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레슬링이 버티고 있다.
Professional wrestling holds프로레슬링 홀드에는 연주자들이 상대방을 꼼짝 못하게 하거나 제출을 유도하기 위해 사용하는 많은 세트 동작과 핀이 포함된다.이 글은 링에 사용되는 다양한 핀, 스트레칭 및 전환 홀드를 다룬다.일부 레슬링 선수들은 이러한 홀드를 마무리 기술로 사용하며, 종종 그들의 성격이나 성격을 반영하기 위해 이름을 바꾸기도 한다.이동은 가능할 때마다 일반 범주 아래에 나열된다.
스트레칭
프로레슬링의 캐치레슬링 기원에서 빌려온 원소 스트레칭(또는 복종 홀드)은 레슬링 선수가 상대편의 신체에 스트레스를 주는 자세로 다른 선수를 잡는 기술이다.스트레칭은 보통 상대방을 약하게 하거나, 소리 내어 또는 두드려서 제출하도록 강요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매트, 플로어, 또는 자유자재로 상대방을 세 번 때린다.이들 중 상당수는 힘차게 바르면 상대의 근육을 펴거나 관절을 불편하게 비틀어 붙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다른 스트레치 포지션과 같이 일반적인 스트레스 포지션은 아니지만, 보통 같은 전술적 목적을 위해 스트레칭으로 그룹화된다.공공 공연에서, 안전을 위해, 스트레칭은 보통 상대가 제출하거나 부상을 입을 위험이 있을 정도로 수행되지 않는다.마찬가지로, 콜라는 보통 상대의 뇌에 산소 공급을 차단하는 지점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머리, 얼굴, 턱, 어깨 스트레칭
낙타 클러치
레슬링 선수는 엎드린 상대 위에 서서 홀드를 시작한다.레슬러는 아래로 손을 뻗어 상대 레슬링 선수를 살짝 끌어올리고, 상대의 등에 앉히고, 상대의 양팔을 허벅지에 걸쳐 놓으며, 보통 팔을 무릎 굽에 올려놓음으로써 적어도 하나를 잠근다.[1]이어 레슬러는 앞으로 손을 뻗어 손가락이 맞물린 채 손을 컵으로 받치고, 커핑된 손에 상대의 턱을 움켜쥐고 뒤로 기대어 상대의 턱을 잡아당겨 등에 압력을 가한다.[1]낙타 클러치는 또한 팔을 허벅지에 두지 않고 상대의 등에 앉아 있는 동안 단순히 뒷턱 잠금 장치를 가리킬 수 있다.[2]이 움직임은 멕시코의 고리 게레로가 발명한 것인데, 그곳에서 라 데 카발로(말 마운트 초크)라고 불렸으나, 에드 파라트로부터 더 흔한 이름을 얻었는데, 에드 파라트는 "셰이크"로 씨름하여 그의 마무리 투수로 사용했다.[1]미로는 홀드를 적용하기 전에 상대의 등을 밟는 게임 오버라고 하는 변주를 하는데, 이 동작은 이전에 미로가 WWE에서 루세프였을 때 더 어콜레이드라고 불렸다.낙타 클러치의 스탠딩 변형도 사용되는데, 이 변형은 1990년대 후반 스콧 스타이너가 '스테이너 리클라이너'라고 불리는 그의 마무리 작업자로 사용하면서 대중화되었다.그의 조카인 브론 브레이크커도 스탠딩 버전을 사용했다.낙타 클러치의 롤링 변형도 사용되는데, 프렌치 패인이라고 불리는 Maryse Ouellet이 이 변형을 대중화했다.빅쇼는 콜로살 클러치라고 불리는 이 동작의 무릎 꿇는 변형을 사용한다.
레그 트랩 낙타 클러치
공격형 레슬링 선수가 엎드린 상대 위로 서서 같은 방향을 바라보고 있다.레슬링 선수는 마치 보스턴 게를 역주행을 하듯 먼저 상대편 겨드랑이 밑으로 각각 훅을 한 다음, 양손으로 상대의 턱밑과 아래로 손을 뻗어 턱걸이를 하고, 마지막으로 뒤로 기대어 상대의 머리와 목을 끌어올린다.
또 다른 버전의 동작은 손수레 페이스버스터와 비슷하지만, 대신 상대의 머리와 목을 끌어올리기 위해 몸을 뒤로 젖힌 채 불법적으로 상대의 머리카락을 잡아당기는 방식이다.
스텝오버 암록 낙타 클러치
공격형 레슬링 선수가 엎드린 상대 위로 서서 같은 방향을 바라보고 있다.이어 레슬링 선수가 스텝오버 암록으로 상대 선수의 한쪽 팔을 잡아 360° 회전시켜 상대 선수의 팔이 공격형 레슬링 선수의 다리에 휘어지게 한다.레슬링 선수는 자신의 다리와 상대편의 옆구리 사이에 팔을 끼게 된다.그리고 나서 레슬러는 앞쪽으로 손을 뻗어 표준 낙타 클러치처럼 턱걸이를 하고, 뒤로 기대어 위쪽 등받이와 팔에 압력을 가한다.
친록
후미 턱걸이로도 알려진 공격형 레슬러는 앉아 있는 상대 뒤로 몸을 웅크리고 앉아 상대의 위쪽 등받이에 무릎을 갖다 댄 다음 앞으로 손을 뻗쳐 양손으로 상대의 턱을 움켜잡는다.그리고 나서 공격자는 턱을 똑바로 잡아당기거나 턱을 옆으로 후려친다.
앞턱락
레슬링 선수가 구부러진 상대와 마주하는 목 렌치와 비슷한 기동력.공격형 레슬러는 상대의 머리 위/뒤를 자신의 가슴으로 밀어넣고 팔뚝이 상대의 목에 눌리도록 팔을 감싸준다.그리고 나서 레슬링 선수는 다른 손과 상대편의 등 위에 자신의 예비 팔을 올려놓아 상대편의 목을 압박한다.공격형 레슬링 선수는 뒤쪽으로 아치를 그리며 상대의 머리를 아래로 당길 수 있다.
역턱락
이 동작은 공격자가 앉아 있는 상대 뒤로 무릎을 꿇고 한쪽 팔을 상대의 턱밑으로 감싸고 손을 잠그는 것을 본다.잠자는 사람 홀드와 마찬가지로 이 동작도 서 있는 자세에서 수행할 수 있다.브리징 리버스 턱록이라고 불리는 이 홀드의 또 다른 변형에서는 공격형 레슬러가 얼굴을 숙인 상대보다 먼저 몸을 웅크리고 한쪽 팔을 상대의 턱 아래로 감싸고 손을 잠근 후 다리를 걸친다.
클라홀드
'철발톱'이라고도 불리는 발톱은 공격자가 한 손으로 상대편의 머리 윗부분을 잡고 손가락 끝을 상대편의 두개골에 짜넣어 5개의 서로 다른 압력을 가하는 역할을 한다.이것은 Clawhold STO 또는 철제 발톱 슬램으로 전환될 수 있다.
때때로 헤드 바이스로 알려진 양손 버전도 있다.홀드를 하는 레슬러가 뒤에서 상대에게 다가가 양손으로 머리를 움켜잡는다.씨름꾼은 바이스에 있는 동안 관자놀이를 쥐어짜서 상대를 제압하고 더 많은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착석 위치로 끌어내릴 수 있다.폰 라스케 남작뿐만 아니라 폰 에리히 가문의 많은 구성원들과 블랙잭 멀리건이 발명하여 사용하였다.양손판본은 '부 그립'으로 불리는 '위대한 칼리'의 서명 제출이었다.
맨더블 발톱
개인에 대해 올바르게 적용할 경우, 강력하고 합법적인 고통을 유발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조작.이 홀드는 공격자가 상대의 입 속에 가운데와 약지를 넣어 혀 밑으로 밀어넣고 입 밑바닥에서 발견된 연조직에 잽싸게 들어갈 때 적용된다.같은 손의 엄지손가락(그리고 때로는 손바닥)을 턱밑에 놓고, 엄지손가락/팔렘이 턱을 위로 밀어올리는 동안 가운데 손가락과 약지손가락에 의해 아래쪽으로 압력을 가하여 턱의 신경을 압박하여 상대의 턱을 마비시킨다고 한다. 따라서, 이는 상대가 턱을 비트 단위로 꺾는 것을 방지한다.인류가 1996년 WWF에 참가하기 전 인터뷰 때 빈스 맥마흔에게 이 문제에 대해 질문했을 때 설명했듯이 레슬링 선수의 손가락에 힘이 실렸다.[3]폴리가 이 움직임을 대중화시켰지만, 1954년 아내의 살해로 억울하게 유죄 판결을 받은 의사 샘 셰퍼드(Sam Sheppard)에 의해 발명되었다; 1966년 그의 유죄 판결이 뒤집힌 후, 셰퍼드는 프로 레슬링을 시작했으며, 이 움직임을 인간 해부학에 대한 그의 지식에서 유래했다고 한다.[4]피엔드는 이 동작을 사용하곤 했다.
어깨발톱
공격형 레슬링 선수는 클라홀드와 유사하게 상대방 어깨에 손과 손가락을 이용해 신경 자물쇠를 걸어 제출을 시도한다.대상근육군으로 인해 트라페지우스 발톱이라고도 불린다.한 변종은 레슬링 선수가 대신 상대방의 목에 손을 걸어 잠그는 것을 볼 수도 있다.아프리카 레슬링 연맹의 숀 코엔의 결승전이다.이것은 더 그레이트 칼리와의 연관성 때문에 Nerve hold로도 알려져 있으며, 이전에는 Concredicity Freddie Blassie가 사용하였다.
위 발톱
원래 클라홀드와 마찬가지로 위 악으로도 알려져 있는 공격자는 상대편의 복부에 고통스러운 신경통을 부여하여 굴복시키거나 기절하게 한다.[5]위 발톱은 킬러 코왈스키가 가장 많이 사용한 것으로, 코왈스키 발톱이라고 이름붙였다.
크로스페이스
이 목 크랭크는 레슬링 선수가 양손을 상대의 얼굴에 감싸고 뒤로 당기는 모습을 볼 수 있어 목과 어깨 부위에 부담을 준다.이 동작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수행되는데, 보통 레슬러가 상대편 팔을 끼는 것과 관련된 엎드린 자세에서 이루어진다.크리스 베누이트의 Cris Benoit의 Crossface는 팔 트랩과 관련된 변주곡이었다; 옆 사진에서 그는 너무 뒤로 당겨서 홀드 좌석을 끝냈지만, 그는 항상 그러지 않았다.Bobby Roode는 TNA에서 같은 동작을 사용했지만 2016년 이후 WWE에서는 그렇지 않았다.오모플라타 자세에서 변형이 이루어지는데, 이는 끼인 팔에 압력을 가하기도 하지만 레슬러가 앉은 자세에서 변형을 수행해야 한다.흔히 진 르벨의 이름을 딴 '레벨 록'으로 불리는 다니엘 브라이언은 WWE에 가입하면서 '예스 록'이라는 이름으로 이 운동을 대중화하기 시작했다.이시모리 타이지가 2018년 NJPW에 합류할 때까지 드물게 사용하다가 브라이언의 이름을 딴 예스락으로 자주 사용했다.또 다른 변화는 레슬러가 양손을 상대의 목을 감싸고 뒤로 당기는 브리지 자세에서 수행되는데, 이는 추가 지렛대를 위해 상대의 목과 다리에 압력을 가한다.이 변형은 사샤 뱅크스가 은행 성명서로, 타카 미치노쿠가 저스트 페이스록으로 제출 마무리 작업으로 사용된다.
팔 트랩 크로스페이스
크리스 베누이트가 불구자 크로스페이스로, 다니엘 브라이언이 Yes! 자물쇠, 레슬러는 상대의 팔을 잡아 오모플라타에 넣는다.여기서부터 레슬러는 상대편의 목과 어깨를 비틀면서 크로스페이스에 넣는다.이 동작은 켄타가 게임 오버로도 사용하였다.
치킨윙 오버더숄더 크로스페이스
레슬러는 쓰러진 상대에게 가서 상대편의 가장 가까운 팔을 레슬링 선수의 가장 가까운 어깨 위에 놓고 크로스페이스(crossface)를 적용하는데, 공격형 레슬링 선수가 상대의 턱(또는 아래 얼굴)에 손을 감았다가 뒤로 물러서면서 상대의 목과 어깨를 쭉 뻗는다.현재 NXT 레슬링 선수인 조니 가가노는 이 홀드를 가가노 이스케이프라고 부르며 마무리 제출 동작으로 사용한다.드류 맥킨타이어는 TNA에서 아이언 메이든으로 잠깐 사용했다.
가위 아크바르 크로스페이스
이것은 가위질한 완장과 십자형을 결합한 것이다.공격형 레슬러는 엎드린 상대의 한쪽 팔을 다리에 틀어막고 상대편의 다른 팔을 공격형 어깨 밑으로 감싼 뒤 크로스페이스를 적용한다.나가타 유지타 유지는 이 움직임을 대중화시켜, 종전의 보유인 나가타 록 III의 진화로, 나가타 록 III라고 명명했다.바티스타는 바티스타 물기로, PAC는 이것을 The Farmizer로 사용한다.D.M.D.의 브리트 베이커 박사는 록조라는 이름의 발톱 손잡이로 이 동작을 사용한다.
스트레이트 재킷 크로스페이스
크로스페이스와 비슷하게, 이 동작은 레슬러가 엎드린 상대보다 위에 서 있는 것을 본다.그리고 나서 레슬러는 상대의 팔을 교차시키면서, 크로스페이스를 적용하기 전에 다리로 제자리에 고정시킨다.
피시 후크
레슬링 선수는 손가락 중 하나를 갈고리로 구부려 상대방의 입이나 코를 펴는 데 사용한다.통상적인 규칙에 따른 불법 보유.오스틴 에리스는 상대편이 엎드린 채 누워 있는 '운명의 물고기 후크'라는 서프보드 반쪽 변형을 사용한다.한 손으로 상대편 손목을 잡고 다른 한 손으로 낚시를 낚아챈다.그리고는 상대의 늘어진 팔에 무릎을 대고, 팔로 뒤로 당긴다.
