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너드 퍼거슨
Maynard Ferguson메이너드 퍼거슨 | |
---|---|
![]() | |
배경 정보 | |
생년월일 | 월터 메이나드 퍼거슨 |
태어난 | 캐나다 퀘벡주 베르둔 | 1928년 5월 4일
죽은 | 2006년 8월 23일 ( Ventura, 캘리포니아, 미국 | (78세)
장르 |
|
직업 |
|
기기 | |
액티브 년수 | 1939–2006 |
라벨 | |
웹 사이트 | maynardferguson |
월터 메이나드 퍼거슨 CM(Walter Maynard Ferguson CM, 1928년 5월 4일 ~ 2006년 [1][2]8월 23일)은 캐나다의 재즈 트럼펫 연주자이자 밴드 리더이다.그는 1957년 자신의 빅 밴드를 결성하기 전에 스탠 켄튼의 오케스트라에서 두각을 나타냈습니다.그는 종종 떠오르는 [3]재능을 위한 디딤돌이 된 밴드, 여러 악기에 대한 그의 다재다능함, 그리고 높은 음역에서의 연주 능력으로 유명했다.
전기
초기 생활과 교육
퍼거슨은 캐나다 [4]퀘벡의 베르둔에서 태어났다.어머니와 아버지의 격려로 그는 4살 때 피아노와 바이올린을 연주하기 시작했다.9살 때 그는 동네 교회에서 처음으로 코넷을 듣고 부모님께 코넷을 사달라고 부탁했다.그가 13살이었을 때, 그는 캐나다 방송 관현악단에서 독주했다.그는 CBC에서 자주 들렸는데, 특히 모리스 데이비스가 그를 위해 쓴 "재즈의 트럼펫을 위한 세레나데"에 출연했습니다.그는 1943년부터 1948년까지 버나드 베이커에게 공부한 퀘벡 아 몽트레알 음악원에서 장학금을 받았습니다.
퍼거슨은 15살 때 음악 경력을 쌓기 위해 몬트리올 고등학교를 중퇴하고 스탠 우드, 롤랜드 데이비드, 조니 홈즈가 이끄는 댄스 밴드에서 공연을 했다.트럼펫이 그의 주요 악기였지만, 그는 다른 금관악기와 갈대악기에도 연주했다.그는 색소폰 연주자 동생 퍼시가 만든 댄스밴드를 이어받아 몬트리올 지역에서 데이트를 하고 캐나다와 미국 투어 밴드들의 오프닝 액트로 활동하다 미국 밴드 리더들의 주목을 받으며 미국행을 제안받기 시작했다.
1948년, 퍼거슨은 스탠 켄튼의 밴드에 합류하려고 미국으로 [3]건너갔지만, 더 이상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퍼거슨은 보이드 레이번, 지미 도시, 찰리 바넷의 [4]밴드와 함께 연주했다.바넷 밴드에는 Doc Severinsen, Ray Wetzel, Johnny Howell, Rolf Ericson이 포함되어 있었다.퍼거슨은 바넷의 제롬 컨의 "All The Things You Are" 녹음에 피처링을 했다.그 녹음은 Kern의 미망인을 격분시켰고 [5]판매에서 손을 뗐다.
켄튼 앤 할리우드
1950년 1월, 켄튼은 [2]현악기가 있는 40개조 재즈 오케스트라인 이노베이션 오케스트라를 결성했다.바넷 밴드가 접힌 후 퍼거슨은 1월 1일 첫 리허설을 할 수 있었다.이 오케스트라의 음반 중 하나는 "메이나드 퍼거슨"으로 명명되었는데, 이는 솔리스트들의 이름을 딴 일련의 곡들 중 하나이다.켄튼이 보다 실용적인 19피스 재즈 밴드로 돌아왔을 때, 퍼거슨은 수많은 솔로 피쳐로 그와 함께 세 번째 의자에 앉았다.퍼거슨이 피처링한 이 시기의 주목할 만한 음반으로는 "Invention for Guitar and Trumpet", "What's New?", "The Hot Canary" 등이 있다.
