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파 국경 교차로

Rafah Border Crossing
라파 국경 교차로

معبر رفح
좌표31°14°55°N 34°15′33″e/31.24858°N 34.25923°E/ 31.24858; 34.25923
크로스가자-이집트 국경
로캘State of Palestine 라파
유지 보수자 IsraelIAA (2005년까지)
European UnionEUBAM(2005-2007)
Egypt이집트 국경수비대
위치

이집트가자지구잇는 유일한 건널목은 라파 국경 건널목이다.1979년 이집트-이스라엘 평화협정에 의해 인정된 가자-이집트 국경지대에 위치하고 있다.원래 건널목은 라파 육상항이라고 이름 붙여졌다.라파 국경 교차로를 통해서만 사람이 통과할 수 있다.화물 수송은 대부분 케렘 샬롬 국경 통과로 우회된다.

게이트

2009년 라파 육항

라파 육상 항구는 이집트와 가자 사이의 주요 국경이 되었고, 이스라엘이 2005년 9월 11일 분리 계획의 일환으로 가자 정착촌을 해체할 때까지 이스라엘 공항 관리국에 의해 관리되었다. 후, 유럽 연합 국경 지원 임무 라파(EUBM)의 임무가 되었다."살라 알 딘 게이트"[1]로 알려진 라파 육상 항구는 에레즈에서 라파까지 가자 지구의 주요 고속도로인 살라 알 딘 도로의 원래 라파 건널목에 위치해 있다.라파 육항은 2009년 10월 터널을 [2]파괴하기 위해 이스라엘의 폭격을 받았다.

새로운 "라파 크로싱 포인트"는 아랍어 "알 아우다" (The Return)[3]로도 명명되었으며 라파 남쪽에 지어졌다.

역사

교차가 있는 지도

1906년 10월 1일 오스만과 영국의 합의에 의해 팔레스타인과 영국이 이집트를 지배한 타바에서 라파까지 국경이 합의되었다.[4]1948년부터, 가자는 이집트에 의해 점령되었다.그 결과, 가자-이집트 국경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았다.1967년 6일 전쟁에서 이스라엘은 이집트로부터 시나이 반도와 가자지구를 정복했다.

1979년 이스라엘과 이집트는 가자지구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시나이 지역을 이집트 지배로 되돌리는 평화협정에 서명했다.이 조약의 일환으로, 가자와 [5]이집트 사이의 완충 지대로 알려진 100미터 폭의 땅이 세워졌다.평화 조약에서, 가자-이집트 국경은 라파 시내를 가로질러 다시 만들어졌다.1982년 이스라엘이 시나이에서 철수했을 때 라파흐는 이집트와 팔레스타인으로 나뉘어 철조망 [4][6]장벽으로 가족을 갈라놓았다.

이스라엘의 철수

2012년 라파 국경 횡단

2005년 2월 16일 이스라엘 의회는 이스라엘의 가자 지구 철수를 승인했다.이스라엘은 2005년 9월 가자 지구에서 철수했다.가자-이집트 국경의 지배권은 이집트에 넘겨졌다.파타가 장악한 팔레스타인 자치정부는 국경지대의 가자 쪽에 대한 통제권을 부여받았다.

2005년 9월 7일 이스라엘은 가자지구에서 철수하고 라파 [7]건널목을 폐쇄했다.1979년 평화조약의 원칙에 따라 이스라엘과 이집트 사이의 필라델피아 협정은 국경 통제를 이집트에 넘겼고 팔레스타인 자치정부에 대한 무기 공급은 이스라엘 동의하에 이루어졌다.이 합의는 750명의 이집트 국경수비대를 국경지대에 배치하도록 명시했으며, 이집트와 이스라엘은 테러, 무기 밀수, 그리고 다른 불법적인 [5][8]국경을 넘나드는 활동을 막기 위해 협력하기로 약속했다.

이동 및 접근에 관한 협정

2005년 11월 15일 이동 및 접근에 관한 협정(AMA)의 일부인 라파 건널목 합의 원칙에 따라 EUBAM은 국경 건널목 감시를 담당했다.이 협정은 이스라엘 당국이 [9]누구나 출입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도록 보장했다.

