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 버터필드
Paul Butterfield폴 버터필드 | |
---|---|
![]() 1979년 버터필드 | |
배경정보 | |
태명 | 폴 본 버터필드 |
태어난 | 시카고, 일리노이, 미국 | 12월 17일
죽은 | 1987년 5월 4일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미국 | (44세)
장르 | |
직업 | 음악가 |
계측기 |
|
활동년수 | 1963–1987 |
폴 본 버터필드(Paul Vaughn Butterfield, 1942년 12월 17일 ~ 1987년 5월 4일)는 미국의 블루스 하모니카 연주자, 가수, 밴드 리더였습니다. 클래식 플루티스트로서 초기 훈련을 받은 후, 그는 블루스 하모니카에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그는 고향 시카고에서 블루스 현장을 탐험했고, 그곳에서 머디 워터스와 다른 블루스 거장들을 만났고, 그는 그가 잼 세션에 참여할 수 있도록 격려와 기회를 제공했습니다. 그는 곧 동료 블루스 매니아인 닉 그라베니츠와 엘빈 비숍과 함께 공연을 시작했습니다.
1963년 폴 버터필드 블루스 밴드를 결성해 여러 장의 성공적인 앨범을 녹음하고 1960년대 후반 콘서트와 페스티벌 서킷에서 인기를 끌었으며 샌프란시스코 필모어 웨스트, 뉴욕 필모어 이스트, 몬테레이 팝 페스티벌, 우드스톡 등에서 공연을 펼쳤습니다. 이 밴드는 일렉트릭 시카고 블루스와 록 긴급성을 결합하고 선구적인 재즈 퓨전 공연과 녹음으로 유명합니다. 이 밴드는 또한 인종적으로 통합된 최초의 블루스 그룹에 속했습니다.[1] 1971년 그룹 해체 후, 버터필드는 밴드 폴 버터필드의 베터 데이즈(Paul Butterfield's Better Days), 그의 멘토 머디 워터스(Muddy Waters), 그리고 루츠 록 그룹 더 밴드(Roots-Rock)의 멤버들과 함께 투어와 녹음을 계속했습니다. 녹음과 공연을 하던 중 버터필드는 1987년 44세의 나이로 우연히 약물 과다 복용으로 사망했습니다.
음악 평론가들은 그를 가장 잘 알려진 블루스 하프 연주자 중 한 명으로 배치하는 독창적인 접근법의 개발을 인정했습니다. 2006년, 그는 블루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습니다. 버터필드와 폴 버터필드 블루스 밴드의 초기 멤버들은 2015년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습니다. 두 패널 모두 그의 하모니카 실력과 블루스 음악을 젊고 폭넓은 청중들에게 제공하는 데 기여한 점에 주목했습니다.
직업
폴 본 버터필드는[2] 1942년 12월 17일 시카고에서[2] 태어나 하이드 파크 근처에서 자랐습니다. 변호사와 화가의 아들인 그는 시카고 대학교와 연계된 사립학교인 시카고 대학교 실험실 학교에 다녔습니다. 어린 나이에 음악에 노출된 그는 시카고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왈프리드 쿠잘라와 함께 클래식 플루트를 공부했습니다.[3] 버터필드는 또한 운동선수였고 브라운 대학에 육상 장학금을 제안 받았습니다.[3] 하지만 무릎 부상과 블루스 음악에 대한 관심 증가는 그를 다른 방향으로 이끌었습니다. 그는 정통 블루스 음악에 관심을 공유한 기타리스트이자 싱어송라이터인 닉 그라베니츠를 만났습니다.[4] 1950년대 후반까지, 그들은 시카고의 블루스 클럽을 방문하고 있었는데, 그곳에서 머디 워터스, 하울린 울프, 리틀 월터, 그리고 오티스 러쉬와 같은 음악가들이 그들을 격려하고 때때로 잼 세션에 그들을 앉게 했습니다. 이 두 사람은 곧 대학가 커피숍에서 닉과 폴의 역할을 맡았습니다.[5]
1960년대 초, 버터필드는 블루스 기타리스트 지망생인 엘빈 비숍을 만났습니다.[6][7] 비숍은 다음과 같이 회상했습니다.