1953년 퍼거슨은 켄튼을 떠나 파라마운트 영화사의 [6]트럼펫 교장으로 3년을 보냈다.그는 십계명을 포함한 46개의 사운드트랙에 출연했다.그는 또한 보통 재즈 악보가 있는 몇몇 다른 비-파라마운트 영화 사운드트랙에서도 연주했다.퍼거슨은 마틴과 루이스의 영화 'Living It Up'과 'You're Never Too Young'을 포함한 그 시대의 여러 사운드 트랙에서 분명히 구별될 수 있다.그는 여전히 재즈를 녹음했지만, 그의 파라마운트 계약 때문에 재즈 클럽에서 연주할 수 없었다.이것은 때때로 "타이거 브라운"이나 "폭시 코비"와 같은 가명으로 나타나면서 회피되었다.그는 꾸준한 수입을 누렸지만 라이브 공연 기회의 부족에 불만을 품고 1956년 [citation needed]파라마운트를 떠났다.
버드랜드 드림밴드
퍼거슨은 1956년 2월과 3월에 녹음된 LP 하바나 오전 3시에 페레스 프라도 오케스트라와 함께 연주했다.1956년 그는 모리스 레비가 만든 14인조 빅 밴드인 [2]버드랜드 드림 밴드에 "올스타" 라인업으로 가입하여 뉴욕의 레비 버드랜드 재즈 클럽에서 연주했다.비록 "버드랜드 드림 밴드"라는 이름이 단명하고 1년 동안 단 두 개의 앨범으로 대표되지만, 이 밴드는 이후 9년 동안 퍼거슨의 공연 밴드의 핵심이 되었다.
마이크 아베네, 자키 바이어드, 빌 체이스, 로니 쿠버, 프랭키 던롭, 돈 엘리스, 조 파렐, 두스코 고이코비치, 토니 인잘라코, 루퍼스 존스, 윌리 메이든, 론 맥클루어, 롭 매코넬, 랜자 등이 이 밴드에 포함됐다.편곡자이면서 공연자이기도 한 사람들로는 허브 겔러, 슬라이드 햄튼, 빌 홀먼, 돈 [6]세베스키가 있었다.
1959년 퍼거슨은 레너드 번스타인의 지휘로 뉴욕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초청으로 윌리엄 루소의 '타이탄스' 교향곡 2번을 연주했다.
1961년, 퍼거슨은 1961-1962년 ABC 모험 드라마 텔레비전 시리즈 스트레이트 어웨이 주제곡을 작곡했다.그의 1961년 앨범 "Straightaway" Jazz Themes"에는 그가 시리즈를 위해 작곡한 음악이 수록되어 있다.
1960년대 빅 밴드들의 인기와 경제성이 떨어지면서 퍼거슨의 밴드는 공연 빈도가 낮아졌다.그는 음악적으로 숨이 막히기 시작했고 그의 미국 재즈 관객들 사이에서 변화에 대한 거부감을 느꼈다.다운비트의 한 인터뷰에 따르면, 그는 밴드가 "마리아"나 "올레"를 연주하지 않으면 팬들은 실망한 채 집으로 돌아갔다고 말했다.그는 1966년에 [7]그의 빅 밴드를 해체하기 전에 6인조로 연주하기 시작했다.
밀브룩, 인도 및 사이키델릭스
오랜 녹음 계약과 그의 메인 클럽 공연의 끝을 떠난 후, 퍼거슨은 1963년 11월 그의 가족을 뉴욕 밀브룩의 히치콕 에스테이트로 옮겨 하버드 대학 출신의 티모시 리어리, 램 다스, 그리고 그들의 커뮤니티와 함께 살았다.그와 그의 아내 플로는 LSD, 실로시빈, 그리고 다른 사이키델릭 약물을 사용했다.그들은 약 3년 동안 밀브룩에서 클럽을 연주하고 여러 [1][8][9]장의 앨범을 녹음하며 살았다.퍼거슨은 사이키델릭한 장면을 상세히 묘사한 The Electric Kool-Aid Acid Test에 언급되었다.
