넬 홀 홉맨

Nell Hall Hopman
넬 홀 홉먼, CBE
Nell Hall Hopman 1938.jpg
풀네임엘리너 메리 홀 홉맨
나라(스포츠) 호주.
태어난(1909-03-09)9 1909년 3월 9일
시드니
죽은1968년 1월 10일(1968-01-10) (58)
호손, 빅토리아
은퇴한1966
싱글스
그랜드 슬램 단식 경기 결과
오스트레일리아 오픈F(1939, 1947)
프렌치 오픈3R(1938년)
윔블던3R (1934, 1952, 1953)
US 오픈3R(1938년)
복식
그랜드 슬램이 2배 더 많은 결과를 낳다
오스트레일리아 오픈F(1935, 1937, 1955)
프렌치 오픈W(1954년)
윔블던QF(1935, 1947년
그랜드 슬램 혼합 복식 결과
오스트레일리아 오픈W(1930, 1936, 1937, 1939)
윔블던F(1935년)

엘레노어 "넬" 메리만, CBE(Née Hall, 1909년 3월 9일 ~ 1968년 1월 10일)는 1930년대 초부터 1960년대 초까지 호주 테니스를 지배했던 여자 테니스 선수 중 한 명이었다. 그녀는 호주 데이비스컵 22개 팀의 감독이자 주장인 해리 홉만의 첫 번째 아내였다.

초년기

홉먼은 1909년 3월 9일 시드니 쿠지에서 태어났으며 찰스 어네스트 홀 서기, 메벨 거트루드, 네티퍼의 외동딸이자 세 자녀 중 둘째였다. 그녀는 랜드윅의 클레어몬트 대학에서 교육을 받았고 학생으로서 테니스와 음악에 뛰어났다. 그녀는 런던 왕립음악대학에서 자격증 및 교사 졸업장을 취득했고, 1928년에 장학금을 받았지만 대신 테니스 경력을 쌓기 위해 선택했다.[1]

경력

홉먼은 남편과 팀을 이뤄 호주선수권대회(1930, 1936, 1937, 1939)에서 4번의 혼합복식 우승을 차지했다.[2] 그들은 1935년 윔블던에서 3세트 만에 프레드 페리도로시 라운드 리틀에게 패하면서 혼전 결승 진출자였다.[3]

홉만은 1939년과 1947년 호주선수권대회 단식 결승전 진출자였다.[2] 그녀는 1954년 프랑스 선수권 대회 여자 복식 우승을 위해 모린 코놀리와 파트너십을 맺었다. 그녀는 선수 생활 동안 58개의 그랜드 슬램 단식 경기에 출전했는데, 57세 때인 1966년 프랑스 선수권 대회에서 1라운드 패배가 마지막이었다. 그녀는 1930년부터 1962년까지 호주 선수권 대회에서 열린 28개의 싱글 경기 중 1933년부터 1962년까지 25개의 연속된 경기를 포함하여 27개의 경기에 출전했다.[2] 그녀의 마지막 그랜드 슬램 대회는 1966년 미국 선수권대회 여자 복식 대회였는데, 아클레이 리처즈 부부는 1라운드에서 졌다.

홉먼은 1949-1950년 여름 호주에서 열리는 토너먼트에 윔블던 우승자인 루이스 브루 클랩도리스 하트를 초대하기로 한 테니스 호주의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녀는 또한 1952-1953년 여름에 코널리와 미국 주니어 타이틀 보유자 줄리 샘슨 헤이우드가 호주에서 뛸 수 있도록 주선했다. 최종 결과는 테니스 호주가 '호주 여자 테니스의 열악한 수준'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과 방법을 논의하기 위한 위원회를 설립하기로 한 결정이었다. 다른 테니스 작가들은 테니스 호주가 "여성 선수들에 대한 유별난 태도"라고 비난하면서 홉만의 노력을 지지했다. 1955년 테니스 호주는 마침내 Adrian Quist의 관리하에 여자팀을 해외로 보냈다. 1961년 호프만은 마거릿 코트, 레슬리 터너 보우레이, 메리 카터 레이타노로 구성된 또 다른 여자 팀을 해외로 데려갔다. 이 투어는 재정적인 성공이었지만, 홉만은 그녀의 선수들에게 과로와 과식, 불충분한 호텔에 머물도록 강요한 혐의를 받았다. 이에 따라 법원은 홉먼이 주도한 1962년 해외투어 참가를 거부했다.

호프만은 1952년부터 1954년까지 미국 잔디 테니스 협회와 남캘리포니아 테니스 협회에 고용되어 코놀리의 여행 동반자 겸 보호자가 되었다. 1962년 국제테니스연맹을 설득해 현재 남자 데이비스컵과 비슷한 여자 단체전인 페더레이션컵으로 알려진 페더레이션컵을 후원하도록 했다.

