랜돌프 파이트

Randolph M. Pate
랜돌프 맥콜 파이트
GenRMPate USMC (cropped).jpg
랜돌프 파이트 장군
태어난(1898-02-11)1898년 2월 11일
사우스캐롤라이나 주 포트 로얄
죽은1961년 7월 31일 (1961-07-31) (63세)
메릴랜드 베데스다국립 해군 의료 센터
파묻힌
얼리전스 미국
서비스/지점 미국 해병대
근속년수1918–1959
순위US Marine 10 shoulderboard.svg 일반
보유된 명령해병대사령관
해병 2사단
해병 1사단
해병대 예비역
전투/와이어바나나 전쟁

제2차 세계 대전

수상해군 공로훈장
육군 공로훈장
레지옹 공로(2)
퍼플 하트

랜돌프 맥콜 파테(Randolph McCall Pate, 1898년 2월 11일 ~ 1961년 7월 31일)는 1956년부터 1959년까지 해병대의 21대 사령관을 역임한 미국 해병대 장군이다.

파이트는 제2차 세계대전의 참전 용사로 과달카날과 이우지마에서 액션을 보았고, 이후 한국에서 복무했으며, 산토도밍고, 중국에서는 전쟁 전 원정대를 지냈다.

초년

Pate는 1898년 2월 11일 사우스캐롤라이나주 Port Royal에서 태어났다. 1918년 미 육군에 입대하여 잠시 복무하다가 1921년 6월에 졸업하여 버지니아 군사 연구소에 입학하여 학사 학위를 받았다. 는 그해 9월 해병대 예비역 중위로 임관했고, 이듬해 5월 정규 해병대에 임관했다.

군경력

1923년과 1924년 산토도밍고, 1927년부터 1929년까지 중국에서 원정 임무 외에 파테는 미국과 하와이의 여러 직책에서 근무했다. 1926년 9월 중위로, 1934년 11월 대위로, 1938년 10월 소령으로 진급했다. 1939년 봄 노스캐롤라이나주 뉴리버(나머지 캠프 레쥔)에서 제1 해병사단 보급참모차장이 되었고, 1942년 1월 중령으로 진급하는 동안 육군 중령으로 진급했다. 그는 과달카날 캠페인의 계획과 전투 단계에 참여하면서 이 자격으로 제2차 세계대전을 시작했다. 파테는 레이몬드 P 중령이 계승했다. 1942년 10월 21일 커피맨. 그는 1943년 12월에 대령으로 진급했고, 후에 태평양 지역에서 더 많은 병역을 보았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홀랜드 M 장군. 스미스는 태평양 함대 해병대 사령관의 부참모장으로서 뛰어난 공로를 인정받아 파이트에게 레지오트 훈장을 수여했다. 1944년 9월 11일부터 1945년 11월 1일까지 그 자격으로 복무하면서 당시 대령이었던 파테는 팔라우, 이우지마, 오키나와에서 수륙양용 작전 수행으로 특히 인용되었다.

1947년, 알렉산더 A 장군. 당시 해병대 사령관이던 반데그리프트는 제2의 레지옹호 대신 파이트에게 금별을 선물했다. 이 상은 미국의 첫 대일 공세 때 해병대 1사단 보급담당 보좌관으로서 과달카날에서 유난히 공로를 인정받은 공로였다.

전쟁 후 미국으로 돌아온 파이트는 1946년 1월 해병대 본부 예비역 소장으로 임명되었다. 이듬해 그는 해군 총참모장 직책을 맡았다. 1948년 7월 버지니아 주 콴티코 해병대학교의 참모장이 되었고, 2년 후 해병대 교육원장으로 임명되었다. 1949년 9월 콴티코에 주둔하던 중 준장으로 진급했다.

1951년 7월, 파테는 합동참모본부에 배속되어, 합동참모본부의 부국장을 역임하였다. 그 해 11월에 두 번째로 해병대 예비역 소장으로 임명되었고, 1952년 8월에 소장으로 진급되었다. 다음 달에는 캠프 르쥔에서 해병 2사단을 지휘했다. 1953년 6월 한국으로 발령을 받은 그는 1954년 5월까지 해병 1사단을 지휘하며 육군 공훈장과 대한민국 무공훈장 태욱장을 받았다.

