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에르 드 몽트뢰일

Pierre de Montreuil
파리 허텔의 면에 있는 피에르 드 몽트뢰일 동상

피에르 몽트뢰일(Pierre de Montreuil, 1267년 3월 17일 사망)은 프랑스의 건축가였다. 건축사학자인 몽테라우의 피터(프랑스어로는 피에르몽테로)[1]가 그에게 이전에 붙여준 이름은 오성어다. 그것은 몽트뢰일이 아닌 몬테레아우로 잘못 식별된 장소 이름인 무스테롤로 나투스("Musterolo에서 태어났다")라는 그의 묘비명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2]

문서화된 작업

그는 13세기 파리의 최초 지명 건축가 중 한 명이며, 앤 프레이치(The Dictionary of Art Dictionary)에 따르면, "그에게 엄청난 역할을 맡기는 경향이 있다"[3]고 한다. 생제르맹데스프레의 수도원 성모(聖母, 1239–1244, 파괴)와 성모(聖母, 1245–c. 1250, 조각만 남아 있음)의 성모(聖母, 1245–c. 1250)의 성모(聖母)와 성모(聖母)[4]의 예배당만이 그에 의해 분명히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구체적인 공헌은 알 수 [5]없으나 1247년경부터 바실리케 생데니스(Basilique Saint-Denis)의 명수였던 것으로 생각되며, [3]장 드 셸레스(Jean de Chelles)의 사망 후인 1260년대에 노트르담 드 파리의 남쪽 트란스텐트를 완성했다는 것 또한 대체로 동의하고 있다.[6]

기타 귀인

다른 귀속 중에서도 파리의 세인테 샤펠의 디자인은 오랫동안 그의 공로를 인정받았지만 아마도 잘못되었을 것이며,[3][7] 로버트 루자르츠토마스 코몬트 등 대체 저자들이 제안되어 왔다.[8] 와 비슷한 세인테 샤펠 드 빈센도 그의 덕택으로 여겨졌다.[9] 언제 시작되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1380년 찰스 5세가 사망할 무렵에야 벽이 창문의 기초에 이르렀을 뿐이며, 장식도 거의 14세기의 것이다.[10] 파리 생마르탱-데스-샹의 전리품(오늘날 국립 음악원 도서관)도 피에르 드 몽트루일(Pierre de Montreuil, 즉 몽트루일이 활동하기 이전인 1230–1240년)으로 귀속되었다.[11] 많은 저자들은 또한 생제르맹-엔-레이 성당의 채플레 생루이 (1230–1238년 건축)를 몽트루일(Montreuil)의 탓으로 돌렸다.[12]

건축가로서의 지위

1260년 루이 9세는 분쟁의 대상이 되는 집을 조사하기 위해 몽트뢰일을 고용했다.[3]

그는 생제르맹 데스 프레, 자신이 지은 예배당 안에 묻혔다. 그의 비문은 무덤에 새겨졌고 "닥터 라토모룸" ("메이슨 교사"[13] 또는 "메이슨 박사")[14]라는 칭호를 주었다. (이 예배당과 생제르맹데스프레의 성당은 1794년에 철거되었다.)

피에르는 건축자재를 공급하는 채석장을 소유하고 있었고, 전문가로서 건축 프로젝트에 대한 존경과 자문을 받았으며, 부자가 되고 여러 재산을 소유하게 되었다.[15] 그와 그의 아내가 저명한 수도원에 함께 묻혔고, 그가 의사라고 언급되었다는 것은 그의 지위를 증명한다.[3]

가족

몽트뢰일의 그의 가족은 건축가들의 왕조를 이루었다. 1276년 피에르의 아내 아그네스를 매장하는 비용을 지불한 라울 드 몽트루일은 아마도 피에르의 아들이거나 형제였던 에우데스 몽트루일의 아들이었을 것이다. 라울과 유데스는 모두 13세기 후반 왕실 건축 프로젝트의 감독이었다.[3]

참조

  1. ^ Fellibien 1725, 5권 229-230쪽.
  2. ^ 프라체 1996. 그의 아내 아그네스는 1276년에 사망하여 그와 함께 묻혔다. 그녀의 프랑스어 비문은 다음과 같다: "이시 요스트 아그네스의 명성 자디스 페우 메스트레 피에르 드 몽트뢰일 [여기에 죽은 피에르 드 몽트뢰일의 아내였던 아그네스가 있다]
  3. ^ a b c d e f 프라체 1996.
  4. ^ 사원의 오비투리움(Prace 1996년)에 있는 그의 부고장에 기록되어 있다.
  5. ^ Ayers 2004, 페이지 289; Prache 1996. 프라체는 몽트뢰일이 1247년 파리 근교의 콘플란스에서 땅과 채석장을 매입했다고 보고하고 있으며, 판매 문서에서는 그를 생드니스의 시멘타리우스라고 밝히고 있다.
  6. ^ Ayers 2004, 페이지 82; Prache 1996. 프라체는 1265년 바베르트카르타우시인들에게 파리에 있는 부동산을 팔았고 노트르담 대성당의 작품 주인으로 확인되었다고 보고한다.
  7. ^ 엘란데-브란덴부르크 1996. "피에르 드 몽트뢰일(Pierre de Montreuil)에 대한 [사인테 샤펠의] 디자인의 전통적 귀속성은 더 이상 유지될 수 없다."
  8. ^ Ayers 2004, 페이지 24.
  9. ^ 스터기스 1901, 2권 938.
  10. ^ 에이어스 2004, 페이지 354.
  11. ^ Ayers 2004, 페이지 75.
  12. ^ 에이어스 2004, 316페이지.
  13. ^ 카루더스 2010, 페이지 31.
  14. ^ 김펠 1977, [ 페이지 ]
  15. ^ 1263년 그는 카찬(Prace 1996년)에 있는 한 집에 세금을 냈다.

참고 문헌 목록

  • 에이어스, 앤드류(2004년). 파리의 건축. 슈투트가르트; 런던: 액셀 멩게스 에디션. ISBN9783930698967.
  • 카루더스, 메리 진(2010년). 말로 표현할 수 없는 미사여구: 중세의 예술에서 기쁨과 설득. 케임브리지: 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 ISBN 97805215306.
  • 알랭 (1996년) 에를란데 브란덴부르크. 1996년 터너의 "파리, V, 2 : 새인테 샤펠" 24권 156–157.
  • 프레리비엔, 안드레, 프레리비엔, 장프랑수아(1725). Entretiens sur les vies et sur les ouvrages des + peintres anciens et modernes: avec la vie des Architectes, 6권. A. Trevoux. 인터넷 아카이브게티 연구소의 Vols 1, 2, 3, 4, 5, 6.
  • 갈레트, 이브스(2018). "Pierre de Montreuil, 건축가 de la Sainte-Chapelle ? Génalogie d'une errereur" 크로아제 기념비 médiéval. Mélanges offerts a Claude Andrault-Schmitt, Brepols, 2018, 페이지 181-197.
  • 김펠, 진(1977년). 중세 컴퓨터: 중세의 산업 혁명. 영국 미들섹스: 펭귄 북스. ISBN 9780760735831.
  • 프라체, 앤(1996) 1996년 터너의 "Pierre de Montreuil" 24권, 페이지 774–775.
  • 스터기스, 러셀(1901) 건축과 건축의 사전, 3권. 뉴욕: 맥밀런. Google Books의 1권(1901), 2권(1901), 3권(1905)
  • 터너, 제인, 편집자(1996년). 34권, 미술사전은 1998년에 약간의 수정으로 다시 인쇄되었다. 뉴욕: 그로브. ISBN 9781884446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