타프손-스트리드 트리오와 함께
- 그리프그리프스: 1996년 스웨덴 라디오 콘서트 [라이브] (음악예술, 1997)
- 프랑수아 훌과 함께
- 모든 지형 격동(Red Toucan, 1995년)
- 안데르스 조르민과 함께
- 헨리 카이저와 함께
- 영원의 푸른색 (샤나치, 1995년)
- 스티브 레이시와 함께
- 파이브 페이싱(FMP, 1996)
- 조엘 랑드레와 함께
- 조엘 레안드레 프로젝트(Leo, 2000년)
- 스톤 쿼텟: 라이브 앳 비전 페스티벌 (Aeler, 2011)
- Urs Liemgruber, Joelle Leandre, Fritz Hauser와 함께
- 사중주 누아르 (빅토, 1999)
- 사중주 누아르 루가노(Victo, 2005년)
- 조 로바노와 함께
- 레이먼드 맥도날드와 함께
- 평행 모멘트 (Babel, 2014)
- Songs Awide The Way (Babel
- 레이먼드 맥도날드, 피에르 알렉산드르 트랑블레이와 함께
- 투 듀오 : 스리 트리오 (브루스의 손가락, 2016)
- 로스코 미첼 크리에이티브 오케스트라와 함께
- 대나무에서 본 스케치 (Moers, 1979년)
- MGM 트리오(Ramboy, 1996년)
- 상서로운 힐링! (아나미, 2000)
- 생사의 수레바퀴 깨기 (Anami, 2000)
- 하트 투 하트 (Anami, 2013)
- 아름다운 공허함 (Anami, 2014)
- 독립의 역설 (Anami, 2014)
- NOW 오케스트라와 함께
- 폴라 (빅토, 2005년)
- 래리 오츠와 함께
- 시크릿 매그리트 (Black Saint, 1996년)
- 파커-기이-리튼 트리오와 함께
- 이보 페렐만과 함께
- 넬리 푸젯과 함께
- 르 보아르 (Minuit 5 Anese, 1998)
- 미셸 랍비아와 빈센트 쿠르투아와 함께
- 시프팅 그레이스 (CAM Jazz, 2006)
- 그렌셀랜드 (Drollehala, 2018)
- 코끼리 날개 (Drolehala, 2012)
- 와다다 레오 스미스와 함께
- 티숀 소리와 함께
- 시간의 장식(Pi Recordings, 2019)
- 레지 워크맨과 함께
- 바비 짱켈과 함께
- 휴먼 플라워즈 (CIMP, 1996년)
- 존 케이지의 공연 작품
- 피아노, 토이 피아노 & 준비된 피아노, Vol. III (Wergo, 1991년)
- 스텔라 펄스 (Leo, 1994)
필모그래피
- 길레스 코레의 Femmes du Jazz / Women in Jazz(2000년)
- 폴 라몽의 노래집(2019년)
- 마이클 패트릭 켈리의 모션 인 모션(2020년)
- ECM50 2000 - IJ의 Marilyn Crispell(ECM, 2020에 관한 51편의 단편 영화 시리즈에 수록된 에피소드)비어만
참조
- ^ a b Erlewine, Michael; Bogdanov, Vladimir; Woodstra, Chris; Yanow, Scott, eds. (1996). All Music Guide to Jazz (2nd ed.). Miller Freeman. p. 178.
- ^ Pareles, Jon (March 26, 1984). "Noted in Brief: Marilyn Crispell Plays Solo Jazz Piano". NYTimes.com. Retrieved June 9, 2020.
- ^ a b Johnson, Martin (November 2020). "Reviews: Anglica Sanchez & Marilyn Crispell". JazzTimes: 61.
- ^ a b c d e f Sheridan, Molly (August 20, 2009). "Marilyn Crispell: Between the Lines". NewMusicBox.org. Retrieved June 9, 2020.
- ^ a b Enstice, Wayne; Stockhouse, Janis (2004). Jazzwomen: Conversations With Twenty-One Musicians. Indiana University Press. pp. 85.
- ^ a b c d Greenland, Tom (October 13, 2006). "Marilyn Crispell". All About Jazz. Retrieved July 19, 2010.
- ^ a b c d e Brady, Shaun (May 1, 2019). "Overdue Ovation: Marilyn Crispell". JazzTimes.com. Retrieved June 9, 2020.
- ^ Enstice, Wayne; Stockhouse, Janis (2004). Jazzwomen: Conversations With Twenty-One Musicians. Indiana University Press. pp. 86.
- ^ a b Shatz, Adam (September 23, 2001). "A Chosen Calm After the Avant-Garde Storm". NYTimes.com. Retrieved June 9, 2020.
- ^ a b Peterson, Lloyd (March 20, 2009). "Marilyn Crispell: Uncompromising Power and Grace". AllAboutJazz.com. Retrieved June 9, 2020.
- ^ Lock, Graham (1994). Chasing the Vibration: Meetings with Creative Musicians. Exeter: Stride. pp. 105–111.
- ^ https://postgenre.org/uesaka-crispell/
- ^ "John Simon Guggenheim Memorial Foundation: Marilyn Crispell". gf.org. Retrieved June 9, 2020.
- ^ "Marilyn Crispell: Biography". MarilynCrispell.com. Retrieved June 9, 2020.
- ^ A pianist's guide to free improvisation: keys to unlocking your creativity. WorldCat.org. OCLC 51197945. Retrieved June 9, 2020.
- ^ "Femmes du Jazz / Women in Jazz: A film by Gilles Corre". fmp-online.de. Retrieved June 9, 2020.
- ^ "Come As A Musician, Leave As A Master". CreativeMusic.org. Retrieved June 9, 2020.
- ^ "Drawing Sound: An Exhibition and Musical Performance of Graphic Scores" (PDF). WoodstockGuild.org. Retrieved June 9, 2020.
추가 출처
- 크리스펠, 마릴린2000. "즉흥적 요소:세실 테일러와 앤서니 브랙스턴을 위해서."아르카나에서: 뮤지션 온 뮤직, 에드존 조른, 190-192년뉴욕: 그라나리 북스/힙스 로드.
외부 링크
- 공식 웹사이트
- 마릴린 크리스펠의 단편 영화 초상화
- 마릴린 크리스펠 인터뷰는 재즈에 관한 것이다.com
- 컬럼비아 대학의 Marilyn Crispell 컬렉션에 대한 도움 찾기.희귀한 책 & 원고 도서관.
- Lopez, Rick. "The Marilyn Crispell Sessionography". Retrieved December 13,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