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멕시코인

Regional Mexican

지역 멕시코 음악은 멕시코미국 남서부의 컨트리 음악의 지역적 하위 장르와 스타일을 총칭합니다. 각 하위 장르는 특정 지역을 대표하며 지역에 따라 인기가 다릅니다. 하위 장르로는 반다, 컨트리에스파뇰, 듀랑구엔스, 그루페로, 마리아치, 뉴멕시코 음악, 노르테뇨, 테야노, 티에라 칼리엔테 등이 있습니다.[1] 미국에서 멕시코계 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가장 인기 있는 라디오 형식 중 하나입니다.[2][3][4]

각각의 장르 내에서 멕시코 지역 예술가들은 목장, 코리도, 컴비아, 볼레로, 발라드 등 다양한 스타일의 노래를 공연합니다.[5]

컨트리세르타네호 음악과 유사하게 멕시코 지역 장르의 아티스트는 종종 웨스턴 웨어데님 의류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입니다.[6]

역사

18세기 - 20세기: 오리진스

지역 멕시코인들의 많은 다양한 하위 장르들이 18세기에 기원을 두고 있습니다. 원주민, 아프리카, 스페인 악기와 스타일이 함께 혼합되어 이러한 장르의 음악을 만들었습니다.[7] 예를 들어, 마리아치는 그 무렵 할리스코 주에서 시작되었습니다.[8] 마리아치 장르는 비후엘라, 기타론, 트럼펫, 바이올린을 사용하는 것으로 구별됩니다. 다른 장르는 20세기 후반에 등장했는데, 그 예로 목장이 있습니다. 란체라는 멕시코 혁명 동안 형성된 지역 멕시코인의 전통 양식입니다.[9]

1940년대-1970년대: 마리아치의 부상과 인기

1940년대부터 1960년대까지 멕시코 지역 음악의 인기는 영화에 사용된 많은 지역 멕시코 사운드 트랙이 추가되면서 증가했습니다.[3] 이 무렵 지역 멕시코 볼레로가 인기를 끌었습니다.

랜체라 가수 비센테 페르난데스가 2013년 은퇴 쇼에서 공연하고 있습니다.

1970년대에 마리아치 장르는 미국을 포함한 다른 지역으로 점점 더 퍼지기 시작했습니다. 이 시기의 많은 인기 있는 마리아치 가수로는 비센테 페르난데스안토니오 아길라르가 있습니다. 1970년대 테크노반다는 멕시코의 나야리트 주에서 반다그루페라 음악의 하이브리드 음악이 개발되었습니다.

1980년대

1980년대에, 싱어송라이터 후안 가브리엘앙겔리카 마리아와 함께 란체라 발라드를 대중화시켰습니다. 멕시코 북부 주 출신의 로스 브라보스 델 노르테, 로스 카데데스 리나레스, 로스 인바소레스 누에보 레온과 같은 많은 음악 그룹들이 북부 스타일과 아코디언바호섹토와 같은 악기들을 사용하여 음악을 만들었습니다.[10] 다양한 장르들은 "Legional Mexican"이라는 용어로 묶였고 1980년대에 멕시코 인구의 집중으로 인해 미국에서 인기가 높아졌습니다. 1984년, 빌보드는 그들의 잡지에 지역 멕시코 앨범 차트를 발표했습니다.

1990년대: 테자노 황금기

1990년대에, 다양한 지역 멕시코 음악의 하위 장르들은 인기를 유지했고 멕시코 전역과 미국 전역에서 인기를 얻었습니다. 1990년대에 에스파뇰 국가의 인기 붐은 멕시코의 중심 지역에 도달했습니다. 1992년, 나르코코리도 장르에 영향을 미친 멕시코 가수 찰리노 산체스가 나이트클럽 밖에서 살해당했습니다. 1990년대 초, 그루페로 장르는 미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지역 멕시코 장르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이것은 전기 기타, 키보드드럼의 독특한 사용 때문이었습니다.[11] 이 장르의 인기 그룹에는 그루포 리마이트, 반다 마초스, 반다 메기, 로스 투카네스티후아나가 포함되었습니다. 미국 가수 셀레나(Selena)와 같은 다른 멕시코 지역 예술가들은 테자노 음악과 스타일을 결합한 것으로 유명했습니다. 테자노 음악은 곧 그 장르에서 가장 두드러지고 미국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음악 장르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테자노의 황금기는 셀레나가 총에 맞아 사망한 1995년 3월 31일에 끝난 것으로 여겨집니다.[12] 셀레나(Selena)의 음악은 1990년대 장르의 부활을 이끌었고 처음으로 시장성을 갖게 했습니다. 1994년 미국에서는 멕시코 지역 음악의 빌보드 차트가 만들어졌고 대부분 테크노쿰비아와 그루페로 발라다를 포함했습니다. 반다 제타(Banda Zeta)의 '라니냐 프레사(La Nina Fresa)'가 이 차트에 처음으로 1위를 차지한 곡입니다.[13]

2000년대와 2010년대

2000년대 들어 멕시코 지역 그룹들은 캘리포니아에 기반을 둔 노테뇨 밴드 로스 티그레스노테아 그룹을 포함한 음악을 계속 발표했고, 1970년대에는 멕시코 지역 음악을 발표하기도 했습니다.[14] 2000년대에 반다 MS를 포함한 새로운 지역 멕시코 그룹이 형성되었습니다.

