멜라니(가수)
Melanie (singer)멜라니 | |
---|---|
![]() 1975년 멜라니 | |
배경정보 | |
태명 | 멜라니 안네 사프카 |
태어난 | 퀸즈, 뉴욕, 미국 | 1947년 2월 3일
죽은 | 2024년 1월 23일 | 76세)
장르 | |
직업 |
|
계기 |
|
활동년수 | 1967–2024 |
레이블 | |
웹사이트 | melaniesafka |
멜라니 사프카 셰커리크(, 1947년 2월 3일 ~ 2024년 1월 23일)는 미국의 싱어송라이터이다.[1][2]
그녀는 1971-72년 세계적인 히트곡 "Brand New Key", 1970년 버전의 롤링 스톤스의 "Ruby Tuesday", 작곡가 "What Have They Does to My Song Ma", 그리고 1969년 우드스톡 음악 축제에서 공연한 경험에서 영감을 받은 1970년 국제적인 획기적인 히트곡 "Lay Down (Candles in the Rain)"으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3][4]
요절기
멜라니는 뉴욕 퀸즈의 아스토리아 근처에서 태어나고 자랐습니다. 아버지 프레데릭 사프카(Frederick M. Safka, 1924-2009)는 우크라이나 혈통이었고,[5] 어머니 재즈 가수 폴린 "폴리" 알토마레(Pauline "Polly" Altomare, 1926-2003)는 이탈리아 혈통이었습니다.[6][7] 멜라니는 4살 때 라디오 프로그램인 Live Like A Millionaire에서 "Gimme a Little Kiss"라는 노래를 부르며 대중 앞에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냈습니다.[8] 그녀는 가족과 함께 뉴저지주 롱브랜치로 이사했고, 롱브랜치 고등학교를 다녔습니다. 그녀는 학교 친구들에게 "비트닉"이라고 거절당한 것에 불안해하며 캘리포니아로 도망갔습니다. 뉴저지로 돌아온 후, 그녀는 뉴저지의 레드 뱅크에 있는 레드 뱅크 고등학교로 전학했습니다. 그녀는 1966년에 졸업했지만, 연체된 도서관 책 때문에 졸업식에 참석할 수 없었습니다. 그녀는 2014년에 학교의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습니다.[9]
직업

1960년대에 멜라니는 롱 브랜치의 웨스트 엔드 구역에 있는 커피 가게인 잉크웰에서 공연을 시작했습니다.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그녀의 부모님은 그녀에게 대학을 다니라고 주장했고, 그래서 그녀는 뉴욕에 있는 American Academy of Dramatic Arts 에서 연기를 공부했습니다.[10] 그녀는 비터 엔드와 같은 그리니치 빌리지의 포크 클럽에서 노래를 부르기 시작했고 컬럼비아 레코드와 첫 녹음 계약을 맺었습니다.[11] 멜라니는 미국에서 두 개의 싱글 앨범을 발매했습니다. 그녀는 그 후에 Buddah Records와 계약을 맺었고 1969년 프랑스에서 1위에 오른 "Bobo's Party"로 유럽에서 첫 번째 차트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유럽에서의 그녀의 인기는 서독의 Beat-Club과 같은 유럽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공연하는 결과를 낳았습니다. 그녀의 데뷔 앨범은 빌보드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는데, 빌보드는 그녀의 목소리를 "그녀의 나이를 뛰어넘어 현명하다"고 묘사했고, "이 LP의 선곡에 대한 그녀의 비합법적인 접근이 그녀를 무시할 수 없는 새로운 재능으로 만든다"고 말했습니다.[12][13]
