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그레이트 게임

The New Great Game

1990년대 후반, 일부 기자들은 "The New Great Game"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여 그들이 제안한 것은 이 지역의 광물자원을 바탕으로 중앙아시아에 대한 새로운 지정학적 관심을 묘사했다.

이 이름은 역사학자들이 19세기 영국과 러시아 [1]제국들 사이의 영토와 영향력을 위한 정치적, 외교적 경쟁을 묘사하기 위해 사용한 최초의 그레이트 게임을 가리키는 말이다."위대한 게임"이라는 용어 자체는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2]침공 이후 더 널리 쓰이게 되었다.

역사

1996년 뉴욕타임스는 "아시아의 새로운 위대한 게임"이라는 제목의 의견서를 발표했다.

거의 눈치채지 못했지만 중앙아시아는 다시 오래되고 거친 지정학적 게임에 관여하는 강대국들 사이의 암울한 전쟁터로 떠올랐다.서방 전문가들은 카스피해 국가들의 대부분 미개발 석유와 천연가스 자원이 이 지역을 다음 세기의 페르시아만으로 만들 수 있다고 믿고 있다.부활한 이 게임의 목적은 석유를 관리하는 옛 소련 공화국 지도자들과 친구가 되는 동시에 러시아의 의심을 잠재우고 세계 [3]시장으로 가는 안전한 송유관 경로를 모색하는 것이다.

2004년, 저널리스트 루츠 클레브만은 이 표현을 [4]이 지역의 광물자원 탐사와 연결시킨 책을 썼다.미군이 이 지역에 직접 개입한 것은 광물자원에 대한 간접적인 서방 정부의 이해관계가 아니라 테러와의 전쟁 중 일부였지만, 또 다른 언론인 에릭 월버그는 그의 책에서 이 지역의 광물과 송유관로의 접근이 여전히 중요한 [5][6]요소라고 시사했다.석유와 가스에 대한 관심에는 중국 동해안으로 에너지를 전달하는 파이프라인도 포함된다.뉴 그레이트 게임에 대한 한 가지 관점은 지정학적 경쟁에 비해 지리경제적 전환이다.샹밍첸은 러시아가 원래 러시아 제국이 했던 역할을 하는 신대전에서 중국의 역할이 러시아보다 영국의 역할에 가깝다고 믿고 있다.중국과 러시아는 양대 강국 대 약소 독립 중앙아시아 국가다.[7]

다른 작가들은 "Great Game"이라는 용어의 재사용을 비판했습니다.전략 분석가 Ajay Patnaik에 따르면, "새로운 위대한 게임"은 잘못된 명칭이다. 왜냐하면 과거처럼 이 지역에 집중된 두 개의 제국보다, 이제는 중국과 인도가 주요 경제 강국으로 부상하면서 많은 글로벌 및 지역 강대국들이 활동하기 때문이다.중앙아시아 국가들은 정치적, 경제적, 안보적 [8]관계를 다양화했다.CEIBS 상하이의 데이비드 고셋은 "2001년에 설립된 상하이 협력 기구(SCO)는 중앙아시아 배우들이 어느 정도 독립을 얻었음을 보여주고 있다"고 말했다.저자들은 2015년 발간된 국제관계서 '중앙아시아 세계화'에서 중앙아시아 국가들이 강대국의 정치·경제적 이익을 균형 있게 조정하기 위해 다각적인 접근을 추구해왔으나 전략적 역전으로 인해 엇갈린 성공을 거뒀다고 밝혔다.서방, 중국, 러시아에 관한 행정의 ls.그들은 중국이 러시아의 균형을 맞출 수 있을 것으로 추측한다.그러나 러시아와 중국은 2001년부터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맺고 있다.Ajay Patnaik에 따르면, "중국은 SCO를 주요 역내 메커니즘으로 삼아 이 지역에서 신중하게 전진했지만,[8] 중앙아시아에서 러시아의 이익에 결코 도전하지 않았습니다." 스트론스키와 니콜 응은 2018년 카네기 재단에서 중국은 중앙아시아에 대한 러시아의 이익에 근본적으로 도전하지 않았다고 썼다.그들은 중국, 러시아, 그리고 서방이 중앙아시아의 [9]지역 안정에 상호 이해관계를 가질 수 있다고 제안했다.폴 스트론스키와 니콜 응에 따르면, 중국은 중앙아시아 정책을 러시아의 우려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으며, 중국의 경제적 목적이 러시아 극동과 중앙아시아 이외의 다른 지역에서 러시아의 정치적 군사적 이익을 위협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러시아를 만족시키고 있으며, 중국의 [9]이민에 대한 러시아의 인구통계학적 우려를 완화시키고 있다.

