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신의 시
The Poem of the Man-God작가. | 마리아 발토르타 |
---|---|
원제목 | 일 포에마 델 우오모 디오 |
나라 | 이탈리아 |
언어 | 이탈리아의 |
발행일자 | 1956 |
인간-신의 시 (이탈리아어 제목:일 포에마 델 우오모 디오(Il Poema dell'Uomo-Dio)는 마리아 발토르타가 쓴 예수 그리스도의 삶을 다룬 작품입니다.이 작품의 현재 판본에는 '내게 드러난 대로 복음서'라는 제목이 붙어 있습니다.
이 작품은 1956년 이탈리아어로 처음 출판되었고 그 이후로 많은 언어로 번역되었습니다.이것은 마리아 발토르타가 그녀의 공책에서 직접 쓴 15,000장이 넘는 손글씨 페이지 중 약 만 장을 바탕으로 한 것입니다.대부분의 작품은 1944년 1월부터 1947년 [1]4월까지 약 3년 만에 쓰여졌습니다.이 기간 동안 그녀는 [1][2]예수님으로부터 개인적인 대화와 받아쓰기 이외에도 예수님과 마리아에 대한 환상을 보고했습니다.
이 작업은 1959년에 (현재 폐지된) Index Librorum 금지 구역에 지정되었으며, 발행 이후 논란이 계속되고 있습니다.다양한 학자들과 역사학자들, 성경 전문가들은 [3][1][4]오늘날까지 이 작품을 지지하고 비판하고 있습니다.
글과 출판
손으로 쓴 공책들은
그녀의 신부 로말도 밀리오리니 신부의 조언에 근거하여 그녀의 자서전을 쓴 후, 1943년에 병상에 누워있는 발토타는 그녀가 예수님으로부터 받은 메시지라고 주장하는 것들의 시리즈를 쓰기 시작했습니다.이것들은 나중에 그녀의 신부에 의해 타이핑되었고 [1]작품을 만들기 위해 연대순으로 배열되었습니다.
1943-1947년 동안 발토르타는 약 15,000페이지를 썼지만, 처음에 "인간-신의 시"라고 불렸던 작품에는 이 중 10,000페이지(대부분 1944-1947년에 쓰여짐)만이 사용되었습니다.추가 페이지는 나중에 노트북으로 [1]출판되었습니다.그 시는 예수와 [1][2]성모 마리아의 삶에 대한 650개 이상의 보고된 에피소드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교황청 청중.
로마 마리아눔 교황청 신학부 교수인 코라도 베르티 신부는 1947년 교황 비오 12세에게 시의 인쇄본을 보냈습니다.그 후 1948년 2월 26일 교황 비오 12세는 교황청으로부터 상을 받았습니다.버티, 프렌드.밀로리니와 그들의 전임 신부님.안드레아 체친은 다음날 [5]로세르바토레 로마노에서 보도된 사적인 방청객들 속에 있었습니다.베르티 신부는 회의에서 비오 12세가 다음과 같이 말했다고 보고했습니다.
- 이 작업을 그대로 게시합니다.그것이 특별하든 그렇지 않든 그 기원에 대해 의견을 말할 필요는 없습니다.누가 읽어도 이해할 것입니다.많은 환영과 계시를 듣습니다.나는 그들이 모두 진짜라고 말하지는 않겠지만,[1][2] 그것들 중 일부는 진짜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1949년 성무청은 성체를 소환했습니다.버티는 그에게 [4]그 작품을 출판하지 말라고 명령했습니다.
임프리마투르 질문
에두아르 가뇽 추기경은 세 사제와의 만남에서 비오 12세가 한 발언은 "성하께서 증인 앞에서 허락하신 임프리마투르의 유형"이라며 교회법의 [2][6]요구에 완전히 부합한다고 썼습니다.Fr. Melançon, C.S.C.는 Gagnon의 교회법 박사학위 논문이 그에게 그러한 [6]결심을 할 수 있는 자격을 주었다고 말합니다.대조적으로, Fr.Anthony Pillari는 이 작품에 대한 유일한 유효한 임프리마터는 1993년에 말라얄람어 번역을 위해 발행되었으며 다른 [4]언어로 옮겨지지 않는다고 말합니다.마찬가지로, 르네 로랑랭 등은 1948년 2월 사적인 [7]청중석에서 비오 12세가 원래의 발언 이상의 공식적인 입장을 취하지 않았다고 주장합니다.