라파 합의 원칙은 "라파는 이집트로의 상품 수출에도 사용된다"[9]고 규정하고 있다.PLO의 기밀문서에 따르면 무바라크 대통령 치하의 이집트는 사실상 [10]수출을 허용하지 않았다.팔레스타인은 이스라엘이 파리 의정서 이행을 우려해 가자 지구를 관세동맹에서 제외하겠다고 위협했기 때문에 모든 물품 수입이 케렘 샬롬 국경 통과로 전환된다는 데 동의했다.반면 팔레스타인은 라파에서 이스라엘의 간섭을 제한하고 주권을 극대화하고 싶어 이에 동의했다.케렘 경유 전환은 임시방편으로 의도된 것이지만, 사실 라파 경유 수입은 실현되지 않아 팔레스타인은 밀수 터널 경제를 발전시킬 수밖에 없었다.이스라엘은 이집트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케렘 샬롬 국경 통과를 가자지구와 이스라엘 사이의 상업 통과로 바꾸거나 라파로 가는 대체 여객 통과로 바꾸려고 끊임없이 노력해왔다.팔레스타인은 이스라엘이 가자-이집트 국경을 장악하거나 심지어 라파까지 대체할 것을 우려하며 [10]반대했다.

2005년 11월 26일, 이스라엘군은 인근 기지에서 비디오를 감시하고 가자 지구 [7]안팎의 모든 상품과 무역을 통제하고 있는 가운데, 유럽연합의 감독하에 처음으로 이 건널목이 개방되었다.

통계 정보

2005년 이스라엘이 철수한 후 라파 크로싱을 통한 월평균 출입국 수는 약 4만 명에 달했다.2006년 6월 이스라엘 군인 길라드 샬릿이 생포된 후, 건널목은 76% 폐쇄되었고 하마스가 가자지구를 점령한 후 [11]이집트에 의해 제한적으로 개방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영구적으로 폐쇄되었다.

2010년 6월부터 2011년 1월까지 라파흐를 통한 월평균 출·출입 건수는 19,000건에 달했다.호스니 무바라크 이집트 대통령이 모하메드 무르시로 교체된 2011년 5월 이후 매달 4만 명으로 늘었다.2013년 7월 무르시가 군대에 의해 퇴위했을 때, 크로싱은 다시 거의 완전히 폐쇄되었다.

2014년 8월 이집트는 2007년 가자 봉쇄 이후 처음으로 유엔 세계식량계획(WFP)이 라파 건널목을 통해 식량을 운반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그것은 5일 [12]동안 약 15만 명의 사람들에게 음식을 제공했다.2014년에는 월평균 8,119명의 출구와 출입이 기록되었다.2015년 9월, 약 3,300명이었고,[11] 가자 인구는 180만명에 달했다.2014년 10월 24일부터 2015년 9월까지, 이 건널목은 34일 [13]동안만 개통되었다.

국경 폐쇄

2005년부터 2007년까지

2005년 11월부터 2007년 7월까지 라파 크로싱은 이집트와 팔레스타인 자치정부가 공동으로 관리했으며 유럽연합은 가자 측의 팔레스타인 [14]준수를 감시했다.크로싱은 2006년 6월까지 매일 운영되었다.이스라엘은 보안 경고를 발령하여 유럽 감시자들이 터미널로 이동하는 것을 막았다.하마스가 이끄는 PA 정부는 6월 23일 국경을 다시 [15]열지 않으면 라파 국경 통과 협정을 종료하겠다고 위협했다.2006년 6월 25일 테러범들은 케렘 샬롬 교차점을 공격해 이스라엘 군인 길라드 샬리트를 생포했다.이 공격 [16]이후 크로싱은 자주 재개장하지 않았다.

2007년 2월 12일, PLO의 교섭자 사에브 에레카트는 이스라엘 정부와 EU 대표에게 보낸 서한에서 "캘롬을 통한 EU BAM의 RCP 접근 금지"[17]와 같은 간접 조치에 의해 대부분의 날 라파 크로싱 포인트(RCP)를 폐쇄함으로써 이스라엘에 대해 불만을 표시했다.2007년 팔레스타인 배경지에서는 "대부분 이스라엘의 지속적인 건널목 폐쇄에 의해 야기되는" 위기에 대한 EU의 우려를 언급하고 있다.[10]2007년 5월 7일, 이스라엘의 라파 및 케렘 폐쇄 문제도 조정 및 평가 회의에서 제기되었다.라파를 통한 구급차의 이동은 금지되었다.EU BAM은 건널목에서 "셔틀" 구급차를 사용할 것을 제안했으며,[18] 구급차 사이에 두 명의 환자를 추가로 이송해야 했다.