2010년대 들어 멕시코 지역 음악은 수십 년 전에 비해 대중성이 떨어졌지만 계속 개척되었습니다. 아리엘 카마초(Ariel Camacho)와 같은 예술가들이 로스 플레브스 델 란초(Los Plebes del Rancho)와 함께 시에르뇨 스타일을 이끌었습니다. 그는 2015년 그의 사망 전후로 다른 많은 멕시코 지역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줄 것입니다.[3]

2020년대: 글로벌 재유행

2023년 콘서트에서 페소 플루마.

2020년대 초, 멕시코 지역 장르는 차트 1위를 차지하며 전 세계적으로 부활했습니다. 스포티파이(Spotify)에 따르면 멕시코 음악 스트리밍 수는 2019년 이후 두 배 이상 증가하여 56억 건에 달했습니다.[15] 2020년대 멕시코 지역 아티스트 중 가장 많이 들은 아티스트로는 페소 플루마, 나타넬 카노, 주니어 H, 그루포 프론테라, 반다 MS, 이반 코르네호, 그루포 페르메 등이 있습니다.[4] "Ela Baila Sola"라는 제목의 Eslabon Armando와 함께한 노래가 미국 빌보드 메인스트림 팝 차트인 Hot 100에서 4위를 차지한 Peso Pluma를[16] 포함하여 많은 멕시코 현지 아티스트들이 수백만 스트리밍과 차트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이러한 새로운 아티스트의 인기 있는 장르에는 코리도스 텀바도스 또는 트랩 코리도스가 있습니다. 2023년에는 배드 버니(Bad Bunny), 베키 지(Becky G), 샤키라(Shakira)를 포함한 라틴 아티스트들이 멕시코 현지 음악과 함께 노래와 앨범을 발표했습니다.[3][17]

관련 형식

Uforia Audio Network는 멕시코 지역 포맷을 운영하는 다수의 방송국을 소유하고 있습니다.[1] TV 채널인 Bandamax와 Video Rolla는 Regional Mexican 장르와 관련된 프로그래밍을 전송하는 데 전념하고 있습니다. 멕시코에는 지역 멕시코 음악에만 전념하는 라디오 방송국과 특정 하위 장르가 있는 라디오 방송국이 많이 있습니다. 멕시코 지역 방송국은 주로 멕시코계 미국인을 대상으로 미국에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위 장르

참고 항목

참고문헌

  1. ^ a b "Our Story, Our Content". Univision Radio.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14, 2011.
  2. ^ Ho, Rodney (November 29, 2006). "105.3 FM changed to Regional Mexican". Atlanta Journal-Constitu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February 14, 2012.
  3. ^ a b c d Aguilera, Tere (August 22, 2023). "Know the Difference Between Corridos, Norteño and Sierreño? Our Mexican Music Dictionary Breaks Down the Genre's Styles". Billboard. Retrieved March 23, 2024.
  4. ^ a b "Regional Mexican music is crossing borders and going global. Here's how it happened". AP News. January 26, 2024. Retrieved March 23, 2024.
  5. ^ "Genres · The Sounds of México · Cook Music Library Digital Exhibitions". collections.libraries.indiana.edu. Retrieved March 24, 2024.
  6. ^ "Los mejores accesorios del regional mexicano". Univision. March 2, 2017. Retrieved March 23, 2024.
  7. ^ "Mexican Music History". themusichistory.com. Retrieved March 23, 2024.
  8. ^ "Puro Mariachi - History". www.mariachi.org. Retrieved March 23, 2024.
  9. ^ Brenner, Helmut; Stanford, Thomas (1996). Música ranchera: das mexikanische Äquivalent zur country and Western music aus historischer, musikalischer und kommerzieller Sicht. Musikethnologische Sammelbände. Tutzing: H. Schneider. ISBN 978-3-7952-0867-7.
  10. ^ Flores, Griselda (October 3, 2022). "Hispanic Heritage Month: 37 Songs That Tell the Story of Regional Mexican". Billboard. Retrieved March 23, 2024.
  11. ^ "Diferencia entre ser ranchero y ser grupero". Soy Grupero: ¡Lo mejor del mundo grupero! Entérate ahora. April 12, 2019. Retrieved March 23, 2024.
  12. ^ "A look back at the life of Selena". New York Daily News. March 30, 2023. Retrieved March 24, 2024.
  13. ^ devops (January 2, 2013). "Regional Mexican Airplay". Billboard. Retrieved March 23, 2024.
  14. ^ Beauregard, Rodrigo Soriano, Luis Pablo (June 13, 2023). "A new chapter in the Latin boom: Mexican music takes over from reggaeton". EL PAÍS English. Retrieved March 23, 2024.{{cite web}}: CS1 maint: 다중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15. ^ [email protected] (September 16, 2022). "A New Generation of Artists Is Reinventing Mexican Music and Captivating Listeners Around the World". Spotify. Retrieved March 24, 2024.
  16. ^ "Regional Mexican Music Is Finding More Ears". NY Times. June 6, 2023. Retrieved March 23, 2024.
  17. ^ "Shakira explores regional Mexican music with her upcoming single 'El Jefe': What we know so far". HOLA. September 18, 2023. Retrieved March 23, 2024.
  18. ^ Flores, Griselda (February 9, 2021). "Sad Sierreño: Up-and-Coming Mexican Regional Acts Are Bringing a New Wave of Ballads to the Charts". Billboard. Retrieved March 23, 2024.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