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미로 데 마에츠투

Ramiro de Maeztu
라미로 데 마에츠투
Ramiro de Maeztu, de Indalecio Ojanguren (Azpeitia, 1934).jpg
1934년 마에즈투
아르헨티나 주재 대사
재직중
1928년 2월 – 1930년 2월
코르테스 멤버
재직중
1933–1936
개인내역
태어난
라미로 데 마에츠투 이 휘트니

(1875-05-04)4년 5월 1875년 5월
스페인 비토리아
죽은1936년 10월 29일 (1936-10-29) (61)
스페인 마드리드
정당애국동맹
전국 군주 동맹
스페인 리노베이션

라미로 데 마에즈투 이 휘트니(Ramiro de Maeztu y Whitney, 1875년 5월 4일 ~ 1936년 10월 29일)는 다작의 스페인 수필가, 언론가, 홍보가였다. 그의 초기 문학작품은 그를 98세대에 모신다. 젊은 시절 니체인과 사회다윈주의 사상에 정통한 그는 파비안 사회주의와 친밀해졌고, 이후 런던 특파원으로서 대전을 고질화했던 시기부터 런던 특파원 시절에는 분배주의사회적 협동주의에 빠져들었다. 프리모 리베라 독재정권 시절 그는 아르헨티나 대사를 지냈다. 확고한 군국주의자였던 그는 스페인 공화국에 대항하는 가장 유명한 극우 이론가 중 한 명이 되어 군사 쿠데타를 요구하는 반동적인 목소리를 이끌었다. 문화단체 아치온 에스파뇰라의 일원으로 히스파니다드(스페인어)라는 개념을 전파했다. 스페인 내전 발발 후 공화당 당국에 의해 투옥된 그는 갈등의 와중에 사카 중 좌익 민병대에 의해 살해되었다.

어린 시절과 경력

라미로 데 마에츠투 이 휘트니는 1875년 5월 4일 알라바 지방의 수도 비토리아에서 태어났다. 그는 나바레 출신의 조상을 가진 치엔푸에고스에서 태어난 쿠바의 기술자 겸 지주인 마누엘 드 마에츠 로드리게스의 아들이었다. 파리에 있는 동안, 그는 니스에서 태어났고 영국 외교관의 딸인 그녀의 어머니 후아나 휘트니를 16살 때 만났다.

화이트리가 그린 젊은 마에즈투의 초상화.

그는 호세 마르티네스 루이즈("아조린"), 피오 바로야 등과 함께 1898년 스페인-미국 전쟁에서 조국이 굴욕적인 패배로 깊은 영향을 받은 젊은 스페인 지식인 중 한 명이었다.[1] 그의 첫 수필집은 1898년 하시아 오트라 에스파냐("Towards a Different Spain")라는 이름으로 출판되었다.

사회주의 초기 주창자였던 그는 여러 스페인 신문의 런던 특파원으로 근무하던 중 대전에 환멸을 느끼고 프랑스와 독일을 여행했다.[2]

오른쪽으로 이동

스페인으로 돌아온 마에츠투는 많은 친구들을 배척하고 인간의 이성만으로는 사회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고 주장했으며, 로마 가톨릭교회에 뿌리를 둔 강력한 권위와 전통의 중요성을 주장했다. 그러한 생각들은 그의 1916년 저서 "전쟁의 빛 속의 권위, 자유, 그리고 기능"에서 구체화되었는데, 처음에는 영어로, 나중에는 스페인어로 "La Crisism del Humanismo"(1919)로 출판되었다.

1920년 산차가 만든 마에즈투의 캐리커처.

마에즈투는 미겔 프리모리베라 정권의 대표적인 옹호자 중 한 명이 되었으며 스페인이 "16세기 로마 가톨릭 사명감을 회복할 것"[3]을 요구했다. 1926년 의 문학 에세이가 돈키호테, 후안 이 라 셀레스티나에 실렸고, 1928년에는 아르헨티나 주재 스페인 대사를 지냈다.

1930년 프리모 드 리베라 애국동맹의 계승 정당인 전국 군주동맹에 가입하여 독재자 호세 안토니오, 전직 장관 호세 칼보 소텔로, 에두아르도 칼레호 데 라 쿠에스타 등 독재정권의 다른 옹호자들과 함께 활동하였다.[4]

마에즈투는 페드로 사인스 로드리게스 등과 함께 1931년 군주 정치 운동인 아치온 에스파뇰라를 창설했다.[5] 1934년 그의 최종 출간된 책인 '데펜사 데 라 히스파니다드("스페인어의 수호")는 '순수한 스페인어로의 회귀'를 주창하고 자유주의와 프랑스 혁명의 슬로건인 '자유, 평등, 우애'를 강하게 비난한 책으로, 그는 자신의 모토, 의무, 위계, 인간성으로 맞섰다. 그는 스페인어와 카톨릭에 의해 스페인과 이전의 식민지를 통합한 영적 세계로서 스페인어를 생각했고, 합리주의와 민주주의는 아마도 히스패닉계 정신과는 별개라고 생각된다.

죽음과 유산

마에츠투는 1936년 10월 29일 마드리드 근교 스페인 내전 초기에 공화군 병사들에 의해 처형되었다.[6] 이 마지막 말은 그에게서 기인한다. `너는 나를 왜 죽였는지 모르지만, 나는 내가 왜 죽는지 안다. 너의 아이들이 너보다 더 낫기를 바란다.'[7] 그의 정치적 사상은 칠레 역사학자 제이미 에이자구레르에게 깊은 영향을 미쳤다.[8]

그의 여동생은 스페인 교육자 겸 페미니스트인 마리아 마에즈투마드리드에 리스테르겐시아 데 세뇨리타스와 리슘 클럽을 설립했으며, 동생은 화가 구스타보 데 마에즈투로 스페인 에스테라르 왕궁에 자신의 이름을 딴 박물관을 갖고 있다.