2007년 6월 하마스가 가자지구를 점령한 후 라파크로싱은 이집트 당국에 의해 폐쇄되었다.보안 부족 때문에 EU 감시단은 이 지역에서 철수했고 이집트는 이스라엘과 라파 [5]크로싱 폐쇄에 합의했다.파타가 이끄는 요르단강 서안지구의 팔레스타인 자치정부는 대통령 경호대의 통제가 [19]회복될 때까지 라파크로싱은 폐쇄되어야 한다고 선언했다.

2007년부터 2010년까지

2009년 라파 국경 건널목에서 기다리는 승객들

2008년 1월 22일 이스라엘이 가자지구로 가는 모든 건널목을 전면 폐쇄한 후 하마스 시위대는 라파 건널목의 문을 강제로 열려고 시도했다.그들은 이집트 경찰에 의해 격퇴되었고 총성이 터졌다.같은 날 밤 하마스는 200미터 길이의 금속 경계 벽을 폭발물로 파괴했다.가자-이집트 국경 돌파 이후, 20만에서 70만 명으로 추정되는 수천 명의 팔레스타인인들이 상품을 [20][21]사기 위해 이집트로 건너갔다.팔레스타인 사람들이 음식, 연료, 담배, 신발, 가구, 자동차 부품, [22][23]발전기를 구입하는 것이 목격되었다.2008년 2월 3일 [24]이집트는 귀국하는 여행객을 제외하고 국경을 다시 폐쇄했다.

2009년 6월 27일 이스마일 하네야 하마스 총리는 라파 국경 통과를 영구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팔레스타인, 이집트, 유럽의 공동 메커니즘을 제안했다.그는 "우리는 가자 지구에 (하마) 정부가 있는 것 외에 유럽 사찰단, 이집트인, 팔레스타인 대통령 경호대가 있는 것을 환영한다"[25]고 말했다.

기샤의 2009년 보고서에 따르면, 이스라엘은 라파 크로싱 통과를 누가 허용할지를 결정하는 팔레스타인 주민 등록부를 통제함으로써 국경을 계속 통제하고 있다.그것은 또한 외국인 통행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는 권한을 가졌으며, 심지어 외국인 통행 허가 목록에 속하더라도 무기한 통행금지 결정을 내릴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19]

기샤는 이스라엘이 간접적인 수단을 통해 라파크로싱을 봉쇄하고 이집트가 이스라엘의 압력에 굴복하고 하마스 정부에 협조하지 않고 있다고 비난했다.그러나 하마스는 대통령 경호대가 AMA 협정을 적용하도록 허락하지 않았다는 비난을 받았다.팔레스타인 자치정부는 라파 크로싱에 대한 통제권을 놓고 하마스와 타협을 거부한 것에 대해 비난을 받았다.EU 감시군은 이스라엘의 국경 폐쇄 요구에 굴복한 채 재개방을 요구하지 않아 비난을 받았다.미국은 폐쇄로 인한 인권 침해를 용인하고 [19]이집트에 대한 압력을 피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2011년부터 2013년까지