필라리는 또한 1952년 발토르타를 지지한 학자 10명(알폰소 카린치 대주교 포함)이 교황청의 반대를 감안하여 이 작품의 출판을 허용하는 조치를 취하라고 비오 12세에게 청원했지만 비오 12세는 아무런 [4]조치도 취하지 않았다고 지적합니다.Pillari는 1983년 Code of Canon Law (CIC/17 c. 1385)의 중요한 변화 이후, 발토르타의 작품이 임프리마터를 가졌는지 가지지 않았는지의 문제는 현재 [4]무관하다고 말합니다.그는 J. 코리덴의 "임피라투르의 종말"이라는 기사를 가리키는데, 1983년의 변화는 대부분의 신학적이고 종교적인 글들이 이제 임피라투르를 가져야 하는 요건에서 면제될 정도로 임피라투르가 필요한 작품들의 범위를 상당히 좁혔다고 설명합니다.신학을 [8]가르치는 데 사용되는 특정한 책들과 같은 몇몇 경우를 제외하고는.
출판
폴 콜린스에 의하면, 마리아 발토르타는 처음에 그녀의 공책이 출판되는 것을 꺼려했지만, 그녀의 신부의 조언에 따라 1947년에 그녀는 공책 [9]출판에 동의했습니다.그러나 이 작품의 초판 4권은 작가명 [10]없이 출판되었습니다.
1952년, 밀리오리니 신부와 신부.베르티는 이 작품을 위한 출판사를 설립했고, 그해 10월 마리아 발토르타는 [11]로마 남동쪽 프로시노네에 본사를 둔 출판사 미켈레 피사니와 계약을 맺었습니다.이 작품의 초판은 1956년 이탈리아어로 출판되었습니다.나중에, 그 회사는 미켈레 피사니의 아들인 에밀리오 피사니에 의해 운영되었습니다.2014년, 에밀리오 피사니는 그가 그 작품에 약 50년을 보냈고 그때까지 15개 언어로 번역이 출판되었고 약 15개 언어로 번역이 [11]진행 중이라고 말했습니다.판매부수에 대한 Il Giornale의 질문에, Pisani는 정확한 숫자는 없지만,[11] 수백만 부가 있다고 대답했습니다.
기독교적 반응
금서 목록
1959년 12월 16일, 교황청은 4권으로 된 이 작품(제1권은 예수의 시, 나머지 3권은 인간-신의 시)을 색인 사서고록 [12]금지 목록에 올렸습니다.이 [13]법령은 1960년 1월 6일 로세르바토레 로마노(L'Osservatore Romano)에 게재되었으며, 1면에 익명으로 작성된 기사를 첨부하여 "예수의 끔찍한 허구화된 삶"[10][14]이라는 제목으로 게재되었습니다.앤서니 필라리 신부는 로세르바토레 로마노 기사가 이 작품이 출판 [4][10]전에 불순물이 필요했던 교회법전의 규칙 1385에 어긋나기 때문에 색인에 등재되었다고 언급했다고 언급했습니다.
1961년 12월 1일, 로세르바토레 로마노에 출판된 교황청의 공식 성명에 따르면, 10권으로 출판된 시의 두 번째 판은 이전 판과 사실상 동일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며,[15] 동일한 금지 사항을 적용받고 있다고 합니다.
1966년 6월 15일, 신앙교리를 위한 성회는 이 지수를 폐지하고, 이 지수에 책을 싣는 것에 대한 모든 공식적인 제재가 [4][16]종료되었습니다.그 법령은 알프레도 오타비아니 [17]추기경에 의해 로세르바토레 로마노에 출판되었습니다.
