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이드 오브 아메리카

Pride of America
Pride of America seen from Aloha Tower (4677840953).jpg
역사
미국
이름프라이드 오브 아메리카
주인님.프라이드 오브 아메리카 선박 홀딩 주식회사([2]NCL 아메리카)[1]
연산자NCL 아메리카
등록항미국 하와이 호놀룰루.
경로호놀룰루; 마우이(카훌루이); 힐로; 코나; 카우아이
주문된1998년 10월 6일
빌더
야드 번호
  • 7671(Litton-Ingalls)
  • "프로젝트 아메리카"(로이드 워프트)[2]
눕다2000년[2] 10월 10일
시작됨2002년[2] 9월 16일
세례화된2005년 6월 17일, 엘레인 차오 대모
완료된2005년[2] 6월 7일
가동중2005-현재
식별
상태포틀랜드 오리건 주 Vigor Shipyards에서 드라이도킹/재장착 완료 및 서비스 재개
일반 특성(설계된 대로)
톤수80,439 GT
길이850 ft (105 m)
역량2500명의 승객
메모들2001년 NCL이 아메리칸 클래식 보이저지의 파산 이후 미완성 선박으로 구매했다.
일반 특성(구축 시)[2]
톤수
길이
106피트(32.2m)
드라우트26.2ft(8.0m)
깊이65.8ft(20.07m)
갑판15
설치된 전원6 × Wartsilé 8L46C(6 × 8,400 kW)[3]
추진
속도22.2노트(41.1km/h, 25.5mph)[3]
역량승객[4] 2,192명
크루927

MS 프라이드 오브 아메리카(MS Pride of America)는 노르웨이 크루즈 라인의 사단법인 NCL 아메리카가 하와이 제도에서 여행 일정을 소화하기 위해 운항하는 크루즈선이다. 이 배의 건설은 2000년 Project America에 의거하여 미국에서 건설된 미국 국적 크루즈선의 계획의 일환으로 시작되었지만, 이 프로젝트는 실패했고 그녀는 결국 노르웨이 크루즈 라인에 의해 구입되어 독일에서 완공되었다. 그녀는 2005년에 취항했고 1958년 SS 아르헨티나 이후 거의 50년 만에 처음으로 미국 국기를 단 심해 유람선이었다.[5]

시공 및 설계

그녀의 초기 건설 역사 대부분 동안, 프라이드 오브 아메리카는 Project America 1로 알려져 있었다. 이것은 연방 정부 보조금으로 건설된 7만톤급 크루즈선 중 첫 번째였다. 프로젝트 아메리카는 상선 건설에 있어 미국 조선소의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수십 년 만에 최초의 미국 등록 여객선을 만드는 수단으로 의도되었다.[6]

이 배는 주로 U.S Line이라는 부활된 이름으로 하와이 섬에서 운항하고, 아메리칸 클래식 보이저스의 자회사 브랜드인 임시 MS 패트리엇과 아메리칸 하와이 크루즈가 노후한 SS 인디펜던스를 대체하기 위한 것이었다.[7] 1998년 10월 6일 미시시피주 파스카굴라에 있는 리톤-잉갈스조선과 최대 4척의 선박을 추가로 건조할 수 있는 옵션으로 하와이 간 서비스를 위한 여객선 2척을 건조하는 의향서가 체결되었다.[6] 그 용골은 2000년 10월 미시시피 조선소의 파스카굴라에서 미국 프로젝트 1을 위해 놓여졌다.[6] 이 배에는 4층 높이의 아트리움, 1060석 규모의 식당, 840석 규모의 극장, 590석 규모의 카바레 라운지, '특이하게 하와이식' 야외 공연 무대가 마련될 예정이었는데, 디자이너 존 맥네스와 그의 회사가 인테리어를 했다.[8]

Project America 프로그램은 2001년에 붕괴되었다. 모회사인 아메리칸 클래식 보이지는 2001년 10월 파산 신청을 했다.[8][9] 2001년 10월 25일 미국 해양청이 선박 건조 자금 지원을 전면 중단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조선소는 생산을 중단할 수밖에 없게 되었다.[10][11] 선박은 40%, 건조량은 55%로 이미 91%의 자재 구입이 완료됐다.[11]

2002년 8월 노르웨이 크루즈 라인은 프로젝트 아메리카 선박의 모든 자재와 장비와 함께 40%가 완성된 선체를 인수했다.[12] 선체는 새로 출범한 NCL 아메리카 사업부의 프라이드 오브 아메리카(Pride of America)로 완공하기 위해 리톤-인걸스 조선소에서 독일 브레메르하벤에 있는 로이드 베르프트 조선소로 견인되었다. 이 과정에서 선박을 850피트(260m)에서 920피트(280m)까지 늘려 총톤수를 7만2000톤에서 8만톤 이상으로 늘렸다.

