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오트르 곤타르치크

Piotr Gontarczyk
피오트르 곤타르치크

피오트르 곤타르치크(Piotr Gontarczyk, 1970년 4월 29일 폴란드 드라두프에서 출생)는 역사정치학 박사 학위를 가진 폴란드 역사학자다.

그는 폴란드 국립 추모 연구소에 고용되어 있다.그는 제2차 세계대전의 폴란드 공산주의 운동사와 현대 폴란드 역사를 전문으로 한다.

경력

피오트르 곤타르치크는 2003년 바르샤바 대학에서 저널리즘과 정치학을 공부했으며, 그의 논문인 폴란드 노동자당(The Polland Workers Party: 권력으로의 길, 1942-1945.[1]2004년에 이 논문은 예지 우예크 으로 수여되었다.[2]

곤타르치크는 바르샤바 대학 역사 연구소에서 공부하기도 했다.[3]

1998-2005년에 그는 공익위원 사무소에서 부위원장인 크르지스토프 카우바 판사와 함께 일했다.[4]2006년부터 그는 국립추모연구소 문서보관실 부소장을 맡고 있다.[5]2007년 9월, 그는 국립기념물연구소의 성욕 사무소 부소장으로 임명되었다.[6]

2006년 곤타르치크는 1945~53년 폴란드 보안국의 전직 요원으로 지그문트 바우만(1925~2017년)을 지목했다.[7]

곤타르치크는 학회법인 레스퍼블리카의 전 회원이다.[8]

2012년에 그는 폴란드 외무부의 책 권고를 비판했다.선택 사항의 추론: 폴란드 반유대주의에 관한 폴란드와 유대인 대학살은 폴란드의 명성을 더럽힐 수 있는 무능의 행위다.[9][10]

He has published articles in such scholarly publications as Zeszyty Historyczne, Arcana [pl], Glaukopis, Dzieje Najnowsze, Zeszyty Historyczne WiN, Biuletyn Kwartalny Radomskiego Towarzystwa Naukowego, Biuletyn Instytutu Pamięci Narodowej, and Aparat Represji w Polsce Ludowej 1944–1989.He has also been published in many newspapers such as Życie, Rzeczpospolita, Gazeta Polska, Nasz Dziennik, Polityka, Gazeta Wyborcza, Uważam Rze, Do Rzeczy, Więź, Najwyższy Czas!, Tygodnik Solidarność, Ozon [pl], Wprost, and Życie Warszawy.[11]

프지티크 포그롬

2000년에 곤타르치크는 프지티크 포그롬에 관한 책을 출판했다: 포그롬? 자지치아 폴스코-도우스키에 W Przytyku 9 marca 1936 r. Mity, fakty, dokumenty (포그롬?1936년 3월 9일 Przytyk에서 열린 폴란드-유대인 행사: 신화, 사실, 문서.Jerzy Tomaszewski는 곤타르치크에게 그 사건들과 언론 보도에 대한 그의 비판적인 접근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 노력을 칭찬하지만, 폴란드, 유대인, 미국 출판물들을 거의 전전긍긍하는 것으로 보고, 그가 폴란드 법률 및 행정 문서에 거의 전적으로 의존하는 것을 제한하는 것에 대해 비판한다.유대인 언론과 공산주의 시대에 출판된 책들에 관하여.토마체프스키에 따르면, 이 거절은 비이성적이고 잘못된 것으로, 그 주제에 대한 정보의 범위를 좁혔다.[12]

제드와브네 포그롬

2001년 곤타르치크는 제2차 세계 대전 소련의 폴란드 점령 당시 일부 유대인들이 공산주의의 잔혹행위에 일찍 개입했다는 것은 비록 그 개입이 반유대주의 폭력에 기여했더라도 1941년 7월 10일 제드와브네 포그롬을 용서할 수 없다고 썼다.[13]곤타르치크는 역사학자 얀 T. 그로스(Jan T. Gross)의 2001년 저서 이웃을 비판했다. 폴란드 제드와브네 유대인 공동체의 파괴, 제드와브네 포그롬을 묘사하고 있다.곤타르치크는 그로스가 목격자들의 인종에 따라 목격자 진술에 다른 비중을 두고 객관성이 결여된 모습을 보이며 목격자가 홀로코스트 희생자가 될 위험이 있었는지를 근거로만 목격자 진술을 신뢰할 수 있는 것으로 취급하고 있다고 비판했다.Gontarczyk에 따르면, 이 접근법은 모든 진술이 객관적으로 판단되어야 하는 역사 연구에서 확립된 절차를 위반한다.[13]그는 또 그로스 장관이 소련 점령하에 폴란드의 유대인과 폴란드인 사이에 존재했던 관계를 무시했다고 지적했다.[13]곤타르치크는 제드와브네 포그롬에 대한 책임을 나치즘공산주의라는 두 가지 범죄이념의 문간에 두고, 종교적인 이유로 많은 유대인들이 반대하던 유대인 희생자들의 시신 추방을 지지했다.[14]

