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뿔소 파티

Rhinoceros Party
코뿔소 파티
파르티 라이노케로스
능동연방당
리더세바스티앵 코리노[1]
설립됨2006년 5월 21일 (2006-05-21)
본부125랑 데스불로, 생도나트데리무스키, 퀘벡 G0K 1L0
이념풍자
상원
0 / 105
하원
0 / 338
웹사이트
www.partyrhino.ca/en/
2006년부터 2010년까지 사용된 로고.

코뿔소 정당(공식적으로는 Parti Rinocéros Party)[2]은 캐나다 연방 수준의 풍자 정당으로, 때때로 영어 캐나다에서 제2의 코뿔소 정당으로 언급되기도 한다. 당명을 바꾸고 신당 로고를 등록한 2010년까지 neorhino.ca으로 알려졌다. 2006년 5월 21일 몬트리올에서 만들어졌으며, 2007년 8월 16일 캐나다 선거, 2007년 8월 23일 공식 정당 등록 대상자로 인정되었다.[3] 캐나다 코뿔소당의 후계자다.

이 당은 제1코뿔소 당의 원화인 프랑수아 '요' 박씨가 창당했다. 그는 코뿔소 당과 매트릭스 캐릭터인 네오를 위해 (당시 '네오르히노'라는 이름으로) 신당 이름을 지었다고 말했다.[4] 세바스티앵 세리보[5](세바스티앵[6][7] 세리보, 2015년과 2019년 연방선거에 각각 출마할 때 세바스티앵 세리노 세바스티앙 코리노라는 이름을 사용했다)가 주도하고 있다.

그것은 전임자와 마찬가지로 당선되면 어떤 약속도 지키지 않을 것을 약속한다.[8]

캐나다 코뿔소당(1963~1993)

캐나다의 코뿔소 파티
파르티 라이노케로스
구연방당
리더코넬리우스 1세
설립됨1963
용해됨1993
이념풍자
경박한
선거 후보로서의 동물

코뿔소 정당(프랑스어: Parti Rinocéros)은 196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캐나다의 등록된 정당이다. 정치 풍자의 전통 안에서 활동한 코뿔소 당의 기본 신봉, 이른바 원시적 약속은 "우리 약속을 하나도 지키지 않겠다는 약속"[9]이었다. 그리고 나서 그들은 투표자들을 즐겁게 하고 즐겁게 하기 위해 고안된 터무니없이 불가능한 계획들을 약속했다.[10]

코뿔소는 1963년 자크 페론 [11]"Eeminence de la Grande Corne du parti Rinocéros"에 의해 시작되었다. 1970년대에는 한 무리의 예술가들이 그 당에 가입하여 희극적인 정치 강령을 만들어 연방 선거에 도전하였다. 페론(1979년), 시인 가스통 미론(1972년), 가수 미셸 리바드(1980년)가 자신의 몬트리올 자리에서 피에르 트뤼도 총리와 맞붙었다.

이 당은 1958년 상파울루 시의회 '선출'된 브라질 코뿔소 카카레코의 정신적 후손이라고 주장하며 몬트리올 동부의 그란비 동물원에서 온 코르넬리우스 1세를 지도자로 내세웠다.[12] 그것은 정치인들이 본질적으로 "두껍고, 느리고, 둔하고, 둔하고, 머리가 둔하고, 위험에 처했을 때 지옥처럼 빠르게 움직일 수 있고, 얼굴 한가운데에서 크고 털이 많은 뿔을 가지고 있다"[13]는 것이기 때문에 코뿔소는 정당에 적합한 상징이라고 선언했다.

코뿔소 당은 그루초 마르크스와 존 레논을 지칭하는 용어지만, 코뿔소 당은 캐나다 공산당캐나다 공산당(마르크스-레닌주의자) 사이의 파벌 분열을 패러디한 마르크스-레논주의자라고 부르는 이들도 있을 것이다.[14]

이 파티는 알브레히트 뒤러코뿔소 목판화 로고로 사용되었는데, 맨 위에 뒤네 암말(D'une mare a l'autere)(캐나다 라틴어 모토를 프랑스어로 번역한 것은 마리 우스크 광고 암말, 프랑스어로[15] 연못을 뜻하는 말마레)라는 단어가 연주되었다.

정책과 정치

당 지도부가 공개한 국민 정강 약속 외에 개별 후보들도 자신의 생각과 슬로건으로 선거운동을 할 수 있는 상당한 자유가 있었다. 코뿔소 당의 브라이언 골드는 당 강령을 높이 2피트, 나무로 만든 "내 강령은 내가 서 있는 것이다"라고 묘사했다. 테드 샤프라는 후보는 플로라 맥도날드 킹스턴과 아일랜드에서 '플로라가 아닌 푸나'라는 선거 슬로건을 내걸고 출마해 동물들에게 동등한 대표권을 주겠다고 약속했다.[16] 그는 또한 낙태(당선되면 낙태를 하지 않겠다고 약속한다)와 사형제도에 대해 "할아버지에게 충분했다면, 나에겐 충분하다"는 입장을 취했다. 캐나다의 군사력을 강화하기 위해 샤프는 남극대륙을 북극권으로 견인할 계획이었다. 냉전이 다시 시작되면 우리는 무패가 될 것이다."[17]

1988년 선거에서 코뿔소당은 자유당 대표 존 터너와 같은 기수로 존 터너라는 후보를 출마시켜 760표를 받았다.[18] 안전한 성운동가인 페니 호어는 토론토에 콘돔을 배포하면서 "정치인들은 당신을 망친다. 자신을 보호하라"[19]는 슬로건을 내걸었다.

