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호츠크 해
Sea of Okhotsk오호츠크 해 | |
---|---|
![]() 오호츠크해 지도 | |
위치 | 북아시아 및 동아시아 |
좌표 | 55°N 150°E/55°N 150°E좌표: 55°N 150°E / 55°N 150E / |
유형 | 바다 |
유역 국가 | 일본과 러시아 |
표면적 | 1,583,000km2(611,200평방마일) |
평균 깊이 | 859 m (2,818 피트) |
최대 깊이 | 3,372 m (11,063 피트) |
The Sea of Okhotsk (Russian: Охо́тское мо́ре, tr.Okhótskoye móre pronounced [ɐˈxot͡skəjə ˈmorʲe];[a] Japanese: オホーツク海, romanized: 오오쓰쿠카이)는 서태평양의 [1]변두리 바다이다.동쪽은 러시아의 캄차카 반도, 남동쪽은 쿠릴 열도, 남쪽은 일본의 홋카이도 섬, 서쪽은 사할린 섬, 서쪽과 북쪽은 동부 시베리아 해안 사이에 위치해 있다.북동쪽 모서리는 셀리코프 만이다.바다의 이름은 '오코타 강'을 뜻하는 이븐어 '오카트'[2]에서 따왔다.
지리
오호츠크해의 면적은 1,583,000 평방 킬로미터(611,000 평방 마일)이며, 평균 깊이는 859 미터(2,818 피트), 최대 깊이는 3,372 미터(11,063 피트)입니다.그것은 사할린 양쪽으로 일본해와 연결되어 있다. 서쪽은 사할린 만과 타르타리 만을 지나 남쪽은 라 페루즈 해협을 지나간다. 일본해
겨울에는 [3]빙하 때문에 오호츠크해의 항해가 방해된다.아무르 강의 많은 양의 담수에 의해 얼음 덩어리가 형성되어 상층부의 염도를 낮추고 종종 해수면의 결빙점을 높입니다.빙하의 분포와 두께는 위치, 시기, 물살, 해수 온도 [4]등 많은 요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시베리아에서 온 찬 공기가 북서쪽 오호츠크 해에서 해빙을 형성한다.얼음이 형성되면서 소금을 더 깊은 층으로 배출한다.이 중수는 산소와 영양분을 싣고 태평양을 향해 동쪽으로 흘러 풍부한 해양생물을 지탱한다.오호츠크해는 산업화 이전부터 지구 평균보다 3배 빠른 섭씨 3도나 따뜻해진 곳도 있다.온난화는 해빙의 형성을 억제하고 물고기 개체수를 북쪽으로 몰아간다.일본 북부 연안의 연어 어획량은 지난 15년 동안 70% 감소했고, 러시아 참연어 어획량은 4배 [5]증가했습니다.
일본의 본섬 중 하나인 홋카이도를 제외하고, 바다는 사방이 러시아 연방이 관리하는 영토로 둘러싸여 있다.남사할린 섬과 쿠릴 열도는 1945년까지 일본에 의해 통치되었다.일본은 쿠릴열도 남부를 영유권 [6]주장하면서 북방영토라고 부른다.
- 갤러리
정도
국제수로기구(International Hydroographic Organization)는 오호츠크해의 경계를 다음과 [7]같이 정의하고 있다.
섬들
일본에서 두 번째로 큰 섬인 홋카이도와 러시아에서 가장 큰 섬인 사할린 섬을 포함한 오호츠크 해의 섬들 중 일부는 꽤 크다.사실상 바다의 모든 섬들은 연안에 있거나 쿠릴 열도를 구성하는 다양한 섬에 속해 있다.이것들은 일본이나 러시아 소유이거나 일본과 러시아 사이의 소유권 분쟁에 속한다.이오니 섬은 탁 트인 바다에 위치한 유일한 섬으로 러시아 연방의 하바로프스크 지방에 속해 있습니다.바다의 섬들은 대부분 사람이 살지 않기 때문에 바다표범, 바다사자, 바다새, 그리고 다른 바다 섬 동물들의 이상적인 번식지입니다.오호츠크해를 둥지로 삼은 100만 마리 이상의 큰 군락지.
역사
전근대
오호츠크족과 해안 어업과 수렵 채집 민족인 후기의 아이누 문화는 일본 [8]북부뿐만 아니라 오호츠크해를 둘러싼 육지 주변에 위치했다.