프런트 찬서리
"넥 렌치"로도 알려진, 레슬러는 구부러진 상대와 마주한다.공격형 레슬러는 겨드랑이 밑으로 상대의 머리를 집어넣고 팔뚝이 턱에 눌리도록 목을 감는다.이어 레슬러는 자신의 손목을 자유자재로 움켜쥐고, 그것을 상대의 겨드랑이와 가슴 밑으로 건너가 홀드를 잠가 상대의 목을 압박한다.공격형 레슬러는 뒤쪽으로 아치를 그리며 상대의 머리를 앞으로 당기고 따라서 목에 추가적인 압력을 가할 수 있다.[6]
전면 잠금
레슬러는 허리를 굽힌 상대와 마주보고 있다.공격형 레슬러는 겨드랑이 밑으로 상대의 머리를 집어넣고 팔뚝이 얼굴에 눌리도록 머리를 감싸준다.이때부터 레슬러는 자유자재로 상대의 손목을 잡고 상대의 겨드랑이 밑으로 자신의 머리를 집어넣어 똑바로 서거나, 홀드를 잠그거나, 단순히 상대의 팔을 자신의 어깨 위로 던지며 자유자재로 상대의 허벅지를 잡을 수 있다.실행과 기능이 전면 창서와 유사하게, 이 잠금 장치는 종종 복합체를 위한 설정으로 사용된다.
반전 페이스록
레슬링 선수는 상대 선수 뒤에 서서 상대방을 뒤로 구부린다.레슬링 선수는 겨드랑이 밑으로 얼굴을 쳐넣고 팔을 머리에 감싸서 팔뚝이 상대의 목덜미에 눌리게 한다.그러자 레슬러는 상대의 목을 비틀면서 상대의 머리를 뒤로 젖히고 위로 당긴다.Naomichi Marufuji는 Perfect Facelock이라고 불리는 단일 언더후크 변형을 발명했다.
용을 물다
흔히 용에 물리는 것으로도 알려진 이 동작은 서 있는 상대 뒤에서 공격형 레슬러가 거꾸로 뒤집힌 얼굴 잠금장치로 뒤로 끌어당겨 몸가위로 상대의 몸에 다리를 감싸고 있는 모습을 본다.공격자는 뒤쪽으로 아치를 그리며 상대편의 목과 척추를 압박한다.이 움직임은 링 로프 안에 갇힌 상대에게 사용되는데, 이것은 대부분의 경기 규칙 하에서 이 움직임을 불법으로 만든다.
스트레치 매실
레슬링 선수는 앉아 있는 상대에게 거꾸로 페이스록을 적용하고, 상대의 다리 사이에 그들의 먼 다리를 놓고, 가까운 다리의 무릎을 상대의 등에 대고 밀어낸다.이어 레슬링 선수가 팔로 상대의 머리를 뒤로, 다리로 상대의 먼 다리를 바깥쪽으로 당긴다.타이치가 세테이이쥬히지로로사용한다.
사이드 헤드록
이 홀드에서는 상대와 마주보고 있는 레슬러가 상대의 목에 팔을 감는다.이것은 또한 "역방향 찬서리"라고도 불린다.자주 사용하는 휴식 공간이지만, 때로는 표준 불독 이동의 시작이기도 하다.
3쿼터 페이스록
레슬링 선수는 두 사람이 같은 방향을 향하고 있는 동안 상대 선수 앞에 서서, 두 사람 사이에 약간의 공간을 두고 있다.그리고 나서 레슬링 선수는 여전히 상대 선수 앞에 있는 동안 왼쪽으로 약간 움직인다.이어 레슬링 선수가 가까운 손을 이용해 뒤로 손을 뻗어 상대 선수의 머리 뒤에서 잡아주어 상대 선수의 머리를 레슬링 선수의 어깨 위로 잡아당긴다.때로는 프리팔을 상대의 머리 꼭대기에 올려놓기도 한다.이 움직임은 유럽 레슬링에서 두드러져 "유럽 헤드록"이라고도 불린다.양손버전은 레슬링 선수가 양손을 사용하는 것을 보고, 때때로 "수염 찬서리", "옆머리 찬서리", 그리고 가장 흔히 "크레바이트"라고 불린다.이 홀드는 유럽식 레슬링과 유럽식 레슬링의 영향을 받은 테크니컬 레슬링의 주식이다.크리스 히어로가 제출한 '항만 클러치'의 일부로서 역버전 버전을 사용하는데, 손 포지셔닝은 일반적인 크레이브와 동일하지만 얼굴 잠금장치가 상대편의 머리 뒤가 아닌 얼굴을 중심으로 연결되어 있어, 상대편의 머리를 앞으로가 아닌 뒤로 잡아당겨 의미심장하게 놓이게 된다.목은 뒤로 뻗어서 압박하고 목은 보통 구부러지지 않는 다른 방향으로 압박한다.이것은 또한 스티브 오스틴이 유명하게 만든 스턴너로도 알려진 3/4 페이스록 죠브레이커의 설정일 수 있다.
헤드 가위
목가위라고도 불리는 이 홀드는 레슬링 선수가 반듯이 누운 상대에게 다가가 옆에 앉고, 옆으로 몸을 돌려 상대방 머리를 향해 양쪽으로 다리를 감싸고, 상대의 턱을 돌린 후 윗다리를 건넌다.그리고 나서 레슬링 선수는 목을 눌러 상대를 질식시킬 수 있도록 꽉 잡는다.WWE 레슬링 선수 나오미는 그것을 Feel the Glow라고 부르는 십자가 모양의 변형을 가지고 있다.
스탠딩 헤드 가위
레슬러는 구부러진 상대의 머리를 다리나 허벅지 사이에 집어넣는다.프로레슬링에서 이러한 움직임은 파워폭탄이나 적층기를 설치하는데 사용된다.
넬슨 홀드
프로레슬링에서 넬슨 홀드는 보통 풀 넬슨, 하프 넬슨, 또는 3쿼터 넬슨의 형태를 취한다.세 가지 변주곡 모두 레슬러가 뒤에서 상대의 겨드랑이 밑으로 한쪽 팔이나 양팔을 미끄러뜨리고 두 손을 목 뒤로 틀어막아 상대의 머리를 가슴으로 앞으로 밀친다.풀 네슬론(full neslon)을 위해 공격자는 상대의 겨드랑이 밑으로 양팔을 미끄러뜨리고 상대의 목 뒤로 손을 가둔다.반쪽과 3/4쪽 넬슨은 아마추어 레슬링에서처럼 보통 전환 홀드다.하프 넬슨의 경우 공격자는 한쪽 팔을 상대의 겨드랑이 밑으로 미끄러뜨려 목덜미에 놓는다.3쿼터 넬슨은 한 손을 이용해 반 넬슨을 하고 다른 한 손을 같은 쪽에서 상대편 밑으로 패스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패스하는 손은 상대의 목 아래로 들어가 반대쪽 손으로 목을 감고 있는 목 윗부분을 향해 저쪽을 돌아간다.아마추어 레슬링에서 불법인 풀 넬슨(full 넬슨)은 첨부된 사진에서 보듯 크리스 마스터스 등 특정 레슬링 선수들의 복종 기동으로 자주 이용된다.켄 파테라는 그가 스윙잉 넥브레이커라고 부르는 변주곡(넥브레이커 변주곡과 혼동하지 않기 위해)을 수행했는데, 거기서 홀드를 잠그고 상대를 땅에서 들어올린 다음 공중에서 스윙 넥브레이커(Swing Neckbreaker)라고 불리는 변주곡을 했다.또 상대편 뒤에서 동작을 하는 대신 레슬링 선수가 상대편 앞에 서서 일반적인 풀 넬슨과 같은 방식으로 동작을 구사하는 반전 버전도 있다.보비 래슐리는 허트 록이라는 변주를 사용하며, 그곳에서 넬슨을 자물쇠로 잠그고 상대방을 보디 가위에 떨어뜨린다.
설탕 홀드
스튜 하트가 다소 유명하게 만든 오래된 캐치 레슬링 홀드, 넬슨 홀드의 이 변형된 형태는 레슬링 선수가 상대 선수가 매트에 엎드린 홀드 힘을 적용하여 상대 선수의 등 윗부분으로 무릎을 박는 것을 포함한다.[7]
STF
STF는 "Stepover Tohold Facelock"의 줄임말이다.이 홀드는 매트에 엎드린 상대에게 수행된다.레슬러는 상대의 다리 하나를 잡고 허벅지 사이에 상대의 발목을 놓는다.이어 레슬러는 상대의 등 위에 누운 채 상대의 머리에 팔을 감는다.이어 레슬링 선수가 뒤로 물러서며 상대의 등, 목, 무릎을 뻗는다.이 움직임은 루 테츠에[8] 의해 발명되었고, 조노 마사히로와 존 시나가 대중화시켰으며, 그는 이것을 STFU라고 이름지었다. 사모아 조, 재즈, 에릭 와츠, 니키 벨라 또한 이 움직임을 사용했다.
다리 교차 STF
공격자는 일반 STF와 같은 자세로 시작해 상대 다리를 모두 잡고 무릎으로 구부린 뒤 교차시켜 한쪽 발목을 다른 다리의 무릎 관절에 놓는다.그리고 나서 레슬러는 자유로운 발목을 잡고 그 발목을 허벅지 사이에 놓는다.이어 상대의 등 위에 드러누워 상대방의 얼굴을 감싸 안는다.이어 레슬링 선수가 뒤로 물러서며 상대의 등, 목, 무릎을 뻗는다.정글보이는 이것을 올가미 트랩으로, 오카다 가즈치카는 붉은 잉크라고 불리는 무릎을 꿇은 버전을 사용한다.WWE 레슬링 선수 윌리엄 리갈에 의해 팔 트랩의 변형이 발명되었고, 현재 리갈 스트레칭으로 알려져 있다.
무타락
뒤집힌 인도 데스록 페이스록, 또는 "무타 자물쇠".레슬링 선수는 먼저 상대의 다리를 잡고 무릎으로 구부린 다음, 다리를 건너기 전에 한쪽 발목을 다른 다리의 무릎 관절에 올려놓아 상대와 멀리 마주보고 상대방의 다리를 꼬아 만든 삼각형 안에 한쪽 발을 넣는다.그리고 나서 레슬러는 상대의 자유로운 발목을 무릎 밑에 놓고 뒤로 다리를 올려 머리 위로 뻗고 팔을 상대의 머리에 감는다.그레이트 무타가 발명한 [9][10]이 동작은 멜리나 페레스(캘리포니아 드림)와 테닐 대시우드(엠마 록) 등 다양한 레슬링 선수들이 마무리 동작, 시그니처 동작, 마무리 세팅으로 각색하고 수행해 왔다.
STS
'스텝오버 토홀드 슬리퍼'의 줄임말인 이 홀드는 레슬링 선수가 상대의 머리를 뒤로 당기는 대신 슬리퍼 홀드로 상대의 목에 팔을 감아주는 STF의 변형판이다.초노 마사히로가 발명했다.
교살 홀드 알파
본질적으로 목 굴절이 있는 역 십자형 완장.상대는 공격자를 옆구리에 끼고 배를 잡고, 가까운 팔을 잡고 상대를 옆구리에 끌어당긴 뒤 같은 다리로 머리를 넘어간다(공격자가 오른팔을 잡으면 오른다리로 넘어간다).그 다리를 지렛대로 삼아 상대의 머리를 아래로 밀치고 옆으로 떨어뜨려 상대가 쥐어짜는 목에 자신의 체중을 지탱해야 한다.그리고 나서 공격자는 그의 자유 다리를 사용하여 역 십자형 완장을 완성하고 팔꿈치를 과대 확장시키려 한다.
스트링 홀드 베타
기본적으로 목 제출이 있는 가위질된 완장.공격자가 상대편의 한쪽 팔 아래로 손을 뻗으며 손을 맞잡고 있는 동안 상대는 엎드려 있다.이어 공격자는 그들이 잡은 팔의 반대편으로 떨어진다(오른쪽 팔을 잡으면 왼편으로 넘어진다).따라서 상대는 등에 업혀 공격자의 다리 중 하나를 피해자의 위쪽 등 밑에 깔고 그들의 자유 팔을 낚아채게 된다.공격자는 다른 한쪽 다리를 상대의 갇힌 팔 위로 던진 다음, 다른 한쪽 목 뒤로 던지며 앞으로 밀어낸다.공격자는 이제 등을 향해 굴릴 수 있어 목에 더 많은 압력을 가하는 동시에 상대편의 팔을 자신의 가슴으로 과대포장할 수 있다.
교살 홀드 감마
목 제출이 가능한 스텝오버 완장.상대는 등에 업혀 있고, 레슬러는 옆으로 서서 상대의 먼 팔을 잡으려고 손을 뻗으며 올라간다.같은 다리(왼팔을 잡으면 왼다리를 쓴다)를 상대의 목덜미를 감싸고(무릎 뒤쪽을 향해) 반대편 어깨 앞쪽에 발을 대면서 쭈그리고 앉은 채 다른 다리로 상대방을 밟는다.
암록스
그림-4 암록
열쇠고리, 탑숄더락, 아메리카나, 우데가라미(유도에서 차용한 말)로도 알려져 있다.이 팔록은 레슬러가 비슷한 손으로 상대의 손목을 갈겨대는 것을 본다(예를 들어 오른팔을 사용하면 상대의 오른쪽 손목을 잡는다), 상대의 손목을 여전히 움켜쥔 상태에서 레슬러는 (갈겨진 손목의) 상대방의 팔을 (갈겨진 손목을) 머리 쪽으로 또는 뒤로 구부린다.이어 레슬링 선수가 다른 프리팔을 이두박근 아래 상대의 구부러진 팔이 형성한 '구멍'을 통과시킨 뒤, 상대방의 갈겨진 손목을 잡는다.이렇게 되면 상대의 팔이 4로 만들어진다.구부러진 팔과 함께 상대의 손목을 양손에 잡으면서 상대에게 효과적인 압박이 가해진다.기동은 스탠딩 또는 다운된 (위쪽을 향한) 상대에게 실행될 수 있다.이 움직임은 많은 레슬링 선수들에 의해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
밧줄에 매달린 모양-팔걸이 4개
레슬링 선수는 어떤 밧줄에 기대어 누워 있는 상대에게 다가가서 비슷한 팔로 상대의 한쪽 손목을 잡는다.그런 다음 레슬러는 갈겨진 팔목을 두 번째 또는 상단 로프에 핀으로 고정시키고, 상대방의 이두박근 아래에서 다른 팔을 통과시켜 상대방의 손목을 갈겨준다.이 모든 기동은 상대편의 팔을 숫자 "4" 모양으로 구부려지게 할 것이며, 팔이 두 번째 또는 상단 로프 사이에 끼일 때 더 많은 압력을 가할 것이다.밧줄에 매달린 모습 4개의 팔걸이도 상대가 엎드린다면 아래 로프를 헤집고 들어갈 수 있다.