이후 1969년 멜라니는 네덜란드에서 "Beautiful People"로 히트를 쳤습니다. 그녀는 1969년 우드스톡 페스티벌에서 공연한 단 세 명의 여성 솔로 아티스트[14] 중 한 명이었고, 그녀의 첫 번째 히트곡인 "Lay Down (Candles in the Rain)"은 우드스톡 관객들이 그녀의 세트[15] 동안 촛불을 켜는 것에서 영감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인도의 정신적인 거장 메허 바바의 추종자들로부터 영향을 받았습니다.[16] 이 기록은 1970년에 유럽, 호주, 캐나다, 그리고 미국에서 히트를 쳤습니다. 싱글의 B면에는 멜라니의 구어 트랙인 "Candles in the Rain"이 수록되었습니다. 그녀의 미국에서의 첫 톱 10 히트곡은 빌보드 싱글 차트에서 6위로 정점을 찍고 세계적인 성공을 거둔 "Lay Down"이었습니다. 그녀의 이후 히트곡에는 "Peace Will Come (계획에 따르면)"과 롤링 스톤스의 "Ruby Tuesday" 커버가 포함되었습니다.[17]

1970년 멜라니는 1970년 7월 31일, 8월 1일, 2일에 열릴 예정이었던 Powder Ridge Rock Festival을 금지하는 법원의 가처분 신청을 무시한 유일한 예술가였습니다.[18] 그녀는 미스터 소프티 트럭으로 움직이는 홈메이드 무대에서 관중들을 위해 연주했습니다. 이 공연이 끝나고 얼마 지나지 않아, 그녀는 1970년 8월 7일부터 9일까지 온타리오의 모스포트 공원에서 열린 딸기 밭 축제에서 연주했습니다.[19] 그녀는 또한 1970년 8월 26일에서 30일 사이에 Afton Down에서 열린 Island of Wight Festival에서 공연을 했습니다. 그 축제에서, 그녀는 키스 문에 의해 소개되었고 4번의 기립 박수를 받았습니다. 그녀는 2010년에 아일 오브 와이트 페스티벌에 다시 출연했습니다. 1971년 6월, 그녀는 영국의 글래스턴베리 페이어 (나중에 글래스턴베리 페스티벌)에서 하지에 전령을 부르는 예술가였습니다. 그녀는 원래 축제의 40주년이었던 2011년에 글래스턴베리에서 다시 공연을 했습니다.[20]

멜라니는 주문형 음반을 제작해야 한다고 주장했을 때, 부처 레코드를 떠났습니다. 1971년, 그녀는 프로듀서이자 남편이기도 한 피터 셰커릭과 함께 그녀만의 레이블인 이웃 레코드를 만들었습니다. 그녀는 1972년 "Brand New Key" (흔히 "Roller Sketa Song"이라고 불리는)라는 참신한 소리의 1위 히트곡인 "Brand New Key"라는 미국 음반사에서 그녀의 가장 큰 히트곡을 냈습니다. "Brand New Key"는 전세계적으로 3백만부 이상 팔렸고 1997년 영화 부기 나이트에 등장했습니다.[21]
처음 공개되었을 때, "Brand New Key"는 일부 라디오 방송국에서 가사에서 성적인 뉘앙스를 유추했기 때문에 금지되었습니다. 멜라니는 노래에서 의도하지 않은 성적인 뉘앙스를 읽을 가능성을 인정하면서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저는 어느 날 밤 약 15분 만에 ['Brand New Key']를 썼습니다. 나는 그것이 귀엽다고 생각했습니다. 30대의 나이가 든 곡입니다. 열쇠와 자물쇠는 항상 프로이트의 상징이었던 것 같아요. 그리고 그 점에서 꽤 명백한 것 같아요. 그 노래 뒤에는 깊은 진지한 표정이 없었지만, 사람들은 그것을 읽어들였습니다. 그들은 가사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그리고 노래가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 믿을 수 없는 이야기들을 만들어 냈습니다. 어떤 곳에서는 심지어 라디오에서 금지되기도 했습니다. 노래에 대한 제 생각은 일단 곡을 쓰면 그 후에 그들의 삶에서 할 말이 거의 없다는 것입니다. 사람들은 그들이 원하는 방식으로 그것을 받아들일 것입니다.[22]
2013년 음악 저널리스트 레이 샤쇼(Ray Shasho)와의 인터뷰에서 멜라니는 "Brand New Key"의 기원에 대해 자세히 설명했습니다.
