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노스 (대화)
Minos (dialogue)![]() 원고: 파리, 비블리오테크 국립박물관, 1807년(19세기) | |
작가 | 플라톤 또는 사이비 플라토 |
---|---|
원제목 | Μίνως |
나라 | 고대 그리스 |
언어 | 그리스어 |
제목 | 법철학 |
다음에 대한 시리즈 일부 |
플라톤주의 |
---|
![]() |
플라톤의 작품 |
우화와 은유 |
관련기사 |
관련 카테고리 |
미노스(/ˈmaɪnɒs, -nəs/; 그리스어: μίνωωω)는 플라톤의 대화 중 하나라고 한다. 소크라테스와 함께 '법'(그리스어: νόμο, nomos)의 정의를 찾으려고 노력하는 동반자가 등장한다.
많은 학자들에게 의심을 받아온 진위여부에도 불구하고 법철학사,[2] 특히 자연법칙론에서는 그 진위여부가 종종 기초문서로 여겨져 왔다.[1][3] 또한 대체로 절차적인 법 이론을 기술하는 것으로도 해석되어 왔다.[4] 고대 해설가들은 전통적으로 이 작품을 플라톤의 최종 대화인 법칙에 대한 서론으로 간주해 왔다.
내용
대화는 보통 두 부분으로 나뉜다. 전반에는 소크라테스와 동반자가 '법률'의 정의를 추구하려 하고 후반에는 소크라테스가 크레타의 신화적인 왕 미노스를 찬양한다.[5]
법률의 정의
소크라테스가 이름 없는 동료를 향해 "우리에게 법이 무엇이냐"고 묻는 것으로 대화의 막을 연다. 동행자는 소크라테스로부터 정확히 어떤 법칙을 의미하는지를 명확히 해 달라고 요청하는데, 다소 놀란 소크라테스가 그에게 그 법칙이 하나인지 다수인지 물어본다. 좀 더 구체적으로 소크라테스는 동료에게 서로 다른 법칙이 다른 부분과 같은 본질에서 온 것인지, 아니면 돌과 같은 것인지 물어본다. 동반자의 대답은 법이란 명명법(ν ( μι με μεα) 또는 "관습에 의해 수용되는 것"[6]이라는 것이다. 그리스어로 법률을 뜻하는 단어는 노모스(nomos)로, 확립된 관습이나 관행을 묘사하는 데도 쓰인다. 동반자는 노모들을 '수용됨'을 의미하는 노미조몬(관련동사 노미조의 현재 수동분사)으로 정의한다. 노미조는 다른 것들 중에서 "실습", "공통적이거나 관습적인 용도가 있다", "실행", "대접", "대접", "믿음"을 의미하는데 사용된다.[5] 소크라테스는 이 정의에 반대한다.
친구: 소크라테스, 법(노모)이 아니면 무엇이 되겠냐, 하지만 받아들여지는 것은 무엇이냐?
소크라테스: 그래서 당신의 견해에 따르면, 말하는 것이 무엇인가, 보는 것이 있는가, 듣는 것이 무엇인가? 아니면 말이 하나, 말하는 것이 다른 것, 보는 것이 하나, 보는 것이 하나, 보는 것이 하나, 듣는 것이 하나, 듣는 것이 하나, 듣는 것이 하나, 듣는 것이 하나, 그리고 따라서 법률이 하나, 받아들이는 것이 무엇인가? 그래, 아니면 네 생각은 어때?
친구: 지금 내게 보이는 것처럼 그들은 두 가지 다른 거야.
소크라테스: 그렇다면 법은 받아들여지는 것이 아니다.
친구: 아닌 것 같아.[7]
우리가 말하는 소위 '경고'가 들은 것의 합이 아니라 센세이션을 일으키는 것처럼, 법률에 대한 적절한 정의는 어떤 순간에 법을 구체화하는 관습적인 의견과는 별도로 본질적인 것을 포착할 필요가 있다. 소크라테스는 법이 도시의 결의라고 가정할 때, 만약 우리가 법과 정의를 항상 칼리스톤, "가장 고귀한 것"[9]으로 간주해야 한다면, 도시의 결의는 "긍정적인" 것이거나 "추운" 것이 될 수 있다는 것에 동의한다면, 이러한 결의로 법을 식별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라고 반박한다.[8][10] 대신 소크라테스는 무엇이 좋은 의견인지 물어봄으로써 진행한다.
