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소 브랜딩
Place branding플레이스 브랜딩(플레이스 마케팅 및 플레이스 프로모션 포함)은 "도시와 지역을 브랜딩할 수 있다"는 생각에 근거한 용어로, 브랜딩 기법 등을 통해 "도시, 지역, 국가의 경제, 정치, 문화 발전"[1]에 적용하고 있다.상품과 서비스의 브랜딩과는 반대로, 장소 브랜딩은 본질적으로 '역사, 문화, 생태계에 집중되어 있다'[2]: 189 는 점에서, 장소 브랜딩은 본질적으로 더 다차원적인 것으로, 그 다음에는 '상품, 공간, 조직, 사람과의 연계'라는 연합의 네트워크로 통합되기 때문이다.[3]: 6 이와 같이 국가 브랜딩, 지역 브랜딩, 도시 브랜딩(도시 브랜딩이라고도 함)의 개념은 장소 브랜딩의 총칭에 속한다.[4]
이러한 관행은 개발도상국들 사이에서 산업화 이후의 사회의 출현과 함께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된 것으로 이해되고 있으며, 개발도상국들은 상호의존적이고 점차 세계화되는 경제 속에서 경쟁하고 있다.[5]그러므로 장소 브랜딩은 반드시 장소들이 사람, 자원, 사업을 위해 다른 장소들과 경쟁한다는 개념과 관련되며, 결과적으로 많은 공공 행정들은 그러한 전략을 추구한다.[6][7][8]2011년 현재, 도시들의 세계 경쟁은 최소 270만 개의 소도시와 3,000개의 대도시, 455개의 메트로폴리스가 개최될 것으로 추정된다.[9]
본질적으로 장소 브랜딩은 "이미지를 투영하고 장소에 대한 인식을 관리하기 위한 전략"[10]: 64 이다.이와 같이 소비자의 감정적인 반응을 유도하여 사람과 장소의 의미 있는 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오리진스
자본주의적 기능과 관련된 브랜딩은 전통적으로 소비자들로부터 감정적인 반응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상품과 서비스를 홍보할 때 사용되는 전략으로 이해되어 왔다.따라서 장소 브랜딩은 장소(예: 도시와 도시 공간)를 "다른 브랜드와 똑같이 모양과 관리가 가능하다"[11]: 301 는 개념에 따른다.
장소 브랜딩의 관행은 19세기 중반에 나타난 것으로 이해된다.특히 미국은 노동력을 위한 도시 중심지로 농촌인구를 끌어들이기 위해 이런 전략을 시작했다.나중에, 이 관습은 관광 목적으로, 특히 유럽에서는 유명한 장소의 포스터와 함께 사용될 것이다.하지만, 이 관습은 최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도시와 국가들 사이에서 흔한 일이 되지 않을 것이다.이러한 강조는 "기업가적" 형태의 거버넌스로 특징지어지는 [12]: 10 후기 산업 사회에 자리를 내주면서 선진국의 생산 시스템이 "수직적으로 해체된" 도시 재생이라고 알려진 1970년대를 전후하여 나타난 보다 광범위한 현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된다.이 같은 관심은 "모든 종류의 장소가 자원, 평판, 이미지 관리와 관련하여 일관성 있는 전략을 시행함으로써 이익을 얻을 수 있다"는 인식에서 나온 것으로 보인다."[13]: 3
인아카데미
장소 브랜딩의 영역에 대한 학문적 관심은 아직 초기 단계에 있지만, 최근 몇 년 동안 발표된 학술 연구는 상당한 증가를 보였다.세계 경제가 점점 더 통합되고 상호 연결될수록, 이러한 관심은 계속 커질 것이고, 특히 도시들이 "재능적인 매력, 관광 진흥, 스포츠와 문화 행사의 유치, 투자 유치, 그리고 도시 개발을 위한 그들의 추구에서 달성하고자 하는 많은 다른 목표들을 놓고 경쟁할 때 더욱 그러할 것이다.그리고 재생."[13]: 7
플레이스 브랜딩은 사회학(도시사회학, 범죄학, 문화사회학 포함), 정치학, 문화인류학, 문화학, 커뮤니케이션학, 마케팅, 국제관계 등의 분야로서 집중될 수 있는 학문 간 접근법이다.장소를 어떻게 묘사하거나 상상하는가를 관찰하는 것(예:)에 있어서, 그것은 심지어 영화 연구나 문학 같은 다른 예술과 인문학에도 적용될 수 있다.오이디푸스 렉스의 테베 또는 배트맨 프랜차이즈의 고담시의 테베).