1979년 캠페인

  • 정부:
  • 에너지:
    • 캐나다인들에게 납 속옷을 월별로 배포하는 것을 포함하여 가구당 하나의 원자력 발전소를 건설한다. 실내 조명은 방사능에 노출된 시민들에 의해 제공될 것이다.[22]
    •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캐나다의 모든 상설 창고를 불태우는 것, 영국을 위해 헛간을 불태워라라는 슬로건 아래.[22]
  • 성별 문제:
    • 위자료 지급은 연방정부에 직접 전달될 것이며, 그러한 지급을 보류한 책임은 연방정부에 귀속될 것이다.[22]
    • 남자들은 매춘부, 젖은 간호사, 비서, 접대부로 일하는 것이 허용될 것이다.[22]

1984년 캠페인

  • 이코노미
    • 코뿔소 당은 중소기업을 없애고 직원이 1명도 안 되는 초소기업으로 교체하겠다고 공약했다.[23]
    • 오타와-바니에 서 있는 그레이엄 애슐리 후보는 캐나다를 골드 스탠더드에서 떼어내고, 여름까지 경제를 개선하는 스노우 스탠더드를 시행하겠다고 공약했다.[24]
  • 공공사업
    • 마법사인 스타더스트 후보는 올림픽 경기장에 지붕을 두겠다고 약속했고, 2천5백만 달러짜리 손수건만 사용했다.[25]

기타 캠페인

코뿔소 당의 다른 정강 약속은 다음과 같다.

  • 중력[26][27] 법칙을 물리치기
  • 더 높은 학교를[18][28] 건설하여 더 높은 교육을 제공한다.
  • 캐나다의 3개 공용어로[18] 영어, 프랑스어, 문맹어 교육
  • 알베르탄인들이 태평양 일몰을[27] 볼 수 있도록 로키산맥을 허물어가는 것.
  • 캐나다 통계청(Statistics Canada)을 폐지하여 실업률을 측정하는 관료들을 제거한다.[29]
  • 세인트로렌스강[30] 댐으로써 몬트리올을 북아메리카의 베니스로 만들기
  • 청결 유지도 힘들고 공간도 너무[18] 많이 차지하기 때문에 환경을 폐지하는 것.
  • 캐나다 뒷마당(유콘과 노스웨스트 영토 이후)에서 제3의 영토로 자리잡게 될 미국을 합병한다.—누나부트는 아직 존재하지 않았다), 캐나다 천연자원에[31] 대한 외국의 통제를 없애기 위해서.
  • 모든 법률을[32] 폐지하여 범죄를 끝냄
  • 펀디 만을 포장하여 마리타임스에 더 많은 주차 공간을 제공하고 매니토바[18][27] 주를 포장하여 세계에서 가장 큰 주차 공간을 만든다.
  • 몬트리올 세인트캐서린 거리를 세계에서 가장 긴 볼링장으로[18] 탈바꿈
  • 캐나다의 정보 자유법 개정: "더 이상 무료인 것은 없다; 캐나다인들은 그들의 정보에 대한 대가를 치러야 한다."[33]
  • 오타와에서 뜨거운 공기의 천연자원을 두드려 캐나다 기후를 더욱 온화하게 한다.[33]
  • 핵폐기물을 원로원에 보관하는 것: "결국 우리는 몇 년 동안 그곳에 정치적 폐기물을 보관해 왔다.[33]
  • 영국의 왼쪽에 있는 운전 시스템을 채택하는 것; 이것은 처음에는 대형 트럭과 트랙터, 그리고 나중에는 버스, 결국 소형 자동차, 그리고 마지막으로 자전거와 휠체어를 타고 5년 이상에 걸쳐 점진적으로 단계적으로 도입되는 것이었다.[20]
  • 캘리포니아[27][31] 골동품 경매에서 캐나다 상원 판매
  • 국가채무 비자발급[34]
  • 벨기에 만화 캐릭터 틴틴이 만화[28][35] 중 하나에서 코뿔소를 죽였기 때문에 벨기에에 전쟁을 선포했다.
  • 벨기에가 몬트리올의 코뿔소 '힌디브'에게 홍합 케이스와 벨기에 맥주 케이스를 전달하면 제안된 벨기에-캐나다 전쟁을 취소하겠다는 제의(오타와 주재 벨기에 대사관실제로 이렇게 했다)[28][35]
  • 캐나다 물고기가 항상[30]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있도록 캐나다 해안 바다 한도를 수채화로 칠하는 것
  • 총과 버터를 금지한다 둘 다 죽이기[30] 때문에
  • 형편없는 캐나다 겨울[18] 금지
  • 밴쿠버 섬에서 뉴펀들랜드에 이르는 이 나라를 가로지르는 다리를 건설하고 있다.[36]
  • 캐나다 횡단 고속도로를 단방향으로 만드는 것.[36]
  • 캐나다 통화를 풍선껌으로 바꿔서 마음대로 부풀리거나 헐릴 수 있게 하는 것.[37]
  • 캐나다의[31] 모든 예술가 지망생들에게 무료 코뿔소 기부하기
  • 천섬을 세어 미국인들이 도둑질을[16] 했는지 알아보는 것
  • 로키산맥을 넘어뜨리고 양방향으로 경사진 거대한 자전거 도로를 건설해 캐나다인들이 해안에서 해안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했다.[38]