유럽의 탐험과 정착
러시아 탐험가 이반 모스크비틴과 바실리 포야르코프는 1640년대에 오호츠크해를[9] 방문한 최초의 유럽인들이었다.브레켄의 네덜란드 선장 마르텐 게리츠 프리츠는 1643년 남동쪽에서 오호츠크해로 들어가 사할린 해안과 쿠릴레 열도의 일부를 도표화했지만 사할린과 홋카이도가 모두 섬이라는 것을 깨닫지 못했다.
1840년대에 아얀에게 상업적인 패권을 내준 오호츠크 항은 해안에서 가장 중요한 러시아인 정착지였다.러시아계 미국인 회사는 19세기 전반에는 바다의 상업 항해를 거의 독점했다.
비투스 베링 휘하의 제2차 캄차카 탐험대는 1733년부터 체계적으로 전 해안을 지도화했다.장 프랑수아 드 라 페루스와 윌리엄 로베르 브로톤은 마르텐 게리츠 프리스를 제외하고 이 해역을 통과한 것으로 알려진 최초의 비러시아계 유럽 항해사였다.Ivan Krusenstern은 1805년에 사할린의 동쪽 해안을 탐험했다.마미야 린조와 겐나디 네벨스코이는 사할린이 좁은 해협으로 본토와 분리된 섬이라고 판단했다.오호츠크해의 수문학에 대한 첫 번째 상세한 요약은 1894년 스테판 마카로프에 의해 작성되고 출판되었다.
낚시
오호츠크해는 다양한 종류의 물고기, 조개류, 게가 있는 세계에서 가장 풍부한 생물 자원 중 하나이다.
일본 작가 고바야시 다키지의 가장 유명한 소설 게 통조림선(1929년)의 소재는 오호츠크해의 꽃게잡이의 혹독한 환경이다.
땅콩 홀
땅콩홀은 오호츠크해 중심에 있는 러시아의 배타적 경제수역(EEZ)으로 둘러싸인 넓이 약 55km, 길이 480km(300마일)의 외양 지역이다.피넛홀이 러시아 EEZ에 없었기 때문에, 어떤 나라도 그곳에서 낚시를 할 수 있었고, 일부는 1991년에 대량으로 낚시를 하기 시작했고, 1992년에 아마 100만 미터 톤의 명태를 제거했다.러시아 연방은 러시아 EEZ에서 땅콩구멍을 드나들면서 러시아 어류 재고량이 위험하다고 여겼다.
러시아 연방은 유엔에 피넛홀을 러시아 대륙붕의 일부로 선포해 달라고 청원했다.2013년 11월, 유엔 소위원회는 러시아의 주장을 받아들였고, 2014년 3월, 유엔 대륙붕의 한계에 관한 완전한 위원회는 러시아 연방의 손을 들어주었다.
포경
미국과 유럽의 고래잡이 선박은 19세기에서 20세기 초에 바다에서 고래를 사냥했다.그들은 주로 오른쪽 고래와 큰고래를 잡았습니다.몇 척의 [10][11][12][13][14][15]배가 난파했다.
현대의
남사할린은 1907년부터 1949년까지 카라후토 현으로 일본에 의해 관리되었다.쿠릴열도는 1855년과 1875년부터 1945년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날 때까지 일본령이었다.그 후 소련이 그 영토를 점령했다.
냉전 기간 동안, 오호츠크 해는 소련 해군 해저 통신 케이블을 도청하기 위한 미 해군의 몇몇 성공적인 작전(아이비 벨 작전 포함)의 현장이었다.이러한 조작은 책 "블라인드 맨즈 블러프: 미국 잠수함 스파이 이야기.바다와 주변은 1983년 소련이 대한항공 007편을 공격한 곳이기도 하다.소련 태평양함대는 러시아가 계속하는 전략인 탄도미사일 잠수함 [16]보루로 바다를 사용했다.
일본어로 바다는 일본 영토와 가까운 위치에도 불구하고 전통적인 일본 이름이 없으며 러시아 이름을 옮겨 쓴 오오쓰쿠카이(五ts海)라고 불린다.Additionally, Okhotsk Subprefecture, Hokkaidō which faces the sea, also known as Okhotsk region (オホーツク地方, Ohōtsuku-chihō), is named after the sea.
석유 및 가스 탐사
해안을 따라 뻗어 있는 오호츠크해 선반에는 29개의 기름과 가스가 축적될 가능성이 있는 구역이 확인되었다.총 매장량은 석유 12억 톤과 가스 [17]15억 입방 미터 등 35억 톤으로 추산된다.