오모플라타
오모플라타(유도의 AKA ashi-sanku-garami)는 어깨를 겨누는 팔록이다.잠금 장치는 기무라 잠금 장치와 유사하지만, 그림-4를 사용하는 대신 다리를 사용하여 적용한다.오모플라타는 한쪽 다리를 상대의 겨드랑이 밑에 놓고 그 다리 방향으로 180도 돌리면 가드로부터 적용할 수 있어 다리가 상대의 등 뒤로 넘어가 상대편의 팔을 휘감는다.상대의 몸을 조종하고 팔을 뒤로 수직으로 밀면 상대의 어깨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팔을 얽은 다리를 구부리고 특정 방식으로 비틀어 팔꿈치 관절에 압력을 가하는 것도 가능하다.상대편에게 십자수를 세우도록 하는 것이 보통이다.이러한 움직임은 또한 캐치 레슬링에서 코일락이라는 말로도 알 수 있다.
스텝오버 암록
회전 암록이라고도 한다.서 있는 공격형 레슬러는 얼굴을 아래로 향하던 상대의 손목을 잡아 자기 쪽으로 당긴 다음, 한쪽 다리를 양쪽으로 내미는 상대의 쭉 뻗은 팔을 밟는다.이때부터 레슬러는 360도 회전하면서 동시에 상대의 팔을 공격자의 자기 다리를 휘게 된다.레슬링 선수는 팔에 더 많은 압력을 가하기 위해 과도하게 회전하거나 다시 회전할 수 있다.
스텝오버 암록은 발 대신 손목을 잡는 것을 제외하고는 회전하는 토우 홀드와 실행력이 유사하다.
암바르
레슬러는 상대의 팔을 잡고 비틀어 어깨와 팔꿈치를 압박한다.이것은 때때로 팔 렌치가 선행될 수 있다.크리스 제리코는 이 움직임을 대중화했다.이 완장의 혁신은 200년 전의 것으로 알려졌지만, 그것의 진짜 기원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크로스 암바
십자형 완장 또는 직선 완장으로도 알려져 있다.레슬러는 매트 위에 엎드리거나 누운 채 누워 있는 상대의 양쪽에 앉아 레슬링 선수의 다리가 상대방의 한쪽 팔을 가위질한다.그리고 나서 레슬러는 그 팔의 손목을 잡고 위로 잡아당겨 어깨와 팔꿈치를 과도하게 확장시킨다.레슬링 선수 알베르토 델 리오(흔히 하늘을 나는 변종, 이하 참조)와 론다 루지(Ronda Rousey)가 이 동작을 마무리 짓는다.브라이언 대니얼슨은 대니얼슨 스페셜로 불리는 변주곡을 대중화하여 발명했는데, 이 변주곡은 크로스 암바를 잠그기 전에 나비복판으로 상대를 뒤집는 것이었다.
플라잉 크로스 암바
이 변화는 레슬러가 구부러진 상대편의 양쪽에 서 있는 것에서 시작된다.이어 레슬링 선수가 그 팔목을 잡으며 한쪽 팔을 밟은 뒤, 그 팔목을 잡으면서 공중에서 몸을 굴리거나 비틀어 상대를 등 뒤로 밀어 넘어뜨리고 십자 완장으로 끝난다.이 변종은 알베르토 델 리오, A.J. 스타일즈, 아스카에 의해 사용되었다.쿠시다는 변형을 쓰는데, 맨 위 로프에 올라가 상대를 턴버클에 올려놓고 그 동작을 전한다.
십자형 완장
상대와 수직으로 맞닿아 있는 레슬러는 양팔로 상대의 팔을 잡고 팔을 가슴으로 끌어당긴다.그리고 나서 레슬러는 다른 팔을 다리로 잡고, 어깨를 십자가에 못박은 자세로 뒤로 뻗고 팔을 과대포장한다.
후지와라 완바
후지와라 요시아키에 의해 발명되어, 짧은 "아름바르"로도 알려져 있다.상대가 엎드린 상태에서 레슬러는 자신들과 90° 각도로 상대편 등에 엎드려서 체중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대편에게 얹어 움직이지 못하게 한다.그리고 나서 상대의 팔을 낚아채서 다시 몸 속으로 끌어당겨 팔뚝, 이두박근, 가슴 근육을 늘인다.이러한 변화에는 상완을 후크하는 대신 상대의 손을 잡고 추가 레버리지와 브리징을 하는 동시에 레버리지 증가와 고정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무릎 꿇는 변형도 존재한다.베키 린치는 공격형 레슬러가 무릎을 꿇은 자세로 엎드린 상대의 팔을 잡는 디스 암헤어로 사용하며 팔을 뒤로 당겨 압박감을 더한다.리버스 버전도 존재하는데, 상대가 등을 대고 누운 상태에서 레슬러는 매트 위에 누워 체중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대에게 얹어 움직이지 못하게 한다.그리고 나서 상대의 팔을 낚아채서 다시 몸 속으로 끌어당겨 팔뚝, 이두박근, 가슴 근육을 늘인다.정규 홀드는 Donna Purrazzzo, MJF, Timothy Thatcher가 사용했으며, 브리징 버전은 Mark Haskins가 Star Armbar로, Tomaso Ciampa는 잠시 제출 마무리자로 사용하였다.멕시코의 루차도르 미스티코는 오포성 슬램이 처음 마주하는 오포성 슬램에 틸트-아-휘둘러 치기를 하고 라 미스티타라는 제출 홀드를 사용하는 변형을 혁신했다.
해머록
레슬링 선수는 상대의 손목을 잡아 팔을 등에 기대고, 손은 목 쪽으로 위로 밀어 올려 어깨 관절을 압박한다.경기 초반 많은 레슬링 선수들이 사용한다.에드 루이스와 브루노 삼마르티노가 사용하였다.조지 스틸은 해머록의 고급 버전을 사용했다.
헤드 가위 완갑
레슬링 선수는 상대편 머리를 가위로 감싸고 상대편 쪽을 향하게 한 뒤, 상대편 한쪽 팔을 잡아 뒤로 젖혀 상대편 어깨와 팔꿈치에 압박을 가한다.이것은 종종 스탠딩 레슬링 선수에게 행해질 수 있는데, 그것은 플라잉 드래곤이라고 불리는 게일 킴에 의해 대중화되었다.
가위 완장
이 동작을 사용한 스튜 하트를 기리기 위해 스투록이라는 별명을 가진 레슬러는 옆으로 엎드린 상대에게 다가간다.이어 레슬링 선수는 스탠딩 자세에서 한쪽 다리나 양쪽 다리로 상대의 가까운 팔을 '가위'(클래스)하고 양손으로 상대의 먼 팔을 잡으며 상대방을 옆으로 밀어내고 양 어깨 관절에 스트레스를 주기도 하며, 상대의 숨쉬기가 더 어려워지기도 한다.오래 붙잡으면 상대에게 심각한 부상을 입힐 수 있다.문어잡이로 종종 헷갈린다.페리 토성에 의해 토성의 고리로 대중화되었다.
착석 완장
일본에서는 아시 가타메, 미국에서는 펌프핸들 완장으로 알려져 있다.레슬러는 매트 위에 엎드린 채 누워 있는 상대의 양쪽에 마주보고 앉아 레슬링 선수의 다리가 상대방의 한쪽 팔을 가위질하고 있다.그리고 나서 레슬링 선수는 그 팔목을 잡고, 그것을 위로 잡아당겨 어깨와 팔꿈치의 과대증진을 일으킨다.나가타 유지는 시로네(흰 눈)라고 불리는 눈을 뒤로 굴리면서 이 동작을 사용해 왔다.고지마 사토시 양다리가 상대의 팔과 같은 쪽에 있는 약간의 변형을 사용한다.그는 그것을 코지 맥스 홀드라고 부른다.
반팔가위
상대는 공격자가 옆에 앉아 가장 가까운 팔을 움켜쥔 채 등에 업혀 있다.공격자는 상대편의 팔을 구부려 그들 자신의 팔을 뻗는다.공격자는 한쪽 다리를 상대의 손목에 걸쳐 놓고 자신의 발목을 잡아 홀드를 잠근다.공격자는 다리로 피해자의 손목을 강제로 내리게 하면서 팔로 끌어올려 피해자의 팔꿈치에 압력을 가한다.전투 스포츠에서 "이두박근 슬라이서"[11][12]로 알려져 있다.
호랑이 장신 십자가 완장 완장
상대는 반듯이 누워서 아랫줄이나 두 번째 밧줄에 등을 대고 링을 향한다.레슬러는 상대를 향해 달려가서 밧줄을 잡고 둘째와 맨 윗줄 사이를 뛰어 넘다가 휘둘러 상대의 팔을 포도로 감싸면서 십자가 모양의 완장을 깐다.
거의 합법적이지 않다.
앉은뱅이 뒤에서 레슬링 선수가 상대편 팔꿈치 한쪽을 잡아 위아래로 당긴다.이어 레슬링 선수가 손목을 구부려 상대의 벌어진 손바닥을 가슴으로 밀어 넣으며 손목에 압력을 가한다.이 기동의 발명은 배리 다르소에게 기인한 것으로, 그는 기계의 이름을 지어준 사람이다.
치킨윙
레슬링 선수가 상대의 팔을 잡고, 상대의 등 뒤에서 이리저리 잡아당긴다.이것은 가슴과 어깨 관절을 늘리며 팔을 움직이지 못하게 한다.이것은 합법적인 통제나 쇠약해지는 보류로, 미국의 경찰관들이 일반적으로 체포를 위해 비협조적인 사람들을 제압하기 위해 사용한다.
브리징 치킨윙
브리징 손목 잠금 장치라고도 한다.레슬러는 엎드린 채로 엎드린 상대에게 다가간다.레슬링 선수는 상대방의 한쪽 팔을 잡고 뒤로 당긴다(그 결과 팔이 상대방의 등 뒤로 휘어지게 된다).그리고 나서 레슬링 선수는 팔목과 팔꿈치에 압력을 가하면서 다리 안으로 굴러 들어가거나 앞으로 미끄러진다.
크로스페이스 치킨윙
이 변주곡에서 레슬러는 먼저 상대편의 한쪽 팔에 치킨윙을 한 다음, 다른 한쪽 팔을 잡아 상대의 목을 감싸고, 그 다음, 상대의 머리를 옆으로 잡아당겨 목과 어깨에 부담을 주거나, 한쪽 팔로 잠자는 사람의 팔을 턱 밑으로 집어넣어 놓는다.레슬링선수의 기호에 따라 옆 사진의 트리플 H가 보여주듯 두 손을 모아 홀드 확보를 할 수도 있다.레슬링 선수가 매트 위로 떨어져 상대를 몸가짐 자물쇠에 잠가 탈출이 더욱 어렵게 만드는 경우가 많다.크로스페이스 치킨윙은 1990년대 중반 WWF에 복귀한 뒤 홀드를 마무리 공법으로 활용, 홀드를 이용해 두 번째 세계선수권 우승을 차지한 밥 백런드(Bob Rightwund)가 대부분이다.백라이트 버전의 홀드에는 보디 가위 부분이 통합돼 있다.대니얼 브라이언은 브라이언 다니엘슨으로 이적을 사용했다.마티 스컬은 그것을 마무리 작업으로 사용한다.아스카는 또한 보디 가위 변형을 아스카 락이라고 불리는 마무리 투수로 사용한다.
더블 치킨윙
이 홀드는 레슬러가 같은 방향을 향해 상대편 뒤에 서 있다가 상대편 양쪽 팔을 겨드랑이에 끼는 것을 본다.이 움직임은 호랑이의 복합체를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브리징 더블 치킨윙
"브리지 접지 더블 치킨윙" 또는 "카틀 절단"이라고도 한다.레슬러는 엎드린 상대의 등 위에 서서 겨드랑이 밑으로 상대의 팔을 집어넣는다.이때부터 레슬러는 굴리거나 미끄러져 다리로 들어가 상대의 팔을 잡아당기고 압력을 가한다.무토 게이지가 처음 사용한 것은 1990년대 초.상대가 앉은 자세(기원이 오래된 것)에 앉아 있는 버전은 사와다 아쓰오에 의해 처음 "사와다"라고 불렸는데, 이는 근거 버전에 적용되어 독립 시절에 브라이언 대니엘슨에 의해 유명해졌다.아스카도 이 변형을 사용한다.
상승 더블 치킨윙
더블 치킨윙의 이러한 변화는 레슬링 선수가 여전히 더블 치킨윙에서 상대를 잡고 있는 동안 상대를 비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홀드는 보통 닭날개 페이스버스터로 전환된다.리키 스팀보트는 리키 스팀보트가 리치 플라이어와 3번의 폭포 중 2번의 대결에서 사용했던 것으로 유명하다.그것의 페이스버스터 버전은 후에 Beth Phoenix에 의해 인기를 얻었고, 그 움직임을 Glam Slam이라고 불렀다.전 임팩트 레슬링 선수 재즈도 '년 클램프'라고 불리는 이 동작을 사용했다.
스콜피온 크로스 록
더블 치킨윙과 결합된 반전 샤프슈터로도 알려진 이 홀드는 상대 선수가 오른쪽 다리로 상대 선수의 다리 사이를 밟고, 상대 선수의 다리를 정강이뼈 높이로 감싸면서 매트 위에서 반듯이 세운다.하지만 이를 뒤집기 위해 상대를 넘어뜨리는 대신, 응용 레슬러는 상대를 좌우를 넘어뜨려 상대를 앞만 보고 있게 한다.이어 신청하는 레슬러는 상대 선수에게 기대어 팔을 잡으며 상대 선수에게 더블 치킨 윙을 가한다.그리고 나서 신청하는 레슬러는 상대방의 몸통을 공중으로 들어올리면서 뒤로 쪼그려진다.이 움직임은 불 나카노가 사용했으며, 이전에는 전 스맥다운 총감독 페이지가 PTO로 사용했었다.
