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계시록 13
Revelation 13요한계시록 13 | |
---|---|
← 제12장 14장 → | |
2세기부터 파피루스 98의 베르소 쪽에 대한 폭로 1:13-2:1. | |
책 | 요한계시록 |
카테고리 | 묵시록. |
기독교 성경 부분 | 신약성서 |
기독교 부분의 질서 | 27 |
요한계시록 13장은 요한계시록이나 요한계시록의 13장이다. 이 책은 전통적으로 사도 요한에게 귀속되지만,[1][2] 저자의 정확한 정체성은 학문적 논쟁점으로 남아 있다.[3] 저자는 '바다 위에 서 있다'[4]면서 본 두 짐승이나 괴물, 바다에서 온 괴물, 육지에서 온 괴물의 환영을 기록한다.[5]
텍스트
원문은 코인 그리스어로 쓰여졌다. 이 장은 18절로 나뉜다.
문자증인
이 장의 본문을 수록한 일부 초기 원고는 그 중에서도 다음과 같다.[6][a]
- 파피루스 115 (ca. 275; 현존하는 구 1-3, 6-16, 18)
- 파피루스 47(3세기)
- 코덱스 시나티쿠스 (330-360)
- 코덱스 알렉산드리누스 (400-440)
- Codex Ephraemi Rescriptus (ca. 450; 완료)
바다에서 온 괴물 (13:1–10)
앞 장 마지막 소절(18절)[8]은 짐승의 외모를 짐승에게 위임하는 용과 연결시킨다.
1절
- 그리고 나는 바다의 모래 위에 섰다. 그리고 나는 어떤 짐승이 바다 밖으로 솟아올라, 머리 일곱 개와 뿔 열 개를 가지고, 뿔에 열 관을 달고, 머리에는 불경스러운 이름을 달고 있는 것을 보았다.[9]
어떤 원고에는 textsἐτά, estathathn, 나는 서 있었고, 다른 원고에는 요한계시록 12장 17절의 용을 가리키며 서 있었다.
- "바다":여기서는 '원초적 혼란의 영역, 악의 근원, 심연의 대체 이미지(cf)'를 나타낸다. 요한계시록 11장 7절).[8]
2절
- 이제 내가 본 짐승은 표범과 같고, 발은 곰의 발과 같으며, 입은 사자의 입과 같았다. 용은 그에게 그의 권세와 왕위, 그리고 위대한 권위를 주었다.[10]
야수의 지배적인 폭력적 특성은 4대 세계 제국(다니엘 7:1–8)을 대표하는 대니얼 책에 나오는 4대 짐승의 비전을 모델로 하고 있다.[8]
5절
5절의 언어는 다니엘 7:6,8,25를 반영한다.[8] 비록 짐승의 힘은 용에 의해 주어지지만(2절) 신의 허락에 의해서만 발휘될 수 있다(5절).[8]
육지에서 온 괴물(13:11–18)
이것은 두 번째 짐승으로, '거짓 예언자'(재위 16:13; 19:20; 20:10)라고도 불리며, '도시 엘리트들의 저명한 일원이 포함된 제국 숭배 집단의 성직자를 부활시킨다'[13]고 한다.