무바라크 전 대통령 치하의 이집트 정부는 가자 지구에 있는 하마스 행정부에 반대했고 이스라엘의 [26]봉쇄 시행을 도왔다.2011년 이집트 혁명으로 무바라크는 2011년 2월 퇴진해야 했다.4월 27일 파타와 하마스는 이집트의 중재 아래 카이로에서 합의에 도달했고, 4월 29일 이집트는 [26]항구적으로 국경을 통과할 것이라고 발표했다.마흐무드 압바스 수반과 칼레드 메샬은 2011년 5월 4일 카이로 협정에 서명했고 5월 28일 이 건널목은 다시 열렸다.[27]이집트에 입국하는 18세에서 40세 사이의 남성들은 비자를 신청해야 하고 다른 사람들은 여행 [28][29]허가가 필요하지만, 대부분의 여행 제한은 철폐되었다.혁명 직후 나빌 엘 아라비 이집트 외무장관은 하마스와 여행제한 완화 및 양국 관계 개선을 위한 논의를 시작했다.승객 제한이 완화됐음에도 불구하고 가자 지구로의 화물 수송은 여전히 [30]막혀 있다.개장 후 첫 5시간 동안 340명의 사람들이 [31]이집트로 건너갔다.무바라크 정권 시절 이집트는 라파에서 하마스 경비병 파견을 강력히 반대하며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요원들이 배치될 때까지 건널목을 폐쇄할 것을 요구했지만 이제는 하마스 경찰이 [29]건널목을 운영하며 경비를 서게 됐다.

2011년 6월 중순에는 며칠간 건널목이 폐쇄되었고, 그 후 매일 건널목을 신청한 '수천명'에 비해 수백명만이 건널 수 있었다.보도에 따르면 이집트는 매일 [32]최소 500명의 사람들이 강을 건너도록 허락했다.

2013년 7월 모하메드 무르시 전복을 계기로 이집트 육군에 의해 며칠간 국경 통과가 통제됐다.그것은 나중에 매일 4시간 동안 다시 열렸다.이집트에서의 광범위한 불안과 8월 14일 축출된 무르시 대통령의 충성파들에 대한 유혈 진압 이후 국경 통과는 '무제한'[33]으로 폐쇄되었다.그 후, 그것은 몇 [34]달에 한 번씩 며칠씩 문을 열었다.

2013년부터 2020년까지

2014년 이스라엘-가자 분쟁 이후 이집트는 대통령 경호대에서 라파 건널목과 국경을 따라 배치하기 위한 훈련을 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선언했다.일단 군대가 준비되면 이집트는 이 횡단을 최대한 개방할 것이다.이집트는 이스라엘과 하마스의 영구적인 휴전을 중재했으며, 사메 슈크리 외무장관은 이집트는 이것이 1967년 [35]국경 내에 팔레스타인 국가가 탄생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하마스를 포함한 가자 지구의 팔레스타인 파벌들은 대통령수비대와 EU 국경 임무의 [36]복귀를 공개적으로 선언했다.

2015년 1월 22일 이집트는 국경을 [37]봉쇄했다.북한은 지난 3월 팔레스타인 측이 대통령 직속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직원이 근무하고 [34]하마스 인사가 없을 경우에만 국경을 개방하겠다고 선언했다.이슬람 지하드는 이집트 정보기관에 PA와 하마스가 PA와 대통령 경호대가 지켜보는 가운데 라파 건널목을 개방할 것을 제안했다.이집트 정보기관과 하마스는 이에 동의한 것으로 보였지만 PA는 [34][37][38]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하마스는 파타와 PA가 국경과 국경을 통제하는데 있어서 PA의 독점을 주장함으로써 정치와 현장 지형에서 배제하고 싶다고 비난했다.[34]하마스는 요르단강 서안지구와 [38]가자지구의 직원들을 통합하기 위한 포괄적인 계획의 일환으로 대통령 근위대의 지휘를 맡기로 합의했었다.일부 하마스 추종자들은 하마스를 피해 PIJ 구상에 대해 불만을 표시했지만 이집트는 하마스와 달리 [37]PIJ를 테러 조직으로 간주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집트는 2017년 가자[39] 발전소의 디젤 연료와 [40]2018년 가스 등 라파 크로싱을 통해 가자 지구로 공급되는 물자를 가끔 허용하고 있다.

2018년 5월 이집트 당국은 하루 200명의 가자인이 이집트로 건너갈 수 있도록 이 건널목을 개방했다.2019년 7월 현재 수만 명이 아랍권이나 터키의 목적지로 출발했으며 일부는 유럽(특히 벨기에와 노르웨이)[41]으로 피난처를 찾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팔레스타인 당국은 2020년 3월 COVID-19를 일으키는 바이러스의 가자 [42]지구로의 확산을 제한하기 위해 건널목을 폐쇄했다.

2020년 11월 초,[43][44] 이집트 당국은 하마스의 위반을 감시한 후 차량 및 물품 통행을 금지했다.