2011년 12월 18일 러시아 석유시추시설 콜스카야는[18] 캄차카에서 예인되던 사할린섬에서 약 124km(77mi) 떨어진 오호츠크해에서 폭풍으로 전복돼 침몰했다.보도에 따르면 펌프가 고장나 물이 차올라 가라앉았다고 한다.승강장에는 67명이 타고 있었으며, 그 중 14명은 마가단과 예인선 낫토가즈-55에 의해 구조되었다.이 플랫폼은 러시아의 거대 에너지 회사인 [19][20][21]가즈프롬에서 일하는 회사에 하청되었다.
주목할 만한 항만
- 마가단, 마가단, 러시아; 인구: 95,000
- 러시아 캄차카 팔라나 인구: 3,000명
- 일본 홋카이도 아바시리, 인구: 38,000
- 몬베쓰, 홋카이도, 인구: 25,000명
- 왓카나이, 홋카이도, 인구: 38,000명
「 」를 참조해 주세요.
설명 메모
레퍼런스
- ^ Kon-Kee Liu; Larry Atkinson (June 2009). Carbon and Nutrient Fluxes in Continental Margins: A Global Synthesis. Springer. pp. 331–333. ISBN 978-3-540-92734-1. Retrieved 29 November 2010.
- ^ "Охота". Вода России (in Russian). Retrieved 2020-06-15.
- ^ "Sea of Okhotsk - Economic aspects". Encyclopedia Britannica. Retrieved 2019-11-14.
- ^ Watanabe, Tatsuro; Ikeda, Motoyoshi; Wakatsuchi, Masaaki (2004). "Thermohaline effects of the seasonal sea ice cover in the Sea of Okhotsk".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Oceans. 109 (C9). Bibcode:2004JGRC..109.9S02W. doi:10.1029/2003JC001905. ISSN 2156-2202.
- ^ . 15nov19, pp A1, A12, A13을 인쇄합니다"How climate change is triggering a chain reaction that threatens the heart of the Pacific". Washington Post. Retrieved 2019-11-14..
- ^ 브루스 A.엘먼, 마이클 R.니콜스와 매튜 J. 위메트, 쿠릴 열도 분쟁, 태평양 문제에서 미국의 역할에 대한 역사적 재평가, 제7권, 제4호(겨울, 1998–1999), 페이지 489–504
- ^ Limits of Oceans and Seas (PDF). International Hydrographic Organization. Vol. 172 (3rd ed.). 1953. pp. 32–33. Bibcode:1953Natur.172R.484.. doi:10.1038/172484b0. S2CID 36029611. Retrieved 15 June 2020.
- ^ "ウェブマガジン カムイミンタラ ~北海道の風土・文化誌 :オホーツク文化人とモヨロ貝塚 網走 流氷とともにやってきた古代民族の謎とロマンに魅せられた父子三代と研究者たち". kamuimintara.net. Retrieved 2019-07-10.
- ^ Stephan, John J. (1971), Sakhalin: a history, Clarendon Press, p. 11
- ^ Webb, Robert (1988). On the Northwest: Commercial Whaling in the Pacific Northwest 1790–1967.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Press. ISBN 0-7748-0292-8.
- ^ Vaughan, R. (1984)"유럽 포경 산업에 대한 역사적 조사"북극 포경에 관하여: 국제 심포지엄의 진행, 페이지 121-145.그로닝겐 대학교
- ^ 1902년 8월 23일 - 30일, 뉴 베드포드의 찰스 W. 모건, 조지 블런트 화이트 라이브러리(GBWL).
- ^ 샌프란시스코 콜(Vol. 106, No. 163, 1909년 11월 10일).
- ^ Starbuck, Alexander (1878). History of the American Whale Fishery from Its Earliest Inception to the year 1876. Castle. ISBN 1-55521-537-8.
- ^ Thrum, T. G. (1909)하와이 연감 1910년 연감.호놀룰루, 블랙&올드, 프린터.
- ^ Acharya, Amitav (March 1988). "The United States Versus the USSR in the Pacific: Trends in the Military Balance". Contemporary Southeast Asia.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9 (4): 293. ISSN 1793-284X. JSTOR 25797972.
- ^ "Magadan Region". Kommersant, Russia's Daily Online. Retrieved January 22, 2007.
- ^ 이 설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http://www.rigzone.com/data/rig_detail.asp?rig_id=521 및 http://www.amngr.ru/index.php/en/services/fleet/kolskaya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Russian oil rig sinks, leaving many missing". CNN. December 18, 2011. Retrieved December 18, 2011.
- ^ "Kolskaya Sinks Offshore Russia". Rigzone. Retrieved August 13, 2012.
- ^ "Blog Archive » Rig Kolskaya Lost". Shipwreck Log. December 18, 2011. Retrieved August 13, 2012.
외부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