제가 그를 처음 만났을 때 그는 하프보다 기타를 더 많이 연주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약 6개월 만에 그는 하프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하게 되었고, 그는 그 6개월 만에 얻은 것만큼 성공하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그는 그저 타고난 천재였습니다. 이것은 1960년이나 1961년의 일입니다. 이때까지 버터는 2년 동안 게토에서 놀고 있었고, 그는 그 장면의 일부였고 받아들여졌습니다.[8]
결국, 보컬과 하모니카를 맡고 있는 버터필드와 기타를 맡고 있는 비숍은 시카고 노스사이드 근처의 올드타운 구역에 있는 포크 클럽인 빅존스에서 정기 공연을 제안 받았습니다.[8] 이 예약으로 그들은 1963년 베이시스트 제롬 아놀드와 드러머 샘 레이(둘 다 하울린 울프의 투어 밴드 출신)를 설득하여 그룹을 결성했습니다. 클럽에서의 그들의 참여는 매우 성공적이었고 음반 제작자 Paul A의 관심을 끌었습니다. 로스차일드.[9]
폴 버터필드 블루스 밴드
그들이 빅존스에서 활동하는 동안, 버터필드는 때때로 그 클럽에서 연주하고 있던 기타리스트 마이크 블룸필드를 만나서 함께 앉았습니다.[6] 우연히, 프로듀서 로스차일드는 그들의 공연 중 하나를 목격했고 두 사람의 케미스트리에 깊은 인상을 받았습니다. 그는 Butterfield를 설득하여 Bloomfield를 밴드에 끌어들였고, 그들은 Elektra Records에 계약되었습니다.[9] 1964년 12월, 그들의 첫 음반 녹음 시도는 로스차일드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했습니다. 그들의 소리를 더 잘 담기 위해, 로스차일드는 엘렉트라 회장 Jac Holzman에게 라이브 음반을 녹음하라고 설득했습니다.[10] 1965년 봄, Butterfield Blues Band는 뉴욕시의 Cafe Au Go Go에서 녹음되었습니다. 이러한 녹음들 또한 로스차일드를 만족시키지 못했지만, 클럽에서의 그룹의 등장은 그들을 East Coast 음악계의 주목으로 이끌었습니다.[6] 로스차일드는 홀즈먼에게 음반 녹음에 대한 세 번째 시도에 동의하도록 설득하여 시카고 이외의 지역에서 더 많은 참여를 확보했습니다.[11][12] 마지막 순간, 밴드는 1965년 7월 뉴포트 포크 페스티벌에서 공연하기로 예약되었습니다.[6] 나중에 버터필드와 함께 투어를 하고 녹음을 했던 남편 제프와 함께 마리아 멀다우어는 이 그룹의 공연이 놀랍다고 회상했습니다. 대부분 포크 음악 팬들이 높은 파워의 일렉트릭 블루스 콤보를 들은 것은 처음이었습니다.[12] 주목한 사람들 중에는 페스티벌 단골인 밥 딜런이 있었는데, 그는 그의 첫 번째 라이브 일렉트릭 공연을 위해 밴드를 초대했습니다. 리허설을 거의 하지 않은 채, 딜런은 다음날 블룸필드, 아놀드, 레이 (알 쿠퍼, 배리 골드버그와 함께)와 함께 짧은 4곡 세트를 공연했습니다.[13][14] 공연은 일부 사람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지 못했고 논란을 일으켰지만,[3] 분수령이 되는 사건이었고 밴드를 훨씬 더 많은 관객들의 관심을 끌게 했습니다.[12]
이 밴드의 데뷔 앨범인 The Paul Butterfield Blues Band는 1965년에 발매되었고, 빌보드 200 앨범 차트에서 123위에 올랐습니다.[9] 1966년 3월 28일, 버터필드는 진실을 말하기 위해 CBS 게임쇼에 출연했습니다. 그의 코너 마지막에, 그는 하우스 밴드와 함께 "Born in Chicago"를 공연했습니다.[15] 1966년 8월, 밴드는 두 번째 앨범인 East-West를 발매했고, 앨범 차트에서 65위에 올랐습니다.
1966년 11월 영국에서, 버터필드는 최근 앨범 A Hard Road를 마친 존 메이올 & 더 블루스브레이커스와 함께 여러 곡을 녹음했습니다.[16] 버터필드와 메이올이 보컬을 맡았고, 버터필드의 시카고 스타일 블루스 하프가 특징이었습니다. 1967년 1월 영국에서 45rpm EP로 발매된 존 메이올의 블루스브레이커스(John Mayall's Bluesbreakers with Paul Butterfield).[a]
버터필드 블루스 밴드는 아놀드와 데이븐포트가 밴드를 떠나고 블룸필드는 자신의 그룹인 일렉트릭 플래그를 결성하면서 라인업을 변경했습니다.[9] 밴드는 베이시스트 버그시 모, 드러머 필립 윌슨, 색소폰 연주자 데이비드 샌본과 진 딘위디를 추가했습니다. 이 라인업은 1967년 밴드의 세 번째 앨범인 The Reservation of Pigboy Crabshaw를 녹음했습니다. 이 음반은 버터필드의 음반 차트에서 52위에 오르며 가장 높은 차트를 기록한 음반이었습니다. 이 라인업의 대부분은 1967년 6월 17일 몬터레이 팝 페스티벌(Monterey Pop Festival)에서 공연되었습니다.[b][17]
1968년에 발매된 밴드의 다음 앨범인 In My Own Dream은 밴드의 시카고 블루스 뿌리에서 더 소울에 영향을 받은 혼 기반의 사운드로 계속 옮겨갔고 버터필드는 단 세 곡만 노래했습니다.[18] 빌보드 앨범 차트 79위에 올랐습니다. 1968년 말, 비숍과 나프탈린은 모두 밴드를 떠났습니다.[9] 1969년 4월, 버터필드는 시카고의 오디토리움 극장에서 열린 콘서트와 음반 제작자 노먼 데이론이 마련한 후속 녹음 세션에 참여했습니다. "40일 40일 40일", "I'm Ready", "Baby, Please Don't Go", "Got My Mojo Working"과 같은 워터스 워호스들은 녹음되었고 나중에 "Fathers and Sons" 앨범에 발표되었습니다. 워터스는 "우리는 리틀 월터, 지미 로저스, 엘진 에반스와 함께 드럼을 칠 때 많은 것을 했습니다. [워터스 밴드의 초기 구성] ... 처음 녹음할 때부터 [그 느낌에] 거의 가깝습니다."[19] 한 평론가에게 이 음반들은 폴 버터필드의 최고의 공연을 보여줍니다.[20]
버터필드 블루스 밴드는 1969년 8월 18일 우드스톡 페스티벌에 초청되어 공연을 하였습니다. 이 밴드는 7곡을 공연했고, 영화 우드스톡에는 출연하지 않았지만, "Love March"라는 한 곡이 우드스톡 앨범에 수록되었습니다. 1970년에 발매된 오리지널 사운드트랙과 그 이상의 음악. 2009년, 버터필드는 확장된 40주년 에디션 우드스톡 비디오에 포함되었고, 박스 세트 우드스톡: 40년 온: 백 투 야스구르 농장에 추가로 두 곡이 등장했습니다.