세계화의 영향
장소 브랜딩의 원칙 중 하나는 관심과 선호에 대한 투쟁이 상업적 재화와 용역에 국한되지 않고 지정학적 실체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는 것이다.나라와 도시는 관광 수입, 사업, 그리고 종종 과세 기반을 두고 경쟁한다.도시 내에서도 도심 대 교외 지역, 대형 마트 대 지역 기업, 쇼핑몰 대 전통 도심 간 경쟁이 치열하다.장소 브랜딩 지지자들은 이렇게 높아진 경쟁 환경은 장소의 규모나 구성에 상관없이 장소들이 자신을 명확하게 차별화하고 왜 그들이 목적적합하고 가치 있는 선택인지 전달하는 것을 중요하게 만든다고 주장한다.
이 시각과 옹호해 주앙 프레이리가 성공한 destination-brand 관리 어디 관광 인프라, 지역 서비스의 품질 및 기타 destination-brand 사용자 관련 variables—such고 원하는 일관성 있고 달성하기 위해 관리할 필요가 있조정의 발휘로 볼 수 있다고 말한다 others,[14]중 지원된다. 증류인니메이션 브랜드 아이덴티티따라서, 목적지 브랜드 빌딩은 단지 의사소통의 연습이라는 일반적인 개념과는 달리, 목적지 브랜딩은 실제로는 목적지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변수의 식별, 구성, 조정의 연습이다.[15]
국가, 지역, 도시 및 기관이 인력, 자원, 사업을 위해 다른 장소와 경쟁한다는 것을 인식함에 따라 장소 브랜딩의 전략적 적용이 국가, 지역,전략 없는 이미지 커뮤니케이션의 유기적 과정으로서의 장소 브랜딩 현상은 역사를 통틀어 일어나고 있다.
과정
플레이스 브랜딩은 여러 하위 프로세스로 구성된 프로세스다.상품, 서비스, 회사, 사람 또는 고전적인 주제인 브랜딩, 장소 브랜딩, 특히 국가 및 도시 브랜딩과 같은 단순한 실체를 브랜딩하는 것과 달리, 복잡한 과정이다.그 복잡성은 그 과정에서 이해당사자들의 매우 다양함에서 비롯된다.
일반적으로 플레이스 브랜드는 가치 제공이나 공공 인식과 같은 플레이스의 기존 자산에서 파생된다.그렇지 않으면 플레이스 브랜드는 이벤트, 정책, 관용의 추상적인 개념 등과 같이 생성된 자산에서 파생된다.
그런 다음 장소 브랜드의 파생된 이미지는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통해 전달된다.이 채널들은 텔레비전 광고에서부터 인터넷 마케팅 노력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고 다양하다.이러한 통신은 특정 표적 시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도시/도시 브랜드
도시브랜드(city branding, 일명 도시브랜드)는 도시를 위치에서 목적지로 바꾸는 목적으로 행해지는 모든 활동을 말한다.국제 브랜드 컨설팅 회사인 울프 올린스의 로버트 존스 컨설턴트 디렉터는 "성공적인 브랜딩"은 "도시를 사람들이 살고 일하고 방문하고 싶은 곳으로 만들 수 있다"[16]고 말한다.도시 브랜딩은 종종 도시 마케팅과 혼동된다.마케팅이 소비자의 바람과 니즈를 조직의 운영을 위한 지침으로 삼는 반면, 선택된 비전을 낙인찍는 경우에는 미션과 정체성이 그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두 가지는 다르다.[17]
도시 브랜딩은 도시를 위한 단일 브랜드를 만들고 모든 제공물과 상호 작용으로 확장한다.소비자의 관점에서, 이것은 모든 상호작용 수준에서 도시의 독특한 모습을 만들어낸다.이는 또한 고객에게 제공되는 각 도시의 사례를 사례별로 제시해야 할 필요성을 없애는 데 도움이 된다.