1967년 밀브룩 실험이 끝나갈 무렵 퍼거슨은 가족을 인도로 옮겨 마드라스 인근의 크리슈나무르티에 본부를 둔 리시 밸리 학교에서 가르쳤다.그는 Sri Sathya Sai 고등교육연구소의 소년 브라스 밴드에서 일했고, 몇 년 동안 이 밴드를 설립하여 가르쳤다.인도에 있는 동안, 그는 그가 정신적 스승으로 [10]여겼던 사티야 사이 바바의 영향을 받았다.
잉글랜드 재즈 록
영국에 있는 캐나다인으로서 퍼거슨은 미국 음악가들에 [6]대한 노조의 금지를 피했다.1969년, 그는 런던 근처의 윈저 외곽에 있는 마을인 Oakley Green으로 이사했다.그는 영국에 있는 동안 두 채의 집을 가지고 있었는데, 마지막 집은 템즈 강가에 있는 3층짜리 집이었다.같은 해 퍼거슨은 CBS 레코드와 계약을 맺었다.
그는 재즈 [4]록을 연주하는 영국 음악가들과 함께 16~18개의 빅 밴드를 시작했다.이 밴드는 짐 웹의 "맥아더 파크" 버전으로 주목을 받았다.퍼거슨의 밴드는 [6]1971년에 북미에 데뷔했다.
1970년에 그는 런던 위크엔드 [11]텔레비전의 사이먼 디 쇼에서 그 밴드를 이끌었다.
미국으로 돌아가다
퍼거슨은 1973년 뉴욕시로 이사한 뒤 2년도 안 돼 캘리포니아 오자이로 이사했다.그는 영국 밴드 멤버를 미국 음악가로 대체하고 멤버 수를 12명으로 줄였다[6]: 4개의 트럼펫, 2개의 트롬본, 3개의 색소폰, 그리고 3개의 리듬 섹션.이 시기의 앨범에는 1973년과 1974년 뉴욕에서 녹음된 M.F. Horn 4&5: Live At Jimmy's and Cameleon이 포함되어 있다.퍼거슨은 버클리 음대, 노스텍사스 주립대, 마이애미 대학과 같은 재즈 프로그램이 있는 대학의 음악가를 고용함으로써 재즈 교육 운동의 급증을 탔다.그는 젊은 관객들을 위해 공연을 했고 대학과 고등학교에서 마스터클래스를 했다.이 전략은 그가 남은 [citation needed]경력 동안 그를 지탱할 수 있는 청중을 만드는 데 도움을 주었다.
1975년, 퍼거슨은 밥 제임스와 함께 현악기, 보컬리스트, 그리고 게스트 솔리스트를 포함한 대규모 세션 뮤지션 그룹과 함께 상업적으로 성공한 일련의 앨범 작업을 시작했다.이 앨범들 중 첫 번째 앨범은 칙 코레아, 마크 콜비, 스티브 개드, 바비 밀리텔로가 참여한 Primal Scream이었다.두 번째 콩키스타도르(1976)는 영화 록키에서 22위 팝 싱글 "Gonna Fly Now"를 발표해 골드 앨범을 얻었다.그는 바쁜 투어 일정을 유지했다.상업적 성공은 기타리스트와 타악기 연주자를 그의 밴드 라인업에 추가하는 것을 포함했다.1976년 중반, 퍼거슨은 몬트리올 올림픽 폐막식에서 "불꽃을 불어 끄다"는 상징적으로 트럼펫을 연주했다.
퍼거슨은 자신의 밴드를 앨범에 사용하고 재즈 곡을 연주할 수 없는 것에 대해 콜롬비아에 실망했다.그의 콜롬비아와의 계약은 베이시스트 스탠리 클라크가 프로듀싱한 앨범 헐리우드(1982년)가 발매된 후 끝났다.이 기간 동안 그는 마이클 잭슨의 노래 "Don't Stop 'Til You Get Enough"의 인스트루멘털 버전을 녹음했다. 이 곡은 나중에 Red Globo가 1983년부터 2019년 사이에 네트워크에서 방영된 Védeo Show의 주제곡으로 사용했다.
퍼거슨은 1986년 [2]퓨전 셉텟인 High Voltage를 결성하기 전까지 레이블이 작은 빅 밴드 앨범 3장을 녹음했다.멀티레드 선수 데니스 디블라시오가 출연한 이 작은 앙상블은 퍼거슨에게 덜 구조적인 형식으로 자유를 탐험할 수 있게 해주었다.High Voltage는 그의 매니저이자 사위인 짐 엑슨이 프로듀싱한 두 장의 앨범을 녹음했다.