원래 라인업에서 버터필드만 남은 앨범 Keep On Moving은 1969년에 발매되었습니다. 베테랑 R&B 프로듀서이자 작곡가인 제리 라고보이(Jerry Ragovoy)가 프로듀싱했으며, 전해지는 바에 따르면 엘렉트라(Elektra)가 "돌파 광고 히트"를 쳤습니다.[3] 이 앨범은 비평가들이나 오랜 팬들에게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21] 빌보드 앨범 차트에서 102위에 올랐습니다.
버터필드 블루스 밴드의 라이브 더블 앨범인 라이브는 1970년 3월 21일부터 22일까지 캘리포니아 웨스트 헐리우드의 트루바두르에서 녹음되었습니다. 이 시기에 밴드는 "재즈 베이스가 있는 빅 밴드 시카고 블루스"로 묘사된 4개의 호른 섹션을 포함했습니다.[22] 1971년 소울에 영향을 받은 또 다른 앨범인 Somethers I Just Feel Like Smilin'이 발매된 후 폴 버터필드 블루스 밴드는 해체되었습니다.[9] 1972년, 그들의 경력을 회고하는 골든 버터: The Best of the Paul Butterfield Blues Band는 Elektra에 의해 발매되었습니다.
Better Days and Solo
버터필드 블루스 밴드가 해체되고 엘렉트라와 더 이상 계약하지 않은 후, 버터필드는 뉴욕 우드스톡으로 후퇴했고, 그곳에서 드러머 크리스 파커, 기타리스트 아모스 가렛, 가수 제프 멀다우르, 피아니스트 로니 배런, 베이시스트 빌리 리치와 함께 다음 밴드인 [12]폴 버터필드의 더 나은 날들을 결성했습니다. 1972-1973년, 이 그룹은 앨버트 그로스먼의 베어스빌 레코드에 의해 발매된 폴 버터필드의 더 나은 날들과 그것은 모두 돌아온다(Better Days Better Days and It All Comes Back)를 녹음했습니다. 그 앨범들은 참가자들의 영향을 반영했고 더 많은 뿌리와 민속에 기반을 둔 스타일을 탐구했습니다.[23] 쉽게 정의할 수 있는 광고 스타일은 없었지만 둘 다 앨범 차트에 올랐습니다. 이 밴드는 세 번째 스튜디오 앨범을 마지막으로 녹음하지는 못했지만, 1973년에 녹음된 앨범 'Live at Winterland Balloom'은 1999년에 발매되었습니다.[24]

버터필드는 다음으로 솔로 활동을 하고 여러 음악 환경에서 사이드맨으로 출연했습니다.[8] 1975년, 그는 다시 머디 워터스에 합류하여 워터스의 체스 레코드 마지막 앨범인 머디 워터스 우드스톡 앨범을 녹음했습니다.[25] 이 음반은 가스 허드슨과 워터스의 투어 밴드 멤버들과 함께 레본 헬름의 우드스톡 스튜디오에서 녹음되었습니다. 1976년, 버터필드는 밴드의 마지막 콘서트인 《The Last Waltz》에서 "Mystery Train"이라는 곡과 "Manish Boy"에서 머디 워터스를 지원하는 공연을 했다.[26] 버터필드는 1977년[7] 레본 헬름, RCO 올스타즈와 함께 투어 및 녹음을, 1979년 릭 단코와 함께 투어를 하면서 밴드의 전 멤버들과 자신의 관계를 유지했습니다. 단코와 리차드 마누엘이 함께한 1984년 라이브 공연이 녹음되어 2011년 'Live at the Lonestar'로 공개되었습니다.[27]
후원 음악가들과의 솔로 활동으로, 버터필드는 투어를 계속했고, 1976년에는 Put It in Your Ear, 1981년에는 North South를 현악, 신디사이저, 펑크 편곡으로 녹음했습니다.[3] 1986년, 그는 그의 마지막 스튜디오 앨범인 The Legendary Paul Butterfield Rides Again을 발매했는데, 이것은 최신 록 사운드로 컴백을 시도한 것이었습니다. 1987년 4월 15일, 그는 "B.B" 콘서트에 참가했습니다. 에릭 클랩튼, 에타 제임스, 앨버트 킹, 스티비 레이 본 등이 출연한 '킹 & 프렌즈'.[28]
레거시