물론 키로 상징적으로 볼 수는 있지만, 롤러스케이트를 떠올렸을 뿐입니다. 물 위에서 27일 동안 금식하고 있었습니다. 저는 금식을 깨고 뉴저지에 사는 제 삶으로 돌아갔고 우리는 아침 6시쯤 벼룩시장에 갈 예정이었습니다. 돌아오는 길에... 그리고 저는 방금 단식을 끝내고 벼룩시장에서 맥도날드를 지나 향이 저를 덮쳤습니다. 그리고 저는 단식 전에 채식주의자였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맥도날드에 들어갔고, 저는 햄버거, 셰이크, 감자튀김의 모든 작품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제가 마지막으로 햄버거를 한 입 먹은 직후에... 그 노래는 제 머릿속에 있었습니다. 그 향기는 롤러스케이트를 타고 자전거를 배웠던 추억과 타이어 뒷 펜더를 잡고 있는 아빠의 모습을 떠올리게 했습니다. 그리고 아빠한테 하는 말은... "잡아요, 잡아요, 잡고 있죠?" 그러고 나서 뒤를 돌아보니 그가 안 잡히고 있었고 나는 넘어졌습니다. 그래서 그 모든 것이 제게 되돌아와서 이 노래로 나왔습니다. 그래서 고의적이거나 의도적인 성적인 뉘앙스가 아니었습니다.[23]
"Brand New Key"의 후속 싱글은 "Ring the Living Bell"이었습니다. 멜라니의 전 음반사는 이 음반과 경쟁하기 위해 버드 레코드와 계약하면서 녹음한 "The Nickel Song"을 발매했습니다. "Brand New Key"가 여전히 차트에 있는 동안 두 곡 모두 동시에 톱 40 히트를 기록했고, 여성 연주자로는 최초로 톱 40 히트 3개를 동시에 기록했습니다.[24]
멜라니는 1972년[25] 빌보드 1위 여성 보컬리스트 상을 받았고, 두 개의 골드 앨범과 "Brand New Key"로 골드 싱글 상을 받았습니다. 그녀의 작품 중 세 곡은 뉴시커스에서 히트를 쳤습니다. 그녀는 또한 "Alexander Beetle"과 "Christopher Robin"을 포함한 동요를 음악적으로 각색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1972년 유니세프의 공식 대사가 되었을 때, 그녀는 유니세프를 위한 모금을 위해 세계 여행을 포기하기로 동의했습니다. 딸을 키우기 위해 시간도 들였습니다.[26][27]
그녀는 1973년 "Bitter Bad"로 또 다른 톱 40 히트 싱글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 곡은 그녀의 이전 히트곡들의 히피 정서에서 약간 벗어난 노래이며, "만약 네가 나를 잘못한다면 나는 너의 이름과 성을 내 로큰롤 노래에 넣을 것이다."와 같은 가사를 썼습니다.[28] 이 기간 동안 멜라니의 다른 차트 히트곡은 자작곡 〈Together Alone〉[29]과 1974년 3월 영국 싱글 차트 37위에 오른 〈Will You Love Me Tomorrow〉입니다.[30]
이후 경력
1976년 멜라니는 Ahmet Ertegun이 프로듀싱한 Atlantic Records, Photograph에서 한 장의 앨범을 발매했습니다. 이 앨범은 뉴욕 타임즈에 의해 올해 최고의 앨범 중 하나로 칭송받았지만, 대중들은 대부분 무시했습니다.[31] 2005년에 발매되지 않은 재료의 추가 디스크와 함께 컴팩트 디스크로 재발행되었습니다.