빅 밥 누보
1988년 그의 60번째 생일을 기념하기 위해, 메이나드 퍼거슨은 대형 밴드 포맷과 더 주류 [2]재즈로 돌아왔다.그 후 2개의 트럼펫, 1개의 트롬본, 3개의 갈대, 3개의 리듬 섹션으로 구성된 9개의 악단인 빅 밥 누보가 결성되어 그의 남은 [2]경력 동안 그의 표준 투어 그룹이 되었다.나중에 트럼펫 연주자들에게 점점 더 많은 책임이 주어지면서, 바리톤 색소폰 자리는 세 번째 트럼펫 연주자로 대체되었다.이 밴드의 레퍼토리는 독창적인 재즈 작곡과 재즈 스탠다드의 현대적 편곡을 포함했고, 그의 1970년대 책에서 간간이 나온 곡들과 심지어 버드랜드 드림 밴드 시대의 수정된 차트도 포함했습니다; 이 형식은 관객들과 비평가들에게 성공적이었습니다.이 밴드는 보컬리스트 다이앤 슈어와 마이클 파인스타인을 지원하는 앨범을 포함하여 광범위하게 녹음했다.
Big Bop Nouveau는 2005년에 1년에 평균 200회 공연을 하는 8개월간의 투어를 시작했습니다.이 그룹은 멤피스의 전설 에드 사겐트가 지휘했고 오디오계의 거물 마이크 프리랜드가 혼합했다.비록 몇 년 후 퍼거슨의 플레이는 때때로 그의 젊은 시절의 범위와 경이로운 정확성을 잃었지만, 그는 항상 흥미로운 연주자로 남아 남은 인생 동안 빅 밥 누보와 1년에 평균 9개월을 여행했다.퍼거슨은 2006년 8월 23일 사망했다.
사생활
1973년, 퍼거슨은 캘리포니아 오자이에 정착했고, 그곳에서 죽을 때까지 살았다.그의 첫 번째 결혼은 가수 케이 브라운과의 결혼이었다.플로 퍼거슨과의 결혼은 2005년 2월 27일 그녀가 사망할 때까지 지속되었다.퍼거슨에게는 코비, 리사, 와일더 등 3명의 딸과 짐 함자와의 결혼을 통해 의붓딸 킴, 부모보다 먼저 태어난 아들 벤틀리가 있었다.킴 퍼거슨은 메이나드의 전 감독인 짐 엑슨과 결혼했다.와일더 퍼거슨은 재즈 피아니스트, 영화 작곡가, 그리고 전 빅 밥 누보 멤버인 크리스찬 제이콥과 결혼했다.리사 퍼거슨은 로스앤젤레스에 사는 작가이자 영화 제작자이다.사망 당시 퍼거슨에게는 에리카와 산드라라는 두 손녀가 있었다.
퍼거슨은 2006년 8월 23일 캘리포니아주 [12]벤추라의 커뮤니티 메모리얼 병원에서 신장과 간기능 부전으로 사망했다.
범용성

비록 그의 주요 악기가 트럼펫이었지만, 퍼거슨은 종종 다른 금관 악기들,[6] 특히 비교적 드문 밸브 트롬본을 연주했다.밴드 리더 러셀 가르시아와의 여러 녹음 세션에는 퍼거슨이 밸브 트롬본만을 연주한 4개의 트롬본 앙상블이 포함되어 있었다.1950년대 홍보 사진들과 앨범 표지에는 퍼거슨이 트럼펫, 밸브 트롬본, 바리톤 호른, 프렌치 호른으로 '쿼텟'을 연주하는 모습이 담겨 있었다.후자의 두 가지 녹음은 드물다; 프렌치 호른은 말년에 사라졌지만, 바리톤 호른은 1974년 앨범 카멜레온에 등장했다.그는 마지막 앨범을 제외한 모든 앨범에서 밸브/슬라이드 슈퍼본과 플루겔혼 콤비네이션으로 바꿨다.