"블루스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하프 연주자들 중 한 명으로 순위를 매기는"[29] 것 외에도, 버터필드는 블루스 기반의 음악을 새롭고 혁신적인 방향으로 가리키는 것으로 여겨졌습니다.[30] 음악평론가 스티브 휴이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버터필드가 열었던 문들의 중요성을 과대평가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그가 유명해지기 전에, 백인 미국 음악가들은 블루스를 조심스럽게 존중하며, 진짜처럼 보일 것을 두려워했습니다. 버터필드는 백인 음악가들이 블루스 전통을 기반으로 (단순히 그것을 복제하는 대신) 구축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었을 뿐만 아니라, 그의 폭풍 같은 소리는 이전에 어쿠스틱 델타 블루스만이 진정한 작품이라고 생각했던 백인 관객들에게 전기 시카고 블루스를 가져다주는 주요 촉매제였습니다.[3]
2006년, 버터필드는 블루스 재단의 블루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으며, "버터필드 블루스 밴드가 발표한 앨범들은 1960년대 록 팬들에게 시카고 블루스를 가져다 주었고 크림과 같은 1960년대 후반의 일렉트릭 그룹들에게 길을 열어주었다"고 언급했습니다.[29] 로큰롤 명예의 전당은 2015년 폴 버터필드 블루스 밴드를 헌액했습니다.[14] 인덕션 전기는 "버터필드 밴드가 시골의 청교도들을 개종시키고 필모어 세대를 머디 워터스, 하울링 울프, 리틀 월터, 윌리 딕슨, 엘모어 제임스의 즐거움으로 만들었다"고 평했습니다.[14]
2017년 뉴포트 비치 영화제에서 "마음으로부터의 뿔: 폴 버터필드 이야기"라는 제목의 다큐멘터리가 초연되었습니다.[31] 존 앤더슨이 감독하고 샌드라 워렌이 제작한 [32]이 영화는 영화 제작 부문에서 뛰어난 업적상을 수상했습니다. 편집.[31] 2018년 10월, 이 다큐멘터리는 미국의 일부 극장에서 전국적으로 개봉되었습니다.[33][34] 롤링 스톤과 [33]월스트리트 저널의 특집뿐만 아니라 뉴욕 타임즈 비평가 픽(New York Times Critical's Pick)[35]에 선정되는 등 비평가들의 찬사를 받았습니다.[36]
하모니카 스타일
많은 시카고 블루스 하프 연주자들처럼 버터필드는 화음보다는 단음을 선호하며 호른처럼 악기에 접근하여 독주에 사용했습니다.[8] 그의 스타일은 "항상 강렬하고, 절제되고, 간결하고, 진지하다"[30]고 묘사되었고, 그는 "그의 음색의 순수함과 강렬함, 그의 지속적인 호흡 조절, 그리고 그의 의지에 따라 음을 구부리는 그의 독특한 능력으로 유명했습니다."[37] 그가 선택한 음표에서 그는 빅 월터 호튼과 비교되었지만, 그는 어떤 특정한 하프 연주자의 모방자로 여겨진 적이 없습니다.[6][8][c] 오히려, 그는 "진정한 블루스 위대한 사람들의 팬션에 그를 놓을 수 있을 정도로 독창적이고 강력한 스타일"을 개발했습니다.[3]
버터필드는 호너 하모니카를 연주했습니다. 그는 Diatonic 10-hole Marine Band 모델을 선호했습니다.[38] 그는 죽기 몇 년 [d]전에 하모니카 지도서인 Paul Butterfield Teachs Blues Harmonica Master Class를 썼습니다(1997년까지 출판되지 않았습니다).[37] 그 안에서 그는 동반된 CD에서 시연되는 다양한 기술을 설명합니다.[37] 버터필드는 주로 크로스 하프, 즉 2위로 경기를 했습니다.[8] 보도에 따르면, 그는 왼손을 사용하여 하모니카를 오른손에는 거꾸로, 즉 오른손에는 낮은 음을 사용하여 뮤팅 효과를 내는 것과 반대되는 방식으로 잡았습니다.[e]
또한 다른 전기 시카고 블루스 하프 연주자들처럼 버터필드는 그의 소리를 얻기 위해 증폭을 자주 사용했습니다.[8] 그는 Shure 545 Unidyne 마이크와 관련이 있지만,[39] 프로듀서 Rothchild는 1965년 녹음 세션 무렵에 버터필드가 초기 모델인 Fender twed 증폭기를 통해 실행되는 Altec 하프 마이크를 선호했다고 언급했습니다.[11] The Resurrection of Pigboy Crabshaw 앨범을 시작으로, 그는 R&B 기반 접근 방식으로 전환한 후 어쿠스틱 하모니카 스타일을 사용했습니다.[6]
개인생활