스페인의 철학자 호세 오르테가 가셋은 그의 저서 '키호테에 관한 명상'(1914년)을 마에츠투에게 바쳤다 - "A Ramiro de Maeztu, con un Gesso friendal"[9]

작동하다

  • (1899년). 하시아 오트라 에스파냐
  • (1911. La Revolucion y los Intelectuales)
  • (1916. 잉글라테라아르마스
  • (1919. La Crisis del Humanismo)
  • (1920년). 델 에스피리투로스 바스코스
  • (1926. Don Kujote, Don Juan Y La Celestina)
  • (1934년). 디펜사 히스파니다드
  • (1935년). 포에시아 리리카 에스파뇰라

영어 번역 작품

추가 읽기

  • 블랑코 아귀나가, 카를로스(1970). 주번트 98, 마드리드: 시글로 베인티누노.
  • 블라스 게레로, 안드레스 드(1993) 라 렘뤼데다드 나시오날리스타 라미로마에츠투, 시엔아스 폴리티크 i 소셜 연구소.
  • 시에르바, 리카르도 데 라(1987년). La Derecha sin Remedio (1801-1987), 바르셀로나: 플라자 y Janes.
  • 크로포드, 수잔나 위컴(1962년). 워싱턴 대학교 라미로마에츠투 에세이의 자유의 개념
  • 페르난데스-바로스, 엔리케(1974년). "미국의 돈과 부에 대한 라미로 드 마에츠투," 현대 시대, 제16권, 제1호, 페이지 53–63.
  • 이리바네, 마누엘 프래가(1976년). 라미로마에즈투엔 론드레스, 컬투라 히사니카
  • 이리바네, 마누엘 프래가(1981년). 엘 펜사미엔토 음악원, 바르셀로나 에스파뇰: 플라네타.
  • 플로레스, 마리아 호세(2002년). 라미로 드 마에즈투 이 휘트니: 유니프레스, 유니프레스, 헤리도 포르 에스파냐.
  • 곤살레스 쿠에바스, 페드로 카를로스(2005) 엘 펜사미엔토 폴리티코 데레차 에스파뇰라 시글로 XX, 테크노스
  • 란데이라, 리카르도(1978년). Twayne Publishers, Ramiro de Maeztu. 라미로 드 마에즈투.
  • 마레로, 비센테(1955년). 마드리드 마에츠: 리알프.
  • 마레로, 비센테 (1986) El P. Arintero y Ramiro de Maeztu, 편집자 산 에스테반.
  • 노직, 마틴(1954년). "A Examination of Ramiro de Maeztu," 69권, 4번, 페이지 719–740.
  • 팔라시오스 페르난데스, 에밀리오(1982년). 라미로 마에즈투, 노동 리터리아 피르디스타(1897-1910), 디푸타시온 포랄 데 알라바, 출발라멘토 데 푸르마시오네스.
  • 로카모라, 페드로 (1974년) "Ramiro de Maetzu y la Generacion del 98," Arbor, 341, 페이지 7–22.
  • 발말라, 안토니오 데(1908) "라미로 데 마에츠투." 바르셀로나의 로스 보그로스모더니즘에서: 루이스 길리
  • 빌리에-워델, 재니(1909) 스페인어, 뉴욕: 찰스 스크리브너의 아들들.
  • 윌슨, 프란시스 G. (1964) "라미로 드 마에츠투 - 혁명의 비평가," 모던 에이지, 볼. VIII, 제2호 [질서와 정당성의 의원: 국가 스페인의 정치적 사상, 거래 출판사, 2004년].
  • 메모들

    1. ^ 노직, 마틴(1971년). 미겔 드 우나무노, 트웨인 출판사.
    2. ^ 코멘탈, 에드워드 P. (2006년). T. E. Hulme과 Modernism의 질문, Ashgate 출판사, 88페이지.
    3. ^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마에즈투 라미로
    4. ^ Porto Ucha, Ángel Serafín; Vázquez Ramil, Raquel (30 April 2015). María de Maeztu. Una antología de textos. Madrid: Editorial Dykinson. p. 99. ISBN 978-84-9085-383-2.
    5. ^ 보이드, 캐롤린 P. (1997) 히스토리아 파트리아: 스페인의 정치, 역사 및 국가 정체성, 1875–1975, 프린스턴 대학교 출판부, 페이지 225–226.
    6. ^ 아레돈도, 크리스토퍼 브리트(2005년). 퀴소티즘: 스페인의 제국의 상실에 대한 상상력 있는 부정, SUNY Press, 91페이지.
    7. ^ 곤살레스 쿠에바스 페드로 카를로스(2003) 마에즈투: 비오그라피아 나시오날리스타 에스파뇰, 마르소셜 폰스 히스토리아 359페이지.
    8. ^ "Jaime Eyzaguirre (1908-1968)". Memoria Chilena (in Spanish). Biblioteca Nacional de Chile. Retrieved January 29, 2016.
    9. ^ 오르테가 이 가셋, 호세(1914년) Meditaciones del Quijote, Madrid: Publicaciones de la Ferstencia de Estudiantes.
    10. ^ 쇼, 조지 버나드(1916). "버나드 쇼씨의 혼돈 혐의" 뉴에이지, 제7권 197-198호.
    11. ^ 라브린, 얀코(1918). "도스토예프스키 문제" 뉴에이지, 제 24권, 페이지 465-466.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