또한 1976년 멜라니는 그해 4월 9일 자살한 필 오크를 위한 헌정 콘서트에 출연했습니다. 5월 28일 뉴욕시 펠트 포럼에서 열린 멜라니는 오크의 노래 "Chords of Fame"과 "Miranda"의 감성적인 버전을 선보였습니다.[32] 그녀는 1974년 그의 "살바도르 아옌데와 함께하는 저녁" 콘서트(펠트 포럼에서도 개최됨)에서 데이브 반 론크, 아를로 거스리, 밥 딜런 등과 함께 옥시와 함께 무대에 섰습니다.[33]
1983년 멜라니는 애니 오클리가 쓴 일련의 편지를 바탕으로 에드 켈러와 시모어 발의 책과 함께 연극 뮤지컬 에이스 오브 다이아몬드의 음악과 가사를 썼습니다. 완전히 제작된 적은 없지만, 멜라니가 내레이터이자 팝 가수로 출연하고, 여배우 애니 골든이 오클리 역을 맡아 링컨 센터에서 여러 무대에 오른 낭독회가 공연되었습니다.[34]
멜라니는 텔레비전 시리즈 미녀와 야수의 주제가에 가사를 쓴 후 에미상을 수상했습니다.[35] 한 가지 예외를 제외하고, 그녀의 앨범은 2010년에 갑자기 사망한 그녀의 남편 피터 셰커릭에 의해 제작되었습니다.[36] 그녀의 세 자녀인 레일라, 저디, 보-자레드도 음악가입니다. Beau-Jarred는 기타리스트이며 어머니와 함께 투어를 하고 있습니다.[37]
Melanie의 후기 앨범 중 하나인 Paled By Dimmer Light (2004)는 Peter와 Be-Jarred Schekeryk가 공동 프로듀싱했으며, "To Be The One", "Extraordinary", "Make It Work", "I Tryed To Die Young" 등의 곡을 포함하고 있습니다.[38]
2007년, 멜라니는 자비스 코커에 의해 런던의 로열 페스티벌 홀에서 열린 멜트다운 페스티벌에서 공연하기 위해 초대되었습니다. 그녀의 매진된 공연은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았고, 인디펜던트는 "멜라니가 상징적인 여성 가수들의 판테온에서 조안 바에즈, 주디 콜린스, 조니 미첼, 마리안 페이스와 함께 자리를 얻었다는 것에 동의하기 어려웠습니다. 멜트다운은 그녀의 존재에 훨씬 더 좋았습니다."[39] 콘서트는 DVD Melanie를 위해 촬영되었습니다. 2007년 10월에 개봉한 하룻밤만. 그녀는 프로이트 정신 분석의 측면을 패러디한 "공화국의 전투 찬가"의 곡에 맞춰 부른 "심리 치료"를 녹음했습니다. 그 노래는 닥터 디멘토 쇼에서 재생되었습니다. 2012년 7월, 멜라니는 우디 거스리의 삶과 음악을 축하하기 위해 열리는 제15회 우디 거스리 포크 페스티벌(Woody Guthrie Folk Festival)에서 아로 거스리(Arlo Guthrie), 주디 콜린스(Judy Collins)와 함께 헤드라인을 장식했습니다.[40]
2012년 10월, 멜라니는 뉴욕 로체스터에 있는 블랙프라이어스 극장의 예술 감독이자 상무 감독인 존 할두피스와 협력하여 고인이 된 남편과의 러브 스토리에 대한 독창적인 뮤지컬을 만들었습니다. 멜라니와 레코드맨은 10월 19일 첫 방송을 했고, 공연은 10월 28일까지 예정되어 있습니다. 할두피스가 구상하고 디자인한 이 뮤지컬은 멜라니의 음악을 선보였고, 피터를 만나 사랑에 빠지고 그녀의 음악을 만들기 위해 함께 노력한 이야기를 들려주었습니다. 멜라니는 뮤지컬 중에 공연을 했고, 내레이터를 맡기도 했습니다. 2014년 6월, 그녀는 1977년 이후 처음으로 호주 투어를 했습니다.[41]
2015년 4월, 멜라니는 레드 뱅크 리저널의 "유명한 동문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습니다.[42] 그녀는 2015년 11월 14일 노스캐롤라이나 먼로에서 열린 아티스트 음악 조합의 2015 AMG 헤리티지 어워드에서 샌디 호지 평생 공로상을 수상했습니다.[43] 2019년 새해 전야에 그녀는 BBC의 줄스 연간 후테나니에서 공연을 했습니다.[44]
2024년 사망 당시 멜라니는 세컨드 핸드 스모크(Second Hand Smoke)라는 제목의 커버 앨범을 작업하고 있었습니다.[45]
사생활
멜라니는 1968년 음반 제작자 피터 셰커릭과 결혼했습니다. 1973년 10월 3일에 태어난 딸 레일라(Leilah), 1975년 3월 27일에 태어난 딸 저디(Jordie), 1980년 9월 11일에 태어난 아들 보 자레드([10]Beau-Jarred) 등 세 명의 자녀를 두었습니다.[46] 레일라와 저디는 7살과 6살 때 캐나다에서 27위를 차지한 "할머니 같은 사람은 없어요"의 커버를 발표했습니다.[47][48] 피터 셰커릭은 2010년에 죽었습니다.[49] 멜라니는 1970년대 초 채식주의자였고, 그녀는 또한 단식을 연습했습니다.[50][51]