퍼거슨은 파이어버드와 [6]슈퍼본을 디자인했다.파이어버드는 트럼펫과 비슷했지만 밸브는 오른손이 아닌 왼손으로 연주됐고 트롬본 스타일의 슬라이드가 오른손으로 연주됐다.트럼펫 연주자 라제시 메흐타는 암스테르담에 살 때 이 트럼펫을 구입했고 1998년부터 2011년까지 미국 트럼펫 제작자 조지 슈럽에게 오르카-M 나가 피닉스 트럼펫을 만들게 했다.Superbone은 왼손으로 연주되는 추가 밸브가 있는 또 다른 하이브리드 악기였다.퍼거슨은 인도의 악기와 영향을 그의 음악에 접목시켰다.
퍼거슨은 (캣 앤더슨과 같은 연주자들이 사용하던) 초고음에서 연주한 첫 번째 트럼펫 주자는 아니었지만, 그는 풀하고 풍부한 음색, 파워, 그리고 음악성을 가지고 높은[6] 음을 연주할 수 있었다.인터뷰에서 그는 자신의 상위 음역 지휘는 주로 호흡 [13]조절에 기초하고 있다고 말했는데, 이는 몬트리올의 젊은 시절에 발견한 것이라고 말했다.그는 그의 기술의 장수를 인도에서 추구한 영적 연구와 요가 연구 덕분이라고 말했다.
퍼거슨은 종종 차갑고 지적인 음악 장르에 카리스마를 불어넣었다.워싱턴포스트에 실린 그의 사망 기사는 다음과 같다.
"퍼거슨은 수천 명의 젊은 호른 연주자들을, 대부분 소년들로, 자부심과 흥분으로 빛냈습니다.종종 스포츠와 밴드 괴짜로 나뉘는 세상에서 퍼거슨은 그의 음악에 거의 운동 경기처럼 접근했기 때문에 건너갔다.무대에서 그는 긴장하고, 땀을 흘리고, 몸을 들썩이고, 소리를 질렀다.그는 샤크가 덩크슛을 못질하거나 로렌스 테일러가 러닝백을 못질하는 것처럼 상위 음계를 못질했다.관객들의 반응은 똑같았다.목소리 외침, 벌떡 일어서기, 허공에 날린 주먹.우리는 메이너드를 검투사, 전투병, 상투사, 서커스 강자로 응원했다.남성적인 [14]원형을 고르세요.
수상과 영예우
1950년, 1951년, 1952년 퍼거슨은 다운비트 독자 투표에서 최고의 트럼펫 [16][17][18]연주자로 선정되었다.1992년 그는 다운비트 재즈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메이너드 퍼거슨은 1976년 캐나다 몬트리올 올림픽 폐막식의 일환으로 특별한 트럼펫 곡을 연주한다.
2000년, 퍼거슨은 카파 카파싸이의 형제로서 감마 Xi 지부(매릴랜드 대학 칼리지 파크)에서 시작되었다.2006년에는 피무 알파 신포니아 음악 동호회의 찰스 E와 함께 공연을 가졌다.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에서 열린 전당대회에서 러튼 맨 오브 뮤직 어워드.그는 1976년 테네시 공대 시치 지부 명예회원으로 취임했다.
로완 대학의 '메이나드 퍼거슨 재즈 연구소'는 로완이 퍼거슨에게 유일한 명예 박사 학위를 수여한 바로 그 해인 2000년에 만들어졌다.퍼거슨의 친구인 데니스 디블라시오의 지휘 아래 이 연구소는 젊은 재즈 뮤지션들을 [19]훈련시키는 로완 재즈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있다.
메이나드 퍼거슨 밴드 졸업생들은 그가 죽은 직후 트럼펫 연주자 웨인 버거론, 패트릭 헤시온, 월터 화이트, 에릭 미야시로 [20]등이 이끄는 추모 콘서트를 위해 다시 모였다.
2000년 뉴저지주 글래스보로 소재 로완대에서 명예박사 학위를 받고 공연예술대학 데니스 디블라시오의 지도 아래 메이너드 퍼거슨 재즈연구소를 만들었다.텍사스 셔먼에 있는 셔먼 재즈 박물관은 2010년에 문을 열었고 퍼거슨 전 대통령의 재산에 대한 광범위한 기념품을 소장하고 있다.