키무라락
이 기법은 단일 닭날개 해머록 또는 이중 손목 잠금으로도 알려져 있다.유도 제출자는 역우데가라미라는 이름을 붙였고, 기무라 마사히코가 그것으로 헬리오 그라시의 팔을 부러뜨린 후, 대중적으로 이름을 붙이고 혁신했다.유도, BJJ, MMA 등에서 흔히 사용하는 제출물로서 레슬링 선수가 오른손으로 상대의 왼쪽 손목을 움켜쥐면 동작을 한다.그리고 나서 레슬링 선수는 자신의 손목을 잡으면서 왼팔을 상대의 팔 위로, 그리고 주변에 놓는다.이 동작은 양방향이며, 스탠딩 자세 또는 공격자가 차체 가위를 변형하여 적용하는 접지 자세에서 수행할 수 있다.이 움직임은 WWE에서 브록 레스나르에 의해 대중화되었는데, 그 곳에서 그는 자주 그것을 이용해 상대의 팔을 부러뜨리곤 했다.쿠시다씨는 또한 홀드를 호버보드 자물쇠로도 사용한다.
손목 자물쇠
때로는 팔 렌치가 앞서 레슬링 선수가 상대의 손을 잡고 뒤로 비틀어 손목에 압력을 가하기도 한다.이것은 스스로 고통을 가할 수 있지만, 가장 자주 전환 홀드로 사용되어 망치 자물쇠, 팔꿈치를 잡고 있는 팔로 유도하거나 상대의 복부 부위를 발로 차게 한다.또 다른 형태의 손목 자물쇠는 레슬링 선수(왼손으로 초기 손목 자물쇠를 적용한 후)가 두 팔이 제공하는 틈새로 오른팔을 꿰매 4를 형성하고 손목 자물쇠에 지렛대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차체 잠금 장치
베어허그
레슬링 선수가 상대 선수 앞에 서서 상대방을 손으로 감싸 쥐며 압박한다.종종 레슬링 선수는 갈비뼈와 척추 주변에 더 많은 통증을 유발하기 위해 몸을 좌우로 흔들곤 한다.파워풀한 스타일의 레슬링 선수들이 자주 사용하는 이 홀드는 발뒤꿈치와 얼굴 모두에 의해 사용된다.빅 존 스터드가 흔히 사용하던 반전 변형도 가능하다.두 버전 모두 한쪽 또는 양쪽 팔을 옆으로 고정할 수 있다.George Hackenschmidt는 이 움직임을 혁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이드 베어허그
공격자는 상대의 옆구리에 서서 양손을 몸통 주위에 가둔다.한쪽 또는 양쪽 팔을 핀으로 고정할 수 있다.
허리 잠금장치
레슬링 선수가 상대 선수 뒤에 서 있다가 역베어 포옹으로 두 팔을 감싸고, 때로는 추가 압박을 위해 두 손을 팔목에 움켜쥐기도 한다.이것은 보통 독일식 복합체나 허리 잠금 장치를 설치한다.
보디 가위
레슬링 선수가 앞, 뒤 또는 어느 한쪽에서 앉아 있는 상대에게 다가간다.이어 공격형 레슬러는 상대 옆에 앉아 다리를 감싸며 발목을 교차시킨 다음 허벅지를 꽉 조이거나 다리를 곧게 펴서 상대의 몸통을 압박하는 방식으로 그립을 조인다.이 홀드는 종종 상대방을 제지하기 위해 머리나 팔에 적용되는 홀드와 함께 사용된다.
신체 삼각형
차체 삼각형 또는 그림 4 차체 잠금 장치는 먼저 발목을 교차시켜 한쪽 발 뒤꿈치를 잡고 반대쪽 무릎으로 발을 당기면 "4"라는 시그니처가 만들어진다.공격자는 다른 제출을 적용할 수 있다.그것은 보통 백마운트나 클로즈드 가드에서 이루어진다.이 위치에서 제출되는 일반적인 몇 가지 사항은 삼각형 초크, 완바 및 기타 유형의 암록과 초크홀드다.
등과 몸통 스트레칭
복부 스트레칭
"코브라 트위스트"로도 알려진 이 홀드는 레슬러가 상대편과 마주보는 것으로 시작된다.레슬링 선수는 먼저 상대방의 다리 중 하나를 걸치고 나서, 팔을 상대의 등에 바짝 붙인 채 상대의 가까운 팔 위로 손을 뻗어 그것을 잠근다.쪼그리고 앉아 옆으로 비틀면 상대의 등이 구부러지고 복부가 늘어나는데, 이는 피해자의 복근에 발톱이 달려 있는 것과 같이 복근을 노출시키고 더 이상 붙잡을 수 있도록 열어두거나 단순히 주먹으로 때리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이 동작은 착석한 상대에게도 적용될 수 있다.아마추어 레슬링 아날로그는 "트위스터"라고도 알려진 단두대를 말한다.
보스턴 크랩
이것은 전형적으로 상대방을 등에 업고, 레슬링 선수가 서서 그들을 마주보는 것으로 시작한다.레슬링 선수는 한쪽 팔로 상대방의 다리를 각각 낚아채고 나서, 그 과정에서 상대방을 엎드리며 넘어뜨린다.최종 포지션은 레슬러가 세미 시팅 자세로 상대와 멀리 마주보고, 상대의 등과 다리가 얼굴 쪽으로 뒤로 구부러져 있다.크리스 제리코는 이 동작을 고각 버전으로 사용하며, 이것을 '예리코의 벽'이라고 부른다.랜스 스톰은 또한 일반 보스턴 게와 싱글 레그 보스톤 게를 포함한 두 가지 버전으로 이 동작을 수행한다.그는 보통 칼가리 크랩이라고 불리는 단 한 개의 레그다운이나 롤스루에서 그것을 설치한다.사모아 조는 또한 보스턴 게에 설치하기 위해 역폭탄을 사용한다.샬롯 플레어는 이 동작을 사용하여 그림 8 레그록(Figure 8 Leglock)을 설정한다.
활과 화살 홀드
레슬러는 양 무릎으로 상대의 등에 무릎을 꿇고, 한쪽 팔로는 머리를, 다른 한쪽 팔로는 다리를 훅으로 묶는다.그리고 나서 그들은 상대방이 위를 향해 무릎 위에 매달리도록 뒤로 굴러간다.레슬러는 무릎을 세우고 밀어 상대의 허리를 굽히면서 양팔로 끌어내린다.
고리특집
고리 특집은 백브레이커 제출 홀드다.[13]그것은 멕시코의 Gory Guererro에 의해 발명되었다.[13]레슬러는 상대편 뒤에서 상대편 방향을 마주보고 있는 동안 상대편 밑으로 팔을 훅 끼운다.이 자세에서 레슬러는 보통 몸을 굽혀 상대를 일으켜 세운다.이 움직임은 제출 홀드로 사용할 수도 있고 넥브레이커 슬램이나 페이스버스터 테이크다운에 사용할 수도 있다.
Lotus lock
레슬링 선수가 상대의 팔을 잡고 바깥쪽으로 다리를 감싸기 때문에 레슬링 선수의 발은 상대의 목덜미에서 만나 아래로 힘을 발휘하는데, 이는 마치 풀 넬슨(full 넬슨)을 바르는 것과 비슷하지만 다리를 사용하는 것과 같다.
옥토퍼스 홀드
'옥토퍼스 스트레칭'과 '만지가타메'(일본판)로도 알려진 이 레슬러는 상대편 뒤에 서서 반대편 다리 위로 다리를 걸친다.이어 레슬러는 상대를 한쪽으로 몰아붙이고, 상대의 한쪽 팔을 자신의 팔로 덫을 놓고, 자유 다리를 상대의 목 위에 휘감아 강제로 아래로 내려오게 한다.이것은 레슬링 선수를 상승시키고 레슬링 선수의 모든 무게를 상대 선수에게 맡긴다.레슬링 선수는 한쪽 팔이 자유롭기 때문에 균형을 잡는 데 사용할 수 있다.안토니오 이노키에 의해 발명되었다.AJ 리와 시바타 가쓰요리는 이 동작을 마무리 작업으로 삼았다.[7]잭 사브르 주니어는 그것을 그의 제출 마무리자로 사용한다.
흔들의자
멕시코에서는 "라 메세도라" 또는 "라 캄파나"로 알려져 있다.상대는 매트에 엎드린 채 공격자가 양다리를 위로 굽히고 발목을 겨드랑이에 갖다 댄다.그러자 공격자는 손을 뻗어 상대방의 두 팔을 잡고 앉기 전에 양팔을 잡고, 앞뒤로 "락킹"하며 상대의 등을 쭉 뻗는다.
멕시코 서프보드
"로메로 스페셜"으로도 알려져 있다.멕시코 서핑보드 홀드는 먼저 쓰러진 상대 뒤에 서 있는 레슬링 선수가 바닥에 엎드려 있는 것을 본다.레슬링 선수는 상대 선수의 무릎 바로 위에 한 발씩 내려놓고 다리를 위로 구부려 자신의 무릎을 옭아맨다. 이때 레슬링 선수는 상대 선수의 두 손목을 모두 움켜쥐고(보통 팔을 뻗기 위해 상대의 등을 때린다) 다음 세 가지를 할 수 있다.상대의 어깨뼈를 압박해 지면에서 들어올리는 동안 서 있거나 앉은 자세로 떨어지거나 뒤로 넘어진다.이렇게 하면 레슬링 선수가 앉은 자세로 넘어지거나 등에 올라타 상대를 하늘 높이 들어 올려 상대 선수에게 부담이 커지지만 레슬링 선수가 자신의 어깨를 매트에 고정시킬 위험에 처하게 된다.서명으로 쥬신 썬더 라이거, 나탈랴 네이드하트, 다니엘 브라이언 등이, 마무리로는 리토 로메로가 주로 공연한다.
크로스 암 서프보드
이 버전의 서핑보드에서는 서 있거나 무릎을 꿇은 레슬러가 무릎을 꿇거나 앉아 있는 상대의 손목을 잡고 팔을 교차시켜 상대의 팔과 어깨에 힘을 가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때때로 레슬링 선수는 훨씬 더 많은 압력을 가하기 위해 발이나 무릎을 상대의 위쪽 등에 올려놓을 수도 있다.
착석한 서프보드
"좌석 서핑보드 스트레치"라고 알려져 있지만 "수정된 서핑보드 스트레치"라고 불리는 서핑보드의 또 다른 버전이다.스탠딩 레슬러가 엎드린 상대에게 가장 많이 적용하지만, 앉은 레슬링 선수나 앉아 있거나 무릎을 꿇은 상대에게 적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레슬러는 상대의 어깨 날을 압박하기 위해 팔을 뒤로 당기면서 상대의 손목을 모두 잡는 것을 볼 수 있다.
백브레이커
백브레이커 홀드
이 기본적인 백브레이커 제출은 레슬러가 한쪽 무릎을 가로지르고 한 손을 상대방의 턱에 대고 다른 한 손을 무릎 위에 올려놓으면서 레슬러는 상대방을 무릎 주위에 구부리기 위해 밀어 내려치는 것을 포함한다.이 동작은 보통 진자 역브레이커의 끝에서 행하는데, 이 동작은 레슬링 선수가 상대를 레슬링 선수의 무릎에 떨어뜨려 홀드가 적용되기 전에 허리를 약하게 하고, 또한 상대를 적절한 위치로 설정하는 동작이다.
아르헨티나 백브레이커 랙
안토니노 로카에 의해 혁신된 이 제출 홀드는 고문 랙 또는 단순한 랙으로 더 잘 알려져 있으며, 상대방을 자신의 어깨에 걸쳐서 얼굴을 들고 있는 공격형 레슬링 선수를 보고, 한 손과 다른 손과 한 다리로 상대의 머리를 후려갈겨서 양끝을 잡아당겨 상대의 등을 과대포장하고 제출을 강요한다.레슬링 선수 렉스 루거는 그것을 마무리 투수로 사용하는 것으로 유명했다.
이 제출 동작의 백브레이커 드롭 변형은 공격형 레슬러가 먼저 아르헨티나 백브레이커 랙을 향해 상대를 안아준 후 앉거나 무릎을 꿇은 자세로 매트에 떨어지게 하여 드롭의 충격으로 상대의 등을 구부리는 것을 볼 수 있다.또 다른 버전은 레슬링 선수가 아르헨티나 백브레이커 랙에서 상대방을 잡고 있다가 앉거나 무릎을 꿇은 자세로 떨어지는 동시에 상대 선수를 어깨에서 떨어뜨려 상대 선수가 공중에서 구르다가 엎드린 자세로 매트로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니키 벨라는 WWE에서 마무리 투수로서 두 가지 변형을 모두 사용해 왔다.
라 리네라라고 알려진 아르헨티나 백브레이커 랙의 변형은 상대 선수가 어깨/목보다는 레슬링 선수의 등 윗부분을 가로질러 잡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종종 틸트-a-wirl에 의해 설치되는 상대는 한 팔을 뒤로 매고 두 다리를 레슬링 선수의 다른 팔로 매고 매달리게 된다.롤란도 베라는 그 움직임을 발명한 것으로 인정받았다.
라 아틀란티다라고 불리는 또 다른 아르헨티나 백브레이커 랙 변형으로는 멕시코 루차도르 아틀란티스가 선호하는 공격형 레슬러가 후방을 향해 마주보는 측면의 자세로 상대 선수의 어깨를 가로지르고 뒤통수를 쳐준 뒤 머리와 한쪽 다리를 아래로 잡아당겨 상대를 측면으로 굽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라아틀란티다의 변주곡은 때때로 "어코디언 랙"으로 알려져 있으며, 공격형 레슬링 선수의 어깨를 가로질러 후방을 향한 측면의 자세로 유사하게 잡혔지만, 상대 선수의 허리 굽힘이 레슬링 선수의 머리 바로 뒤에 있는 상태에서, 레슬러를 아래로 당기는 대신, 레슬러의 가슴은 앞으로 날아가서 구부러지게 된다.상대편, 때로는 상대의 발뒤꿈치가 머리에 닿을 정도로.그러나 이런 움직임은 주로 유연성이 뛰어난 상대에게만 국한된다.그것은 어썸콩과 같은 레슬링 선수들이 이용했다.