어느 모로 보나, 폴 버터필드는 그의 음악에 심취해 있었습니다. 그의 형 피터의 말에 의하면
그는 음반을 듣고 여러 곳을 돌아다녔지만, 혼자서 [하모니카]를 연주하며 아주 많은 시간을 보냈습니다. 야외에서 놀았을 겁니다. '포인트 인 하이드 파크(Point in Hyde Park, 시카고)'라는 곳이 있는데요, 미시간 호수로 뻗어있는 육지의 명소입니다. 저는 그가 몇 시간 동안 밖에서 놀았던 것을 기억할 수 있습니다. 그는 항상 놀고 있었습니다. 그것은 매우 혼자만의 노력이었습니다. 그가 원하는 특정 사운드를 가지고 있고 그것을 얻기 위해 노력한 것처럼 모든 것이 내부적이었습니다.[8]
프로듀서 노먼 데이론은 어린 버터필드를 "매우 조용하고 방어적이며 강경하다"고 회상했습니다. 그는 이렇게 독한 아일랜드 가톨릭 신자였고, 좀 어려운 사람이었습니다. 그는 검은 셔츠와 선글라스, 어두운 색조와 어두운 재킷을 입고 돌아다녔습니다. 폴은 친구가 되기 어려웠습니다."[4] 비록 그들은 나중에 가까워졌지만, 마이클 블룸필드는 버터필드에 대한 그의 첫 인상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그는 나쁜 사람이었습니다. 권총을 들고 다녔습니다. 그는 남쪽에서 자기 것을 잡고 있었습니다. 전 그 고양이가 무서워 죽었답니다."[40] 작가이자 올뮤직의 설립자인 마이클 얼와인은 그를 "항상 강렬하고, 다소 멀리 있으며, 심지어 가끔은 완전히 비우호적"이라고 묘사했습니다.[8] 그는 버터필드를 "다른 사람들에게 별로 관심이 없다"고 기억했습니다.[8]
1971년, 버터필드는 뉴욕의 우드스톡에 있는 첫 번째 집을 구입했고, 그의 두 번째 부인인 캐시 피터슨과 그들의 어린 아들 리와 함께 가족 생활을 즐기기 시작했습니다. Maria Muldaur에 따르면, 그녀와 그녀의 남편은 자주 저녁 식사 손님이었고, 보통 피아노 주위에 앉아 노래를 불렀습니다.[12] 그녀는 자신의 능력을 의심했지만, "처음에 제가 그냥 블루스를 부르도록 격려해 준 것은 버터였습니다. 예쁜 노래를 부르거나 모든 음을 맞추는 것에 대해 걱정하지 마세요." 그는 모든 자기 의식과 의심의 수준을 저에게서 느슨하게 했습니다... 그리고 그는 그것과 나를 동료 음악가로서 존중해주는 것에 대해 영원히 내 마음 속에 살 것입니다."[12]
죽음.
1980년을 시작으로 폴 버터필드는 장의 심각하고 고통스러운 염증인 복막염을 완화하기 위해 여러 수술을 받았습니다.[7] 밴드 리더로서 헤로인을 강하게 반대했지만, 올뮤직의 버터필드 전기의 스티브 휴이에 따르면, 그는 그것에 중독되어 "그가 복막염 증상을 완화하려고 노력하는 것이라는 추측"으로 이어졌습니다. 그의 마약 습관을 지탱하는 재정적인 부담 때문에 그는 파산했고, 그의 친구이자 한때 음악 파트너였던 마이크 블룸필드와 매니저 앨버트 그로스먼의 죽음은 그를 흔들었습니다.[3] 1987년 5월 4일, 44세의 나이로 폴 버터필드는 로스앤젤레스의 노스 할리우드 지역에 있는 그의 아파트에서 사망했습니다. 카운티 검시관의 부검 결과, 그는 "상당한 수준의 모르핀(헤로인), ...코데인, 신경안정제 Librium 및 미량의 알코올"과 함께 우발적인 약물 과다복용의 희생자라는 결론을 내렸습니다.[41]
폴 버터필드는 사망할 무렵에는 상업적인 주류에서 벗어났습니다. 비록 어떤 이들에게는 그가 블루스맨이었지만, 마리아 멀다우르는 "그는 모든 감성과 음악성을 가지고 있었고, 어프로치 다운 팻..."이라고 평했습니다. 그는 단지 모든 것을 받아들였고, 블루스가 무엇인지에 대한 본질을 구현했습니다. 불행하게도, 그는 그렇게 조금 너무 많이 살았습니다."[12]
디스코그래피
1964년, 버터필드는 엘렉트라 레코드와 그의 협회를 시작했고 결국 레이블을 위해 7개의 앨범을 녹음했습니다.[42] 1971년 버터필드 블루스 밴드가 해체된 후, 그는 매니저 앨버트 그로스먼의 베어스빌 레코드를 위해 폴 버터필드의 베터 데이즈와 함께 두 장의 앨범을 녹음했습니다.[42] 그의 마지막 솔로 앨범은 애머스트 레코드에 의해 발매되었습니다.[42] 1987년 그가 사망한 후, 그의 이전 음반 회사들은 다수의 라이브 음반과 컴필레이션을 발표했습니다.
