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일 방향

Rail directions

철도 방향은 철도 시스템의 열차 방향을 기술하는 데 사용된다. 사용되는 용어는 나침반 방향, 고도 방향 또는 기타 방향과 같은 출처에서 파생될 수 있다. 그러나, 철도 방향은 실제 방향과 자주 다르기 때문에, 예를 들어, "북행" 열차는 여행의 일부 구간에서 정말로 서쪽으로 향하거나, "하행"하는 열차는 실제로 고도를 높이고 있다. 철도 방향은 종종 시스템, 국가 또는 지역에 특정된다.

방사 방향

많은 철도 시스템은 철도 방향을 정의하기 위해 센터(대개 주요 도시)의 개념을 사용한다.

위아래로

영국의 관행에서, 철도 방향은 대개 ""와 "아래"로 설명되며, "위"는 주요 위치를 향해 있다. 이 협약은 열차와 선로뿐만 아니라 선로변 장비 항목과 선로 주변 지역에도 적용된다. 영국 열차는 왼쪽에서 운행되기 때문에, 노선의 "상향"을 진행할 때 보통 왼쪽이 "상향"이다.[citation needed]

대부분의 네트워크에서는 "위"가 런던을 향한 방향이다. 대부분의 스코틀랜드에서, 서부동부 해안 간선국경 철도를 제외하고, "위"는 에든버러로 향한다. 카디프 주변의 밸리 라인 네트워크는 그 계곡을 "위로" 그리고 "아래로" 여행하는 문자 그대로의 의미와 관련된 독특한 용법을 가지고 있다.미들랜드 철도의 "위"는 더비를 향해 있었다. 북아일랜드 철도망에서, "위"는 일반적으로 Belfast(라인마다 다른 특정한 제로 마일 포스트)를 향한 것을 의미한다. 단, Belfast가 "아래"인 더블린으로의 국경 횡단 서비스를 제외한다. 마일포스트(Mileposts)는 통상 '하향' 방향으로 증가하지만, '상향' 방향으로 주행거리가 증가하는 배텀프턴 분기점과 호커리지 분기점 사이의 트롤브리지 선과 같은 예외도 있다.[1]

개별 트랙은 Up Main 또는 Down Loop과 같은 고유한 이름을 가질 것이다. 런던을 향해 달리는 열차는 보통 "상행" 열차라고 하며, 런던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열차는 "하행"이라고 부른다. 따라서 다운 나이트 리비에라펜잔스로, 업 플라잉 스코츠맨런던 킹스 크로스로 달린다.[citation needed] 예를 들어 맨체스터에서 본머스로 가는 크로스컨트리 열차는 Reading까지 "up" 노선을 사용하고 그 이후에는 "down" 노선을 사용한다.

중국에서, 베이징에 종착역이 있는 철도 방향은 베이징향해 "위로" 그리고 "아래로"라고 묘사된다. 베이징을 출발하는 기차는 "아래로" 반면에 베이징으로 가는 기차는 "위로" 있다. 베이징을 경유하는 열차는 두 개 이상의 번호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얼빈에서 상하이 K58/55로 가는 열차는 두 개의 다른 번호를 사용한다: 하얼빈-하얼빈-상하이-55에.톈진 구간은 베이징 방향으로 열차가 달리고, K58로 알려져 있지만, 톈진 구간은-상하이 구간은 K55로 알려져 있고, 상하이에서 하얼빈으로 가는 반대편 열차는 K56/57로 알려져 있으며, K56은 상하이에서 천진까지, K57은 톈진에서 하얼빈으로 가는 열차는 K56/57로 알려져 있다.[2] 일반적으로 짝수라는 것은 베이징으로 향하는 열차를 의미하며 홀수라는 것은 수도에서 멀어지는 열차를 의미한다.

일본에서는 철도 방향을 "up"(upり, nobori)과 "down"(下り, kudari)이라고 부르는데, 이러한 용어는 여행자의 시간표나[3] 역 안내에 널리 쓰인다. JR그룹 열차의 경우 수도 도쿄로 가는 열차는 '상행'열차인 반면 수도에서 멀어지는 열차는 '하행'열차다. 민간 철도 사업자의 경우, 「up」 또는 「down」(전혀 그렇더라도)의 지정은, 회사가 본사를 「up」으로 하는 곳에 의존한다.