소크라테스: 그러나 좋은 의견은 무엇인가? 그것은 참된 의견이 아닌가?
친구: 네.
소크라테스: 이제 진정한 의견은 현실의 발견이 아닌가?
친구: 그렇지.
소크라테스: 그렇다면 이상적으로 법은 현실의 발견이다.[11]
소크라테스는 계속해서 법에 대한 자신의 정의를 "현실을 발견하기를 원하는 것"[12]이라고 옹호한다. 그의 동반자는 만약 그것이 사실이라면 법률은 어디에서나 같겠지만, 우리는 그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고, 그는 대화가 이루어지는 크레타에서 금지된 인간의 희생의 예를 들어주고, 카르타고인들과 몇몇 그리스 도시들은 그것을 실천할 것이다.[13] 소크라테스는 프로타고라스 대화에서처럼 그의 동료로부터 짧은 대답을 요구하면서 그의 유명한 방법을 사용하여 이 주장에 대항한다. 그는 법이 현실을 아는 것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에 겉으로 나타나도 다를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농부가 땅의 실상을 가장 잘 알고, 인체의 조련사를 가장 잘 아는 것처럼, 어떤 법이 효력을 발휘해야 하는가에 대한 인간의 영혼의 실상을 가장 잘 아는 왕도 그렇다. 소크라테스에 따르면, 대화는 이렇게 해서 최고의 미노스를 찬양하게 된다.
미노스의 찬양
이 대화는 결국 크레타의 신화적 지도자이자 아테네의 고대 적인 미노스에 대한 찬사로 이어진다.[14] 소크라테스는 미노스가 억울하다는 동료의 의견에 맞서 자신의 생각은 연극에 바탕을 두고 있지만, 일단 모든 비극적인 극작가를 합친 것보다 우월한 호머와 상의하면 미노스가 칭찬받을 만하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그는 미노스만이 제우스에게 직접 교육을 받은 유일한 사람이라고 계속 말하고 있으며,[15] 과음을 피하는 데 특유한 크레탄족을 위해 존경할 만한 법을 만들어 나중에 스파르타인들에게 그들의 실천을 가르쳤다. 미노스는 라다만투스에게 자신의 법을 지키기에 충분한 그의 "킹다운 예술"의 일부를 지시하였다. 그러자 제우스는 미노스에게 '탈로스'라는 사람을 주었는데, 그것은 청동으로 만들어진 거대한 로봇과 같은 오토매틱이었던 것으로 생각되지만, 소크라테스는 '브라젠'이라는 별명이 미노스의 법칙이 새겨진 곳에 청동판을 들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16]
이 엔코미엄이 끝난 후 소크라테스의 동료는 방금 들은 모든 것이 사실이라면 미노스는 아테네에서 그렇게 나쁜 평판을 받고 있는 것이냐고 묻는다.[17] 소크라테스는 이것이 미노스가 그들의 예술을 통해 사람을 크게 해칠 수 있는 훌륭한 시인들을 이 도시에 두고 있는 동안 아테네를 공격한 결과라고 대답한다.