인덱스 이후
1985년 1월 31일과 1993년 4월 17일, 요제프 라칭거 추기경은 발토르타의 시에 관한 두 통의 편지를 썼습니다.그는 발토르타의 작품은 단순한 [4]이야기에 불과하다고 효과적으로 말했습니다.앤서니 필라리 신부는 이것은 라칭거의 개인적인 의견이지 이 문제에 대해 공식적인 논의를 하지 않았던 신앙교리성의 의견이 아니라고 말합니다. 따라서 법적 [4]가치가 없습니다.
1992년 5월, 디오니기 테타만지 대주교는 발토르타의 출판사인 에밀리오 피사니에게 편지를 보내, 시에 초자연적인 [7]기원이 없는 내용을 명시하는 문구를 포함할 것을 요청했습니다.앤서니 필라리 신부는 이는 가톨릭 주교회의가 아닌 테타만지의 개인적인 의견이라고 말하고 있는데, 이는 테타만지의 입장이 아무런 법적 가치가 없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기 때문입니다.Pillari는 또한 Tettamazi가 Genova에 있었다는 것을 감안할 때, 그는 Frosinone에 [4]있던 출판사에 대한 관할권이 없다고 말합니다.Rene Laurentin 등은 그들의 의견에 따르면, Tettamanzi의 편지는 그 내용이 [7]초자연적인 기원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되지 않는다면 그 작품을 읽는 것이 허용된다고 효과적으로 확인했다고 합니다.
지지하다
천문학적 분석

밀라노 폴리테크닉 대학의 공학 교수인 에밀리오 마트리치아니와 이탈리아 국립 연구 위원회의 물리학자 리베라토 데 카로는 1994년 물리학자 로니 반 잔트의 초기 연구에 이어 발토르타의 [18][19]연구의 여러 부분에서 언급된 밤하늘의 묘사의 일부를 분석했다고 말합니다.그들은 비록 발토르타의 시에 날짜가 포함되어 있지는 않지만, 3월 일요일 밤에 가다라로부터 행성들의 삼원 결합이 보이는 것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는 사실은 그 결합이 드문 [18][19]경우에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그 에피소드의 날짜를 부분적으로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그들은 플라네타리움 소프트웨어 시스템이 이러한 관측의 유일한 가능성을 AD 31 또는 AD 33으로 설정한다고 말합니다.그들은 또한 이야기에서 언급된 다른 하늘 관측들은 예수의 십자가 처형을 묘사하는 그 작품의 609절이 반잔트가 계산했던 [18][19]것처럼 서기 34년 4월 21일에 해당한다고 말합니다.저자들에 따르면, 특정 에피소드 동안 이 하늘 물체들의 공동 관측 가능성과 달의 위치를 추정하는 것은 컴퓨터 [18][19]시스템 없이는 거의 불가능했을 것이라고 합니다.Matricciani와 De Caro는 또한 서기 34년 4월 21일은 아이작 뉴턴이 [18][19][20]1733년 달의 초승달의 가시성에 기초한 다른 접근법을 사용하여 계산한 두 가지 가능한 날짜 중 하나라고 말합니다.
수리통계분석
Matricciani와 De Caro는 [21]텍스트의 깊은 언어적 측면을 연구하기 위해 개발된 수학적이고 통계적인 도구를 사용하여 Maria Valtorta의 신비한 글쓰기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수행했습니다.그들은 발토르타에게 직접적으로 귀속된 문학 작품들이 예수와 마리아의 성격에 기인한 그녀의 다른 문학 작품들과 크게 다르고 수학적으로 다른 작가들에 의해 쓰여진 것으로 보인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이탈리아 문헌과 비교해 볼 때, 발토르타는 "7세기에 [21]걸친 이탈리아 문헌의 전체 수학적 범위를 포괄할 정도로 다양한 문헌을 쓸 수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Matricciani와 De Caro는 발토르타의 작품에서 예수 그리스도로 인한 연설에 대한 심층적인 수학적 분석도 수행했습니다.신학적이고 교리적인 내용 외에도, 그들은 연설들이 어떤 수학적인 매개변수나 연구되는 환경에서 매우 현실적이며, 발토르타가 "훌륭한 문학 작가이거나, 그녀가 주장하는 것처럼, 그녀가 [22]보고하는 것에 대한 주의 깊은 '목격자'입니다"라고 말합니다.