음반 목록
- 발매일별
리더로서
- 1955 – Maynard Ferguson (EmArcy) 피처링 잼 세션
- 1956년 - 메이나드 퍼거슨의 할리우드 파티(EmArcy)
- 1956년 - 메이나드 퍼거슨과 혼을 돌다(Emarcy)
- 1956 – 치수 (Emarcy)
- 1955 – 메이너드 퍼거슨 옥텟 (EmArcy)
- 1957년 메이나드 퍼거슨과 그의 버드랜드 드림밴드
- 1957년 - 버드랜드 드림밴드 제2권
- 1957 – 놋쇠가 많은 소년 (Emarcy)
- 1958년 - 대학을 통해 스윙인 마이웨이(Roulette)
- 1958 – 뉴포트로부터의 메시지 (룰렛)
- 1959 – 버드랜드에서 온 메시지 (룰렛)
- 1959 – 메이나드 퍼거슨, 재즈 연주로 춤을 추다 (룰렛)
- 1960 – Newport Suite (룰렛)
- 1960 – 음악과 춤에 맞서자 (룰렛)
- 1961 – 메이나드 '61 (룰렛)
- 1961년 – Chris Connor(대서양)와의 이중 노출
- 1961 – "스트레이트 어웨이" 재즈 테마 (룰렛)
- 1961년 – 크리스 코너와 함께 하는 Two's Company (룰렛)
- 1962 – 62년 메이너드 (룰렛)
- 1962 – 시! 시! 엠에프 (룰렛)
- 1963년 - 메이나드 퍼거슨의 새로운 소리 (카메오)
- 1963 – 메이나드로부터의 메시지 (룰렛)
- 1963 – 63년 메이너드 (룰렛)
- 1964 – Maynard '64 (룰렛)
- 1964 – Come Blow Your Horn (카메오)
- 1964년 – Color Him Wild (미드레인지)– 요금으로 재발행
- 1964 – 블루스 로어 (미드레인지)– Screamin' Blues로 재발매
- 1965년 – Maynard Ferguson Sextet (미드레인지)– Six By Six 및 Magnitude (보너스 트랙 포함)로 재발매
- 1966년 – Ridin' High (엔터프라이즈)
- 1967 – 트럼펫 랩소디 (MP)– Maynard Ferguson 1969로 재발행
- 1968년 메이나드 퍼거슨의 발라드 스타일 (CBS)
- 1968 – 메이너드 및 구스타프 (수프라폰)
- 1970 – M.F. Horn (컬럼비아)– The World of Maynard Ferguson으로도 발매
- 1971 – 메이너드 퍼거슨 (컬럼비아)– 런던에서 Alive and Well로도 발매
- 1972 – M.F. 혼 투 (컬럼비아)
- 1973 – M.F. Horn 3 (컬럼비아)
- 1974년 - M.F. Horn 4&5: Live At Jimmy's (콜럼비아)
- 1974 – 카멜레온 (콜럼비아)
- 1976 – Primal Scream (컬럼비아)
- 1977 – 정복자 (콜럼비아)
- 1977 – 새로운 빈티지 (컬럼비아)
- 1978 – 카니발 (컬럼비아)
- 1979 – 핫 (컬럼비아)
- 1980 – It's My Time (콜럼비아)
- 1981 – 할리우드 (컬럼비아)
- 1983 – 스톰 (팔로알토)
- 1983년 – 샌프란시스코에서 그레이트 아메리칸 뮤직 홀 라이브 (팔로 알토)
- 1986 – 몸과 영혼
- 1987 – 고전압(Intima)
- 1988 – 고전압 2 (Intima)
- 1990 – Big Bop Nouveau (인티마)
- 1992년 – 풋패스 카페 (Avion)
- 1994 – 라이브 from 런던
- 1994 – 피콕 레인 할리우드 1957 라이브 (재즈 아워)
- 1994 – 이 고양이들은 스윙할 수 있다 (콘코드)[21]
- 1995 – 그레이트 아메리칸 뮤직 홀 라이브 파트 2 (상태)
- 1996년 - 버드랜드로의 1회 여행([22]콘코드)
- 1998 – Brass 태도 (콘코드)[23]
- 1999 – 빅 시티 리듬과 마이클 파인스타인
- 2001 – Swingin for Schuur with Diane Schuur (Concord)[24]
- 2006년 – M.F. Horn VI: 로니즈 라이브
사후 릴리즈
- 2007년 – 유일무이한 제품
선택한 필름 사운드트랙
- 와일드 원 (1953)