도시 브랜드는 가치의 약속, 지켜야 할 약속이다.나쁜 브랜딩이 도시를 바람직하지 않게 만드는 데 도움이 되는 것처럼 좋은 브랜딩은 도시를 바람직한 도시로 만드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브랜드가 잘 된 도시의 몇 가지 예로는 뉴욕, 샌프란시스코, 파리 등이 있다.성공적인 도시브랜드들은 그들의 역사, 장소의 질, 생활양식, 문화, 다양성을 마케팅하고, 그들의 인프라를 강화하기 위해 시와 정부간의 협력적 파트너십을 적극적으로 형성한 것으로 보인다.[18]마찬가지로 중요한 것은 브랜딩 과정에서 위치하는 역할, 즉 도시가 점유할 수 있는 시장에서 뚜렷한 장소를 만드는 것이다.
도시브랜드 캠페인의 예

예루살렘은 성스러운 도시로서 분명한 도시 브랜드를 가지고 있다.이 성스러운 도시에는 서벽, 성묘 교회, 정원 묘, 사원 산과 같은 수많은 중요한 성지가 있다.스웨덴 연구 위원회에 의해 의뢰된 한 연구는 예루살렘이 수 세기 동안 유기적인 브랜딩 캠페인을 벌여온 가장 오래된 도시 브랜드 중 하나일 수도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관광에 해당하는 종교적인 순례는 수 천년 동안 예루살렘 역사의 일부였다.[19]
라스베이거스 또는 단순 베가스는 라스베이거스 컨벤션 및 방문자 당국이 라스베이거스 스트립, 라스베이거스, 네바다, 헨더슨, 노스 라스베이거스, 네바다, 클라크 카운티 일부 등 라스베이거스 밸리의 대부분을 마케팅하기 위한 브랜드로 사용하고 있다.[20]이 도시는 또한 "신도시"로 낙인찍혔다.[21]
도시 브랜드의 다른 예는 다음과 같다.
- 암스테르담 – "WE 암스테르담"
- 아부 고쉬 – "Hummus의 세계 수도"
- 뉴욕시 – "I Love New York"[22]
- 파리 – "감광 도시"[2]
- 시애틀 "에메랄드 시티"
- 실리콘밸리 – "기술자본"
- 에스파한 - "미구한 이야기"
메모들
- ^ Kemp, Elyria; Childers, Carla Y.; Williams, Kim H. (2012). "Place branding: creating self-brand connections and brand advocacy". Journal of Product & Brand Management. Emerald. 21 (7): 508–515. doi:10.1108/10610421211276259. ISSN 1061-0421 – via Emerald Insight.
- ^ a b 갑펠러, 장 노엘 2013년"브랜드로서의 파리"도시브랜드 184-89 페이지: K가 편집한 이론과 사례.디니.뉴욕: Palgrave Macmillan.
- ^ 벨리니, 니콜라, 세실리아 파스퀴넬리. 2016."가치 생태계로서의 어반 브랜드스케이프:패션 브랜드의 문화적 목적지 전략".브랜딩 및 공공 외교 12:1:5–16을 배치하십시오.
