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박물관 (말레이시아)
National Museum (Malaysia)좌표: 3°8′15.29″N 101°41′14.60″E / 3.1375806°N 101.6873889°E
국립박물관(Malay:Muzium Negara)은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 있는 잘란 다만사라에 위치한 박물관이다. 이 박물관은 페르다나 호수 정원과 가까운 곳에 위치해 있으며 말레이시아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개요를 제공한다. 그것의 정면은 전통적인 말레이어와 현대적인 특징들로 구성되어 있다. 1963년 8월 31일 개관하였으며,[1] 말레이시아의 풍부한 문화 역사적 유산의 보고 역할을 하고 있다.
국립중앙박물관은 길이 109.7m, 폭 15.1m(49ft 6in)의 3층 구조물로 중앙점 높이 37.6m(123ft 4in)이다. 박물관은 민족학과 자연사에 할당된 네 개의 주요 화랑을 소장하고 있다. 이 전시회는 결혼식, 축제, 의상과 같은 문화 행사를 보여주는 독립된 식탁에서부터 전통 무기, 악기, 예술과 공예품, 도자기, 식물과 동물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역사
구 셀랑고르 박물관 자리에 국립 박물관이 건립되었다.[1] 1896년 연합 말레이 주가 결성된 이후 1898년 영국과 셀랑고르 정부에 의해 건설되었다. 1945년 3월 10일, 제2차 세계대전 종전 당시, 박물관의 오른쪽 날개는 연합군으로부터 미군 B-29 폭격기에 의해 폭격되어 파괴되었다.[2] 그 후 박물관의 소장품은 타이핑에 있는 페락 박물관으로 옮겨졌다.
제2차 세계 대전 후에도 셀랑고르 박물관의 왼쪽 날개는 여전히 역사 유적지로 사용되고 있었다. 툰쿠 압둘 라만 총리는 말라야 연방의 독립 직전, 식물과 동물 표본뿐만 아니라 국가 역사 문화 보물을 소장할 박물관을 건립할 생각을 했다. 낡은 박물관 구조는 새로운 박물관을 만들기 위해 완전히 철거되었다.
1959년에 착공하여 1963년에 완공되었다. 국립박물관은 1963년 8월 31일 제3대 양디-페르투안 아공인 투안쿠 시드 푸트라 이브니 알-마르훔 시드 하산 자말룰랄이 공식 개관했다.[3]
1996년 4월 4일, 그 건물은 고대 기념물이자 사적지로 169/1976년 고대유적법에 의해 관보되었다.
건축
건축가 호콕회(Ho Kok Hoi)의 이 박물관의 디자인은 말레이 왕궁의 건축과 말레이 토속 건축에서 영감을 얻었다. 그 디자인은 전시와 활동 공간의 필요성을 포함시켰다. 입구에 걸쳐 있는 커다란 모자이크 벽화는 그 나라의 역사와 문화를 묘사하고 있다. 본관 중앙부 바닥에는 파키스탄 정부가 선물한 특수 타일로 꾸며져 있다. 또한 유네스코는 전 세계 다른 박물관의 박물관 전문가들의 자문을 용이하게 했다.
박물관의 전시와 전시들은 지역 역사, 문화와 전통, 예술과 공예, 경제 활동, 지역 동식물, 무기, 화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 박물관에는 다양한 갤러리들이 들어서 있는데, 각각은 그 주제를 가지고 있다. 1층은 이슬람 술탄 말라카에 석기, 청동기, 철기, 힌두-부두 왕국을 시작으로 말레이 반도의 지리적, 자연적 역사를 보여준다. 고대 말레이 힌두교-불교 국가인 강가 네가라, 스리비자야, 마자파히트가 언급되어 있다. 소장품으로는 케다에 있는 부장계곡 사원의 모형인 비도르의 청동 관음보살상과 자반 보로부두르, 마자파히트 그릇 등 지역의 고대 유산을 전시하고 있다. 이 전시회는 말라카 이슬람 술탄국가와 말레이시아의 여러 주까지 계속된다. 이 전시회는 말레이시아의 국가 정체성을 위해 말라칸 술탄국가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2층은 독립까지 이어지는 식민지 역사를 기리는 곳이다. 말레이 통치자들의 왕실 머리장식 사본들이 있다.