NCL아메리카에 따르면 이 배는 당초 2004년 완공될 예정이었으나 2004년 1월 로이드 베르프트 조선소에 큰 폭풍이 몰아쳐 선박에 상당한 피해를 입혀 정박지에 가라앉은 뒤 인도일이 2005년으로 늦춰졌다.[13][14] 한 달 넘게 물에 잠겨 있던 장비와 내부 설비를 수리하고 교체하기 위해 광범위한 작업이 필요했지만 선체 손상은 없었던 것으로 손상 평가 결과 드러났다. 이 지연으로 노르웨이 크루즈 라인은 선단을 개편하고 노르웨이 스카이를 NCL 아메리카 브랜드로 옮겨 프라이드 오브 알로하(Pride of Aloha)로 개칭하고, 미국 최초의 2004년 여행 일정인 프라이드 오브 아메리카([14][15]Pride of America)

미국의 프라이드는 수리되었고 2005년 5월에 해상 시험을 마쳤다. 2005년 6월 독일의 로이드 베르프트 조선소를 떠나 은퇴한 함대 동료 SS 노르웨이를 지나 세례식을 위해 뉴욕으로 항해했다.[16]

서비스 이력

이 배는 2005년 6월 17일 맨해튼 크루즈 터미널에서 엘레인 차오 당시 미국 노동부 장관이 배의 선체에 대고 전통 병을 풀어주면서 세례를 받았다.[17] 이 명명식은 거의 50년 만에 처음으로 미국 국적 크루즈선으로서 의미가 컸으며, 미국 국회의사당 건물에서 기증한 미국 국기를 첫 항해에 펄럭이게 된다.[15]

프라이드 오브 아메리카의 처녀 항해는 2005년 6월 18일부터 24일까지동해안의 홍보 유람선이었는데, 라이브 위드 레지스와 켈리가 배 위에서 아침 쇼를 방송했다. 레기스켈리의 아침 책상을 위한 스포츠 코트 위에 특별한 플랫폼이 세워졌다. 이 항해는 뉴욕에서 북쪽으로 보스턴으로 항해한 뒤 필라델피아 노퍽에서 정차하기 위해 남쪽으로 향했고 마이애미에서 끝났다.[18]

미국의 프라이드파나마 운하를 지나 샌프란시스코까지 갔다가 호놀룰루까지 항해하면서 첫 항해를 계속했는데, 그 배는 그 배에서 함대 동료인 알로하의 프라이드와 합류했다.[15] 이 배는 호놀룰루에서 왕복 유람선을 타고 하와이 제도 주변의 주간 여행 일정에 배정되어 카훌루이, 힐로, 카일루아 코나, 나윌리윌리에 정차했다.[19]

프라이드 오브 아메리카는 2013년 3월 23일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14일 동안 3000만 달러 규모의 건조 부두에 입항했다. 24개의 초호화 스위트룸(옛 탑데크 컨퍼런스 센터와 전망대 교체), 4개의 스튜디오 객실과 4개의 내부 객석, 브라질식 스테이크 하우스, 선박용 와이드 무선 인터넷 연결, 새로운 카펫, 모든 객실의 평면 스크린 텔레비전, 업데이트된 dé를 포함한 이 배의 개조피트니스 센터로의 업그레이드, 새로운 안내 표지판, 선물 가게, 사진 갤러리 및 미술관로의 개조.[20]

하와이에 도킹한 미국의 자랑거리

프라이드 오브 아메리카는 2016년 2월 [21]BAE 시스템즈 샌프란시스코 선박 수리 시설에서 24일간의 건조 독 기간에 들어갔다. 보통 선박은 진주만 내 시설을 이용하지만 이미 예약이 꽉 찼다.[22][23]

미국 하와이 교통부는 2020년 4월 8일 유람선에서 COVID-19가 유행하는 동안, 프라이드 오브 아메리카의 승무원 6명이 COVID-19 양성반응을 보였다고 보고했다.[24] 선원 2명은 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았으며, 나머지 환자들은 배에서 고립됐다.[24] 이후 또 다른 긍정적인 사례가 발표되어 총 건수가 7건으로 늘어났다.[25]

미국 프라이드오브아메리카는 COVID-19 대유행의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 크루즈 운항을 중단한 데 이어 2020년 3월 14일 이후 승객을 태우지 않고 있으며, 약 500명의 승무원을 보충해 그녀의 본거지인 호놀룰루 항구에 정박했다.[24] 이 정도의 승무원은 나중에 약 140명으로 줄었는데, 그들 중 대부분은 선박의 운항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전문 선원들이었다. 2021년 6월 현재 그녀는 약 200명의 승무원과 함께 오리건주 포틀랜드의 Vigor Shipyards에 건조 도킹되어 있다.[25] 노르웨이 크루즈선은 2021년 8월 현재 2022년 1월 운항을 재개한다고 밝히고 있다.[26]

미국 국기 순항선

미국 정부측의 특별 면제는 개조된 선박과 대부분 독일제인 하와이 프라이드(Pride of Hawai)가 미국에서 건조된 부품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미국 등기를 허가했다(알로하 총리도 독일에서 완전히 건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면제를 받았다).[27] 프라이드 오브 아메리카는 미국에 등록돼 있기 때문에 미국 노동법의 적용을 받으며 주로 미국 승무원이 근무하고 있다. 편의국 국기에 등록돼 있고 주로 외국인 승조원이 있는 대부분의 다른 크루즈선과 대조적이다. 게다가 프라이드 오브 아메리카는 미국 해역을 떠나지 않기 때문에 카지노가 없다. 미국 등기부는 1886년 여객선 서비스법을 준수해야 하는 다른 모든 외국 국적 크루즈선과 달리 미국 항구들 사이에서만 선박의 이동을 허용하고 있다.