- ^ Andrea Lucarelli와 Per-Olof Berg, Journal of Place Management and Development, Vol. 4 Iss: 1,p.9 - 27, 2011년에 제작한 "도시 브랜딩: 연구 영역의 최첨단 검토"
- ^ 클레이브, 에반, 고드윈 아르쿠 2015."캐나다 온타리오의 커뮤니티 브랜딩과 브랜드 이미지"브랜딩 및 공공외교 11:65–82 배치.
- ^ "지속 가능한 도시 이해:1999년 사이먼 가이 & 사이먼 마빈이 쓴 유럽 도시 및 지역 연구 6(3)
- ^ Nations의 경쟁 우위, Michael E가 썼다.포터, 하버드대 경영대학원, 프리 프레스 1998
- ^ Palgrave Macmillan 2006, Simon Anholt가 쓴 "경쟁력 정체성"
- ^ 메티&브론너 2011년 10월 3일 웨이백머신에 보관된 "도시 글로벌 마켓"
- ^ 브라운, 에릭, 에슈아, 재스퍼, & 클라이엔, 에릭-한스. (2014년)플레이스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의 효과.도시, 41번지, 64-70번지
- ^ Bookman, Sonia, Andrew Woolford. 2013년."도시브랜드별 포키팅: 위니펙 거래소 질서 정의."사회 문화 지리 14(3):300–317.
- ^ 힐러, 해리 2014년"역사적, 세계적 관점에서 본 캐나다 도시화"H. 힐러가 편집한 Urban Canada의 페이지 1-18.돈 밀스, 온: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 ^ a b 디니, 키스 2013년"도시 브랜딩 이론 소개"도시 브랜딩의 3-7페이지: K가 편집한 이론과 사례.디니.뉴욕: Palgrave Macmillan.
- ^ Freire, Joao (2005). "Geo-branding, are we talking nonsense? A theoretical reflection on brands applied to places". Place Branding. 1 (4): 347–362. doi:10.1057/palgrave.pb.5990033. S2CID 155005952.
- ^ Caldwell, Niall; Freire, Joao R. (2004). "The differences between branding a country, a region and a city: Applying the Brand Box Model". Journal of Brand Management. 12: 50–61. doi:10.1057/palgrave.bm.2540201. S2CID 167732267.
- ^ Salman, Saba (1 October 2008). "Future of cities (Society),Communities (Society),Society". Guardian. London.
- ^ "Brand Management bij EURIB: Van korte opleiding tot geaccrediteerde Master!".
- ^ "Archived copy"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1 November 2011. Retrieved 20 February 2012.
{{cite web}}
: CS1 maint: 타이틀로 보관된 사본(링크) - ^ Metti, Michael Sebastian (1 June 2011). "Jerusalem - the most powerful brand in history" (PDF). Stockholm University School of Business.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6 January 2020. Retrieved 1 July 2011.
- ^ Spillman, Benjamin (15 April 2009). "LVCVA: What works here, stays here". Las Vegas Review-Journal. Retrieved 15 April 2009.
- ^ 딘, 카일라 2018년이야"왜 라스베가스가 신 시티라고 불리는가."Neighborhoods.com: https://www.neighborhoods.com/blog/why-las-vegas-is-called-sin-city
- ^ 벤델, 페기 R. 2013."Branding New York – 'I Love New York'의 사가" 시티 브랜딩 179–83 페이지: K가 편집한 이론과 사례.디니.뉴욕: Palgrave Macmillan.
- ^ اصنـــــهان
참조
- 브라이언 론스웨이, "생활양식의 경험" 225-246페이지 <테마드 스페이스: 문화, 국가, 그리고 자아를 찾아서>, ed스콧 A.루카스(랜햄, MD, 2007), ISBN 0-7391-2142-1
- How to Brand Nations, City and Destinations, Teemu Moilanen & Seppo Rainisto, Palgrave Macmillan(2008).
- 국가 브랜딩. 개념, 문제, 실습.키스 디니, 버터워스 하인만(2009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