센트럴 홀
중앙 홀의 바닥을 장식한 것은 파키스탄의 파란색 기하학적 디자인의 모자이크 타일로, 홀의 천장에는 복잡한 조각 패널이 있다. 중앙홀에는 임시 전시회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홀에서는 한국의 다양한 문화와 유산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주제별, 특별 전시회가 수시로 열리고 있다. 외국 전시회는 가끔 열린다.
과거 전시회에는 '이슬람 문명', '우리 왕', '꽃의 세계', '과일의 세계', '두리안 왕', '사라왁에서 온 마스크', '세계 화폐', '중국의 이슬람 프런티어', '미국 프론티어', '네덜란드에서 온 종교 건축' 등이 전시되었다.
박물관은 말레이계를 강하게 강조하고 있으며, 국민전선(바리산 나시오날)의 당사자 중 하나인 유나이티드 말레이 국가기구의 설립에 상당한 부분을 할애하고 있다. 1957년 8월 31일 3개 정당이 힘을 합쳐 말라야의 독립을 달성한 말레이 중국협회와 말레이 인도 의회의 개입에 대한 언급은 거의 없다.
근거
다른 갤러리로는 국립 스포츠 갤러리, 자연사 갤러리 등이 있다.
박물관 건물 근처에는 말레이시아의 과거와 현재 교통의 야외 전시회가 많이 있다. 멜라카 불록 카트 전시회는 초기의 미국 마차와 매우 흡사하다. 영국 킷슨앤코가 만든 증기기관차는 1969년 운행을 중단하기 전까지 1921년 운행을 중단한 것이 유례없는 관심사다. 그것은 자연호수나 인공호수에 떠다니는 공장을 닮은 틴 준설기 150만 마일을 덮었다. 1985년 7월 9일 첫 출시된 국민차인 1.3리터 초반의 프로톤 사가 등 고색창연한 시민차와 자가용을 포함한 자동차도 전시된다.
국립박물관은 또한 생활과 세계 문화의 특정 측면을 주제로 한 정기적인 주제 전시회를 연다.
이스타나사투
이 박물관의 또 다른 명소는 이스타나 사투로 알려진 원래의 크기의 테렝가누 목재 궁전이다. 1884년 테렝가누의 술탄 자날 아비딘 3세가 쿠알라 테렝가누의 코타 이스타나 마자야 구내에 세운 것이다. 이 건물은 "Rumah Tiang Dua Belas"라고 불리는 테렝가누 말레이 전통 건축물이다. 사용된 목재는 cengal이다. 이스타나 사투는 1974년 4월 국립박물관 구내에 세워졌다.
복원된 궁전은 열대지방용으로 설계된 목조주택으로 건물 아래 공기가 자유롭게 순환할 수 있는 기둥과 가파른 초가지붕이 있어 내부를 시원하게 해준다. 문과 창문에는 복잡한 나무 조각들이 있다.
이스타나 사투 옆에는 켈리렝이나 장대 두 개가 있다. 켈리렝은 나무의 꼭대기에서 아래로 조각된 거대한 나무 줄기로 만들어진다. 그 옆에는 노예와 추종자들의 몸을 위한 공간이 있고 꼭대기에 움푹 패여 족장의 뼈가 들어 있는 항아리를 놓는다.
오랑 아스리 공예관
오랑애슬리 공예관은 말레이시아 반도 전역의 시골 지역에 주로 거주하는 원주민 공동체인 오랑애슬리 사람들의 예술과 수공예품을 전시하고 있다. 박물관은 어떻게 18개의 오랑아슬리 부족이 네그리토족, 세나이족, 프로토말레이족 등 3개의 주요 집단으로 나뉘어 있는지 설명하고 있다. 그들의 수공예품, 특히 탈과 형상을 포함한 마흐메리와 자흐후트 부족의 목공예품들은 수집가들에 의해 높이 평가된다.[4]
이사
- 1959-1963: 무빈 셰퍼드[5][6]
- 1963-1967: J.J. 로우리[6]
- 1968-1991: 샤름 빈 유브[6][7]
- 1991-1996: 줄키플리 빈 압드. 아지즈[6]
- 1996-2002년: 가마룰 바아린 빈 부용[6]
- 2002-2007: 닥터 아디빈타하[6]
- 2007-2008: 파이만 빈 케로모[6]
- 2008~2015년: 이브라힘 빈 이스마일[6]
- 2015년 4월 – 2015년 9월: 완 자말루딘 빈 완 유소프[6]
- 2015년 9월 – 현재: Kamarul Baharin bin A. 카심[6]
말레이시아 박물관 자원봉사자(MVM)
2007년에는 쿠알라룸푸르 지역에 거주하는 문화·역사 애호가들이 결성되어 국립박물관부의 지원으로 증가하는 국제 관광객을 수용하기 위한 자원봉사 박물관 관광 가이드 그룹도 결성되었다. 언제든지 20명에서 100명 사이의 많은 국적의 자원봉사자들이 영어, 한국어, 일본어, 프랑스어로 관광을 제공한다. 주로 주말에 활동하는 말레이시아 방문객들을 위한 관련 단체가 설립되었다.
