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티카 공국

Principia Ethica
프린세스 에티카의 제목 페이지

프린세스 에티카는 영국 철학자 G. E. Moore가 쓴 1903년 책으로, 저자는 "선"의 지속성을 주장하고 자연주의적 오류에 대한 설명을 제공한다. 공국 에티카는 영향력이 있었고, 무어의 주장은 다른 분야에서 그가 기여한 것에 비해 덜 인상적이고 오래 지속되는 것으로 보여지긴 했지만, 오랫동안 도덕철학의 획기적인 진보로 간주되었다.[1]

요약

무어는 윤리란 (1) "좋은 것이 무엇인가?", (2) "그 자체로 좋은 것과 나쁜 것은 무엇인가?", (3) "수단으로서 좋은 것은 무엇인가?"[2]: §2, §109 라는 세 가지 기본적인 질문에 대한 것이라고 제안한다.

무엇이 좋은가

첫 번째 질문은 "선"이라는 용어의 성격이나 정의와 관련이 있다. 무어는 이 용어가 간단하고 설명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3] 그러나 두 가지 형태의 선은 구별되어야 한다. 그 자체로 선하거나 본질적으로 선한 것과 인과적 수단으로 선한 것이다. 가치에 대한 우리의 지식 그 자체자명한 직관에서 비롯되며, 선의 수단이나 의무로서의 지식과는 달리 다른 것들로부터 유추되지 않는다.[2]: Preface 그 자체로 좋은 것 중에서 전체의 가치와 그 부분의 가치 사이에는 중요한 차이가 있다. 흔히 전체의 가치는 단지 그 부분의 값의 합에 있다고 가정한다. 무어는 이 관점을 거부하며 특정 유형의 건강에 실패한다고 주장한다: 소위 "유기농 건강"[2]: §23 [4]이다. 는 그 일이 일어나지 않기를 바란다. 그러한 경우는 도덕적으로 악랄한 사람과 이 사람에게 가한 고통이라는 두 가지 부정적인 것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값이 두 부분의 값의 합보다 음수(혹은 양수)가 적다.[2]: §128 [5] 다시 한 번 우리는 전체의 내재가치가 그 부분의 가치의 합과 어떻게 다른지 판단하기 위해 직관에 의존해야 한다.[2]: Preface

사물이 그 자체로 좋고 나쁜 것은 무엇인가.

윤리의 두 번째 질문은 그 자체로 어떤 것이 좋은가에 대해 묻는다. 무어는 이 질문에 대한 다양한 전통적인 대답, 특히 자연주의에 대해 논하는데, 이는 그가 자신의 접근법과 대비된다. 윤리학에서 자연주의의 가장 큰 문제쾌락주의나 '진화주의 윤리학'[2]: §35 에서 보다 진화된 것과 같이 가치를 자연적 특성과 동일시하려는 경향이다. 그는 무어의 말에 따르면 "선"이라는 용어를 자연적 성질의 관점에서 정의하려고 시도하면서 자연주의적 오류를 범하는 그러한 입장을 비난한다.[3] 만약 그러한 정의가 사실이라면, '쾌락은 즐거움이다'[5]라는 비정보적인 상투적인 정의가 될 것이다. 하지만, 무어는 이것이 사실이 아니며, 그러한 문장이 사실인지 아닌지는 공개적인 질문이라고 주장한다.[6] 위의 정의와 그것과의 자연주의가 실패하는 이유다.[2]: §35 [5]

무어는 쾌락 자체가 좋다는 쾌락주의에는 동의하지만 본질적으로 가치가 있는 것만이 아니다. 그 자체로 가치가 있는 또 다른 중요한 선은 예를 들어 산, 강, 해 지는 것의 아름다움이다.[5] 무어는 어떤 것이 본질적인 가치를 가지고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시험으로 "격리의 방법"이라는 사고 실험을 제안한다.[2]: §55 이 테스트는 내재가치를 분리함으로써 사물이 수단으로서 선하다는 것을 고려하는 것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4] 그 방법은 예를 들어, 아름다운 풍경으로만 이루어진 세계, 문제의 물건만 들어 있는 세계를 상상하는 데 있다. 무어는 그런 세상이 추악한 세상보다 낫다고 주장하는데, 두 경우 모두 그것을 즐길 사람은 없지만, 그것은 쾌락만이 그 자체로 좋은 것은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6]

수단으로서 좋은 것은

두 번째 윤리의 문제에 답한 무어는 세 번째 질문인 "수단으로 무엇이 좋은가?"로 이어진다. 이 질문은 전통적으로 윤리와 관련된 영역인 "우리가 무엇을 해야 하는가?"[2]: §88 를 포함하기 때문에 특히 관련이 있다. 이를 위해서는 "대부분의 남성들이 할 수 있는 행동들, 만약 그들이 할 수만 있다면, 그들이 할 수 있는 행동들"이 주된 관심사이기 때문에 세 번째 질문을 더 제한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것들과 관련하여, 단지 그들 중 어느 것이 어떤 좋은 결과를 가져올 것인지 나쁜 결과를 가질 것인지 묻지 않고, 어떤 순간에 의욕이 생길 수 있는 모든 행동들 중에서 어느 것이든 찬성할 것이기 때문이다.최고의 총 결과를 얻는다"[2]: §109 라고 말했다. 그래서 옳은 행동은 가장 좋은 결과를 낳는 것이다.[7] 이것의 어려움은 대부분의 행동의 결과가 너무 방대해서 우리가 제대로, 특히 장기적인 결과를 고려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무어는 직무의 정의가 비교적 가까운 장래에 개연성 있는 대안보다 일반적으로 더 나은 결과를 산출하는 것에 한정되어 있다고 제안한다.[2]: §109 인과적 수단에 대한 언급이 시사하듯이, 우리의 의무가 무엇인지 판단하기 위해서는 행동의 결과에 대한 상세한 경험적 조사가 필요하며, 그것은 자명한 직관적 통찰력으로는 접근할 수 없다.[2]: §109 주어진 행동 규칙이 의무로 판명되는지 여부는 어느 정도 해당 사회의 조건에 따라 다르지만 의무는 대부분 상식이 권하는 것에 동의한다.[2]: §95 정직과 같은 미덕은 차례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한 영구적인 성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2]: §109