홍콩에서는 대부분의 노선이 중앙과 더 가까운 터미널을 향해 '하행' 방향을 가지고 있는데, 디즈니랜드 쪽으로 하행선이 있는 디즈니랜드 리조트 노선은 이 노선이 분기하는 텅청 노선과 일치하도록 되어 있다. 툰마 선에서 "다운" 끝은 우카이샤이다. 마온샨 노선에서 상하방향이 전환되어 구 서부 철도 노선과 연결될 수 있었다.[4] 방향은 트랙을 따라 표지판이 부착되어 있으며, 주행거리가 상향 방향으로 증가하고 플랫폼에서도 종료된다.

호주 주의 철도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영국의 철도 관행을 따랐다. 철도 방향은 대개 "위"와 "아래"로 설명되며, "위"는 보통 주의 수도인 대부분의 주요 위치를 향해 있다. 를 들어 뉴사우스웨일스에서는 시드니에서 출발하는 열차가 '다운' 열차인 반면 빅토리아에서는 멜버른에서 출발하는 열차가 '다운' 열차인 것이다. 시드니에서 멜버른으로 가는 주간 열차는 앨버리에서 주 경계를 넘을 때까지 "하행" 열차로, 여기서 분류는 "상행" 열차로 변경된다. 이러한 관행을 따르는 상태에서도 개별 라인에 대해서는 예외가 존재한다. 퀸즐랜드 주에서는 각 라인에 대해 "위"와 "아래" 방향을 개별적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브리즈번(로마 스트리트 역)의 주요 철도역(로마 스트리트 역)으로 향하는 열차는 일부 노선은 "상행" 열차로, 다른 노선은 "하행" 열차로 분류될 것이다.[5]

대만에서는 서측 중앙선의 킬룽 방향과 일란선의 바두 방향의 열차를 '상행' 열차로 간주한다. 그러나, 네트워크의 다른 부분에서는, 대신 「시계방향」과 「시계 반대 방향」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인바운드 및 아웃바운드

미국의 많은 통근 철도고속철도 서비스에서, 철도 방향은 도심 위치와 관련이 있다. 인바운드(inbound)라는 용어는 도심으로 통하는 방향, 아웃바운드(outbound)는 도심으로 나가는 반대방향으로 쓰인다.[6][7]

도시명 방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영국의 철도 방향으로는 런던컨트리 등이 있다. 역의 런던 종점은 런던행 열차가 출발하는 종점이다. 시골 끝은 시골로 가는 열차가 출발하는 반대쪽 끝이다. 런던으로 가는 두 개 이상의 경로가 존재하는 경우(예: Exeter St Davids 또는 Edinburgh Waverley) 이러한 사용은 문제가 된다.

짝수와 홀수

프랑스에서 철도 방향은 대개 영국식 시스템에서 위아래에 해당하는 Pair and Impair (Even and Odd)로 설명된다. 페어(Pair)는 파리를 향해 가는 것을 의미하며, 인더스트리는 파리를 떠나가는 것을 의미한다. 이 협약은 열차와 선로뿐만 아니라 선로변 장비 항목에도 적용된다. 페어 또한 파리준동음이기 때문에 방향 P방향 Pair 또는 방향 Paris와 동등하다.

이탈리아에서도 비슷한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는데, 그곳에서는 방향이 파리이 될 수 있다(각각 이븐오드). 파리(짝짝짝짝짝짝짝짝짝짝짝짝짝짝짝짝짝짝짝짝짝짝짝짝짝짝짝짝짝짝짝 파리 시는 구어적 용어로 언급되어 있으며(이탈리아어로 파리기) 파리 기차가 사실상 파리 기차로 통한다(이탈리아의 어느 지점에서 보아도 북서부 방향이다).

러시아(및 전 USSR 국가들)에서 "이른 방향"은 보통 북쪽과 동쪽 방향인 반면 "이상한 방향"은 남쪽과 서쪽 방향이다. "이븐"과 "이상한"을 여행하는 기차는 보통 궤도와 신호 번호뿐만 아니라 짝수와 홀수를 받는다.