그녀는 1962년 7월에 CBE 상을 받았다.[4][5]

홉만은 1965년 '테니스 빅토리아'의 첫 멤버가 됐지만 이듬해 뇌종양 수술에 성공하지 못하고 1968년 1월 세상을 떠났다.[6]

그랜드 슬램 토너먼트 결승전

싱글: 2위(2위)

결과 연도 챔피언십 표면 상대 점수
손실 1939 오스트레일리아 선수권 대회 잔디 Australia 에밀리 후드 웨스타콧 1–6, 2–6
손실 1947 오스트레일리아 선수권 대회 잔디 Australia 낸시 윈 볼턴 3–6, 2–6

복식: 4명(1위, 준우승 3명)

결과 연도 챔피언십 표면 파트너 반대자 점수
손실 1935 오스트레일리아 선수권 대회 잔디 Australia 루이즈 비커턴 United Kingdom 에블린 디어만
United Kingdom 낸시 라일
3–6, 4–6
손실 1937 오스트레일리아 선수권 대회 잔디 Australia 에밀리 후드 웨스타콧 Australia 델마 코인 롱
Australia 낸시 윈 볼턴
2–6, 2–6
이기다 1954 프랑스 선수권 대회 점토 United States 모린 코널리 France 모우드 갈티에
France 수잔 슈미트
7–5, 4–6, 6–0
손실 1955 오스트레일리아 선수권 대회 잔디 Australia 그웬 티에레 Australia 메리 비스 호튼
Australia 베릴 펜로즈
5–7, 1–6

혼합복식: 6개(4개 타이틀, 준우승 2개)

결과 연도 챔피언십 표면 파트너 반대자 점수
이기다 1930 오스트레일리아 선수권 대회 잔디 Australia 해리 홉먼 Australia 마조리 콕스 크로퍼드
Australia 잭 크로퍼드
11–9, 3–6, 6–3
손실 1935 윔블던 선수권 대회 잔디 Australia 해리 홉먼 United Kingdom 도로시 라운드 리틀
United Kingdom 프레드 페리
5–7, 6–4, 2–6
이기다 1936 오스트레일리아 선수권 대회 잔디 Australia 해리 홉먼 Australia 메이 블릭
Australia 아베케이
6–2, 6–0
이기다 1937 오스트레일리아 선수권 대회 잔디 Australia 해리 홉먼 Australia 도로시 스티븐슨
Australia 돈 턴불
3–6, 6–3, 6–2
이기다 1939 오스트레일리아 선수권 대회 잔디 Australia 해리 홉먼 Australia 마거릿 윌슨
Australia 존 브로미치
6–8, 6–2, 6–3
손실 1940 오스트레일리아 선수권 대회 잔디 Australia 해리 홉먼 Australia 낸시 윈 볼턴
Australia 콜린 롱
5–7, 6–2, 4–6

그랜드 슬램 단식 경기 시간표

W F SF QF #R RR Q# DNQ A NH
(W) 원, (F) 준결승전, (SF) 준결승전, (QF) 준결승전, (#R) 4, 3, 2, 1라운드, (RR) 라운드 로빈 스테이지, (Q#) 예선전, (A) 부재, (NH) 개최되지 않음 SR=스트라이크 레이트(이벤트 승리/경쟁)
토너먼트 1930 1931 1932 1933 1934 1935 1936 1937 1938 1939 1940 1941–44 1945 19461 19471 1948 1949 1950 1951 1952 1953 1954 1955 1956 1957 1958 1959 1960 1961 1962 1963–65 1966 커리어 SR
오스트레일리아 선수권 대회 1R 1R A QF QF SF QF 2R SF F SF NH NH QF F QF 2R QF QF 2R 2R QF QF 2R 2R 1R 2R 1R 2R 2R A A 0 / 27
프랑스 선수권 대회 A A A A 1R 2R A A 3R A NH R A A A A A A A 1R 1R 1R 2R 1R A A 1R A 1R 2R A 1R 0 / 12
윔블던 선수권 대회 A A A A 3R 2R A A 1R A NH NH NH A 4R A A A A 3R 3R 1R 2R 2R A A 2R A 1R A A A 0 / 11
미국 선수권 대회 A A A A A A A A 3R A A A A A 2R A A A A A 2R 2R 2R 1R A A 2R A A 2R A A 0 / 8
SR 0 / 1 0 / 1 0 / 0 0 / 1 0 / 3 0 / 3 0 / 1 0 / 1 0 / 4 0 / 1 0 / 1 0 / 0 0 / 0 0 / 1 0 / 3 0 / 1 0 / 1 0 / 1 0 / 1 0 / 3 0 / 4 0 / 4 0 / 4 0 / 4 0 / 1 0 / 1 0 / 4 0 / 1 0 / 3 0 / 3 0 / 0 0 / 1 0 / 58

R = 프랑스 국적자로 제한되고 독일 점령 하에 개최되는 토너먼트.

11946년과 1947년에는 윔블던 이후 프랑스 선수권 대회가 개최되었다.

참고 항목

참조

  1. ^ "Hopman, Eleanor (1909 - 1968)". The Australian Women's Register.
  2. ^ a b c "Australian Open players archive – Nell Hopman". Tennis Australia.
  3. ^ "Wimbledon draws archive – 1935 Mixed Doubles". AELTC.
  4. ^ "Death of Mrs Nell Hopman". The Canberra Times. 11 January 1968. p. 24 – via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5. ^ "News in Brief Australians Honoured". The Canberra Times. 19 July 1962. p. 3 – via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6. ^ "Nell Hopman Dies at 57". The Sydney Morning Herald. 11 January 1968. p. 6.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