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팅기아

Muntingia
문팅기아
Singapur cherry (Muntingia calabura) in Hyderabad, AP W IMG 9597.jpg
꽃 클로즈업.
과학적 분류 edit
킹덤: 플랜태
클래드: 기관지동물
클래드: 안기오스페름스
클래드: 에우디코츠
클래드: 로시즈
순서: 말발레속
패밀리: 문팅키아과
속: 문팅기아
l
종:
M. 칼라부라
이항식 이름
문팅기아칼라부라
동의어[1]
  • 문팅아로사 H. Karst.
  • 문팅기아칼라부라바바레. 트리니텐시스 그리셉.

문팅기아문팅기아과에 속하는 식물의 한 종류인 문팅기아칼라부라(Muntingia calabura)로,[2] 아브라함 문팅(Abraham Munting)을 기리기 위해 이름지어졌다. 멕시코 남부에서 볼리비아에 이르는 신트로피컬이 원산지로서 식용 과일이 있으며, 다른 열대지방에서도 널리 소개되어 왔다.

설명

문팅기아칼라부라는 가지를 뻗은 12m 높이의 관목이나 나무다.[3] 은 번갈아 가며, 구별이 잘 안 되고, 길이가 4-15cm이고 너비가 1-6cm이며, 톱니 여백이 있고 짧은 털로 덮여 있다.[3][4][5] 은 작다(폭 3cm까지), 단독 또는 2~3송이의 꽃의 염증이 있으며, 랜솔레이트 세팔꽃 5개, 털이 많고 오보바테이트 흰 꽃잎 5개, 노란 안테르가 있는 숫양, 매끄러운 난형 난소 등이 있다.[3][4][5] 식용 베리인 과일은 성숙기에 붉은색을 띠며 넓이는 약 1.5cm이다.[3][4]

분포 및 서식지

M. 칼라부라멕시코 남부, 카리브해, 중앙 아메리카, 남미 서부에서 볼리비아아르헨티나가 원산지다.[2][3][6] 그것은 해수면에서 1,000m의 고도까지 방해받는 저지대의 열대성 기후에 존재한다.[2][4] 인도 케랄라에서는 서부 가트와 인접한 지역에서 볼 수 있다.

생태학

이 종은 열대 저지대에서 방해를 받은 서식지를 식민지화하여 갤러리 숲뿐만 아니라 2차 식물의 일부가 된다.[3][7] 척박한 토양에서는 번성하고, 산성 및 알칼리성 조건과 가뭄을 견딜 수 있지만, 염분 조건에서는 자라지 않는다.[3]

씨앗은 새와 과일 박쥐에 의해 흩어진다.[3]

비록 열대 아메리카가 원산지지만, M. 칼라부라는 동남아시아에 소개되어 그곳과 세계의 다른 열대지방에 귀화되었다.[2][5][8]

자국어 이름

일반 이름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잎과 과일

사용하다

M. 칼라부라는 목재와 연료의 공급원으로 심어져 있다. 부드러운 목재는 시골 건축에 쓰이고, 나무껍질은 섬유질이며 밧줄을 만드는 데 쓰인다.[2][7]

그 과일은 먹을 수 있고, 어떤 경우에는 시장에서 팔리는 경우도 있는데, 그것들은 날것으로 먹거나 잼으로 가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잎은 차를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다.[3][7] 또한 잎(머리통, 전립선 문제, 위궤양 감소), 나무껍질(항식), 꽃(항식, 붓기 감소, 방습성 장애), 과일(흡수성 문제, 항염증)에 대한 전통적인 약용법이 보고되었다.[2][7][11]

당뇨병 환자들을 돕는다고 한다. 섭취[citation needed] 후 환자의 혈당 수치에 약간의 감소량이 기록되었다.

