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푸린(유리)

Purpurin (glass)

퍼푸린(이탈리아어: 뽀뽀리노어, 라틴어:그리스 하이마티노스에서 파생된 해마티눔 = "혈액"; 독일어:해마티논(Haematinon)은 때로 유리 포피러(glass porphyr)로 불리며, 고전 고대에서 주거용 사치품, 모자이크 및 다양한 장식 용도로 사용된 광택 있는 짙은 붉은 색의 불투명 유리다.퍼푸린은 일반 유리보다 다소 딱딱하지만 쉽게 자르고 연마할 수 있다.그것의 붉은 색은 제련과 동시에 영원히 사라진다.그 물질은 금석과 약간 비슷하다.

역사적 참고자료 및 고고학

퍼푸린 유물은 종종 실제 로마 유리와 함께 더 부유한 로마 정착촌의 고고학적으로 발굴되는 동안 자주 발견된다. 폼페이는 대표적인 예다.

플리니엘더(Pliiny the Elder)는 역사학에서 "오비디안은 인공 색소에 의해 만들어지고 식기류에도 사용되며, 해마티움이라고 불리는 완전히 붉고 불투명한 유리로도 쓰인다"고 보고했다.[1]이런 종류의 유리를 만드는 기술은 인도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비슷한 물질의 유리 구슬이 인더스 계곡에서 발견되어 기원전 2천년 후반으로 거슬러 올라간다.[2]

기술 재발견

'해마티눔'(즉, '혈홍기')의 과정은 고대부터 어떤 보존 문서에도 관련되지 않았으며, 그 구성과 제작의 세부사항은 19세기 중반까지 미스터리로 남아 있었다.독일의 화학자 마틴 하인리히 클라프로스빌라 조비스의 붉은 유리를 분석했을 때 구리를 발견했음에도 불구하고,[3] 그는 전설적인 해마틴이 유리가 아니라 오히려 구리 제련에서 나온 슬래그를 다시 추출한 것이라고 잘못 믿었다.1844년 슈바스는 그것이 구리빛 유리로서 강력한 사례를 만들었고,[4] 나중에 그것이 옳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교육목적으로 폼페이우스 빌라의 재건을 계획했던 바이에른의 루드비히 1세막스 요셉페텐코퍼에게 골동품인 '피유리' 제조법을 재발견하는 임무를 맡겼고, 실제로 이 젊은 화학자는 1853년에 성공을 보고했다.[5]그의 과정은 구리와 함께 쉽게 용해되는 표준 알칼리 납 유리를 융합하는 것을 요구하였다.II) 소량의 산화마그네슘과 탄소가 존재하는 산화물자석, 그 후 매우 느린 갈색 질량의 냉각이 뒤따르며, 이는 금속 구리의 감소된 미세입자를 침전시켜 진한 붉은색을 띠게 된다.

이어 에마누엘 케이서는 갈색의 틴트가 공동으로 미리 짜놓은 금속 에 기인하고, 납 유리나 산화 납 대신 붕소를 사용하면 이를 피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그의 레시피는 순수 석영모래 형태의 실리콘산화물 60부, 석회화 붕소 10부, 구리산화물 10부, 자석 3부로 구성됐다.

참조

  1. ^ Naturalis Historyia libe XXXVI, 68장: Fit et et tincurae genere ad escaria vasa, et totum rubens vitrum atque non talucens, hamatinum constatum.
  2. ^ J.A.J. 고해상도 고고학:1997년 276–277 루트리지의 과거 기록. ISBN0-415-18429-0
  3. ^ Klaproth M.H. Beitrége jur chemischen Kenntnis der Mineralkörper Vol.VI(1815), 페이지 136
  4. ^ 슈바스Einige Notizen über rothes und blaues Glas. 에이니게 노티젠 뷔베르 로테스저널 퓌르 프라크티스체 화학 제3권(1844년)p. 300-316
  5. ^ 페텐코퍼, M.Ueber einen antiken roten Glasflus (Haematinon) und über Aventurin-Glas.압핸들룽겐 데르 나투루-테크놀로지.커미션 데르 K. B.아카드 데어 위센슈I. Bd. München, 문학가.-예술가.안스탈트, 1856년
  • 마이어스 콘버스먼트-렉시콘.제4권, 라이프치히와 비엔나 1888; 제8권, 페이지 36
  • 브록하우스의 콘버스: 렉시콘 14부, 라이프치히, 베를린, 비엔나 1894; 제8권, 페이지 697
  • Lueger, O.: Lexikon der Gesamten Technik und ihrer Hilfswissenschaften, Stuttgart와 Leipzig 1906; 제4권, 페이지 707.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