스튜디오 앨범
버터필드 블루스 밴드
- The Paul Butterfield Blues Band (1965) (빌보드 200 앨범 차트에서 123위로 정점)[43]
- East-West (1966년) (빌보드 200에서 65위)[43]
- 피그보이 크랩쇼의 부활 (1967) (빌보드 200 52위)[43]
- In My Own Dream (1968) (빌보드 200 79위)[43]
- Keep On Moving (1969) (빌보드 200 102위)[43]
- I Just Feel Like Smilin' (1971) (빌보드 200 124위)[43]
폴 버터필드의 더 나은 시절
폴 버터필드
- 당신의 귀에 그것을 넣어요 (1976)
- 남북(1981)
- 전설적인 폴 버터필드가 다시 타다 (1986)
라이브 앨범
모두 폴 버터필드 블루스 밴드에 의해 연주되었습니다. 단, 언급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요.
- 라이브(1970)[2]LP] – 보너스 트랙이 포함된 CD로 2005년 재발행 (빌보드 200 No.72)[43]
- 딸기잼 (1996) – rec. 1966–68
- 동서 라이브 (1996) – rec. 1966-67
- Live at Unicon Coffee House – rec. 1966. 여러 제목과 날짜, 부트레그와 함께 출시되었습니다.
- Paul Butterfield's Better Days, Live at Winterland Balloom (1999) – rec. 1973
- Paul Butterfield Band, Rockpalast: Blues Rock Legends, Vol. 2 (2008) – rec. 1978
- Rick Danko, Richard Manuel & Paul Butterfield, Live at the Lone Star, (2011) – rec. 1984
- Live in White Lake, NY 8/18/69 (2015) - The Complete Albums 1965-1980의 일부로 발매
- 라이브앳우드스탁 (2020)[2LP]
버터필드 컴필레이션 앨범
- 골든 버터: 더 베스트 오브 더 폴 버터필드 블루스 밴드 (1972)[2]LP] – 빌보드 200 No.136[43]
- The Original Lost Elektra Sessions (1995) – rec. 1964
- 앤솔로지: 엘렉트라의 해(1997)[2]CD]
- 폴 버터필드의 더 나은 날들, 폴 버터필드의 더 나은 날들: 베어즈빌 앤솔로지 (2000)
- 하이파이브: 폴 버터필드 블루스 밴드 (2006) – EP
다양한 아티스트와의 컴필레이션 앨범 및 영상
- 민요 '65' (1965)
- 샤킨이 뭐길래(1966)
- 페스티벌 (1967년 영화, 1965년 딜런 출연 포함)
- 당신은 당신이 먹는 것입니다 (1968년 영화 사운드트랙)
- 목재 재고: 오리지널 사운드트랙과 그 이상의 음악 (1970, 녹음 1969)
- 우드스톡 2 (1971, 1969년 기록)
- 거절할 수 없는 제안(1972, 1963년 기록)
- 우드스톡 '79 (1991년 비디오, 1979년 촬영)
- 목재 재고: 평화와 음악의 3일 (1994, 1969년 녹음)
- 몬테레이 국제 팝 페스티벌 6월 16일 ~ 17일 ~ 18일 30주년 기념 박스 세트 (1997년, 1967년 기록)
- 몬터레이 팝 페스티벌 (2002년 비디오, 1967년 촬영)
- 우드스톡: 40년 후: 백 투 야스구르 농장 (2009, 1969년 기록)
- 우드스톡: 40주년 Ultimate Collector's Edition (2009년 비디오, 1969년 촬영)
반주자로서
- The Peter, Paul and Mary Album (1966), Peter, Paul and Mary, "The King of Names" with Butterfield, Bloomfield, Naftalin
- John Mayall's Bluesbreakers with Paul Butterfield (1967 EP), John Mayall & the Bluesbreakers
- Blues at Midnight (여러 타이틀과 날짜로 발매), 지미 헨드릭스, B.B. King 등 (1968년 녹음된 잼의 부트레그)
- 아버지와 아들(1969, 보너스 트랙과 함께 2001년 재발행), 머디 워터스
- Give It Up (1972), 보니 랫
- 2번째 오른쪽, 3번째 줄 (1972), 에릭 폰 슈미트
- 스틸야드 블루스(1973년 영화 사운드트랙), 마이크 블룸필드, 닉 그라베니테스, 마리아 멀다우르 등
- 그 정도면 충분해 (1973), 피터 야로우
- 머디 워터스 우드스톡 앨범 (1975), 머디 워터스
- 레본 헬름 & RCO 올스타즈 (1977)
- 닉 제임슨(Nick Jameson), 이미 자유(1977)
- 더 라스트 왈츠 (1978), 밴드
- 엘리자베스 바라클로(Elizabeth Barraclough, 1978), 엘리자베스 바라클로
- 안녕!(1979), 엘리자베스 바라클로
- Down by Law (1985), 마감
- B.B. King & Friends (다양한 제목과 날짜로 개봉), B.B King, Eric Clapton, Stevie Ray Vaughan 등 (텔레비전 스페셜 1987 촬영의 부트레그 비디오)
- Heart Attack (1990, 1986년 기록), Little Mike & the Tornados[f]
트리뷰트 앨범
- 폴 버터필드, 로벤 포드 그리고 포드 블루스 밴드에 대한 헌사 (2001)
- Butterfield/Bloomfield Concert, Ford Blues Band, Robben Ford와 Chris Cain (2006)
메모들
각주
- ^ 아마도 라이센스 제한 때문에 EP는 "영국에서만 판매"로 표시되었지만, 곧 미국의 일부 전문 음반 소매업체로 넘어갔습니다. 이 곡들은 나중에 2003년 확장된 A 하드 로드의 2CD 재발행에 보너스 트랙으로 포함되었으며, 피터 그린의 대부분의 녹음은 메이올과 함께 진행되었습니다.