그것은 그늘을 위해 장식용 [7]종으로 심어져 있고, 또한 꽃이 양봉 산업의 과즙과 꽃가루의 원천이기 때문이다.[7]

이 나무는 떨어진 과일이 물고기를 유인하기 때문에 브라질의 강둑을 따라 심기도 한다.[2]

M. 칼라부라는 교란된 지역의 복구와 토양 침식을 막는 데 유용한 종으로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7] 그것은 또한 약 60종의 새와 포유류의 먹이의 원천이기 때문에 야생동물을 위한 피난처를 제공한다.[7]

재배

M.칼라부라는 종자, 묘목 또는 절토로부터 전파될 수 있다.[7] 코스타리카에서 씨앗은 우기에 설정되지만 숲 틈새에서 발견되는 빛과 온도의 조건이 필요하다.[12] 25℃에서 젖은 종이 타월 속에 씨앗을 넣은 시험에서는 총 44%의 씨앗이 백색광에서 발아하는 반면 어두운 환경에서는 발아하지 않았다.[12]

문화참고

스리랑카 작가 칼 뮬러는 이 나무를 그의 첫 번째 소설인 잼 과일 나무의 제목으로 선택했다. 소설에서, 이 나무는 스리랑카의 버거 공동체를 대표하는데, "재미있고, 강건한 사람들의 종족으로, 단순히 억제되거나 파괴되는 것을 거부하는 잼 있는 과일 나무와 같다."[13] 이 책은 1993년에 영어로 가장 잘 출판된 작품으로 그라티아엔 상을 받았다.

참조

  1. ^ "The Plant List: A Working List of All Plant Species". Retrieved 27 December 2014.
  2. ^ a b c d e f g "Neotropical Muntingiaceae - Neotropikey from Kew". www.kew.org. Retrieved 2017-05-16.
  3.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Lim, Dr T. K. (2012). "Muntingia calabura". Edible Medicinal And Non Medicinal Plants. Vol. 3. Springer Netherlands. pp. 486–492. doi:10.1007/978-94-007-2534-8_62. ISBN 9789400725331.
  4. ^ a b c d Smith Jr., C.E. (1965). "Elaeocarpaceae. In: Flora of Panama, part VI". Annals of the Missouri Botanical Garden. 52 (4): 494–495. doi:10.2307/2394991. JSTOR 2394991.
  5. ^ a b c Nelson, Gil (2010). The Trees of Florida: A Reference and Field Guide. Pineapple Press Inc. pp. 268–269. ISBN 9781561644759.
  6. ^ Boning, Charles R. (2006). Florida's Best Fruiting Plants. Sarasota, Florida: Pineapple Press, Inc. p. 111.
  7. ^ a b c d e f g h i Vázquez-Yanes, C.; Batis Muñoz, A. I.; Alcocer Silva, M. I.; Gual Díaz, M.; Sánchez Dirzo, C. (1999). "Muntingia calabura" (PDF). Árboles y arbustos potencialmente valiosos para la restauración ecológica y la reforestación. Reporte técnico del proyecto J084 (in Spanish). CONABIO - UNAM.
  8. ^ Hanelt, Peter; Institute of Plant Genetics and Crop Plant Research (2001). Mansfeld's Encyclopedia of Agricultural and Horticultural Crops: (Except Ornamental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p. 1560. ISBN 9783540410171.
  9. ^ a b c d "Muntingia calabura". GRIN-Global Web v 1.9.8.2. U.S. National Plant Germplasm System. Retrieved 2017-05-16.
  10. ^ 결정체 델 티엠포 이 템파투라 ò티마 델 세카도 데 문팅아 칼라부라 L. (프루티야, 니기토)
  11. ^ Mahmood, N. D.; Nasir, N. L. M.; Rofiee, M. S.; Tohid, S. F. M.; Ching, S. M.; Teh, L. K.; Salleh, M. Z.; Zakaria, Z. A. (2014). "Muntingia calabura: A review of its traditional uses, chemical properties, and pharmacological observations" (PDF). Pharmaceutical Biology. 52 (12): 1598–1623. doi:10.3109/13880209.2014.908397. ISSN 1388-0209. PMID 25068675.
  12. ^ a b Baskin, Carol C.; Baskin, Jerry M. (2001). Seeds: Ecology, Biogeography, and Evolution of Dormancy and Germination. Elsevier. pp. 259, 275. ISBN 9780120802630.
  13. ^ "The Jam Fruit Tree". Penguin India. Retrieved 2021-07-05.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