2021년부터 현재까지

2021년 2월 이집트는 당시 [45][46]카이로에서 팔레스타인 파벌 간의 협상을 장려하기 위한 노력으로 수년 만에 처음으로 '무제한' 통로를 열었다.이 건널목은 지난 5월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 11일간의 분쟁 기간과 이후에도 계속 열려 있었으며, 구호품과 건설 자재를 전달했다.이집트는 이스라엘과 [45]하마스의 국경을 넘는 사건이 고조된 후 8월 23일 이 건널목을 폐쇄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라파 크로싱: 희망의 관문?Asharq Al-Awsat, Asharq Al-Awsat, 2008년 2월 9일
  2. ^ 주간 보고서: 점령된 팔레스타인 영토에서의 이스라엘 인권 침해에 대하여, 2009년 제39호.팔레스타인 인권 센터, 2009년 10월 8일
    "약 1시 35분, 이스라엘 전투기가 이집트 국경의 살라 알딘 게이트에 3개의 폭탄을 투하하여 터널을 파괴했다고 합니다."
  3. ^ 2014년 12월 RAFAH 접근폐쇄.OCHA, 2015년 7월 3일Wayback Machine에서 2015-11-23 아카이브 완료
  4. ^ a b 이집트-이스라엘 국경의 진화: 식민지 기반에서 평화로운 국경으로, 페이지 3, 9, 18.Nurit Kliot, Boundary and Territory Brief, 1권 8호구글 북스에서도.
  5. ^ a b c 가자: 기본. 가자 지구에 대한 역사와 배경.Nina Rastogi, Slate, 2008년 1월 25일
  6. ^ 라파신데렐라.Al-Ahram, 제761호, 2005년 9월 22일~28일
  7. ^ a b 가자-이집트 국경의 기념비적인 날.BBC, 2005년 11월 26일
  8. ^ 이집트-가자 국경의 새로운 현실(Part I): 새로운 이스라엘-이집트 협정의 내용.브룩 노이만, 워싱턴 근동정책연구소, 2005년 9월 19일
  9. ^ a b Rafah Crossing에 관한 합의 원칙 Wayback Machine에서 2015-07-16을 아카이브. 2005년 11월 15일.
    ② PA는 GoI에 48시간 전에 예외적인 카테고리에 속하는 사람의 통과를 통지한다.GoI는 24시간 이내에 이의신청과 함께 이의신청 사유에 대해 답변합니다.사례별로 PA는 GoI가 제공하는 관계자 정보를 고려한다.PA는 여행 금지 여부를 결정하기 전에 GoI 및 제3자와 협의합니다.
    ②라파는 이집트 수출에도 사용된다.
  10. ^ a b c 이동 및 접근에 관한 합의(AMA)– 배경 업데이트, 2007년 4월; PLO의 NSU에 의한 팔레스타인 페이퍼로부터의 문서.이용 가능
  11. ^ a b 라파 크로싱통한 사람들의 이동.Gisha, 2015년 10월 접속
  12. ^ WFP 인도주의 호송대가 이집트 라파 건널목을 통해 가자 지구에 식량을 배달하고 있다.WFP, 2014년 8월 27일
  13. ^ 가자 횡단보도 운영 현황: Wayback Machine에서 매월 Archived 2015-10-28을 업데이트합니다.OCHAoPt, 2015년 9월Wayback Machine에서 2015-10-16년 아카이브 완료
  14. ^ 2015-11-18년 Wayback Machine에 보관된 FAQ.EU BAM Rafah.2015년 9월 접속
  15. ^ 하마스는 라파 거래끝내겠다고 위협했다.알자지라, 2006년 6월 23일
  16. ^ "The Agreement on Movement and Access One Year On" (PDF). United Nations Office for the Coordination of Humanitarian Affairs. November 20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3-10-05. {{cite journal}}:Cite 저널 요구 사항 journal=(도움말)
  17. ^ 2007년 2월 12일 - Erekat Letter to Pistolese and Dangot Re: Rafah Crossings.Saeb Erekat가 GoI와 EU BAM Rafah에게 보낸 편지, 2007년 2월 12일.이용 가능
  18. ^ EUBM Rafah 7차 CEC 회의의 NSU 토킹 포인트.팔레스타인 페이퍼.이용 가능
  19. ^ a b c 라파 크로싱: 누가 열쇠를 가지고 있습니까?, 페이지 23-25, 136, 143-, 160-, 167-, 170- 174-2009년 3월, 기샤의 노가 카드만.이용 가능
  20. ^ "At Gaza border with Egypt, masses make reverse exodus into Sinai". Haaretz. 2008-01-25.