MVM은 또한 쿠알라룸푸르와 조지타운, 쿠알라 간다 코끼리 보호구역,[8][9] 세타팍의 왕립 셀랑고르 방문, 풀라우 캐리의 메리 오랑 아스리 마을의 하리 모양 축하 등 학교 내 말레이시아 문화 및 역사 유산을 홍보하고 회원들을 위한 관광을 조직한다. 이 단체는 또한 그 나라의 문화 및 역사적 유산에 대한 강연과 수업을 조직한다.
2009년 MVM은 말레이시아 어린이들이 즐겨 하던 전통 놀이를 재방문하는 국립박물관의 협업을 받아 'Jom Main' 전시회를 주관했다.
대중교통
무지움 네가라는 바로 뒤에 위치해 있으며 지하 SBK15 무지움 네가라 MRT 역에 이름을 빌려주고 있다. 이 역은 잘란 다만사라를 가로지르는 KA01 KS01 KJ15 KE1 KT1 MR1 KL 센트럴과 200m(660ft) 길이의 지하 산책로를 통해 연결된다.
참고 항목
참조
- ^ Jump up to: a b "Muzium Negara". Tourism Malaysi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May 2014. Retrieved 25 May 2014.
- ^ "Muzium Negara". welcome-kl.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February 2013. Retrieved 16 July 2012.
- ^ "Muzium Negara". Kuala Lumpur City Hal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June 2012. Retrieved 16 July 2012.
- ^ "Photographs of the museum". independent-travellers.com. Retrieved 29 March 2014.
- ^ "Profil Tan Sri Datuk Dr. Haji Abdul Mubin Sheppard" (in Malay). Arkib Negara Malaysia.
- ^ Jump up to: a b c d e f g h i j "Sejarah - Ketua Pengarah Jabatan Muzium Malaysia" (in Malay). Jabatan Muzium Malaysia. Retrieved 19 January 2017.
- ^ Noraini Abd. Razak (3 April 2011). "Muzium jadi darah daging". Utusan Malaysia (in Mala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January 2017. Retrieved 18 January 2017.
- ^ 쿠알라 간다 코끼리 보호구역(테메를로) 2011년 6월 18일 웨이백머신 관광 파항(Wayback Machine)에 보관.
- ^ 쿠알라 간다 코끼리 보호구역, 내국인 가이드.
추가 읽기
- Lenzi, Iola (2004). Museums of Southeast Asia. Singapore: Archipelago Press. p. 200. ISBN 981-4068-96-9.
- Harris, Mark (1990). National Museum, Kuala Lumpur: History and culture of Malaysia. Kuala Lumpur: Syarikat S. Abdul Majeed, Pub. Division. p. 88 pages. ISBN 978-983-9629-15-6.
- Gold jewellery and ornaments: In the collection of Muzium Negara, Malaysia. Kuala Lumpur: Persatuan Muzium Malaysia. 1988. p. 243 pages. ISBN 978-983-9579-00-0.
- Haji Ali, Mohamed Kassim (1988). Masks of Sarawak in the collection of Muzium Negara Malaysia. Kuala Lumpur: Museums Association of Malaysia. p. 111 pages. ASIN B0006EHZ58.
- bin Mohd. Yatim, Othman (1981). Chinese Islamic wares in the collection of Muzium Negara (Series on the ceramics collection of Muzium Negara). Kuala Lumpur: Muzium Negara. p. 99 pages. ASIN B0006E7THM.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커먼즈 국립박물관(말레이시아) 관련 매체
- 공식 웹사이트 (영어 및 말레이어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