- ^ 빌리 데이븐포트는 드럼을 연주했고 키스 존슨은 색소폰의 데이비드 샌본을 대신해 트럼펫을 연주했습니다. 밴드 동료였던 마이크 블룸필드도 몬테레이에서 그의 새로운 그룹인 일렉트릭 플래그와 같은 날 공연을 했습니다.
- ^ 버터필드가 읽은 'Off the Wall'의 'What's Shakin'이나 'Everything Gooding Goodness'의 'Live'와 'Little Walter'의 원작을 비교해 보세요.
- ^ Butterfield, Paul (1997). Paul Butterfield Teaches Blues Harmonica Master Class. Woodstock, New York: Homespun Music Instruction. ISBN 978-0-7935-8130-6.
- ^ 얼와인은 하모니카를 왼손에 들고, 낮은 음을 왼쪽으로 향하게 했다고 적었지만, 이는 버터필드의 교습서 전면 표지 사진과 몬테레이 팝에서 촬영한 공연으로 상반되는 것으로, 오른손에 들고 있고 왼손을 사용해 중얼거리는 모습이 선명하게 담겨 있습니다.
- ^ Heart Attack의 리뷰에 따르면 "4컷은 폴 버터필드가 하프에 등장합니다(그의 마지막 녹음으로 추정됨)."[44]
인용
- ^ Luhrssen, David; Larson, Michael (2017-02-24). Encyclopedia of Classic Rock. ABC-CLIO. ISBN 978-1-4408-3514-8.
- ^ a b County Clerk. "Paul Butterfield". Sweet Home Cook Coun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13, 2014. Retrieved September 15, 2013.
- ^ a b c d e f g h Huey, Steve. "Paul Butterfield: Biography". AllMusic. Retrieved July 23, 2013.
- ^ a b Wolkin & Kinom 2000, 40쪽.
- ^ 밀워드 2013, 66쪽.
- ^ a b c d e f 필드 2000, 페이지 212-214.
- ^ a b c "Paul Butterfield: Biography". Rolling Stone.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4, 2018. Retrieved September 13, 2013.
- ^ a b c d e f g h i j Erlewine 1996, 41쪽.
- ^ a b c d e f Leggett, Steve. "The Paul Butterfield Blues Band: Biography". AllMusic. Retrieved September 14, 2013.
- ^ Rothchild 1995, pp. 1~4.
- ^ a b Rothchild 1995, 3쪽.
- ^ a b c d e f g 엘리스 3세 1997.
- ^ 마커스 2006, 154-155쪽.
- ^ a b c Bently, Bill. "The Paul Butterfield Blues Band – 2015". Rock and Roll Hall of Fame. Retrieved December 16, 2014.
- ^ To Tell the Truth (Television production). CBS. March 28, 196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12-11. Retrieved May 2, 2020 – via YouTube.
- ^ Schinder 2003, 10, 14쪽.
- ^ 2005년 1호, 3쪽.
- ^ Eder, Bruce. "Paul Butterfield Blues Band: In My Own Dream – Album Review". AllMusic. Retrieved September 13, 2013.
- ^ 고든 2002, 207쪽.
- ^ 허샤프트 1992, 페이지 371.
- ^ Campbell, Al. "Paul Butterfield: Keep on Moving – Album review". AllMusic. Retrieved July 23, 2013.
- ^ Eder, Bruce. "Paul Butterfield: Live – Album Review". AllMusic. Retrieved July 23, 2013.
- ^ "Paul Butterfield's Better Days – Album Review". AllMusic. Retrieved September 14, 2013.
- ^ "Paul Butterfield: Live at Winterland Ballroom – Overview". AllMusic. Retrieved September 24, 2013.
- ^ 고든 2002, 247쪽.
- ^ 고든 2002, 253쪽.
- ^ "Rick Danko, Richard Manuel & Paul Butterfield: Live at the Lone Star 1984 – Overview". AllMusic. Retrieved September 14, 2013.
- ^ "B.B. King & Friends: A Night of Blistering Blues – Overview". AllMusic. Retrieved September 14, 2013.
- ^ a b Blues Foundation (2006). "2006 Blues Hall of Fame Inductees: Performer – Paul Butterfield". The Blues Foundation. Retrieved July 23, 2013.
- ^ a b 다이카이어 2001, 59-60쪽.