해석
브래들리 루이스는 미노스를 세 가지 일을 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그것은 법의 궁극적인 열망이 진실이어야 한다는 것과 동시에 인간법의 다양성도 인정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시작된다. 이러한 다양성은 종종 자연법에 반대하는 주장으로 받아들여지지만, 그 대화에서는 다양성이 인간의 선(善)이 정치의 종말이라는 설명과 양립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다음으로, 그 대화는 법과 법적 권위의 기원을 구체적으로 강조한다. 셋째로, 대화는 현대 법 이론의 내재적 한계를 시사하지만 명시적으로 언급하지는 않는다.[18]
Though the dialogue is often noted as introducing a theory of natural law,[3] the word "nature" (Greek: φύσις phusis) is never used in the dialogue.[19] 마크 루츠는 소크라테스의 문제적 법 성격에 대한 설명은 자연법칙의 개념이 일관성이 없음을 보여준다고 주장한다.[20]
이름 없는 인터커뮤니케터(그리스어: αῖαςς heς he hetairos)는 여러 가지 다른 방법으로 번역할 수 있다. 대화 밖에서 이 단어는 일반적으로 "동반자", "동반자", "푸필" 또는 "이중자"[21]로 번역된다. 그러나 미노스의 맥락에서 일반 시민으로서,[22][23][24] 학생으로서,[25] 친구로서, '모든 사람'[26]과 '상식의 목소리'를 포함한, 상호간의 다른 개념들이 제시되어 왔다.[27]
D.S. Hutchinson은 "문학적-역사적 소풍과 함께 건조한 학문적 변증법과 문학-역사적 소풍"의 결합은 알시비아데스, 제2알시비아데스, 히파르쿠스 등의 다른 플라토닉 대화와 유사하다고 지적해 왔다.[5]
대화에서 법체들은 거짓일 수도 있는 서면 텍스트로 간주된다.[5] 플라톤의 후기 대화인 《법률》에서 그는 유사하게 법률 문헌이 문학적 정교함의 혜택을 받는다고 주장했다.[5][28] 법률에 묘사된 이상적인 도시처럼 지속되는 사회생활의 현실을 제대로 된 법이 표현될 것으로 기대된다.[5]
미노스에 대한 극찬은 그 동반자를 아테네에 대한 충성으로부터 해방시키려는 소크라테스의 의도와 그 의견의 일부로 해석되어 왔다.[citation needed]
진정성
대다수의 현대 학자들은 플라토닉 저자에 반대하는데,[29] 베르너 재거,[30] 안톤-헤르만 크루스트,[31] 제롬 홀,[32] A. E. 테일러[33], 그리고 가장 최근의 크리스토퍼 로에 등이 있다.[34] 반대로, 조지 그로트, [35]글렌 R 등 플라톤의 저자에 찬성하는 주장을 하는 사례도 있었다. Morrow와[36] William S. Paul Shorey [37]Cobb는 이 대화가 부분적으로 플라톤에 의해 그리고 일부는 다른 누군가에 의해 쓰여졌을지도 모른다고 제안했다.[38]
미노스의 진정성에 반대하는 주요 주장들은 전형적으로 그것은 너무 스타일리쉬하게 조잡하고, 철학적으로 단순하며, 너무 빈약한 주장들로 가득 차서 합법적으로 플라톤이 될 수 없다고 말한다.[29] 그로테는 이 추리의 결함을 지적하면서, 만약 그 대화가 '고백하고 불건전하다'[39]와 '논리적인'[40] 것이 플라토닉 코퍼스에서 그것을 제외할 근거였다면, 그 속에서 플라톤의 영혼 불멸에 대한 주장은 너무나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그 역시 페이도에 의심을 던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35][19]
W. R. M. 램은 "공정하게 능력 있고 그럴듯한 플라톤의 초기 작품의 모방"[41]이라고 생각하지만, 대화의 진정성을 의심하고 있다. 에디스 해밀턴과 헌팅턴 케언스는 플라톤의 가짜 작품들 가운데 그것을 수집된 대화록에 포함시키지도 않는다.[42] 반면에 레오 스트라우스는 그 대화에 대해 논평을 쓸 만큼 진실한 것으로 여겼다.[43]
법을 '현실의 발견'으로 격찬하는 상반기의 긴장감에 이어 전통에서 전형적으로 잔혹한 폭군으로 묘사되는 신화 속의 인물 미노스의 칭찬이 이어지는 것도 대화를 의심할 만한 이유로 일부에서는 받아들여지고 있다.[44] 다른 사람들은 미노스의 도입이 완벽히 일관성이 있다고 보았지만,[38] 대화의 두 부분 사이의 이러한 명백한 모순은 플라토닉 저자에 대한 하나의 주장으로 활용되었다.[45]
플라토닉 코퍼스의 배치
많은 역사 해설가들은 미노스를 법의 도입의 한 종류로 보아왔다.[18] 비잔티움의 아리스토파네스는 플라토닉 코퍼스의 후기 4차적 조직에서처럼 [46][a]플라톤의 저술에 대한 그의 조직에 미노스를 법칙과 [47][b]함께 배치했다.