성서신학
성서학자 가브리엘레 알레그라는 마리아 발토르타의 글을 지지하는 사람이었고, 중국과 홍콩에서 온 그의 편지에서 프란치스코회 동료들과 [3]그의 가족들에게 시를 추천했습니다.알레그라는 그의 의견에 [3]마리아 발토르타뿐만 아니라 예수님의 삶의 사건들을 묘사하는 데 근접한 운동가나 역사가는 없다고 썼습니다.알레그라는 침상에 시달리는 여성이 어떻게 [3]3년 안에 그 작품을 위한 상세한 글을 쓸 수 있는지 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썼습니다.
(발토르타의 특권 매장을 주관한) 해양학자 가브리엘 로시니는 마리아 발토르타의 작품에 나타난 해양학이 그가 지금까지 [7]본 다른 어떤 해양학 저술보다 뛰어났다고 썼습니다.로시니는 발토르타가 "현대의 가장 위대한 신비주의자들 중 하나"이며, 그녀의 글은 "지상에서 고귀한 [23]천국의 여왕으로 떠오르는 가장 아름다운 찬가"라고 썼습니다.
신학자 르네 로랑랭 등은 [1]시에 언급된 고대인들의 이름에 대한 분석을 수행했습니다.발토르타의 텍스트에 나오는 몇몇 이름들은 그녀의 작품에서만 발견되지만, 다른 이름들은 성경, 플라비우스 요세푸스의 작품, 또는 탈무드 텍스트에서도 언급되는 사람들에 해당합니다.Laurentin 등은 그들의 분석이 고대 출처에 해당하는 발토르타의 문헌에 있는 고대 이름들이 일치한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합니다.한 예로, 그들은 서기 1세기의 3번째 10년 동안 산헤드린의 구성원들의 이름을 언급합니다.이 중 아홉 가지는 신약성경에 언급되어 있고, 다른 마흔 가지는 요셉푸스와 탈무드의 작품에 퍼져 있습니다.Laurentin 등은 발토르타의 연구가 이 이름들과 그들의 관계들을 [1]일관성 있게 다룬다고 말합니다.
일반지원
알폰소 카린치 대주교는 마리아 발토르타와 여러 차례 서신을 주고받으며 그녀와 그녀의 [4]글에 대해 호의적인 의견을 나타냈습니다.카린치와 발토르타 사이의 편지들은 나중에 [24]책으로 출판되었습니다.로마의 다닐락 주교와 요제프 쿤두쿨람 주교를 포함한 몇몇 주교들은 발토르타의 업적을 지지하는 편지를 발표했고, 발토르타의 업적은 [4]신앙과 도덕에 반하는 것이 전혀 없다고 사실상 밝혔습니다.
테레사 수녀의 고해성사인 레오 마스부르크 신부는 평소 시의 한 권의 사본을 가지고 [4]다니며 그에게 작품을 추천했다고 합니다.마리아 이네스 테레사 아리아스(Maria Inés Teresa Arias)는 1978년에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 "저는 인간-신의 시를 읽는 것에 매우 애착이 있습니다.정말로 그것은 영적 독서의 가장 아름다운 원천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그녀의 수녀들 중 한 명인 우랑가 수녀는 아리아스가 주교들, 사제들, 그리고 다른 [4]사람들에게 시를 추천하고 선물했다고 말했습니다.
2021년 10월 12일 발토르타 사망 60주기.비아레지오 시를 관할하는 루카의 대주교인 파올로 줄리아에티는 [25]비아레지오에서 열린 회의에서 발토르타의 삶과 글에 대해 연설했습니다.