- ^ a b "Butterfield Story Wins Award at Newport Beach Film Fest". Hornfromtheheart.com. 3 May 2017. Retrieved March 15, 2019.
- ^ "Filmmakers". Hornfromtheheart.com. Retrieved March 15, 2019.
- ^ a b Browne, David (October 17, 2018). "5 Things We Learned From Paul Butterfield Doc Horn From the Heart". rollingstone.com. Retrieved March 15, 2019.
- ^ "Past Screenings". Hornfromtheheart.com. Retrieved March 15, 2019.
- ^ Kenny, Glenn (October 16, 2018). "Review: Paul Butterfield's Story Is Told in Horn From the Heart". nytimes.com. Retrieved March 15, 2019.
- ^ Morgenstern, Joe (October 25, 2018). "Horn From the Heart: The Paul Butterfield Story Review: Creativity Above All". wsj.com. Retrieved March 15, 2019.
- ^ a b c "Paul Butterfield Teaches Blues Harmonica Master Class". Homespun Music Instruction. Retrieved September 15, 2013.
- ^ 용접 1965, 후면 커버.
- ^ 바렛 2016, 페이지 57.
- ^ Wolkin & Kinom 2000, 페이지 93.
- ^ "Musician's Death Laid to Overdose". Los Angeles Times. June 13, 1987. Retrieved July 23, 2013.
- ^ a b c "Paul Butterfield: Discography". AllMusic. Retrieved September 14, 2013.
- ^ a b c d e f g h i j "The Paul Butterfield Blues Band – Chart History". Billboard. Retrieved March 13, 2019.
- ^ Frantz, Niles J. "Little Mike & the Tornados: Heart Attack – Review". AllMusic. Retrieved August 4, 2013.
참고문헌
- Barrett, David (2016). Harmonica Essentials. Mel Bay Publications. ISBN 978-1619116887.
- Dicaire, David (2001). More Blues Singers: Biographies of 50 Artists from the Later 20th Century. Jefferson, North Carolina: McFarland & Co. ISBN 978-0-7864-1035-4.
- Ellis III, Tom (Spring 1997). "Paul Butterfield: From Newport to Woodstock". Blues Access.com. 29.
- Erlewine, Michael (1996). "Paul Butterfield Blues Band". In Erlewine, Michael (ed.). All Music Guide to the Blues: The Experts' Guide to the Best Blues Recordings. All Music Guide to the Blues. San Francisco: Miller Freeman Books. ISBN 0-87930-424-3.
- Field, Kim (2000). Harmonicas, Harps, and Heavy Breathers: The Evolution of the People's Instrument. New York City: Cooper Square Press. ISBN 978-0-8154-1020-1.
- Gioia, Ted (2008). Delta Blues (Norton Paperback 2009 ed.). New York City: W. W. Norton. ISBN 978-0-393-33750-1.
- Gordon, Robert (2002). Can't Be Satisfied: The Life and Times of Muddy Waters. New York City: Little, Brown. ISBN 0-316-32849-9.
- Herzhaft, Gerard (1992). "Paul Butterfield". Encyclopedia of the Blues. Fayetteville, Arkansas: University of Arkansas Press. ISBN 1-55728-252-8.
- Houghton, Mick (2010). Becoming Elektra: True Story of Jac Holzman's Visionary Record Label. London: Jawbone Press. ISBN 978-1-906002-29-9.
- Marcus, Greil (2006). Like a Rolling Stone: Bob Dylan at the Crossroads. New York City: PublicAffairs. ISBN 978-1-58648-382-1.
- Milward, John (2013). Crossroads: How the Blues Shaped Rock 'n' Roll (and Rock Saved the Blues). Northeastern University Press. ISBN 978-1-55553-744-9.
- Perone, James (2005). Woodstock: An Encyclopedia of the Music and Art Fair. Santa Barbara, California: Greenwood Publishing Group. ISBN 978-0-313-33057-5.
- Rothchild, Paul (1995). The Original Lost Elektra Sessions (CD booklet). Paul Butterfield Blues Band. Los Angeles: Elektra Entertainment/Rhino Records. R2 73305.
- Schinder, Scott (2003). A Hard Road (expanded edition) (CD booklet). John Mayall & the Bluesbreakers. New York City: Deram Records. B0001083-02.
- Shadwick, Keith (2007). "Paul Butterfield". The Encyclopedia of Jazz & Blues. London: Quantum Publishing. ISBN 978-0-681-08644-9.
- Tamarkin, Jeff (1996). "East-West". All Music Guide to the Blues. Miller Freeman Books. p. 42. ISBN 0-87930-424-3.
- Ward, Ed (2016). Michael Bloomfield: The Rise and Fall of an American Guitar Hero. Chicago: Chicago Review Press. ISBN 978-1613733318.
- Welding, Pete (1965). The Paul Butterfield Blues Band (Media notes). Paul Butterfield Blues Band. Elektra Records. EKL–294/EKS–7294.
- Wolkin, Jan Mark; Keenom, Bill (2000). Michael Bloomfield – If You Love These Blues: An Oral History. San Francisco: Backbeat Books. ISBN 978-0-87930-617-5.
외부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