배치 | 아리스토파네스 3부 조직[46] | 아리스토파네스의 4차원적 조직[46] | 트라실루스의 4차원적 조직[46] |
1 | 법 | 미노스 | 미노스 |
2 | 미노스 | 법 | 법 |
3 | 에피노미스 | 에피노미스 | 에피노미스 |
4 | – | 편지들 | 편지들 |
히파르쿠스와 문체가 유사하기 때문에, 많은 학자들은 기원전 4세기 중반 직후에 쓰여진 같은 작가의 작품이라는 결론을 내렸다.[25] 뵈크는 이 대화를 소크라테스 소크라테스 라에르티우스가 소크라테스의 노트필러로 언급하고 있는 [29][48]슈메이커의 시몬에 돌렸다.[49]
참조
각주
인용구
- ^
- 보에크 1806년
- 하이델 1896 페이지 39-43
- Lewis 2006, 페이지
- 파블루 1910
- 슐레이어마허 1996, 페이지 171–173
- ^
- ^ a b
- ^ 베스트 1980, 페이지 102–113.
- ^ a b c d e f 허친슨 1997, 페이지 1307.
- ^ 플라톤, 미노스, 313a-b
- ^ 플라톤, 미노스, 313b–c
- ^ 플라톤, 미노스, 314c
- ^ 플라톤, 미노스, 314d
- ^ 플라톤, 미노스, 314e
- ^ 플라톤, 미노스, 314e~315a
- ^ 플라톤, 미노스, 315a–318d
- ^ 플라톤, 미노스, 315c
- ^ 플라톤, 미노스, 318d–321b
- ^ 플라톤, 미노스, 319d-e
- ^ 플라톤, 미노스, 320c
- ^ 플라톤, 미노스, 320e
- ^ a b 루이스 2006, 20페이지
- ^ a b Lewis 2006, 페이지 18.
- ^ 러츠 2010.
- ^ 리델 & 스콧 1940.
- ^ 게토 1888, 페이지 71.
- ^ 재거 1947, 페이지 370.
- ^ 1947년, 페이지 49.
- ^ a b 허친슨 1997, 페이지 1307–1308.
- ^ Hathaway & Houlgate 1969, 페이지 107.
- ^ 베스트 1980, 103 페이지 107.
- ^ 플라톤, 법학, 718c-723d
- ^ a b c Lewis 2006, 페이지 17.
- ^ 재거 1947, 페이지 369–370, 375 n. 74.
- ^ 1947년, 52-53페이지.
- ^ 1956번 홀, 페이지 199.
- ^ 테일러 1952 페이지 540.
- ^ Roewe 2000, 페이지 303–309.
- ^ a b 1888년, 페이지 93-97.
- ^ 모로 1960, 페이지 35~39.
- ^ 콥 1988 페이지 187-207.
- ^ a b 1933년, 페이지 425.
- ^ 1888, 페이지 88.
- ^ 게토 1888, 페이지 95.
- ^ 람 1927, 페이지 386.
- ^ 해밀턴 & 케언스 1961.
- ^ 스트라우스 1968년
- ^ Lewis 2006, 페이지 19.
- ^
- 베스트 1980 페이지 102
- 크루스트 1947 페이지 52-53
- 재거 1947, 페이지 370–371
- 스트라우스 1968
- ^ a b c d e 시로니 2005.
- ^ a b 타란트 1993.
- ^ 보에크 1806.
- ^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우스, 저명한 철학자들의 삶과 의견, 2.122-3
원천
- Annas, Julia (1995). The Morality of Happiness.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50-9652-1.
- Best, Judith (1980). "What is Law? The Minos Reconsidered". Interpretation. 8: 102–113.
- Boeckh, August (1806). In Platonis qui vulgo fertur Minoem. Halle: Hemmerde.
- Cairns, Huntington (1949). Legal Philosophy From Plato to Hegel.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ISBN 978-0-3132-1499-8.
- Cairns, Huntington (1970). "What is Law?". Washington and Lee Law Review. 27 (199).