- Living It Up (1954)
- 후면 윈도우(1954년)
- 넌 절대 너무 젊지 않아 (1955)
- Oreste (짧은 길이) (1955)
- 황금팔을 가진 남자 (1955)
- 칠판 정글 (1955)
- 십계명(1956)
- 거리의 범죄 (1956)
- 자랑스럽고 프로페셔널한 (1956)
- 핫 로드걸 (1956)
- 디노 (영화) (1957)
- 섬세한 비행자(1957년)
- 핫 로드 러블(1957)
- Singin' and Swingin' (짧은 길이)
- Urbanissimo (단편) (1966년)
- La prima note di quiete (인디언 여름이라고도 함) (1972)
- 삼촌 조 섀넌(1978년)
사이드맨으로서
버디 브레그만과 함께
- Bing은 Bregman 스윙을 하면서 노래한다 (Verve, 1956년)
- 엘라 피츠제럴드가 콜 포터 송북을 부른다 (Verve, 1956년)
- 엘라 피츠제럴드가 로저스와 하트 송북을 부른다 (Verve, 1956년)
- Jerry Lewis Just Sings (케이피톨, 1956년)
- 스윙킥 (Verve, 1957년)
- Boy Meets Girl (Verve, 1957년)
스탠 켄튼과 함께
- 현대음악의 혁신 (Capitol, 1950)
- Stan Kenton 프레젠테이션 (Capitol, 1950)
- 리듬 예술성의 신개념 (Capitol, 1953년)
- Stan Kenton의 인기 있는 즐겨찾기 (Capitol, 1953년)
- 표준에 관한 스케치 (Capitol, 1953년)
- 이 현대 세계 (Capitol, 1953년)
- 켄튼 시대 (Capitol, 1940-54, [1955])
- Kenton in Hi-Fi (케이피톨, 1956년)
- 혁신 오케스트라 (Capitol, 1950-51 [1997])
페레스 프라도와 함께
- 부두 스위트(1955)
- 하바나 새벽 3시 (1956)
쇼티 로저스와 함께
- Something Cool (Mono) with June Christy (1954)
- Pete Rugolo 소개 (Columbia, 1954년)
- 리듬의 모험 (Columbia, 1954년)
- 루골로마니아 (Columbia, 1955년)
- Pete Rugolo의 새로운 소리 (Harmony, 1954-55, [1957])
- Music for Hi-Fi Bugs (EmArcy, 1956년)
- Out on a Lib (Emarcy, 1956년)
- 사운드 어드벤처: 브라스 인 하이파이 (Mercury, 1956년 [1958년])
타인과 함께
- 조지 올드와 그의 오케스트라와 함께 하이파이의 땅에서 (EmArcy, 1955년)
- 스킨 딥, 루이스 벨슨 (노르그란, 1953년
- 다른 사람들과 잘 어울린다, Wayne Bergeron (Concord, 2007)
- Jam Session with Clifford Brown and Clark Terry (EmArcy, 1954년)
- Chicago 13, Chicago (Columbia, 1979년)
- 스페인 열풍, 패니아 올스타(1978년)
- 비밥 유어 베스트 레드 그래머 (Red Note, 2005)
- The Swingin'st, Vido Musso (크라운, 1956년)
- Maynard Ferguson, Tito Puente 특별배송 (Concord, 1996년)
- Indian Express/Mani & Co, L. Subramaniam (Milestone, 1999년)
- Dinah Jams, Dinah Washington(1954년)
프로듀서로서
- Maynard Ferguson이 Christian Jacob을 소개합니다(Concord, 1997)
- 메이나드 퍼거슨, 톰 갈링 발표 (콘코드, 1997년)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a b Tim Weiner (August 25, 2006). "Maynard Ferguson, 78, Trumpeter and Bandleader, Dies". The New York Times.