원주 방향

도시를 둘러싸는 것과 같은 더블 트랙 루프 라인에서 트랙, 기차 및 트랙사이드 장비는 루프 중앙으로부터의 상대적인 거리로 식별할 수 있다. 이너(Inner)는 지리적 중심에 더 가까운 선로와 그 열차를 가리킨다. Outer는 지리적 중심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선로와 그 열차를 가리킨다. 시드니 열차 시스템의 시티 서클 노선이 한 예다.

원형 노선의 경우 방향은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시계 반대 방향)으로 바인딩된 열차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런던 지하철의 서클 라인이나 센트럴 라인의 루프에서 방향은 흔히 "내부 레일"(시계 반대 방향) 또는 "외부 레일"(시계 방향)이라고 한다.

도쿄의 야마노테 선이오사카 루프 일본의 서클 노선에 대해서도 같은 관행이 사용되고 있는데, 보통 열차가 외선에서는 시계방향으로, 내선에서는 시계방향으로, 내선에서는 반시계방향으로 가는 시스템에서는 방향을 「외선(外線, 소토마와리), 내선(內線)」이라고 한다.

지리적 방향

추기경 방향

미국의 대부분의 철도는 종종 실제 나침반 방향과 다른 명목상의 추기경 방향을 노선 방향에 사용한다. 이러한 방향은 나침반 방향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종종 북쪽, 남쪽, 동쪽 또는 서쪽의 "철도"라고 불린다.

일반적으로 전체 철도 시스템(철도 또는 관련 철도 그룹의 선)은 모든 노선을 동서로 또는 남북으로 두 방향으로만 기술한다. 이것은 열차가 비틀리거나 돌거나 심지어 거리를 위해 역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선을 가로지르면서 열차가 이동하는 방향을 오해할 가능성을 크게 줄인다. 이러한 방향은 반대방향으로 운행하는 열차간 갈등을 해소하는 데도 의의가 있다. 예를 들어, 많은 철도는 동쪽으로 운행하는 동급 열차들이 서쪽으로 운행하는 열차보다 우월하다고 명시하고 있다. 이는 두 대의 열차가 단선 선로에서 지나가는 측선에 접근하고 있다면, 하급 서행 열차는 "측면을 타고" 거기서 우월한 동행 열차가 지나가기를 기다려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미국에서는 대부분의 철도가 '동부와 서부'를 사용하고 있으며, 철도가 '북부와 남부로'를 지정하는 것은 이례적이다(뉴욕시 지하철, 시카고 'L', 워싱턴 메트로 등이 그 예다). 짝수 열차(상위 열차)는 동쪽(또는 북쪽)을 여행한다. 홀수 열차는 서쪽으로(또는 남쪽으로) 이동한다.

런던 지하철에서는 일반적으로 지리적 방향 명칭이 외측 레일 및 내측 레일인 서클 라인을 제외하고 우세하다(예: 동측, 서측).

북쪽과 남쪽의 다른 이름

뉴욕 시에서는 지하철에서 업타운다운타운이라는 용어가 각각 북행과 남행이라는 의미로 사용된다.[8] 명목상의 철도 방향은 이 노선이 맨해튼에 진입할 때 어떻게 이동할지에 따라 결정된다.

베이징과 연결되지 않은 중국 내 철도의 경우 남북이 '상향'으로, 동서남북이 '하향'으로 쓰인다. 홀수 번호 열차 코드는 "다운" 열차에는 사용되는 반면, 짝수 번호로는 "업"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베이징 서부에서 라사로 가는 T27 열차는 홀수이기 때문에 "다운"(베이징에서 멀어지는)이다.

참조

  1. ^ Yonge, John; Padgett, David (August 2010) [1989]. Bridge, Mike (ed.). Railway Track Diagrams 3: Western (5th ed.). Bradford on Avon: Trackmaps. maps 4C, 11C. ISBN 978-0-9549866-6-7.
  2. ^ 열차 번호
  3. ^ JR 시간표, 2012년 3월호
  4. ^ [1]
  5. ^ "Directional Running of Trains in QLD". Retrieved 20 July 2014.
  6. ^ Ferry, J. Amanda (May 20, 2003). "Boston's subway". Boston.com. Retrieved 2016-02-27.
  7. ^ "Muni Metro Map". The San Francisco Municipal Transportation Agency. Retrieved 31 October 2013.
  8. ^ "How to Ride the Subway". Metropolitan Transportation Authority. Retrieved 31 October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