멜라니는 "나는 민주당원도, 사회주의자도, 공화당원도 아니다"라고 말하며 정치적으로 자신을 자유주의자라고 표현했습니다.[52][16] 그녀는 마타 암리타난다마이(Mata Amritanandamayi)로부터 포옹을 받은 후 "모성의 보편적인 힘"으로부터 수용을 경험했다고 말했습니다. 암마("Mother") 또는 인도에서 온 포옹하는 성자("Hugging saint")로서, 그녀는 "사랑의 어머니"를 쓰는 데 영감을 주었습니다.[53]
멜라니는 내슈빌 대도시 지역에 거주했습니다.[54] 그녀는 2024년 1월 23일 76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습니다.[45][55]
선택된 디스코그래피
- Born to Be (1968)[56]
- Melanie[57], 애틋하게 Melanie (1969)
- 빗속의 촛불 (1970)[58]
- 좋은책 (1971)[59]
- 모아라 (1971)[60]
- 도시의 정원 (1971)[61]
- 스톤그라운드 워드 (1972)[62]
- 마드루가다 (1974)[63]
- 내가 지금 보는 것처럼 (1974)[64]
- 선셋 앤 기타 비기닝 (1975)[65]
- 사진 (1976)[66]
- 음소거 – 또 다른 예쁜 얼굴이 아닌 (1978)[67]
- 볼룸 스트리트 (1978)[68]
- 아라베스크 (1982)[69]
- 제7의 물결 (1983)[70]
- I am Real or What (1985)[71]
- 멜라니 (The Dutch album) (1987)[72]
- 코와봉가 – 파도에 등지지마 (1988)[73]
- 사일런스 이즈 킹 (1993)[74]
- Silver Anniversary (1993)[75]
- 올드 비치 워리어 (1996)[76]
- 낮은 나라 (1997)[77]
- 앤틀러스 (1997)[78]
- 아름다운 사람들 (1999)[79]
- Moments from My Life (2002)[80]
- 크레이지 러브 (2002)[81]
- Paled by Dimmer Light (2004)[82]
- 니가 나에 대해 들어본 적이 없는 이후 (2010)[83]
- The First Goodbye Tour (2022)[citation needed]
기타크레딧
- 미녀와 야수의 텔레비전 시리즈[35] 주제가 가사
- 6ths Hyacinths and Thisters 앨범에 수록된 "I've Got New York", 2000[84]
참고문헌
- ^ Strong, Martin C. (2000). The Great Rock Discography (5th ed.). Edinburgh: Mojo Books. pp. 635–637. ISBN 1-84195-017-3.
- ^ Keepnews, Peter (January 25, 2024). "Melanie, Singer Who Made a Solo Splash at Woodstock, Dies at 76". The New York Times. ISSN 0362-4331. Retrieved January 25, 2024.
- ^ "'Brand New Key' – Melanie". Super Seventies RockSite. Retrieved April 16, 2012.
- ^ "Lay Down (Candles in the Rain)". Super Seventies RockSite. Retrieved April 16, 2012.
- ^ Rosenbaum, Connie (May 28, 1978). "Melanie—An Intensely Personal Singer" (PDF). The Ukrainian Weekly. p. 15 – via www.ukrweekly.com.
- ^ "Melanie Safka is known to her fans simply as Melanie". Melaniemusic.com. Retrieved August 25, 2015.
- ^ 맞춤법, 이안. "멜라니의 신곡들은 그녀의 예전 히트곡들에 활기를 불어넣습니다", 노스 저지 엔터테인먼트 신문, 2007년 10월 12일. 2007년 12월 20일 회수.
- ^ 멜라니, 롱아일랜드 음악 및 엔터테인먼트 명예의 전당
- ^ 보거, 마크. 2014년 7월 27일 NJ Advance Media for NJ.com , 2019년 3월 29일 업데이트된 "Melanie는 Red Bank High('miserable')와 Woodstock('incred 가능')을 회수합니다. 2024년 1월 26일 접속. "멜라니는 내년 레드뱅크 지역 고등학교 저명 동문 명예의 전당에 입성하기를 고대하고 있습니다. (그녀는 1966년에 레드뱅크 고등학교를 다녔습니다.) 멜라니는 이런 명성 때문에 졸업식 행진에서 블랙볼을 받았다고 믿고 있습니다."