캐나다의 백브레이커 랙
엄밀히 말하면 오버헤드 장지갑 백브레이커 랙 또는 삼마티노 백브레이커라고도 알려진 이것은 공격형 레슬러가 먼저 상대를 들어올려서 상대편의 등을 레슬링 선수의 어깨에 올려놓고 상대편의 머리는 레슬링 선수가 마주 보는 방향을 가리킨다.이어 레슬링 선수는 얼굴을 위로 향하던 상대의 몸통에 팔을 연결하고 아래로 누르면서 상대의 척추를 레슬링 선수의 어깨에 대고 쥐어준다.이 홀드의 일반적인 변형은 공격형 레슬링 선수가 상대방을 들어올리기 전이나 후에 이중 언더 후크를 가하기도 한다.이것은 콜트 카바나가 콜트 .45로 사용하였다.이중 언더 후크 변형은 백브레이커 드롭이나 역폭발과 같은 다른 기동으로 전환하기 위해 홀드를 사용할 때 종종 나타난다.브루노 삼마르티노는 그의 적수들에게 이런 움직임을 사용한 것으로 유명하다.윌 오스피레이는 더블 언더훅을 이용해 상대를 스톰브레이커라는 넥브레이커로 돌리게 했다.
레그록스
토홀드
유도에서는 아시도리가라미로 알려진 레슬러는 웅크린 자세로 상대를 본 뒤 발을 잡고 옆으로 크랭킹해 발목과 아킬레스건 등을 압박한다.이 움직임은 프랭크 고치에 의해 혁신되었다.일반적인 유형의 토우 홀드는 그림 4 토우 홀드로, 그림 4 홀드는 상대방의 발을 고정하는 데 사용된다.이런 유형의 토 홀드는 한 손으로 발가락을 잡고, 다른 한 손을 상대의 아킬레스건 밑에 넣어 손목을 잡는 방식으로 진행된다.상대의 몸을 조종하고 손을 이용해 발을 곧게 또는 약간 옆으로 구부려 발목에 상당한 토크를 가한다.Ken Shamrock에 의해 혁신된 이 움직임의 고정된 버전도 존재한다. 이것은 발목 잠금으로 알려져 있다.이 두 가지 기술은 유도, 제출 레슬링, 브라질 주짓수와 같은 다른 다양한 무술에서도 사용된다.
발목 잠금장치
이 토 홀드 기동에서 레슬링 선수가 상대의 발을 잡고 땅에서 다리를 들어올린다.레슬링 선수는 한 손으로 발가락이나 발 바깥쪽 중 하나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 발목을 감싸 관절의 "구멍"을 만든다.포도상 변형은 발목 잠금 장치를 하는 레슬러가 매트에 떨어진 뒤 상대의 다리를 가위질하는 것을 본다.이렇게 하면 상대가 몸을 굴리지 않고 로프까지 기어오르기가 더 어려워지지만 가할 수 있는 압박감은 덜해진다.이 동작은 레슬링 선수의 기호에 따라 무릎을 꿇은 자세나 서 있는 자세에서 실행할 수 있다.켄 샴록은 프로레슬링에서 무릎 꿇은 자세에서 이 동작을 처음으로 대중화했다.몇 년 후, 커트 앵글은 발목 잠금을 마무리하는 사람으로 채택했지만, 종종 서 있는 자세에서 그것을 하곤 했다.이것은 Chad Gable에 의해서도 행해진다.
힐 후크
힐 후크는 여러 관절에 영향을 미치는 다리 잠금 장치로 발을 내측 또는 횡방향으로 비틀어 적용한다.힐 후크에는 여러 가지 변형이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은 상대의 다리 주위에 다리를 놓고, 같은 쪽의 겨드랑이에 상대의 발을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행해진다.다리는 팔뚝으로 발뒤꿈치를 잡고 몸 전체를 이용해 비틀어 발목에 심한 안간 토크를 만들어 상대의 발이 꼬이는 동안 몸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데 쓰인다.유사한 힐 후크는 반대편 겨드랑이에서 상대방의 발을 잡고 옆으로 비틀어 수행될 수 있는데, 이를 뒤꿈치 후크라고 한다.
클로버리프
흔히 '텍사스 클로버리프'로도 알려진 레슬러는 앙증맞은 상대의 발치에 서서 상대의 다리를 잡고 들어 올린다.그리고 나서 레슬러는 한쪽 다리를 구부려서 정강이 곧은 다리의 무릎 뒤에 있도록 하고, 곧은 다리의 발목을 겨드랑이에 놓는다.같은 팔로 발목 주위와 다리에 의해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손을 뻗고 두 손을 함께 잠근다.그리고 나서 레슬러는 상대를 넘어 날카로운 슈팅어와 보스턴 크랩에서처럼 상대를 뒤집고 쪼그리고 앉으며 몸을 뒤로 젖힌다.그 홀드는 다리를 압박하고 척추를 구부리고 복부를 늘린다.이 움직임은 도리 펑크 [14]주니어에 의해 발명되었고 딘 말렌코에 의해 대중화되었다.[15]에디 게레로가 행한 클로버잎의 변형은 레슬러가 서 있는 자세에서 기동을 하는 것을 보았는데, 이것은 그가 다른 레슬링 선수의 등에 한쪽 무릎을 찔러서 홀드에 압력을 가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높은 위치에 상대의 다리를 끌어올릴 수 있게 했다.게레로는 자신의 고향인 TX의 엘파소를 언급하면서 엘파소에서 온 라소라고 했다.시무스도 이 동작을 사용한다.
팔록이 있는 클로버리프
팔록이 있는 보스턴 게의 한쪽 다리와 비슷한 클로버리프의 팔록 변형.이 홀드는 상대가 매트 위에 얼굴을 대고 누운 상태에서 시작된다.이어 공격형 레슬러는 한쪽 팔을 잡고 계속 팔을 잡으면서 상대방 위로 걸어가면서 상대가 엎드려야 하는 상황에 처하게 된다.이어 레슬링 선수가 상대 선수의 등에 무릎을 꿇고 이 과정에서 상대 선수의 팔을 무릎 뒤로 가둔다.그리고 나서 레슬러는 한 쪽 다리를 뻗고 구부려서 정강이 곧은 다리의 무릎 뒤에 있고 곧은 다리의 발목을 겨드랑이에 놓는다.같은 팔로 레슬러는 발목 주위와 다리에 의해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손을 뻗고 클로버리프처럼 두 손을 함께 묶는다.그리고 나서 레슬러는 팔을 덫에 빠뜨린 채 상대의 다리, 등, 목을 늘이기 위해 뒤로 물러선다.
반전 클로버리프
이런 클로버리프의 변주곡에서 레슬러는 상대를 뒤집을 때 몸을 돌리지 않고 상대와 같은 방향을 마주하여 쪼그리고 앉아 앞으로 기대어 다리, 척추, 복부에 더 많은 압력을 가한다.'고릴라 클러치'로도 알려져 있으며, '슈지 곤도'의 킹콩을 주제로 한 시그니처 무브 네임으로 이름이 붙여졌다.보디 가위 버전도 존재한다.Rhea Ripley는 이 기동의 스탠딩 버전을 사용한다.
레그록 클로버리프
이 클로버잎의 변형은 레슬링 선수가 상대편 다리를 건너 다른 쪽 다리를 네모꼴로 네모꼴로 가로지른 후, 오른쪽 다리를 겨드랑이 밑에 놓고 몸을 뒤집기 전에 가까운 무릎 뒤에다 다리를 걸어 잠근다.레슬러는 겨드랑이 밑의 다리를 잡아당기며 몸을 뒤로 젖히려고 계속한다.이렇게 하면 다리 아래쪽에 있는 오버다리가 잠기면서 다리에 힘을 주고 다리나 등을 스트레칭한다.이 변형은 타일러 브리즈가 그림 4 샤프슈터로, T. J. 퍼킨스가 그림 4 데스록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리베라 클로버리프
크리스 히어로에 의해 발명된 이 클로버리프의 변형은 레슬링 선수가 클로버리프처럼 다리를 훅 끼는 것을 보지만, 그 다음 손을 통해 다른 손을 움켜쥐고 한쪽 다리(왼쪽 또는 오른쪽)로 튀어나온 발목을 무릎에 끼게 한다.
크로스 무릎 꿇기
곧은 다리바나 무릎바라고도 불리는데, 상대의 무릎이 몸을 향하도록 다리와 팔 사이에 상대의 다리를 잡아주는 방식으로 완장과 유사하게 행해진다.레슬링 선수가 엉덩이를 앞으로 밀고, 상대의 다리를 곧게 펴고, 더 나아가 상대의 무릎을 과도하게 활용한다.흔히 뒤에서 공격하는 데 대한 대응책으로 사용된다.레슬링 선수는 뒤로 넘어지면서 내려가는 길에 상대의 한쪽 다리에 다리를 얹고, 따라서 그들의 추진력을 이용해 상대를 매트 위로 떨어뜨린다.상대를 향해 달려간 다음 옆에서 플립을 하는 것도 이 동작을 적용할 수 있다.
종아리크러셔
종아리 슬라이서 또는 다리 슬라이서로도 알려진 종아리 크러셔는 종아리 및/또는 허벅지 근육을 다리 뼈 중 하나에 눌러 넣는 압축 잠금 장치다.이두박근 슬라이서와 마찬가지로 종아리 파쇄기도 무릎 뒤쪽에 팔이나 다리를 삽입하고 상대 다리를 구부려 풀크럼을 둘러싼 근육에 압력을 가하면 된다.일반적으로 다리의 정강이 돌출부 역할을 하는 방향은 압력의 큰 부분이 어디로 갈지 결정하게 된다.그러한 종아리 파쇄기는 분리되고 길어지는 동작을 통해 무릎에 대한 효과적인 다리 잠금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바이셉 슬라이서와 유사하게, 송아지 슬라이서는 일부 브라질 주요 주짓수 대회의 하위 단계에서는 금지된 기술로 기록된다.[16]레슬링 선수 AJ Styles는 이를 '신일본 프로레슬링 임팩트 레슬링'의 송아지 킬러와 WWE의 송아지 크루저라고 부르며, 제출 마무리 동작으로 사용한다.
다마스쿠스 머리 및 다리 잠금 장치
레슬러는 상대를 땅바닥에 밀어넣고 상대의 다리를 벌리며 두 다리로 발을 들여놓는다.이어 레슬링 선수가 상대 선수의 머리를 두 다리를 감싸고 상대의 다리를 건너며 손으로 압박한다.레슬러는 다음엔 180도 방향을 틀고 뒤로 기울어진다.이 홀드는 상대의 관자놀이와 종아리에 압력을 가하고 척추를 압박한다.
그림 4 다리 잠금
씨름꾼은 매트 위에 누워 있는 상대편이 얼굴을 들고 서서 상대의 다리를 움켜잡는다.그리고 나서 레슬러는 회전하는 발가락을 잡고 다른 다리를 움켜쥐어 4(이름의 ence)로 교차시킨 후 매트 위로 떨어지며, 상대편의 엇갈린 다리에 자신의 다리를 압박한다.그 홀드는 무릎에 압력을 가하지만, 실제로는 피해자의 정강이에 매우 고통스러울 수 있다.이 조치는 주로 복종적인 움직임이지만, 상대가 매트에 어깨를 대고 있다면 심판은 핀폴을 위해 세 카운트를 할 수 있다.심판이 산만해지면 힐 레슬링 선수들은 힘을 얻고 더 많은 고통을 주기 위해 움직임을 수행하는 동안 로프를 잡을 수 있다.이 변형은 버디 로저스가 발명하고 리치 플레어가 대중화한 가장 유명한 버전으로, 그렉 '해머' 발렌타인, '아메리칸 드림' 더스티 로즈, 더스티, 더미즈, 에이제이 스타일즈, 제프 자렛, 티토 산타나 같은 몇몇 레슬링 선수들에게 선택의 종착역이기도 하다.최근 숀 마이클스가 사용하는 변형된 변형은 레슬링 선수가 상대 선수의 다리 중 하나를 잡고 90도 회전한 다음 상대 선수의 다리를 잡고 다른 쪽 다리를 교차시킨 다음 한쪽 발을 다른 쪽 다리에 끼우고 다리를 건넌다.충분한 힘과 의지력으로 수비를 하는 레슬러는 배(그리고 상대 선수도 마찬가지)로 뒤집힐 수 있는데, 이는 처음에 홀드를 가둔 선수에게 압력을 역전시킨다고 한다.그림 4에 대한 이 카운터는 흔히 "수정된 인디언 데스록" 또는 "샤프슈터 변종"이라고 불린다.샬롯 플레어는 그림 8로 언급되는 움직임의 브리징 변형을 사용한다.피겨 8의 경우, 레슬링 선수는 다리로 밀어올릴 것이다.이런 움직임은 브라질 주짓수의 힐 훅에 비유할 수 있다.
스티브 오스틴 쇼 언리쉬쉬쉬드 팟캐스트에서 조지 스콧은 리치 플레어로부터 피겨 4레그록을 뒤집기 위해 상대가 그냥 엎드리면 된다는 생각을 떠올린 사람으로 인정받았다.
고통의 하스
이렇게 변형된 역회전 그림 4 레그록 변형은 레슬러가 그들 위로 상대의 한쪽 다리를 교차시켜 교차된 다리에 서 있는 것을 보고 나서 자유다리를 잡고 드러누워 상대의 다리를 공중으로 올려놓고 다리와 등 아래쪽에 통증을 유발한다.그 이름은 하스 브라더스인 찰리와 러스에서 유래되었는데, 그는 이 움직임을 발명한 사람은 하스 브라더스다.이 조치는 찰리 하스의 마무리 작업이다.
무릎 꿇는 모습-4 다리 잠금
'교도소 자물쇠'로도 알려진 상대는 레슬링 선수가 다리 하나를 넘어 서 있는 가운데 등을 꿇고 있다.레슬링 선수는 회전하는 발끝을 세우고, 상대의 다리를 건너서 그 위에 무릎을 꿇는다.