11절
- 그때 땅 속에서 또 다른 짐승이 올라오는 것을 보았는데, 그는 양처럼 뿔이 두 개 있고 용처럼 말을 했다.[14]
16~17절
- 16 그는 크고 작은 부자와 가난한 자, 모두, 자유롭고 노예로, 오른손이나 이마에 표식을 받게 하여, 표식이나 짐승의 이름이나 그 이름의 번호를 가진 자 외에는 아무도 사거나 팔지 못하게 한다.[16]
짐승의 표식은 '성실한 기독교인의 이마에 하나님의 소유권 도장을 패러디한 것'(7:3; 14:1)인 듯하다.[17] '구매하고 파는 것'에 대한 언급은 '특히 기독교인들이 우상숭배와 타협하고 싶은 유혹을 느낀 도시의 사업생활에 참여하기 위해서'라는 사실을 반영할 수 있을 것이다.[17]
18절
'짐승의 숫자'가 '사람의 숫자'와 같다는 언급은 여러 해석을 낳는데, 그리스어나 히브리 문자도 숫자로 기능했기 때문에 '단어의 숫자 값' 즉, '게마트리아'로 알려진 관행을 합칠 수 있었기 때문이다.[17] 히브리 문자로 번역할 때 "비스트"(열) 또는 "네로(n) 카이사르"라는 그리스어는 총가치가 666이지만, 요한계시록 17:9에 대한 '언어적 연계'는 숫자의 더 큰 의의를 나타낸다(17장에서 더 발전될 것이다).[17] 숫자 666은 삼각수(즉, 1부터 36까지의 모든 숫자의 합)라는 점에서 특이하며, 이중 삼각수(36은 8까지의 모든 숫자의 합이기 때문)와 8번째 그러한 숫자(1,6, 21, 55, 120, 231, 406, 666의 시리즈)라는 점에서 특이하다.[17] 네로 역시 '8대 권력자'로 드러난다.[17] 적어도 하나의 원고는 616을 읽는다.[19][20]
참고 항목
- 놀래라.
- 요한의 인자에 대한 비전
- 신약성서에 나오는 예수의 이름과 호칭
- 야수의 수
- 더 비스트
- 관련 성경 부분: 요한계시록 5, 요한계시록 6, 요한계시록 7, 요한계시록 8, 요한계시록 9, 요한계시록 11, 요한계시록 12
메모들
참조
- ^ Davids, Peter H (1982). I Howard Marshall and W Ward Gasque (ed.).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The Epistle of James (Repr. ed.). Grand Rapids, Mich.: Eerdmans. ISBN 0802823882.
- ^ Evans, Craig A (2005). Craig A Evans (ed.). Bible Knowledge Background Commentary: John, Hebrews-Revelation. Colorado Springs, Colo.: Victor. ISBN 0781442281.
- ^ F. L. Cross,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뉴욕: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45
- ^ 폭로 13:1: NKJV
- ^ 바우컴 2007, 페이지 1289.
- ^ 엘리엇, J. K. "계시록의 기구 비평가의 증언: 텍스트 비평이 역사학자들을 어떻게 도울 수 있는가." 유니온 신학교 분기별 리뷰 63번, 3-4번(2012): 1-23.
- ^ 클래레몬트 콥틱 백과사전, 코덱스 바티칸투스 2018년 9월 29일 접속
- ^ a b c d e 바우컴 2007, 페이지 1297.
- ^ 요한계시록 13:1 NKJV
- ^ 폭로 13:2 NKJV
- ^ 폭로 13:5 NKJV
- ^ "Revelation 13:5 - Bible Gateway". www.biblegateway.com. Retrieved 2020-08-04.
- ^ Bauckham 2007, 페이지 1297–1298.
- ^ 폭로 13:11 NKJV
- ^ 존 길의 전체 성경 설명 - 요한계시록 13장 11절
- ^ 요한계시록 13장 16~17절 MEV
- ^ a b c d e f 바우컴 2007, 페이지 1298.
- ^ 폭로 13:18 NKJV
- ^ Stewart, Robert B.; Ehrman, Bart D.; Wallace, Daniel B. (2011). The reliability of the New Testament. Minneapolis, MN: Fortress Press. pp. 40–41. ISBN 978-0-8006-9773-0.
- ^ "Papyrus reveals new clues to ancient world". News.nationalgeographic.com. National Geographic Society. April 200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January 2008. Retrieved 31 March 2014.
원천
- Bauckham, Richard (2007). "81. Revelation". In Barton, John; Muddiman, John (eds.). The Oxford Bible Commentary (first (paperback) ed.). Oxford University Press. pp. 1287–1306. ISBN 978-0199277186. Retrieved February 6, 2019.
외부 링크
- 폭로 13 킹 제임스 성경 - 위키소스
- 병렬 라틴어 벌게이트를 사용한 영어 번역
- GospelHall.org(ESV, KJV, Darby, American Standard Version, Basic English)의 온라인 성경
- 성경 게이트웨이에서 다중 성경 버전(NKJV, NIV, NRSV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