리셉션

공국 에티카는 영향력이 있었고,[1] 도덕성에 대한 주장은 사실의 진술에서 유래될 수 없다는 것을 많은 사람들에게 납득시키는 데 도움을 주었다.[8] 클라이브 벨은 스펜서와 밀에 대한 반대를 통해 무어가 자신의 세대를 공리주의로부터 해방시켰다고 생각했다.[9] 프린세스 에티카블룸스베리 그룹의 성경이었고,[10] 그들의 미적 가치의 철학적 토대였다. 레오나드 울프는 그것이 무의미한 세상에서 계속 살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고 생각했다.[11] 유기체 전체에 대한 무어의 미학적 사상은 버지니아 울프 같은 현대주의자들에게 예술적 지도를 제공했고,[12] 벨의 의미있는 형태에 빠져들었다.[13]

공국 에티카도 T. E. Hulme의 반제국주의를 통해 모더니즘에 강력한 영향을 끼쳤다.[14]

사회문화적으로, 1959년 그의 팜플렛 "British Is British Civilized?"에서 증명된 바와 같이,[15] 프린세스 에티카로부터 로이 젠킨스에 대한 자유주의적 사고까지 한 행을 추적할 수 있다. 영국의 관용 사회를 위한 제도적 틀을 많이 확립한 그의 후속 내무부 개혁에도 작용했다.[16]

무어의 윤리적 직관주의감정주의와 같은 도덕성에 대한 비인지적 관점의 길을 열어주는 것으로 보여 왔다.[17]

C. P. 스노우는 무어가 추종자들의 쾌락 믿음에 대한 지속적인 영향력을 스케치했다. "그들은 개인적 관계에서 최대한의 쾌락을 얻으려고 노력했다. 만약 이것이 삼각형이나 좀 더 복잡한 기하학적 수치를 의미한다면, 그렇다면, 한 사람도 그것을 받아들였다.쾌락을 믿지 않았다면 문명인이 될 수 없었을 것이다.[18]

존 롤스는 <정의론>(1971년)에서 무어의 견해를 <선악론>(1907년)에서 헤이스팅스 래쉬달의 견해와 비교한다.[19] 무어의 견해는 프란츠 브렌타노, 막스 셸러, 니콜라이 하트만의 견해와도 비교되어 왔다.[7]

프린세스 에티카는 제프리 워녹에 의해 윤리 외의 분야에서 무어가 기여한 것 보다 덜 인상적이고 오래 지속되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1] 프린세스 에티카의 초기 신봉자인 존 메이너드 케인즈는 1938년 논문 '나의 초기 신념'에서 인간의 이성성과 품위에 대한 유토피아 무어의 근본적 신념이라고 부인할 것이다.[20]

참고 항목

참조

  1. ^ a b c Warnock, Geoffrey (1995). Honderich, Ted (ed.). The Oxford Companion to Philosoph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p. 585. ISBN 0-19-866132-0.
  2.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Moore, George Edward (1903). Principia Ethica. Project Gutenberg.
  3. ^ a b Honderich, Ted (2005). "Moore, G. E". The Oxford Companion to Philosophy. Oxford University Press.
  4. ^ a b Mittelstraß, Jürgen (2005). "Moore". Enzyklopädie Philosophie und Wissenschaftstheorie. Metzler.
  5. ^ a b c d Hurka, Thomas (2015). "Moore's Moral Philosophy".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Retrieved 2 January 2021.
  6. ^ a b Craig, Edward (1996). "Moore, George Edward". Routledge Encyclopedia of Philosophy. Routledge.
  7. ^ a b Schneewind, J. B. (1997). Singer, Peter (ed.). A Companion to Ethics. Oxford: Blackwell Publishers Ltd. p. 153. ISBN 0-631-18785-5.
  8. ^ Schneewind, J. B. (1997). Singer, Peter (ed.). A Companion to Ethics. Oxford: Blackwell Publishers Ltd. p. 155. ISBN 0-631-18785-5.
  9. ^ 헤르미온느 리, 버지니아 울프(1996) 페이지 253
  10. ^ 리, 페이지 253
  11. ^ 리 302쪽
  12. ^ J. 브릭스, Reading Virginia Woolf(2006) 페이지 72
  13. ^ G. 플리스타드, 미학과 철학(2007) 페이지 221
  14. ^ 레벤슨, 페이지 92
  15. ^ R. 젠킨스, 나인 오브 파워(1970) 페이지 3과 페이지 12
  16. ^ J. Disci, The Sixties(2009) 페이지 64-5
  17. ^ R. 엘드리지 에드, 스탠리 코벨(2003) 페이지 18-21
  18. ^ C. P. 눈, 마지막 것들 (1974) 페이지 84
  19. ^ Rawls, John (1999). A Theory of Justice.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p. 287. ISBN 0-674-00078-1.
  20. ^ 리, 712페이지

추가 읽기

  • 클라이브 벨, 올드 프렌즈 (!956)
  • S. P. 로젠바움 에드, 블룸스베리 그룹 (1975)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