- ^ a b Kathie Lee와의 인터뷰, 1985. 유튜브에서 2011년 9월 5일 검색
- ^ Shedden, Iain (June 5, 2014). "Look what they did to her songs". The Australian. Retrieved December 19, 2017.
- ^ "Melanie Safka biography". Billboard. Retrieved February 19, 2017.
- ^ "Melanie Safka Exclusive: "My Mother Drove Me To Woodstock" (Part 1)". classicrockhereandnow.com. Retrieved February 19, 2017.
- ^ Whiteside, Jonny (October 5, 2016). "Music Preview: Almost five decades after Woodstock, Melanie Safka still delivers powerful message". Glendale News-Press. Retrieved February 19, 2017.
- ^ Beviglia, Jim. "Melanie, "(Lay Down) Candles In The Rain"". American Songwriter: The Craft of Music.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30, 2018. Retrieved December 11, 2017.
- ^ a b Staff (January 25, 2024). "Melanie, singer and songwriter whose career took off at one o'clock in the morning at Woodstock – obituary". The Daily Telegraph. Lond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anuary 26, 2024. Retrieved January 26, 2024.
- ^ Rhodes, Mick (September 1, 2016). "Melanie brings music history to Claremont". Claremont Courier. Retrieved December 12, 2017.
- ^ Santelli, Robert (1980). Aquarius Rising – The Rock Festival Years. Dell Publishing Co. p. 200.
- ^ Yorke, Ritchie (August 22, 1970). "Brower Promotes Strawberry Field Pop Festival Into Winner". Billboard. Vol. 82, no. 34. New York, NY. pp. 80, 82. ISSN 0006-2510.
- ^ 2011년 7월 언컷.
- ^ Woodbury, Jason P (January 9, 2012). "Melanie Talks "Brand New Key", Starting Over, and McDonald's". Phoenix New Times. Phoenix New Times, LLC. Retrieved December 11, 2017.
- ^ ""Brand New Key" – Melanie". Superseventies.com. Retrieved August 25, 2015.
- ^ Classic Rock Music Reporter. "'Melanie' Safka Exclusive: "My Mother Drove Me To Woodstock" (Part 1)". Retrieved February 3, 2019.
- ^ 1972년 2월 26일 American Top 40
- ^ "Billboard : Talent in Action" (PDF). World Radio History. December 30, 1912. Retrieved March 10, 2022.
- ^ "Brand New Key singer Melanie dies aged 76". Wales Online. January 25, 2024.
- ^ Freeman, Paul. "Melanie: Still One of the Most Beautiful People". Pop Culture Classics. Retrieved December 11, 2017.
- ^ 비터 배드: 멜라니
- ^ 멜라니 혼자 ('73)
- ^ 내일도 날 사랑해줄래 멜라니
- ^ Rockwell, John (November 14, 1976). "Melanie's Back And She's Not Kissing Cows". The New York Times. ISSN 0362-4331. Retrieved February 19, 2017.
- ^ 다양한 아티스트: 1976년 5월 28일 뉴욕시 펠트포럼 기념 콘서트
- ^ Phil Ochs Setlist at Felt Forum, New York, New York, USA
- ^ "Red hot & blue, nights at the Kingfish Cafe, Stand-ins, Stand ins". Faqs.org. Retrieved August 25, 2015.[데드링크]
- ^ a b '브랜드 뉴 키' 싱어송라이터 멜라니, 76세 시카고 선타임스 별세
- ^ 멜라니, 2011년 7월 언컷 인용
- ^ 다비 나폴레옹의 "Staying Alive: Melanie at Greenwood Coffee House"
- ^ CD 앨범 – 아티스트: Melanie, 제목: Paled by Dimmer Light
- ^ "Beautiful People – Forums powered by UBB.threads™". Melaniesmusic.com. March 28, 2015. Retrieved August 25, 2015.