1954년 7월 파테는 해병대의 부사령관과 참모총장으로 임명되어 18개월 동안 중장으로 근무했다. 1956년 1월 1일 장군으로 진급하여 해병대 특공대장으로 취임 선서를 하였고, 레무엘 C 장군의 뒤를 이었다. 셰퍼드 지휘관으로 4년간 근무한 후, 그는 장군의 계급과 함께 은퇴했다. 1959년 12월 31일 퇴임식에서 파테는 "1956년 1월 1일부터 1959년 12월 31일까지 해병대의 특전사로서 큰 책임을 지고 미국정부에 유공한 공로를 인정받아 해군공로훈장을 받았다.

포스트 밀리터리

잠시 병을 앓은 후, 파이트는 1961년 7월 31일 메릴랜드 베데스다의 미국 해군병원에서 사망했다. 장례식은 1961년 8월 3일 버지니아주 알링턴의 포트 마이어 채플에서 열렸으며, 그는 알링턴 국립묘지에서 전군예우를 받았다.

1926년 7월 2일 결혼한 파이트의 아내 메리 엘리자베스 번팅 파테(1899년 7월 4일 ~ 1975년 12월 31일)는 그와 함께 매장되어 있다.

영예와 상

Pate의 메달과 훈장은 다음과 같다.

Combat Distinguishing Device.svg1 golden star.svg
Bronze star
Bronze star
Bronze star
Bronze star
Bronze star
Bronze star
Bronze star
Bronze star
Bronze star
1열로 해군 공로훈장 육군 공로훈장
2열로 금성 1개와 전투 V가 있는 레지옹의 공로 퍼플 하트 하나와 함께하는 대통령부대 표창장 해군 부대 표창
3열로 제1차 세계 대전 승리 메달 2명의 서비스 스타와 함께하는 해병대 원정대 메달 양쯔 서비스 메달 미국 방위군 훈장
사열로4길 아메리칸 캠페인 메달 3명의 서비스 스타와 함께하는 아시아 태평양 캠페인 메달 제2차 세계 대전 승리 메달 국방훈장
5열로 한 명의 서비스 스타와 함께하는 대한민국 서비스 메달 국보훈장 청동별[citation needed] 구선 대한민국 대통령부대 표창, 서비스 스타와 함께 유엔 대한민국 메달

그의 공로훈장 표창장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해병대 1사단의 지휘권을 맡은 직후 해병대 예비대에서 온라인을 통해 1사단을 이동시킨 그는 통상적으로 사단 책임 영역보다 규모가 훨씬 큰 분야를 담당했다. 그는 자신의 부대 배치에서 가장 빈틈없는 군사적 판단과 재량권을 발휘했고, 최종적인 적 공세에서도 적을 억제하고 유엔 라인의 청렴함을 유지할 수 있었다. 정전협정에 이어 구 전투태세의 집중적인 인양 프로그램을 개시하여 사령부를 위해 수천 달러를 절감한 것을 깨닫고, 다시 크게 확장된 전선으로 새로운 주요 전투태세의 건설을 직접 감독하고 지도하였다. 휴전 이후 내내 전투태세를 유지해야 할 필요성을 인식한 그는 지상전과 수륙양용 공격작전의 전투기술에 대한 지향과 세뇌로 구성된 이중목적 공격적이고 현실적이며 종합적인 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했다. 또 전례 없는 전쟁 교환의 '빅 스위치' 포로 시절 이자부대와 협력하고 조율했다. 이 민감한 프로젝트는 사단 책임 영역에 속했고, 그의 선견지명과 조직적인 과정을 통해 아무런 불미스러운 사건 없이 송환 프로그램이 마무리되었다.

참조

Public Domain 이 기사는 미국 해병대의 웹사이트나 문서의 공개 도메인 자료를 통합하고 있다.

  • "General Randolph McC. Pate, USMC (Deceased)". Who's Who in Marine Corps History. United States Marine Corps History Divis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3-05-08. Retrieved 2013-04-10.
  • "Randolph McCall Pate, General, United States Marine Corps". Arlington National Cemetery. Retrieved 2011-03-30.
  • Allan Reed Millett; Jack Shulimson, eds. (2004). Commandants of the Marine Corps. Annapolis, Maryland: Naval Institute Press. pp. 349–361. ISBN 978-0-87021-012-9.
군청
선행자 해병대사령관
1956–1959
성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