  21. ^ "UN fails to agree on Gaza statement". Radio Netherlands Worldwide. 2008-01-2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18, 2008.
  22. ^ "Militants blow up Rafah barrier". World News Australia. 2008-01-2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February 19, 2008. Retrieved 2008-01-24.
  23. ^ "Egypt blocks Palestinian 'exodus' in Gaza". AsiaNews. 2008-01-24. Retrieved 2008-01-24.
  24. ^ Kershner, Isabel (2008-02-04). "New York Times: Israeli Defense Minister to Stay in Olmert Coalition". The New York Times. Israel. Retrieved 2011-05-28.
  25. ^ 하마스는 라파 건널목운영하기 위한 공동 메커니즘을 제안한다.신화통신, 2009년 6월 27일
  26. ^ a b 가자-이집트 국경 통과는 영구적으로 개방이다.BBC, 2011년 4월 29일
  27. ^ 이집트는 가자와의 국경다시 개방한다.Kevin Flower, CNN, 2011년 5월 28일
  28. ^ 이집트는 가자 라파 국경 봉쇄를 완화한다.BBC, 2011년 5월 28일
  29. ^ Kirkpatrick, David D. (2011-05-28). "Egypt Reopens Border With Gaza". The New York Times.
  30. ^ "Egypt permanently opens Gaza border crossing". Economictimes.indiatimes.com. 2011-05-28.
  31. ^ 하마스와 이집트의 균열이 4일만에 라파 건널목이 재개되었다.신화통신, 2011년 6월 8일
  32. ^ 라파 건널목은 이집트 폭력사태 이후 폐쇄됐다.알자지라, 2013년 8월 15일
  33. ^ a b c d 하마스가 라파 건널목을 통제한다면 이집트는 라파 건널목을 개방하지 않을 것이다.2015년 3월 6일, 알-아라비 Dia Kalil
  34. ^ '이집트는 라파 크로싱을 위해 PA 대통령 경호원을 훈련시킬 준비가 되어 있다'타임스 오브 이스라엘, 2014년 9월 3일
  35. ^ 팔레스타인과 유럽인들은 라파 건널목재개하는 것을 지지한다.Daoud Kuttab, Al-Monitor, 2014년 8월 20일
  36. ^ a b c 가자지구의 이슬람 지하드가 이집트와의 긴장을 완화할 수 있을까?2015년 3월 16일 알-모니터 아스마 알-굴
  37. ^ a b 라파 건널목을 개설하다마안통신 2015년 3월 7일
  38. ^ 이집트는 하마스가 해빙될 때 가자 지구의 유일한 발전소에 연료를 보낸다.로이터, 2017년 6월 21일
  39. ^ '이스라엘이 가자 가스를 차단하자 이집트가 구조하러 온다.'알모니터, 2018년 8월 14일
  40. ^ Bashir, Abu Bakr; Estrin, Daniel. "'I Want To Get The Hell Out Of Here': Thousands Of Palestinians Are Leaving Gaza". NPR. Retrieved 5 July 2019.
  41. ^ Rasgon, Adam. "Hamas-run Gaza government shuts Egypt crossing to travelers amid virus crisis". www.timesofisrael.com. Retrieved 2021-05-15.
  42. ^ "Egypt closes Rafah crossing after monitoring violations by Hamas". Arab News. 2020-11-04. Retrieved 2021-05-15.
  43. ^ "Hamas 'transgressions' result in Rafah border crossing closing off to vehicles, commodities". EgyptToday. 2020-11-03. Retrieved 2021-05-15.
  44. ^ a b 이집트, 이스라엘-하마 확대 이후 가자 국경 통과 폐쇄
  45. ^ "Egypt 'indefinitely' opens Rafah border crossing with Gaza Strip". www.aljazeera.com. Retrieved 2021-05-15.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