미국의 자존심에 있는 전문 갑판엔진 장교들은 해양 기술자 유익한 협회로부터 공급받고 있으며, M.E.B.A.의 현 회장 (2021-) 아담 보카크 (Adam Vokac)는 기내에서 퍼스트 어시스턴트 엔지니어로서 항해했었다.

참고 항목

참조

메모들

  1. ^ a b "Pride of America (9209221)". Equasis. French Ministry for Transport. Retrieved 25 July 2012.[데드링크]
  2. ^ a b c d e f "Pride of America (24785)". DNV GL Vessel Register. Det Norske Veritas. Retrieved 7 November 2011.
  3. ^ a b c "미국의 자랑": 극적인 조선 소설웨이백 머신에서 2013년 1월 1일에 Archived of America를 넘겼다. 스칸디나비아 해운 가제트, 2006년 10월 18일. 2012년 7월 25일 검색됨
  4. ^ "Pride of America Review". Cruise Critic. 30 November 20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January 2013. Retrieved 8 January 2009.
  5. ^ "Pride of America". NC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December 2008. Retrieved 8 January 2009.
  6. ^ a b c Staff, C. I. N. (23 October 2010). "Archives: American Classic Voyages – Project America". www.cruiseindustrynews.com. Retrieved 8 January 2021.
  7. ^ "U.S. Lines' MS Patriot Challenges Cascade General". MarineLink. 20 February 2001. Retrieved 8 January 2021.
  8. ^ a b Peter, Bruce. (2017). Cruise ships. A design voyage. Narberth: Ferry Publications. ISBN 978-1-911268-08-6. OCLC 1003587263.
  9. ^ Writer, Tom Stieghorst Business. "American Classic Voyages Moves Into Bankruptcy". Sun-Sentinel.com. Retrieved 8 January 2021.
  10. ^ "Work Suspended on Cruise Ship". www.bizjournals.com. Retrieved 8 January 2021.{{cite web}}: CS1 maint : url-status (링크)
  11. ^ a b "AMCV Demise Sinks U.S. Cruise Building Hopes For Now". MarineLink. 5 December 2001. Retrieved 8 January 2021.
  12. ^ Street Journal, Evan PerezStaff Reporter of The Wall (21 August 2002). "Norwegian Cruise Line to Finish Project America Ship in Europe". Wall Street Journal. ISSN 0099-9660.{{cite news}}: CS1 maint : url-status (링크)
  13. ^ "M/S Pride of America (200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February 2007. Retrieved 29 June 2009.[데드링크]
  14. ^ a b Homola (NYT), Victor (15 January 2004). "World Briefing Europe: Germany: Rains Tilt U.S.-Flagged Cruise Ship (Published 2004)". The New York Times. ISSN 0362-4331. Retrieved 6 January 2021.
  15. ^ a b c "Norwegian Becomes American, Debuts Pride of America with U.S. Hull, U.S. Crew, U.S. Routes and All Frommer's". www.frommers.com. Retrieved 7 January 2021.
  16. ^ "S.S. NORWAY". www.classicliners.net. Retrieved 8 January 2021.
  17. ^ "Cruise Ship Sails Under American Flag". NPR.org. Retrieved 7 January 2021.
  18. ^ "Live with Regis and Kelly Teams Up With NCL America for a Groundbreaking Full Week of Shows on Board the New Pride of America". itravel magazine. Retrieved 7 January 2021.
  19. ^ "Pride of America Cruise Ship: Pride of America Deck Plans". Norwegian Cruise Line. Retrieved 7 January 2021.
  20. ^ Mathisen, Oivind (5 September 2012). "Pride of America To Receive Major Enhancement".
  21. ^ "Pride of America Receives Bow to Stern Enhancements". www.ncl.com.
  22. ^ Kalosh, Anne. "NCLH 8 drydocks in 2016 include Pride of America in SFO".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November 2015.
  23. ^ "Upcoming Cruise Ship Refurbishments". Cruise Critic.
  24. ^ a b c 하와이 교통부의 프라이드 오브 아메리카 주(Pride of America State of America)에서 확인된 6건의 COVID-19 사건
  25. ^ a b 월요일 호놀룰루 항에서 태평양 공주를 떠날 4명의 오아후 주민; 7명의 미국 프라이드 승무원은 2020년 4월 9일 COVID-19 스타 광고주를 가지고 있다.
  26. ^ Burnett, John (8 August 2021). "Return of cruise ships still up in the air". Hawaii Tribune-Herald. Retrieved 8 August 2021.
  27. ^ Saunders, Aaron. (2013). Giants of the seas : the ships that transformed modern cruising. Barnsley: Seaforth Publishing. ISBN 978-1-4738-5310-2. OCLC 904209672.

참고 문헌 목록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