역사학자 제임스 리어든앤더슨은 2014년 아프가니스탄 미군 1차 철군 당시 중앙아시아에서 새로운 대전이 열릴지 모르지만 서태평양과 동아시아 [10][11]해역에서 열리는 대전에 비해 미국에는 훨씬 덜 중요할 것이라고 말했다.2021년 8월 로이터통신은 탈레반의 탈취 이후 "새로운 그레이트게임은 파키스탄을 지배한다"며 인도와 [12]중국도 관여하고 있다고 보도했다.작가이자 은퇴한 제임스 스타브리디스 제독은 니케이에서 "새로운 대게임"은 아편 생산 규제에 대한 러시아의 관심, 희토류 광물에 대한 중국의 관심, 인도의 역할이 커지는 반면 서방은 진입을 [13]꺼릴 것이라고 말했다.2021년 미국이 아프가니스탄에서 철수하자 RFE/RL은 러시아 중국 파키스탄 이란이 다음 대전에서 단결할 수 있다면서 모스크바 베이징 이슬라마바드 테헤란은 각각 새로운 지정학적 [11]질서에서 자국의 이익을 증진하려는 것일 뿐이라고 보도했다.

2020년 연구에서, 뉴 그레이트 게임은 국경 지역과 영토 분쟁 지역의 "문명적 식민지주의"의 한 형태로 묘사되었으며, 하이 아시아 또는 "세계의 지붕"에 위치함으로써 통합되었다.카슈미르, 하자라, 누리스탄, 라그만, 아자드 카슈미르, 잠무, 히마찰 프라데시, 라다크, 길깃 발티스탄, 치트랄, 서부 티베트, 서부 신장, 바다흐샨, 고르노 바다흐샨, 페르가나, 오쉬투르키스탄 지역.이들 풍부한 자원 지역은 티엔산, 파미르, 카라코람, 힌두쿠시, 서히말라야 등 5대 산맥아무다리아, 시르다리아,[14] 인더스 등 3대 강으로 둘러싸여 있다.

"위대한 게임"이라는 용어는 진부한 메타포어로 [15]묘사되어 왔으며, 현재 남극 대륙,[16] 멀리 북쪽,[17] 그리고 우주 공간에서 [18]"위대한 게임"을 주제로 쓴 작가들이 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Detsch, Robbie Gramer, Jack. "Foreign Powers Jockey for Influence in Afghanistan After Withdrawal". Foreign Policy. Retrieved 14 August 2021.
  2. ^ 시모어 베커, "위대한 게임"환기시키는 구절의 역사.Asian Affairs 43.1 (2012): 61-80.
  3. ^ 뉴욕타임스 1996.
  4. ^ Kleveman 2004.
  5. ^ Golshanpazhooh 2011.
  6. ^ 그라탈 2012.
  7. ^ Chen, Xiangming; Fazilov, Fakhmiddin (19 June 2018). "Re-centering Central Asia: China's "New Great Game" in the old Eurasian Heartland". Palgrave Communications. 4 (1): 1–12. doi:10.1057/s41599-018-0125-5. ISSN 2055-1045. S2CID 49311952.
  8. ^ a b Ajay Patnaik (2016). Central Asia: Geopolitics, Security and Stability. Taylor & Francis Group. pp. 28–31. ISBN 9781317266402.
  9. ^ a b Stronski, Paul; Ng, Nicole (28 February 2018). "Cooperation and Competition: Russia and China in Central Asia, the Russian Far East, and the Arctic". Carnegie Endowment for International Peace. Retrieved 26 July 2021.
  10. ^ "Interview: The SCO, Security, And A New 'Great Game'". RadioFreeEurope/RadioLiberty. Retrieved 29 December 2021.
  11. ^ a b "Regional Powers Seek To Fill Vacuum Left By West's Retreat From Afghanistan". RFE/RL. Retrieved 29 December 2021.
  12. ^ Miglani, Sanjeev; Shahzad, Asif; Tian, Yew Lun (23 August 2021). "Analysis: China, Pakistan, India jockey for position in Afghanistan's new Great Game". Reuters. Retrieved 29 December 2021.
  13. ^ "Rare earth trillions lure China to Afghanistan's new Great Game". Nikkei Asia. Retrieved 29 December 2021.
  14. ^ Sharma, Vishal (2020). Civilizational Colonialism and the Ongoing New Great Game in the Sensitive Areas of High Asia: Exploring Pan-High Asianism as the potential way forward for the Western Pahari, Greater Dardic, Trans-Himalayan, Badakhshan and Sogdiana Belts possibly leading to High Asian Approaches to International Law (HAAIL). Academia (Thesis). Cardiff: Cardiff University. Retrieved 27 September 2021.
  15. ^ Miller, Sam (2014). A Strange Kind of Paradise: India Through Foreign Eyes. London: Vintage Books. p. 286.
  16. ^ Dodds, Klaus (2008). "The Great Game in Antarctica: Britain and the 1959 Antarctic Treaty". Contemporary British History. 22 (1): 43–66. doi:10.1080/03004430601065781. S2CID 144025621.
  17. ^ Borgerson, Scott G. (25 March 2009). "The Great Game Moves North". Foreign Affairs. Retrieved 12 November 2020.
  18. ^ Easton, Ian (24 June 2009). "The Great Game in Space: China's Evolving ASAT Weapons Programs and Their Implications for Future U.S. Strategy". Project 2049 Institute. Retrieved 12 November 2020.

원천

추가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