와우사 논란

2008년 곤타르치크(Gontarczyk)와 스와보미르 첸키에비치(Swawomir Cenciewicz)는 책 《SB a Lech Wawęsa》를 출간하였다. Przyzynek do biografii(폴란드 보안 서비스레흐 와우사: 전기를 위한 기부).그것은 폴란드에서 큰 논란을 일으켰다.[15][16]곤타르치크(Gontarczyk)와 첸키에비치(Cenckiewicz)는 1970년대 연대장이자 후에 폴란드 대통령 레흐 와우차(Lech Wawęsa)가 폴란드 공산보안국의 비밀 정보원이었다고 주장했다.[17]마이클 스스포레르는 이 책이 반공주의 지도자에 대한 판단에서 더 뉘앙스를 지녔어야 했고, 부당하게 와우샤를 선정했다고 썼다.[18]Wlodzimierz Suleja 교수는 Gontaryczk의 책을 최근 폴란드 역사학에서 가장 중요한 전기 중 하나로 꼽았다.[19]

사생활

곤타르치크는 아네타 곤타르치크와 결혼했다.[20]2009년 군 정보국 검증위원회에서 일했던 곤타르치크 씨는 보안 허가가 취소되었다.피오트르 곤타르치크에 따르면, 이것은 곤타르치크가 레흐 와우자에 관한 책에 대한 도날트 투스크 정부의 정치적 보복이었다.[20]

책들

  • Tajne oblicze GL-AL, PPR. 도쿠멘티 (1997–1999년) ISBN83-87654-03-5 - 공동저자
  • 포그롬? 자지샤 폴스코-도우스키에 W Przytyku 9 marca 1936 r. Mity, fakty, dokumenty(2000), ISBN 83-9046-4-0
  • 폴스카 파르티아 로보트니차. Droga do wwadzy 1941-1944 (2003), ISBN 83-60335-75-3
  • Tajny wspowpracownik "śwityty"(2005) ISBN 83-919221-8-9
  • Kwopoty z historyią (2006) ISBN 83-60533-03-2
  • SB 아 레흐 와우사 Przzynek do biografii(2008) ISBN 83-60464-74-X(Swawomir Cenciewicz 포함)
  • Najnowsze Kwopoty z historyią. Publicystyka z lat 2008-2012 (2013)

참조

  1. ^ Piotr Gontarczyk Baza „ Ludzie Nauki" portalu Nauka Polska 2003.
  2.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0-10-07. Retrieved 2018-05-19.{{cite web}}: CS1 maint: 타이틀로 보관된 사본(링크)
  3. ^ 곤타르치크 피오트르: 포그롬?Zajśchia polsko-żydowskie w Przytyku 9 marca 1936 r. (생략음), 레콘크비스타 - 라초키 I-ka, 2000.
  4. ^ „dd cenzurje historykow" Rzeczposolita 2010.
  5. ^ Informacja o zmianach na stanowiskach kierowiczh Instytut Pamięci Narodowej 2007.
  6. ^ Wszystko o lustracji Kwaśniewskiego Wprost 2006.
  7. ^ 지그문트 바우만: 왜 좋은 사람들이 나쁜 일을 하는지, 숀 베스트 12페이지.
  8. ^ Polityka (in Polish). Wydawn. Prasowe "Polityka". 2006.
  9. ^ 베흐, 발렌틴."제네세 외는 툰의 정치학술 publique de l'histoire.La politpolitique historyique en Polor뉴."Revue d'études 비교 대조 Est-Ouest 46.46-3(2015): 21-48.
  10. ^ Gontarczyk o "Inferno of Choices": 2012년 8월 7일, 조카딸 stanu widedzy, wpolityce, 2012년 8월 7일.
  11. ^ 와이카즈 퍼블리카지 P. Gontarczyk z 2007 Roku 웨이백 머신에 2014-01-03 보관.IPN 2007.
  12. ^ Przegląd Historyczny, 2001, 2번 페이지 259-61.
  13. ^ a b c Piotr Gontarczyk, "Gross Kontra fakty", Eycie, 28.02.11
  14. ^ 크나안 립시즈, 2016년 7월 12일 유대 텔레그래픽 에이전시 "폴란드 제드와브네 포그롬 이후 75년"
  15. ^ 전체주의 사회와 민주적 전환: Victor Zaslavsky, 406-7페이지, 블라디슬라브 주복, CEU 프레스
  16. ^ Wikinews:레흐 와우샤의 공산주의자들과의 협력에 대한 논쟁이 고조되고 있다.
  17. ^ Harry de Quetteville (14 June 2008). "Lech Walesa was Communist spy, claims book". Daily Telegraph. Berli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June 2008. Retrieved 4 October 2008.
  18. ^ 연대: 1980년 대노동자 파업, 마이클 스즈포어, 렉싱턴 북스, 2012년, 페이지 286.
  19. ^ [1] 교수M. Kornat: 폴스카 역사학자인 Dziejow Najnowszych funkcjonuje wwankach Wolności badań Nauka W Polsece 27.05.19
  20. ^ a b 히스토릭 IPN: Urzzdnicy Tuska wamiami prawo, 2009년 7월 8일 업데이트 2010년 6월 9일, Dzienni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