비평
역사학자요아힘 는 발토르타의 연구에서 드라이버에 대한 두 가지 언급에 대해 논의했습니다.그는 스크류드라이버가 서기 1세기 동안 존재하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발토르타가 스크류드라이버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자주 논의되는 문제 중 하나라고 말했습니다.부플렛은 또한 발토르타 지지자들이 한 경우에는 "스크류 [26]드라이버처럼 보인다"고 썼으며, 또 다른 경우에는 작은 물건들이었기 때문에 이것을 시대착오적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부플렛은 자신의 연구 8절에서 발토르타의 말을 인용해 두 번째 성전의 내부 성소의 정육면체와 같은 구조 주변에서 거대한 반쪽짜리 오렌지를 닮은 여러 개의 큐폴라를 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부플렛은 1980년대에 나흐만 아비가드와 이가엘 실로가 플라비우스 요세푸스에 대한 그의 해석과 함께 발굴한 것은 두 번째 성전이 내부 [26]성소 주변에 그러한 큐폴라가 없었음을 보여준다고 그의 의견은 말했습니다.
부플렛은 발토르타가 예수 그리스도가 5살 때 [26]이집트에 머물던 모습에서 티베리아스의 존재를 이야기한다고 말합니다.다만 발토르타는 티베리아스에 대해서는 아무런 설명을 하지 않고 갈릴리 바다를 나타내는 물이 가득 찬 작은 깨진 항아리 주변에서 어린 예수가 지적한 장소들을 자신이 인식하는 장소로 해석할 뿐입니다.게다가, 발토르타의 작품의 이 에피소드는 부플렛이 잘못 생각했던 [27]것처럼 이집트가 아닌 갈릴리에서 일어납니다.
Boufflet은 발토르타가 제공한 Opuntia ficus-indica (주로 배 또는 인도 무화과)에 대한 설명은 1세기 팔레스타인에 존재했던 어떤 식물과도 일치하지 않으며 이 식물은 멕시코와 아메리카에서만 자랐다고 주장합니다.하지만, 부플레는 식물학자 피에트로 안드레아 마티올리가 미국의 [26]발견 이전에 유럽에서 이 가시 돋친 배가 자랐다고 믿었다는 사실을 인정했습니다.
부플렛은 작품 168절에서 서기 1세기 사람이 "바닐라"라는 단어를 사용한 것은 언어적으로 시대착오적이라고 말합니다.그러나 부플렛은 2018년 유대에서 발굴된 3600년 된 와인 병에 대한 화학적 분석에서 바닐라가 서기 [26]1세기 이전에 팔레스타인에 존재했음을 시사했다고 인정했습니다.
참고 항목
참고문헌
- ^ a b c d e f g h i Laurentin, René; Debroise, François-Michel; Lavère, Jean-François (2012). Dictionnaire des Personnages de l'Evangile Selon Maria Valtorta (in French). Salvator. pp. 9–19. ISBN 978-2706709616.
- ^ a b c d Lindsey, David Michael (2001). The Woman and the Dragon: Apparitions of Mary. Pelican Publishing Company. pp. 324–326. ISBN 978-1565547315.
- ^ a b c d 비토리오 데 마르코 "일 베아토 P. 가브리엘레 M.알레그라" 리브레리아 에디트리스 바티카나 2014 pp 286-287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Pillari, Anthony (2017). "The Current Juridic and Moral Value of the Index of Forbidden Books" (PDF). Saint Paul University, Faculty of Canon Law.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 July 2023. Retrieved 2 July 2023.
- ^ "Nostre Informazione". L'Osservatore Romano (in Italian). No. 48. 27 February 1948. p. 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January 2023. Retrieved 14 June 2023.
- ^ a b Melançon C.S.C., Père Ovila (1996). Exorcismes et pouvoirs des laïcs: Influences diaboliques (in French). Editions Bénédictines. pp. 16–17. ISBN 978-2910972134.
- ^ a b c d Laurentin, René; Debroise, François-Michel (2012). Indagine su Maria: Le Rivelazioni dei Mistici sulla Vita della Madonna (in Italian). Mondadori. Chap. 12, p. 624. ISBN 978-8804615880.