- Chroust, Anton-Hermann (1947). "An Anonymous Treatise on Law: The Pseudo-Platonic Minos". Notre Dame Lawyer. 23 (48).
- Cobb, William S. (1988). "Plato's Minos". Ancient Philosophy. 8 (2): 187–207. doi:10.5840/ancientphil1988823.
- Crowe, Michael Bertram (1977). The Changing Profile of the Natural Law. BRILL. ISBN 978-9-0247-1992-1.
- Fassò, Guido (1966). Storia della filosofia de diritto. 1. Bologna: Società editrice il Mulino.
- George, Robert P. (1993). "Natural Law and Civil Rights: From Jefferson's 'Letter to Henry Lee' to Martin Luther King's 'Letter from Birmingham Jail'". Catholic University Law Review. 43 (143): 143–157.
- Grote, George (1888). Plato and the Other Companions of Sokrates. 1 (3d ed.). London: John Murray. pp. 421–425.
- Hamilton, Edith; Cairns, Hungtington, eds. (1961). The Collected Dialogues of Plato.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 Hathaway, R. F.; Houlgate, L. D. (1969). "The Platonic Minos and the Classical Theory of Natural Law". American Journal of Jurisprudence. 14 (1): 105–115. doi:10.1093/ajj/14.1.105.
- Heidel, W. A. (1896). Pseudo-Platonica. Baltimore: Friedenwald. ISBN 978-1-2963-8838-6.
- Hutchinson, D. S. (1997). "Introduction to the Minos". Complete Works/Plato. Indianapolis: Hackett Publishing Company. pp. 1307–1308. ISBN 978-0-8722-0349-5.
- Jaeger, Werner (1947). "Praise of Law: The Origin of Legal Philosophy and the Greeks". In Sayer, Paul (ed.). Interpretations of Modern Legal Philosophy: Essays in Honor of Roscoe Pound. Oxford University Press.
- Hall, Jerome (1956). "Plato's Legal Philosophy". Indiana Law Journal. 31.
- Lamb, W. R. M. (1927). "Introduction to the Minos". Charmides, Alcibiades, Hipparchus, The Lovers, Theages, Minos, Epinomis. Cambridge: Loeb Classical Library.
- Lewis, V. Bardley (September 2006). "Plato's "Minos:" the Political and Philosophical Context of the Problem of Natural Right". The Review of Metaphysics. 60 (1): 17–53. JSTOR 20130738.
- Lidell, Henry; Scott, Robert (1940). A Greek–English Lexicon (9th ed.). Oxford: Clarendon Press.
- Lutz, Mark (2010). "The Minos and the Socratic Examination of Law".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54 (4): 988–1002. doi:10.1111/j.1540-5907.2010.00466.x.
- Maguire, Joseph P. (1947). Plato's Theory of Natural Law. Yale University Press.
- Morrow, Glenn R. (1960). Plato's Cretan City: A Historical Interpretation of the "Laws".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 Pavlu, Josef (1910). Die pseudoplatonischen Zwillingsdialoge Mino und Hippareh (in German). Vienna: Verlag de K. K. Staatsgymnasiums.
- Rowe, Christopher (2000). "Cleitophon and Minos". In Rowe, Christopher; Schofield, Malcolm (eds.). Cambridge History of Greek and Roman Political Thought.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303–309.
- Schironi, Francesca (2005). "Plato at Alexandria: Aristophanes: Aristarchus, and the 'Philological Tradition' of a Philosopher". The Classical Quarterly. 55 (2): 423–434. doi:10.1093/cq/bmi040. ISSN 1471-6844.
- Schleiermacher, Friedrich (1996). "Introduction to the 'Minos'". In Steiner, Peter (ed.). Uber die Philosophie Platons. Felix Meiner Verlag. pp. 171–173.
- Shorey, Paul (1933). What Plato Said.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Strauss, Leo (1968). "On the Minos". Liberalism Ancient and Modern. Cornell University Press. pp. 65–75.
- Tarrant, H. (1993). Thrasyllan Platonism. Ithaca.
- Taylor, A. E. (1952). Plato: The Man and His Work. New York: Humanities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