반전 그림-4 레그록
이 버전은 레슬러가 상대편 다리를 움켜쥐고, 자신의 다리를 관통하고, 날카로운 슈터를 하듯 몸을 비틀면서 상대편 다리를 상대편 가장 가까운 발에 올려 매트에 내려놓고 압력을 가하는 모습을 보는 변종이다.숀 마이클스는 레슬링 선수 시절 이런 움직임을 대중화했다.
링포스트 그림-4 레그록
때때로 "날아가는 그림-4"라고 불리는, 상대는 아래로 내려가거나 링 코너 기둥들 중 한 곳 옆에 서 있다.레슬러는 링을 바깥쪽으로 빠져나와 링 포스트 쪽으로 상대의 다리를 끌어서 포스트가 상대방의 다리 사이에 있게 한다(누군가가 링 포스트로 상대방을 '크로트'할 때와 유사하다).그런 다음 실행자는 링 에이프런 옆에 서서 턴버클이나 로프의 바깥쪽에 서서, 상대편의 다리 사이에 링 포스트가 있는 그림 4개의 레그록을 적용한다.이어 홀드의 연주자가 링 앞치마에 거꾸로 매달린 채 상대의 다리나 발을 잡다가 뒤로 넘어진다.링 포스트는 움직임을 보조해 상대의 무릎에 더 많은 손상과 지렛대를 만들어 준다.[7]이는 공격자가 링 밖에서 이동을 수행하는 것과 링의 일부(링 포스트)를 사용하여 이동을 실행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므로 불법적인 홀딩이다.이 움직임은 브렛 하트가 발명했고 게일 킴이 사용했다.
스탠딩 그림-4 레그록
상대는 레슬러가 한쪽 다리 위에 서서 한쪽 다리 양쪽에 한쪽 발을 올려놓은 채 엎드려 있다.레슬링 선수는 상대방의 다른 쪽 다리의 무릎에 발을 심은 다음, 첫 번째 다리의 위쪽 무릎에서 다리를 구부려 그림 4를 이룬다.레슬링 선수가 다시 연결된다.
트레일러 히치
제이미 노블에 의해 대중화된 상대는 공격자가 한쪽 다리를 다른 한쪽 무릎받이 위로 넘어뜨리고 그 구부러진 다리를 옆으로 떨어뜨려 그 위에 다리를 놓음으로써 ('4'의 구멍을 통해 그 다리를 통과함)으로 배를 타고 출발한다.레슬러는 발을 이용해 상대의 곧은 다리를 뒤로, 구부러진 다리의 발목 위로 밀어낸다.
힐 후크
이 홀드는 상대의 다리 주위에 다리를 놓고, 같은 쪽의 겨드랑이에 상대의 발을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진행된다.다리는 팔뚝으로 발뒤꿈치를 잡고 몸 전체를 이용해 비틀어 발목에 심한 안간 토크를 만들어 상대의 발이 꼬이는 동안 몸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데 쓰인다.이러한 움직임은 그림 4 레그록과 비교될 수도 있다.이 움직임은 다니엘 브라이언과 바비 피쉬가 피쉬 후크 디럭스 에디션으로 사용되어 왔다.이 움직임은 다른 여러 무술에서 사용되어 왔고, 이 동작으로 인한 부상 위험이 높아 대부분의 경기에서 금지되어 있다.
인디언 데스록
리틀 울프 족장에 의해 혁신된 레슬러는 얼굴을 들어 한쪽 다리를 다른 쪽 다리에 감은 후 무릎을 꿇은 자세로 떨어지게 하여 상대 선수의 다리를 레슬링 선수의 무릎 뒤로 고정시킨다.그리고 나서 레슬러는 손을 뻗어 상대방의 먼 다리를 잡아 상대방의 덫에 걸린 발 위에 놓는다.그리고 나서 레슬러는 홀드를 유지하면서 전진 롤을 한다.이것은 상대와 같은 방향을 향한 앉은 자세로 끝나는 동안 상대편을 가슴 위로 밀어 넣는다.여기서부터 레슬러는 앞으로 손을 뻗을 수 있고 상체 제출도 많이 할 수 있다.
스탠딩 버전도 적용할 수 있는데, 스탠딩 레슬러가 엎드린 상대의 다리 사이에 한쪽 다리를 놓고 한 쪽 다리를 레슬링 선수의 다리 뒤로 구부려 상대 선수의 다른 쪽 다리의 무릎 핏 위에 올려놓는 모습을 볼 수 있다.그리고 나서 레슬러는 상대의 곧은 다리를 집어들고 그것을 뒤로 구부려 다른 다리를 무릎 구덩이에 잠그고 서 있는 다리 정강이의 앞에 발을 무릎 구덩이에 놓아서 다리를 잠근다.
역인도 데스록
상대편을 등에 업은 채 옆에 서 있는 레슬러는 다리를 뒤집어쓰고 상대의 다리 사이에 앉는다(흔히 무릎까지 다리를 떨어뜨리는 것을 사용한다).그리고 나서 레슬러는 상대의 먼 다리를 가까운 다리의 무릎 피트에 올려놓고 상대의 발목을 자신의 발목 위에 올려놓고, 양쪽 다리를 배 위로 굴린 다음, 레슬링 선수의 무릎으로 뒤로 밀면서 제출을 끝낸다.이 동작은 WCW에서 트리플 H가 사용했던 것으로 유명하다.코디가 '아메리칸 나이트메이트'로 사용한다.
샤프슈터
또한 (그리고 원래) "scorpion hold"로 알려져 있다.이 동작은 보통 납작 엎드린 레슬링 선수에게 행해진다.이 동작을 수행하는 레슬러는 상대의 다리 사이로 발을 들여놓아 양쪽 다리를 움켜쥐고 다리 둘레에 매듭을 짓는다.이어 레슬러는 상대의 다리를 제자리에 고정시킨 뒤 상대를 밟고 넘어뜨려 무릎과 다리에 통증을 일으키도록 전방위로 압박을 가한다.다리에 압력을 가하는 동안, 이적을 행하는 레슬러는 그들이 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를 가지고 있지만, 가장 흔한 두 가지는 이적을 가하거나 그들의 등에 앉는 동안 서서 몸을 뒤로 젖히는 레슬링 선수를 포함한다.이 움직임은 리키 초슈에 의해 발명되었지만, 브렛 "히트만" 하트가 그의 예명에 맞게 샤프슈터라는 이름을 지어준 것에 의해 미국에서 유명해졌다.스팅은 스팅이 스콜피온 데스락(Scolphon Death Lock)을 불러 착석한 자세에서 홀드를 적용함으로써 이 움직임은 미국에서도 대중화되었다.더 록은 또한 샤프슈터라는 이름의 그의 대표 제출 움직임으로 이 움직임을 이용했다.스팅이 오른쪽 다리를 겨냥하고 '샤프슈터'가 왼쪽 다리를 겨냥하고 있어 스팅의 '스커피니언 데스락'과 현재의 '샤프슈터'의 유일한 차이점은 어느 다리에 압력이 가 있느냐다.악은 다크니스 스콜피온이라고 불리는 변형을 사용하는데, 여기서 이 움직임은 사타구니 영역으로 기공하는 것이 선행된다.현재 WWE 레슬링 선수 나탈랴 네이드하트가 마무리 선수로 사용하고 있다.
반전 샤프슈터
이 변형을 위해 레슬러는 자신의 다리 중 하나를 가지고 상대편 다리 사이를 걸어 상대편 다리를 건너서 가까운 다리의 발목이 먼 다리의 무릎 핏트에 오도록 한다.그러면 레슬러는 상대를 올라타지 않고 오히려 상대편 옆에 남아서 고통을 일으키려고 밀어댄다.R등급 슈퍼스타 엣지는 이 변형을 엣지케이터라고 부르며 사용했다.
회전 토 홀드
테리 펑크와 도리 펑크 주니어가 사용하는 이 동작을 구사하는 레슬러는 매트 위에 얼굴을 대고 누워 있는 상대 선수 위에 서서 상대의 다리 하나를 움켜쥐고 있다.그리고 나서 레슬러는 다리를 360도 돌리면서 안으로 비틀어 놓는다.레슬링 선수는 무릎과 발목 관절을 더 비틀기 위해 다리를 반복해서 밟을 수 있다.이것은 또한 그림 4 레그록과 인도 데스록과 같은 레그록의 설정 이동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칭스
아나콘다 바이스
아나콘다 바이스는 압축 초크다.레슬러는 상대의 머리와 한쪽 팔을 감싸쥐고 쥐어짜면서 상대의 목을 조른다.프로레슬링에서는 초크홀드지만 합법적인 것으로 간주된다.이 제출 보류는 히로요시 텐잔에 의해 발명되었다.
팔 트랩 삼각형 초크라고도 한다.바이스는 레슬링 선수와 상대가 마주보는 매트에 앉아 있는 위치에서 이루어진다.레슬링 선수는 상대편의 한쪽에 앉아 가까운 팔을 이용해 헤드록 자세로 상대를 에워싸고, 상대의 가까운 손목을 잡아 팔을 위로 구부린다.이어 레슬러는 상대의 구부러진 손목이 만든 '구멍'을 통해 다른 팔을 기동해 자신의 손목에 손을 고정시킨 뒤 상대를 앞으로 끌어당겨 상대의 팔과 목에 부담을 준다.또한 아나콘다 맥스라고 불리는 스트레이트 재킷 초크와 아나콘다 크로스라고 불리는 코브라 클러치가 결합된 아나콘다 바이스의 변형도 있다.이러한 변주곡은 텐잔 자신이 직접 발명하기도 한다.CM 펑크가 이 동작을 사용했다.
팔 삼각 초크
팔 삼각형이라고도 불리는 이 초크는 레슬러가 상대방의 가장 가까운 팔(핏) 밑에서 가슴을 가로질러 팔을 감싸고 있는 것을 본다.이 기동은 보통 팔 삼각형 역 STO로 뒤쪽으로 떨어지기 위해 브라운 스트로우먼이 사용하는 것과 같은 흔치 않은 제출 기동으로 사용될 수 있다.오스틴 에리스는 마무리 동작 중 하나로 라스트 찬세리라는 브리징 변주를 사용한다.
불독 초크
BJJ에서 불독 머리 자물쇠로도 알려진 레슬러는 단두대의 초크처럼 다른 레슬링 선수들은 겨드랑이 밑으로 머리를 밀어 넣는다.그러나 일반적인 단두대의 초크와는 달리, 레슬러는 다른 레슬링 선수의 머리를 틀어막아 반대방향인 단두대의 초크를 마주하게 한다.주로 불독의 세팅으로 사용되며, 이 동작은 MMA와 다른 스포츠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다.종종 이러한 움직임은 측면 헤드록과 혼동될 수 있다.
코너 풋 초크
레슬러는 서 있거나 앉아 있는 상대를 턴버클에 밀어넣고 다리를 뻗으며 윗줄 2개를 받쳐주며 상대방을 질식시킨다.이 공격은 불법이며, 만약 그 움직임이 5점 만점으로 깨지지 않는다면, 레슬링 선수는 실격된다.
일부 유연한 레슬링 선수의 경우 스탠딩 스플릿의 수행 중에 이 동작의 변형을 수행할 수 있다.다나 브룩이 연기한 또 다른 변종은 물구나무서기 자세로, 그녀가 한 발로 상대방을 윽박지른다.
이중 초크
레슬링 선수가 양손으로 상대의 목을 잡고 목을 조른다.레슬링 선수가 초크폭탄이나 양손 초크슬람을 한다면 초클레이프트도 사용할 수 있다.
그림-4 넥락/헤드락
이 목 자물쇠는 레슬러가 쓰러진 상대보다 위에 앉아 그림 4의 형태로 상대방을 두 다리를 감싸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한 다리는 상대편의 턱 밑과 레슬링 선수의 다른 다리 아래를 교차하고, 그 레슬러는 상대를 쥐어짜고 윽박지른다.매달린 그림으로 가장 잘 묘사된 불법 버전의 홀드에서 레슬러는 턴버클 위에 서서 그림4에서 (턴버클에 등을 돌린) 상대의 머리를 두르고 뒤로 넘어져 상대방을 질식시킨다.대부분의 경기에서 홀드를 5 카운트 전에 해제해야 한다.이 움직임은 전 WWE 레슬링 선수 캔디스 미쉘에 의해 대중화되었다.WWE 레슬링 선수 카르멜라는 이 홀드의 반전 변종을 마무리 지점으로 삼아 정강이를 이용해 상대를 질식시켜 고코플라타를 닮았다.이 변종은 '침묵의 규약'이라고 불린다.
고고플라타
보통 다리를 매우 높이 들고 있는 "러버 가드"에서 상대의 등 윗부분에 대고 처형한다.이어 레슬링 선수는 상대의 머리 앞과 턱밑에서 한 발을 미끄러뜨리고, 상대방의 머리 뒤로 손을 가두고, 정강이를 누르거나 상대의 기관지에 대고 선동하여 상대방을 질책한다.레슬링 선수들은 (발끝을 잡고 자신을 향해 당기는 대신) 정확히 같은 방법으로 정강이를 목구멍으로 밀어 넣는 변형판을 사용한다.장의사는 이것을 지옥의 문이라고 부르면서 그의 복종 마무리자로 사용했다.타이슨 키드는 샤프슈터를 할 때처럼 상대의 다리를 묶다가 뒤로 넘어져 고고플라타에 잠기는 변주를 사용한다.그는 이 움직임의 이름을 하트 락이라고 지었다.
기요틴 초크
레슬러는 허리를 굽힌 상대와 마주보고 있다.공격형 레슬러는 겨드랑이 밑으로 상대의 머리를 집어넣고 한쪽 팔을 목에 감아 앞쪽 찬서리처럼 팔뚝이 목구멍에 눌리게 한다.이어 공격형 레슬링 선수가 몸가위로 상대 중앙을 두 다리를 감싸고 뒤로 아치를 그리며 상대의 머리를 앞으로 당겨 몸통과 목을 늘린다.서 있거나 앉아 있거나 엎드린 자세에서 수행할 수 있다.이 움직임은 로마 재위스가 그의 "트리벌 치프" 캐릭터에서 가장 최근에 사용한 것이다.