- ^ 제임스 코리덴, "임피라투르의 종말" The Jurist 44, 1984
- ^ 루키 OSM, 피터 M, 영혼의 목자: Saint Anthony Pucci의 도덕적 삶, (Jun 2003) ISBN 1891280449 CMJ Marian Press pp. 1-3
- ^ a b c "Una vita de Jesù malamente romanzata" (PDF). L'Osservatore Romano (in Italian). No. 4. 6 January 1960. p. 1.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11 May 2023. Retrieved 14 June 2023.
- ^ a b c 스테파노 로렌체티 "티피 이탈리아니" 일 조르날레 2014년 8월 24일
- ^ "Acta Apostolicae Sedis: Commentarium Officiale" (PDF). The Holy See. Annus LII - Series III - Vol. II (in Latin). 30 January 1960. p. 60.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14 June 2023. Retrieved 14 June 2023.
- ^ "Suprema Sacra Congregatio Sanctii Officii: Decretum Proscriptio Librorum" (PDF). L'Osservatore Romano (in Latin). No. 4. 6 January 1960. p. 1.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11 May 2023. Retrieved 14 June 2023.
- ^ "Library : A Badly Fictionalized Life of Jesus". www.catholicculture.org. Retrieved 10 September 2017.
- ^ 로세르바토레 로마노(이탈리아어).1961년 12월 1일 오후 1시
- ^ Collins, Paul (2001). From Inquisition to Freedom.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p. 18. ISBN 978-0826454157.
- ^ Ottaviani, Alfredo (15 June 1966). "Notificatio" (PDF). L'Osservatore Romano (in Latin). No. 136. p. 1.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11 May 2023. Retrieved 14 June 2023.
- ^ a b c d e Matricciano, Emilio; De Caro, Liberato (2017). "Literary Fiction or Ancient Astronomical and Meteorological Observations in the Work of Maria Valtorta?". Religions. 8 (6): 110. doi:10.3390/rel8060110.
- ^ a b c d e Matricciano, Emilio; La Greca, Fernando; De Caro, Liberato (2021). "Hidden and Coherent Chronology of Jesus' Life in the Literary Work of Maria Valtorta". Journal of Sociology. 5 (6). doi:10.54647/sociology84718.
- ^ 뉴턴, 아이작 경 (1733).다니엘의 예언과 성 요한 묵시록에 대한 관찰 11장 "그리스도의 탄생과 열정의 시대에 대하여" 존(런던: J. 다비와 T.브라운), 144-168쪽.
- ^ a b Matricciani, Emilio; De Caro, Liberato (2018). "A Mathematical Analysis of Maria Valtorta's Mystical Writings". Religions. 9 (11): 373. doi:10.3390/rel9110373. hdl:11311/1125389.
- ^ Matricciani, Emilio; De Caro, Liberato (2020). "Jesus Christ's Speeches in Maria Valtorta's Mystical Writings: Setting, Topics, Duration and Deep-Language Mathematical Analysis". J — Multidisciplinary Scientific Journal. 3 (1): 100–123. doi:10.3390/j3010010. hdl:11311/1170169.
- ^ Roschini, Gabriel M. (1993). The Virgin Mary in the Writings of Maria Valtorta. Translated by Atworth, Paul T. Y. (3rd ed.). Sherbrooke: Kolbe's Publications. pp. 3, 21. ISBN 978-2-920285-11-8.
- ^ 알폰소 카린치, 마리아 발토르타 "몬스에게 편지를"Carinci", 2006, ISBN 8879871404
- ^ 라 나지오네(La Nazione), "누오비는 스코페 술라 무덤을 연구합니다.피에트로", 2021년 10월 23일.
- ^ a b c d e Bouflet, Joachim (2023). "Fraudes Mystiques Récentes – Maria Valtorta (1897-1961) – Anachronismes et incongruités". Impostures mystiques [Mystical Frauds] (in French). Éditions du Cerf. ISBN 978-2-204-15520-5.
- ^ Valtorta, Maria (2012). The Gospel as Revealed to Me. Vol. 1. Centro Editoriale Valtortiano. Sec. 37. ISBN 978-8879871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