After a trip or two to Timothy Leary's consciousness-altering community in Millbrook, Ferguson dissolved his band in 1967 and moved to India for a year.
- ^ a b c d e f "Maynard Ferguson Biography & History". AllMusic. Retrieved August 27, 2021.
- ^ a b "Ferguson, Maynard". Encyclopedia of Music in Canada. The Canadian Encyclopedia. Retrieved January 2, 2008.
- ^ a b c Colin Larkin, ed. (1992). The Guinness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First ed.). Guinness Publishing. p. 853. ISBN 0-85112-939-0.
- ^ "Cap Pulls Back Barnet Waxing of 'Things'". Billboard. March 4, 1950. p. 22.
- ^ a b c d e f g h Kernfeld, Bernie (2002). Kernfeld, Barry (ed.). The New Grove Dictionary of Jazz. Vol. 1 (2nd ed.). New York: Grove's Dictionaries. p. 750. ISBN 1-56159-284-6.
- ^ "Perez Prado CDs with Maynard Ferguson". Angelfire.com. Retrieved March 18, 2018.
- ^ "Interview with Lisa Ferguson – Millbrook Kid and Director of "Children of the Revolution"". Timothylearyarchives.org. February 9, 2009.
- ^ "Re Tim Leary Video in Maynard Ferguson and General Music Forum". Maynardfergusonboard.yuku.com.
In 1963, Leary's invitation to Maynard to move into Millbrook's gatehouse allowed MF to pour whatever money he saved by moving out of the expensive Riverdale apartment back into the band, which by this time was floundering financially. Maynard also rehearsed the band in the gatehouse, thus saving on studio fees. There's a poignant moment in the MF Horn bio as Maynard recalls that daughter Lisa, then 5 years old, could nap even as the band played in the same room. Thus, Leary's generosity allowed the MF band to continue into 1964, when the two Cameo albums and the Mainstream album Color Him Wild were recorded with the remnants of the so-called Roulette band
- ^ "Picture of Ferguson with the Sri Sathya Sai Institute of Higher Learning's Boys Brass Band" (JPG). Maynardferguson.com. Retrieved January 28, 2014.
- ^ Steve Voce (August 26, 2006). "Maynard Ferguson, jazz trumpet maestro". The Independen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30, 2007. Retrieved December 31, 2006.
- ^ Jon Thurber(2006년 8월 25일).메이너드 퍼거슨(78)은 팝의 성공을 거뒀다.로스앤젤레스 타임즈.
- ^ Zan Stewart (September 1985). "Maynard's Changes". DownBeat. Retrieved July 20, 2007.
There's nothing superstrong about my lip, but there is about my range and stamina. That comes from [...] my breathing.
- ^ Von Drehle, David (August 26, 2006). "Maynard Ferguson's Horn Screamed With Vulgar Passion". The Washington Post. Retrieved September 29, 2018.
- ^ "Order of Canada: Maynard Ferguson". The Governor General of Canada. Retrieved March 19, 2017.
- ^ "1950 DownBeat Readers Poll". Articles. DownBeat magazine. December 31, 195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6, 2012. Retrieved February 20, 2008.
- ^ "1951 DownBeat Readers Poll". Articles. DownBeat magazine. December 31, 195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6, 2012. Retrieved February 20, 2008.
- ^ "1952 DownBeat Readers Poll". Articles. DownBeat magazine. December 31, 195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6, 2012. Retrieved February 20, 2008.
- ^ "The Maynard Ferguson Institute of Jazz Studies". Rowan.edu.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ne 28, 2012. Retrieved January 28, 2014.
- ^ "gonna fly now". YouTube. August 5, 200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11, 2021. Retrieved January 28, 2014.
- ^ "These Cats Can Swing!". AllMusic. Retrieved November 13, 2018.
- ^ "One More Trip to Birdland". AllMusic. Retrieved November 13, 2018.
- ^ Ginell, Richard S. "Brass Attitude". AllMusic. Retrieved November 13, 2018.
- ^ Yanow, Scott. "Maynard Ferguson". AllMusic. Retrieved November 13,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