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플라이투스 근육

Popliteus muscle
포플라이투스 근육
Posterior compartment of leg - popliteus muscle.png
포플라이투스 근육(빨간색으로 표시)
해부 비디오(2분 22초)
세부 사항
기원대퇴골 선에 근접한 경골의 후면
삽입측면 대퇴골 에피톤다일
동맥관상동맥
신경경골신경
행동들대퇴골이 고정된 경우(내려앉은 경우) 대퇴골의 경골을 내측으로 회전시키거나 경골이 고정된 경우(서 있는 경우) 경골의 횡방향으로 대퇴골을 회전시키고, 무릎을 풀어 굴곡(굽혀 펴기)을 허용하며, 웅크린 상태에서 대퇴골의 전방 탈구를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식별자
라틴어근육통, 무릎포플릿=햄(핏)
TA98A04.7.02.050
TA22665
FMA22590
근육의 해부학적 용어

다리의 포플라이투스 근육보행 사이클의 닫힌 체인 부분(발과 지면에 닿은 부분) 동안 경골대퇴골을 횡방향으로 회전시켜 걸을 때 무릎의 잠금 해제를 위해 사용된다.열린 사슬 움직임(관련된 사지가 지면에 닿지 않을 때)에서 포플라이투스 근육은 대퇴골의 경골을 내적으로 회전시킨다.앉거나 일어설 때도 사용된다.하퇴부 후부(뒷부) 구획에서 유일하게 발목이 아닌 무릎에만 작용하는 근육이다.위궤양근양쪽 관절에 작용한다.

구조

포플라이투스 근육은 대퇴골의 측면 콘딜의 측면 표면에서 둥근 힘줄에 의해 발생한다.[1]그것의 섬유는 아래쪽으로 그리고 중간으로 통과한다.그것은 경골의 뒤쪽 표면, 단측선 위에 삽입한다.[1]근육은 무릎관절 캡슐 안에서 발생하며 그 힘줄은 관절의 횡인대와 횡인대를 분리한다.

신경 공급

포플라이투스 근육은 척수 뿌리 L5S1로부터 경골신경에 의해 공급된다.

변형

때로는 위두근의 측면(외측) 머리에 있는 세사모이드 뼈에서 추가 머리가 있다.

추가적으로 불안정한 근육은 거의 없으며, 포플라이투스 부전골이 보인다.족저근 내측 대퇴골에서 발원하여 무릎관절의 후인대에 삽입한다.

인구의 14%인 페로네오티비알리스.기원은 경골의 사선 위쪽 끝에 삽입된 경골의 머리 안쪽이다. 경골의 사선 아래에 있다.[2]

또 다른 변종인 시아멜라는 포플라이투스 근육의 힘줄에 박혀 있는 작은 세사모이드 뼈다.그것은 인간에게는 거의 보이지 않지만, 다른 영장류와 특정한 다른 동물들에서는 더 자주 묘사되었다.[3]

함수

포플라이투스는 다리를 허벅지에 구부리는 것을 돕는다; 다리가 구부러지면 경골을 안쪽으로 회전시킨다.

특히 무릎을 굽히는 행동의 초기에 이 동작의 초기 단계에서 필수적인 경골의 약간 안쪽 회전을 만들어 내는 만큼 행동으로 불려진다.[4]

무릎이 완전히 펴지면 대퇴골은 경골 위에서 약간 안쪽으로 회전하여 무릎 관절을 제자리에 고정시킨다.포플라이토스는 경골의 대퇴골을 횡방향으로 회전시켜 무릎 굴곡이 시작되기 때문에 흔히 무릎의 잠금을 푸는 "키"라고 불린다.[4]

포플라이투스도 무릎의 횡격막에 부착되어 무릎 굴곡 시 후방으로 끌어당겨 무릎 굴곡 시 경골과 대퇴골 사이의 경골이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추가 이미지

참고 항목

참조

Public domain 이 기사는 20일자 484페이지공공영역의 텍스트를 통합하고 있다. 그레이스 아나토미 (1918)

  1. ^ a b Strickland, Justin P.; Fester, Eric W.; Noyes, Frank R. (2017-01-01), Noyes, Frank R.; Barber-Westin, Sue D. (eds.), "2 - Lateral and Posterior Knee Anatomy", Noyes' Knee Disorders: Surgery, Rehabilitation, Clinical Outcomes (Second Edition), Elsevier, pp. 23–35, doi:10.1016/b978-0-323-32903-3.00002-0, ISBN 978-0-323-32903-3, retrieved 2021-03-01
  2. ^ 그레이, 헨리 1918년인체 해부학.485페이지
  3. ^ Akansel, Gur; Inan, Nagihan; Sarisoy, H. Tahsin; Anik, Yonca; Akansel, Sertaç (2006). "Popliteus muscle sesamoid bone (Cyamella): Appearance on radiographs, CT and MRI". Surgical and Radiologic Anatomy. 28 (6): 642–645. doi:10.1007/s00276-006-0134-8. PMID 17066262. S2CID 13339926.
  4. ^ a b Wood, Addison; Boren, Morgan; Dodgen, Taylor; Wagner, Russell; Patterson, Rita M. (March 2020). "Muscular architecture of the popliteus muscle and the basic science implications". The Knee. 27 (2): 308–314. doi:10.1016/j.knee.2019.12.001. ISSN 1873-5800. PMID 31954610.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