- ^ 웹, 젤라. 우디 거스리 포크 페스티벌(Okemah, Oklahoma, 2012년 7월 11일 ~ 15일). 2012년 9월 28일 Wayback Machine No Depression에서 아카이브, 2012년 7월 20일. 또한 매버릭 매거진, 2012년 11월-12월호, 117호, 20페이지.
- ^ "Melanie". Melani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23, 2004. Retrieved February 3, 2019.
- ^ "Little Silver: Melanie To Join Hall Of Fame". Red Bank Green. April 16, 2015. Retrieved August 25, 2015.[데드링크]
- ^ "Melanie Safka takes home honors at the 2015 AMG Heritage Awards". Artists Music Guil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22, 2015. Retrieved December 21, 2015.
- ^ "Is Jools Holland's Annual Hootenanny live?". Radio Times.
- ^ a b Willman, Chris (January 24, 2024). "Melanie, Singer Who Performed at Woodstock and Topped Charts With 'Brand New Key,' Dies at 76". Variety. Retrieved January 25, 2024.
- ^ "Melanie Returns After 17 Years with Pyramid Set". Billboard. October 19, 2002. p. 15.
- ^ "RPM Top 50 Singles – January 16, 1982" (PDF). Collectionscanada.gc.ca.
- ^ "Continental Drift". Billboard. September 23, 1995. p. 23.
- ^ "Peter Schekeryk, Husband & Producer for Melanie, Passes Away". VVN Music. November 27, 2010.
- ^ "멜라니가 돌아왔고 소들에게 키스하지 않습니다." 뉴욕 타임즈. 2021년 02월 26일 회수
- ^ "Melanie는 Red Bank High('엄청나다')와 Woodstock('믿을 수 없다')을 회상합니다. 스타레저. 2021년 02월 26일 회수
- ^ "Melanie – Libertarian". Advocates for Self-Government. Retrieved January 10, 2012.[영구 데드링크]
- ^ "MELANIE Motherhood of Love". YouTube.
- ^ "Woodstock performer Melanie to perform East Nashville concert". The Tennessean. October 10, 2014.
- ^ van den Wildenberg, Norman. "Woodstock Legend Melanie Passed Away". Maxazine. Retrieved January 24, 2024.
- ^ "Born to be – Melanie Songs, Reviews, Credits AllMusic". AllMusic.
- ^ 멜라니: 멜라니
- ^ "Album Reviews" (PDF). Billboard. No. April 25, 1970. p. 70.
- ^ "Album Reviews: Pop Pick" (PDF). Cash Box. No. February 6, 1971. p. 36.
- ^ 모아라: 멜라니
- ^ 도시의 정원: 멜라니
- ^ 스톤그라운드 워드: 멜라니
- ^ "Top Album Picks" (PDF). Billboard. No. March 30, 1974. p. 104.
- ^ "Melanie – As I See It Now Album". AllMusic.
- ^ "Melanie – Sunset and Other Beginnings". AllMusic.
- ^ "Photograph – Melanie Songs, Reviews, Credits". AllMusic.
- ^ "Melanie – Phonogenic Not Just Another Pretty Face". AllMusic.
- ^ 무도회장 거리: 멜라니
- ^ "Melanie – Arabesque". AllMusic.
- ^ "Melanie – Seventh Wave". AllMusic.
- ^ "Melanie – Am I Real or What?". AllMusic.
- ^ "Record".
- ^ "Melanie – Cowabonga". AllMusic.
- ^ "Melanie – Silence Is King". AllMusic.
- ^ "Record".
- ^ "Melanie – Old Bitch Warrior". AllMusic.
- ^ "Record".
- ^ "Antlers-a Christmas for True B". Amazon UK.
- ^ "Melanie – Beautiful People [Accord]". AllMusic.
- ^ "Record".
- ^ "Melanie – Crazy Love". AllMusic.
- ^ "Record".
- ^ "Melanie – Ever Since You Never Heard of Me". AllMusic.
- ^ Browne, David (September 8, 2000). "Music Review: 'Hyacinths and Thistles'". EW.com. Retrieved January 27, 2024.
추가읽기
- Lambo, John (2011). Melanie: The First Lady of Woodstock. CreateSpace Independent Publishing Platform. ISBN 9781461177234.
외부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