하프 넬슨 초크
코브라 초크 또는 카타 하히메(유도에서 차용한 용어)라고도 알려진 이 홀드는 레슬러가 한쪽 팔로 상대편의 목을 잡고, 때로는 보디 가위를 추가하면서 상대편의 목을 움켜쥐는 모습을 본다.이러한 움직임은 타즈미션(Tazmission) 또는 태즈미션(Tazzmission)이라고 부르며 마무리 동작으로 사용한 타즈(Taz)에 의해 대중화되었다.그의 아들인 AEW 레슬링 선수 후크(레슬러)도 타즈미션을 자신의 마무리 기술로 채택해 '레드럼(REDRUM)'이라는 브랜드를 다시 만들었다.
하트 잠금/던전 잠금
기본적으로 다리 제출이 있는 고고플라타는 레슬링 선수가 상대 선수의 다리를 밟고 나서 표준 샤프슈터가 수행되는 것처럼 상대의 다리를 함께 묶는다.그러나 샤프슈터 제출에 가두기 위해 큰 걸음을 내딛는 대신 씨름꾼은 뒤로 넘어져 정강이뼈로 상대의 목구멍을 잡는데, 마치 고고플라타를 치려는 것처럼 말이다.타이슨 키드는 이전에 이 동작을 사용했다.
고지 클러치
상대는 매트 위에 엎어져 있다.레슬러는 얼굴을 위로 향하고 살짝 상대편 옆으로 누워 있다.레슬링 선수는 상대방의 목을 가로질러 그들의 먼 다리를 훅으로 건 다음, 한 팔은 자신의 다리 위로, 다른 한 팔은 아래쪽으로 패스하면서, 그들의 손을 상대방의 머리 뒤로 훅으로 건다.이어 레슬링 선수가 팔로 뒤로 당기고 다리로 앞으로 밀면서 압박감을 일으킨다.이 이름은 발명가 카네모토 고지라는 이름에서 유래되었다.[citation needed]이 이동은 일반적으로 후진 STO에서 전환된다.또 다른 변형은 공격자가 역 STO를 한 다음 일반 코지 클러치를 잠근 다음 수정된 그림 4 머리 가위로 다리를 꼬는 것을 본다.사미 자인은 이전에 NXT에 있을 때 이 동작을 사용했다.
다리 초크
상대가 두 번째 밧줄 위로 매달린 채 링 바깥쪽을 향하면 공격형 레슬러는 왼쪽이나 오른쪽 다리를 상대의 목덜미에 걸친다.이어 공격형 레슬링 선수가 두 번째 로프를 위로 당겨 로프 사이로 상대의 목을 압박하고 레슬러의 다리를 공격해 목을 조른다.이 조치는 링 로프의 사용으로 인해 불법이며, 5를 세기 전에 홀드를 해제하지 않으면 레슬링 선수가 실격된다.
펜타그램 초크
이 삼각형의 초크에서 레슬러는 앉은 상대 뒤에 앉는다.레슬링 선수가 한쪽 다리를 상대의 턱 밑에 대고 위로 밀어 올린다.그러자 레슬러는 반대편 팔로 발목을 잡고 다리를 위로 당긴다.그리고 나서 레슬러는 그들의 자유 다리를 이미 상대방을 질식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다리 주둥이에 놓는다.레슬링 선수는 마침내 자유 팔을 잡고, 바이스에 있는 상대의 팔을 낚아채고, 무릎에서 반대편 다리를 잡는다.이 압력은 레슬링 선수가 무릎을 함께 압박한 후에 가해진다.펜타그램 초크는 상대편의 목에 완전한 바이스를 형성하며, 그 이름은 5개의 면을 사용한 것에서 유래한 반면, 삼각형 초크는 3개의 면만을 사용한다.
싱글 암 초크
레슬링 선수가 한 손으로 상대의 목을 움켜쥐고 꽉 쥐어준다."구글"은 추슬람을 공연하기 전에 짧게 잡는 한 팔의 초크다.
잠자는 사람 홀드
에드 루이스에 의해 혁신된 레슬러는 상대 선수보다 뒤처지기 시작한다.이어 레슬러는 상대의 목을 팔을 감싸면서 한쪽 목에는 이두박근을, 다른 한쪽에는 팔뚝 안쪽 뼈를 누른다.그 목은 팔 안쪽으로 아주 꽉 쥐어진다.오른손으로 왼쪽 어깨를 잡거나 팔꿈치 근처에 있는 왼쪽 팔의 이두근을 잡은 다음 왼손으로 상대편 머리를 오른쪽 팔꿈치의 크로크 쪽으로 밀어 추가 압력을 가할 수 있다.브루투스 비프케이크, 웨일런 머시, 돌프 지글러, 미노루 스즈키에 의해 대중화되었으며 로드디 파이퍼와 함께 가장 잘 알려져 있다.
팔걸이 잠꾸러기
"버팔로 잠자는 사람"이라고도 불리는 이 초크에는 레슬러가 앉아 있는 상대방 뒤에서 무릎을 꿇고 앉아 있는 상대방의 한쪽 팔을 잡고 머리 위로 뒤로 구부려 상대의 손목을 공격자의 겨드랑이에 가두는 장면이 나온다.이어 레슬링 선수는 잠자는 듯한 자세로 상대의 턱밑으로 자유팔을 감싸고, 상대의 갇힌 팔이 만든 아치 사이로 다른 팔을 집어넣어 손을 잠근다.이어 레슬링 선수가 상대의 목을 조르며 압박감을 일으킨다.그 움직임은 히로요시 텐잔에 의해 발명되었다.
코브라 클러치
"팔 트랩 반 넬슨 잠꾸러기"로도 알려진 레슬러는 상대편 뒤에 서서 한쪽 팔을 사용하여 상대를 반 넬슨에 앉힌다.이어 레슬링 선수는 프리팔을 이용해 상대의 팔(레슬링 선수가 하프 넬슨을 바르고 있는 것과 같은 팔)을 상대의 얼굴에 대고 당긴다.이어 레슬러는 상대의 목 뒤에 있는 손목에 손을 고정시켜 상대가 굴복하거나 경동맥이 끊어지면서 의식을 잃게 만든다.이 제출은 병장을 포함한 여러 해 동안 많은 레슬링 선수들이 '마무리'하는 공작으로 이용되었다. 도살과 그것을 앤빌라이저라고 부른 짐 '안빌' 네이드하트를 비롯해 밀리언 달러 드림이라고 부른 테드 디비아제 시니어, 주니어 등이 있다.오카다 가즈치카는 이 마무리 동작을 머니클립으로 사용한다.
브리징 코브라 클러치
상대가 엎드린 상태에서 레슬링 선수는 상대편 옆에 앉아 같은 방향을 바라보고 코브라 클러치를 잠그고 나서 다리와 등을 아치형으로 하여 상대의 몸통과 목을 위로 굽힌다.델리리리우스에서 사용)가 사용함.
드래곤 잠꾸러기
공격형 레슬러는 앉아 있거나 엎드린 상대 뒤에 서 있다가 상대를 뒤집힌 얼굴 잠금 장치 안으로 끌어들이며 종종 프리 팔로 상대의 가까운 팔을 낚아채기도 한다.그리고 나서 공격자는 뒤쪽으로 차를 세우고 상대의 목과 척추를 비틀어 놓는다.상대가 앉아 있으면 레슬링 선수가 무릎을 상대의 등에 대고 누를 수 있어 부담이 가중된다.후지나미 다쓰미에 의해 발명되었고 울티모 드라곤에 의해 미국에서 대중화되었다.[7]이 움직임의 고정된 변형은 The 장의사가 사용했는데, 그는 그것을 Takin's Care of Business라고 불렀다.로우키는 한때 드래곤 클러치라는 백마운트 포지션의 버전을 사용하기도 했다.사나다 씨는 스컬 엔드로 보디 가위로 바를 때 이 홀드를 사용했다.드류 굴락은 구락이라 불리는 제출물의 무릎 꿇는 변형을 사용한다.앨리스터 블랙은 등 뒤로 손을 뻗고 두 손을 꽉 잡는 변형을 사용한다. 그는 이 동작의 이름을 다크 의식이라고 부른다.
행맨 초크
레슬링 선수는 잠자는 자세로 상대편의 목을 껴안고, 두 번째 밧줄에 올라 상대의 목을 매달았다.이 조치는 링 로프의 사용으로 인해 불법이며, 5를 세기 전에 홀드를 해제하지 않으면 레슬링 선수가 실격된다.
리어 나체 초크
무술과 최근에 혼합된 무술에서 파생된 보디 가위가 추가된 침대형 홀드의 기본 버전이다.전 TNA와 WWE 레슬링 선수 사모아 조는 이것을 코퀴나 클러치라고 부르며 자신의 서명 제출 홀드로 사용하고, 현재의 WWE 레슬링 선수 샤이나 바즐러는 이를 키리푸다 클러치라고 부르며 마무리 투수로 사용한다.바-암 잠자는 사람이라 불리는 변형은 상대에게 정상적인 잠자는 사람을 적용하고, 이동에 가해지는 추가 압력으로 얼굴 가까이에 반대쪽 팔을 사용하는 것이다.이 변형은 Karrion Cross에 의해 사용되며 그것은 Kross Jacket이라고 불린다.
스파이더 트위스트
일명 '머리 가위 십자가 초크'로도 알려진 상대방은 레슬러가 상대편 손목을 잡고 뒤에서 앉아 있다.레슬링 선수는 한쪽 다리로 팔씨름을 하고, 머리 가위를 할 것이다.그리고 레슬링 선수가 그의 손을 잡고, 한 팔은 머리 가위를 하면서 다리를 통과하고 다른 팔은 밑으로 들어간다.레슬러는 다리가 아래로 내려가는 동안 위로 당겨서 어깨, 머리, 등에 압력을 가한다.요시다 마리코가 혁신하여 현재 나오미가 사용하고 있으며, 이름을 필 더 글로우(Feel the Glow)라고 한다.
스트레이트 재킷
"일본인의 교살"(고쿠라쿠 가타메), "교살 교차 교살", "컷-스로트", "크로스-팔 초크"로도 알려져 있다.레슬러는 매트 위에 엎드린 상대의 등에 앉는다.이어 레슬링 선수가 상대의 손목을 잡고 턱밑으로 팔을 교차한다.그리고 나서 레슬러는 팔을 뒤로 잡아당겨 압력을 가한다.이 움직임은 진세이 신자키에 의해 발명되고 대중화되었다.
엄지 초크 홀드
공격형 레슬링 선수는 상대 선수 뒤에 서서 한 팔로 상대 선수의 목을 어루만진다.그리고 나서 레슬러는 엄지손가락을 뻗어 상대의 풍관이나 경동맥에 찔러 공기나 혈액 공급을 차단한다.전통적인 프로레슬링에서는 전자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풍관을 차단하는 모든 초크홀드는 스포츠에서 허용되지 않기 때문이다.이것은 돈 무라코가 아시아 스파이크로, 테리 고디가 (킬러 칸에게 배운) 오리엔탈 스파이크로 잘 사용되었다.[5]
통안 데스 그립
레슬링 선수가 상대의 턱밑에서 손을 잽싸게 내민 뒤 목구멍 위 압박 지점을 한 움큼 움켜쥐며 신경을 쥐어준다.이것은 공기 공급을 차단하고 상대는 퇴장하지만, 이것은 풍관을 짜지 않기 때문에 공기 초크로 간주되지 않는다.이 홀드는 잠꾸러기 같은 복종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독특하며, "의식 없는" 상대가 결국 등을 대고 누우면 핀폴이 된다.하쿠와 본 솔져의 마무리 투수로 사용된다.
삼각 초크
레슬링 선수는 상대편 한쪽 팔을 잡고, 상대방의 목구멍과 팔을 그림 4에 싸서 쥐어준다.다른 승진은 이 기동의 합법성에 관한 다른 규칙을 가지고 있다.합법성의 정당성은, 머리 가위처럼, "초크"를 수행하기 위해 손이 아닌 다리를 사용하고, 또한 풍관(좌굴)을 찌그러뜨리지 않고, 오히려 경동맥(주근)을 압축한다는 것이다.이 동작은 셰인 맥마흔과 CM 펑크가 사용한다.
투핸드 초켈리프트
레슬링 선수가 양손으로 상대의 목을 움켜쥐고 들어올린다.이것은 양손 초크슬람과 초크 폭탄과 같은 움직임을 위한 전환 홀드다.
전환 유지
어떤 홀드는 상대를 꼼짝 못하게 하거나 약하게 하거나 강제로 굴복시키지는 않지만, 다른 공격을 위해 상대방을 세우려는 의도도 있다.
암 렌치
레슬링 선수는 상대 선수의 팔이나 손목을 잡고 레슬링 선수의 머리 위로 팔을 비틀면서 완전히 돌아서 상대 선수의 팔이 비틀리는 결과를 초래한다.이것은 완장, 손목 자물쇠, 레슬링 선수가 소방관의 캐리어를 타고 상대방을 어깨 위로 잡아당기거나 아일랜드식 채찍, 빨랫줄과 같은 짧은 팔의 조작으로 이어질 수 있다.
나비
역 넬슨과 더블 언더 후크라고도 한다.레슬링 선수와 상대 선수는 허리를 굽힌 채 서로 마주보기 시작한다.레슬러는 상대에게 다가가 상대편의 어깨 아래까지 손을 뻗은 다음, 양팔을 위와 몸통 둘레에 실어서 상대의 등이나 목 가운데에서 손을 맞대고(본질적으로 뒤집힌 풀 넬슨 홀드) 상대편의 머리를 겨드랑이에 쑤셔 넣는다.홀드 자체는 제출할 수 있고 때로는 제출 이동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그것은 복합체, DDT, 페이스버스터 또는 파워폭탄과 같은 또 다른 이동을 설정하기 위한 전환 홀드로 더 흔히 사용된다.이 동작을 제출물로 사용하는 레슬링 선수 중 한 명은 맷 하디인데, 그의 아이스 픽 기동은 그가 상대 선수를 동시에 몸가위 자물쇠에 가두면서 상대 선수를 가두어 놓는 것을 본다.
싱글 언더 후크
더블 언더 후크와 비슷하지만 한쪽 팔만 언더 후크에 걸려 상대편의 머리가 앞면 잠금장치에 꽂혀 있다.DDT, 복합 등으로 전환할 수 있다.요시 하시가 버터플라이 록으로 사용한다.
십자가형
레슬링 선수는 상대 선수보다 구부러진 상대와 마주보고 서서 관통한 허리 잠금 장치나 서 있는 머리 가위 속에 넣는다.그리고 나서 레슬링 선수는 상대방을 위아래로 뒤집어서 상대 선수는 레슬링 선수의 등에 얼굴을 대고 눕는다.그런 다음 레슬러는 손을 상대의 상팔이나 손목으로 움직여 제자리에 잡아놓고 마치 십자가에 못박히듯 상대의 팔을 벌리는 식으로 이름이 붙는다.이것은 종종 십자가 모양의 폭탄이나 회전하는 십자가 모양의 토스를 위한 설정이다.
역 십자형
씨름꾼은 서 있는 상대 앞에 등을 대고 서 있다.그리고 나서 레슬러는 뒤쪽으로 기울어져 상대의 허리를 잡고, 그들을 앞과 위로 잡아당겨, 그들은 상대의 어깨를 가로질러 누워 아래를 향하게 된다.그런 다음 레슬러는 상대의 상팔이나 손목을 잡고 상대를 제자리에 고정시키면서 펼친다.
전기의자
공격 레슬링 선수가 상대 선수를 어깨 위로 들어올려 둘 다 같은 방향으로 향하게 하는 과도기적 홀드.단식 경기에서 다양한 드롭과 슬램을 설정하기 위해 자주 사용된다.그러나 그것은 "운명의 날 장치"로 알려진 더블 팀 기동에서 더 자주 사용되는데, 다른 레슬링 선수가 상대 선수를 레슬링 선수의 어깨를 두드리기 위해 날으는 공격을 사용하는 것이다.많은 전환기가 있는 것처럼, 수비형 레슬링 선수는 종종 그 위치를 사용하여 다양한 카운터 동작을 하는데, 특히 승리가 가장 두드러진다.전기의자 자세의 또 다른 카운터에는 레슬러가 상대편의 어깨 위로 몸을 비틀어 지금 그들은 반대 방향을 향하고 있으며, 그 자세에서 레슬러는 허리케인이나를 치기 위해 뒤로 공중제비를 하곤 했다.
멕시코의 루차 리브레에서 이 홀드는 스페인어로 "더 타워"로 알려져 있다.루카의 "전기 의자"(스페인어로 Silla Eléctrica)는 서로 다른 두 가지 공격과 관련이 없는 공격에 사용되는 용어다.원자 강하는 그 움직임의 "공통적인" 버전이며, "Invertive Electrica" (스페인어로 Silla Eléctrica invertida)는 공격형 레슬러가 양쪽이 앞을 향해 앉은 상대를 향해 달려간 다음, 상대의 나팔과 어깨에 앉아 있는 보톤으로 뛰어내려 떨어지게 한다.
소방관 캐리어
레슬러는 상대가 레슬링 선수의 옆으로 서 있는 가운데 몸을 굽힌다.이어 레슬러는 상대편 팔을 먼 어깨 위로 끌어당겨 상대편 한쪽 다리를 사이에 두고 다른 손을 잡고 일어서면서 레슬링 선수의 몸을 어깨 위로 분산시킨다.상대는 뒤에서 레슬링 선수의 팔을 감싸고 레슬링 선수의 어깨에 얼굴을 드리우고 있다.몇 번의 투구, 드롭, 슬램의 핵심 구성 요소다.
띄우다
씨름꾼은 상대편, 오리, 훅을 마주보고 서서 한쪽 팔을 상대편 어깨(상대편 왼쪽 어깨를 찌르면 오른 쪽, 또는 반대쪽으로 꺾으면 반대편)로 훅을 걸고 상대편 겨드랑이 밑에서 스윙을 한 다음, 상대편과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한다.
고릴라 프레스
군사 언론으로도 알려져 있다.많은 투구, 드롭, 슬램을 수행하기 위한 전환 리프트.키와 힘을 강조하기 위해 리프트가 보여지면서 몸집이 크고 힘이 센 레슬링 선수들에게 인기 있는 기술이 되었다.마크 헨리, 골드버그, 베스 피닉스, 리치 플레어, 스팅, 커트 앵글, 제이슨 조던, 니아 잭스가 주로 사용한다.그것은 고 고릴라 몬순에 의해 혁신되었다.
거트렌치
많은 투구와 슬램을 세팅한 이것은 공격형 레슬러가 허리를 구부린 상대를 한쪽으로 향하게 하고, 가까운 손에 손을 뻗쳐 상대의 허리에 두 손을 고정시키는 것을 본다.이 과도기의 일반적인 움직임은 폭탄이나 복합적인 것이 될 수 있다.
호수의 여인
그 동작은 의심하지 않는 상대를 속이는 데 사용되었다.레슬러는 자리에 앉아 다리를 꼬고 머리를 가슴으로 집어넣고 한쪽 팔을 발목을 감싸(그래서 효과적으로 공 모양으로 굴러간다).그리고 나서 레슬러는 남은 팔을 다리 사이로 뻗고 기다린다.상대는 표면적으로는 혼란스러운 듯 보통 제시된 손을 잡는데, 이때 레슬러가 앞으로 굴러 팔걸이 안으로 들어간다.이것은 Johnny Saint가 Johnny Saint Special로 사용하였다.
마운트
레슬링 선수는 상대편의 몸통 위에 앉아 머리를 마주보고 양쪽에 다리를 올려놓고 앉아 있다.상대의 머리가 지면을 향하면 그 위치를 백마운트라고 한다.닫힌 주먹, 팔꿈치, 오픈핸드 슬랩, 오픈핸드 팜 스트라이크, 상대 머리의 망치 피스트 등 다양한 스트라이크가 종종 이 포지션에서 이루어진다.WWE에서는 주먹 주먹이 닫히는 것이 합법이지만, 다른 승진에서는 심판들이 주먹이 불법이기 때문에 레슬링 선수들에게 손을 봐달라고 말할 것이다.펀치 대신 손바닥 때리기, 슬랩, 팔꿈치 때리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펌프핸들
레슬링 선수가 상대 선수 뒤에 서서 그들을 앞으로 구부린다.상대편의 한쪽 팔은 다리 사이를 뒤로 당겨 잡고, 다른 한쪽 팔은 갈고리로 채운다.그러자 레슬링 선수가 상대방을 어깨 위로 들어올린다.여기서부터 많은 투구, 드롭, 슬램을 할 수 있다.이중 펌프핸들이 존재하며, 두 번째 팔을 걸지 않은 곳에는 상대의 다리 아래와 다리 사이로 잡아당겨지기도 한다.
로프 헝
밧줄에 매달린 동작은 상단의 밧줄이나 상단과 두 번째 밧줄 사이에 갇힌 상대를 본다.그 위치에서 레슬링 선수는 상대가 로프 위에 매달려 있는 동안 DDT나 넥브레이커와 같은 많은 동작을 할 수 있다.
스쿱
상대를 마주하면 레슬러는 한 팔로 상대의 다리 사이를 오가고 다른 팔로 같은 편에서 등 주위에 손을 뻗는다.레슬러는 상대를 들어 올려 레슬링 선수의 몸을 가로지르게 한다.여기서부터 많은 투구, 드롭, 슬램을 할 수 있다.이 특종은 레슬링 선수의 공격이 상대의 다리 중간에 손을 넣어 돌리게 하는 특종 파워슬램이라고도 불린다.
스텝오버 토홀드
레슬러가 엎드린 상대에게 다가간다.레슬러는 상대의 발목 중 하나를 허벅지 사이에 끼운다(STF를 적용하기 전에 주로 볼 수 있다.이때부터 레슬러는 후지와라 완바나 3쿼터 페이스록 등 다른 홀드를 상대에게 적용할 수 있다.
틸트어휘일
레슬링 선수가 상대 선수와 마주보고 서 있다.레슬링 선수는 상대를 아래로 구부려서 레슬링 선수의 몸을 정면으로 향하게 한다.레슬러는 팔로 상대의 몸을 감싸고 손을 들어 올려 상대 선수를 레슬링 선수의 몸 앞에서 회전시키면서, 종종 슬램이나 가장 흔히 '틸트아월 백브레이커'나 '진자 백브레이커'를 전달한다.보통 충전 상대에게 행해지는 이것은 또한 레슬러가 DDT나 헤드 가위를 내려치듯 많은 공을 던지고 내리는 것을 보는 역습의 전환 홀드가 될 수 있다.
휠바로
이 동작은 레슬러가 앞만 보는 상대의 다리를 허리에 감아(매트 위에서 먼저 얼굴을 대고 누워 있는 상대 뒤에 서 있거나 충전하는 상대를 잡아) 장신구 홀드를 적용하고 공중으로 상대를 들어 올린 다음 계속 들거나 뒤로 넘어져 휘청거릴 때 이뤄진다.나바로 수동 또는 바퀴 손수레 페이스버스터를 치기 위해 매트로 다시 내려가도록 강요한다.이것은 또한 DDT나 불독과 롤링 핀 조합처럼 (바퀴 손수레에 묶인) 레슬러가 많은 던지기와 드롭을 치는 것을 보는 역습의 전환 홀드가 될 수 있다.
잡다한
칼라 앤드 엘보우 연결
쇄골과 팔꿈치 묶기는 프로레슬링의 주 종목 중 하나이며, 이러한 움직임으로 많은 경기가 시작된다.중립적인 움직임이지만 어느 한 레슬링 선수에게나 쉽게 지배적인 위치로 전환된다.자신의 목을 잡고 있는 상대의 팔 팔꿈치를 잡으면서 상대에게 다가가 한 손을 목덜미에 얹는 방식으로 진행된다.상대를 땅바닥에 밀어 고정시키는 데도 사용할 수 있다.
자이언트 스윙
레슬러는 앙증맞은 상대의 다리를 잡고 빠른 속도로 선회하며 상대를 끌어올리고 원을 그리며 상대를 휘두른다.레슬링 선수는 공중에서 홀드를 해제하거나 상대의 뒷모습이 지상으로 돌아올 때까지 단순히 속도를 늦출 수 있다.이 동작은 세사로가 세사로 스윙으로 사용하고 있다.
선셋 플립
이 동작은 보통 공격형 레슬러가 자신들을 마주보고 있는 상대를 향해 다이빙을 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대개는 앞으로 구부려져 뒤에서 허리로 상대를 잡고, 상대에게 먼저 뒤로 착지한다.그 자세에서 레슬러는 앉은 자세로 앞으로 굴러가서 상대를 뒤로 잡아당겨 매트 위로 내려 앉게 하여 등에 업혀 윗몸일으키기 핀 자세로 착지하게 한다.상대편이 상대편 방향으로 향하면서 공격형 레슬링 선수의 머리를 늘어뜨리고 있는 위치에서 공격형 레슬링 선수의 어깨에 붙잡혀 있는 동안.이 움직임은 다양한 파워 폭탄과 고리 폭탄과 같은 다른 움직임의 카운터로서 사용될 수 있다.이 동작은 멜리나가 라스트 콜(Last Call)로 사용하였다.나오미는 F.T.G. 제출 마노브레를 위해 이 동작을 사용한다.
고난의 나무
여기에는 레슬러가 턴버클에 상대를 거꾸로 매달아 놓고, 상대 선수의 등이 턴버클에 부딪히는 과정이 포함된다.이를 위해 상대편의 다리는 상단 로프 밑에 걸리게 되고, 상대는 공격용 레슬링 선수와 마주하게 된다.종종 공격형 레슬러는 심판이 5개의 카운트를 다 쓸 때까지 상대방을 질식시키거나 발로 차거나 짓밟는다.공격형 레슬러가 상대를 향해 달려가는 동안 상대를 함정에 빠뜨리고 달리는 무릎 공격이나 야구 슬라이드와 같은 어떤 형태의 공격 기동을 전달하는 기술도 쓰인다.
참고 항목
참조
- ^ a b c Guerrero, Eddie (2005). Cheating Death, Stealing Life: The Eddie Guerrero Story. Simon and Schuster. p. 9. ISBN 0-7434-9353-2.
- ^ Ellison, Lillian (2003). The Fabulous Moolah: First Goddess of the Squared Circle. ReaganBooks. p. 163. ISBN 978-0-06-001258-8.
- ^ 폴리, 믹.인류: 좋은 하루 보내세요. 1999년 하퍼 콜린스의 피와 스웨츠 이야기
- ^ Sitterson, Aubrey (June 21, 2011). "Wrestling Innovators – The Origins Of Your Favorite Moves". UGO Network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February 18, 2014. Retrieved September 13, 2013.
- ^ a b "What a manoeuvre! 15 moves that really exist". WWE. 2012-11-30. Retrieved 2014-03-13.
- ^ "The Head Chancery as taught by George Hackenscmidt in The Complete Science of Wrestling". Gnarlmaster's Catch Wrestling Site. Retrieved 2013-06-21.
- ^ a b c d Linder, Zach & Melok, Bobby. "What a maneuver! 15 moves that really exist". WWE.com. WW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3-08-14. Retrieved 2013-08-18.
- ^ 누가 파워밤을 발명했는가?
- ^ "The Great Muta WWE Profile". WWE.com. Retrieved 2014-03-13.
- ^ "Professional Wrestling Moves: Part 2". Death Valley Driver.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1-04-13. Retrieved 2007-11-29.
- ^ "How to perform the Bicep Slicer". MMA-Training.com. 2006-11-29. Retrieved 2009-12-21.
- ^ Breen, Jordan (2008-03-04). "Ad Santel and Catching Our History". Sherdog. Retrieved 2009-12-21.
...submitting him both times with short-arm scissors, more contemporarily known as a bicep slicer
- ^ a b *Guerrero, Eddie (2005). Cheating Death, Stealing Life: The Eddie Guerrero Story. Simon and Schuster. p. 9. ISBN 0-7434-9353-2.
-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3-08-07. Retrieved 2013-07-29.
{{cite web}}
: CS1 maint: 제목(링크)으로 보관된 사본은 누가 텍사스 클로버리프를 발명했는가? - ^ "the 50 coolest maneuvers of all time". WWE. 2014-02-21. Retrieved 2014-05-04.
- ^ 국제 브라질 주짓수 연맹.2006-02-06년 Wayback Machine에 보관된 규칙. www.cbjj.com.brURL은 2006년 8월 18일에 마지막으로 접속되었다.
외부 링크
- Wikimedia Commons의 프로레슬링과 관련된 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