라이노당은 또한 그들이 선거에서 실제로 승리한다면 즉시 해산하고 재선을 강행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우리 코뿔소들은 선거가 너무 재미있다고 생각하는데, 우리는 항상 선거를 치르기를 원한다."[39] 그들은 또한 한 번의 선거가 끝난 후, 모든 후보가 그것을 알았든 인정했든, 두껍든, 근시안적이든, 심술궂든 등 '코뿔소'라고 주장하며 승리를 선언했다.

주목할 만한 후보자

미셸 리바드는 이날 TV에 출연해 "나는 셀러리와 인도 두 가지 말 밖에 할 말이 없다"고 말했다. 고마워, 잘 자."

브리티시컬럼비아의 한 스플린터 그룹은 "바보 표를 분열시키지 말 것"을 위해 당의 채찍을 위한 전문 도미니스트를 운영하고, "영국 컬럼비아"를 "라라랜드"로 개명하며, 지방 수도를 이전하고, 진보 보수당과의 합당을 제안했다.

미국에서는 인정받지 못했지만, 전 야구 투수 빌는 1988년 코뿔소 파티 티켓을 가지고 미국 대통령에 출마했다. [40]

코뿔소당은 2019년 캐나다 연방선거에서 맥심 버니에라는 이름의 후보를 보스의 승마에서 캐나다 국민당(People People) 당수와 무관한 현직 막심 버니에를 상대로 출마시켰다.[41] 두 후보 모두 보수당 후보 리처드 렉스에 패배하면서 두 후보 모두 승리하지 못했다.[42]

선거기록부

코뿔소당은 하원 의석을 얻는 데 결코 성공하지 못했다. 그러나 1984년 연방 선거에서는 3대 정당에 이어 네 번째로 많은 표를 얻었지만, 잘 세워져 있는 소수 정당들을 앞섰다. 코뿔소 후보들은 때때로 특정 후보에서 2위를 차지해 이 과정에서 전통적인 캐나다 정당들을 모욕했다. 예를 들어 1980년 연방 선거에서 코뿔소 당은 몬트레알에서 타는 로리에에서 소니아 "차투이유" Côté("차투이유"는 프랑스어로 "티클"을 의미한다)라는 직업적인 광대/코메디언을 지명했다. Côé는 자유당 후보가 당선된 후 2위를 차지했지만, 다른 주요 정당인 3위 뉴 민주당 후보와 4위 진보 보수당 후보 모두 앞서 있었다.[43] 차투유는 PC 후보보다 거의 두 배나 많은 표를 받았다.

당사 초기에는 프랑스어를 구사하는 퀘베코이스로 주로 구성되었을 때, 그들은 유일하게 언어를 구사하지 못하는 앵글로폰 파티원을 공식 번역자로 선택했다.

선거 결과

선거 지명된 후보자 수 당첨자 수 총투표수 일반 투표율 소거 투표율(%)
1965
2
0
618[44]
0.00%
미확정의
1968
1
0
354
0.00%
미확정의
1972 (1)
1
0
1,565
0.02%
미확정의
1979
63
0
62,601
0.55%
2.32%
1980
120
0
110,286
1.01%
2.43%
1984
88
0
98,171
0.78%
2.39%
1988
74
0
52,173
0.40%
1.47%
2015
27
0
7,263
0.04%
0.52%
2019
39
0
9,567
0.05%
0.46%
2021
27
0
6,085
0.04%

참고:

(1) 코뿔소 당은 1972년 선거에서 12명의 후보를 출마시켰으나, 캐나다 선거로부터 등록 정당으로 인정받지 못하여 그 후보가 무소속으로 등록되었다.(출처: 1972년 10월 31일 토론토 스타)

1993년 기권 및 이후 해산

당은 1993년 연방선거에서 기권한 반면 정당들은 정당에 최소한 50개 선거의 후보들을 1인당 1,000달러의 비용으로 선출하도록 요구하는 새로운 규칙의 합헌성에 의문을 제기했다.[45] 1993년 9월 23일 장 피에르 킹슬리 캐나다 최고 선거관리책임자는 당의 기권 수락을 거부하고 코뿔소 당적을 캐나다 정당등록부에서 삭제하도록 지시하여 사실상 캐나다 정치체제에서 이들을 제거하였다. 킹슬리는 또한 당의 공식 대리인인 찰리(레 콘시어지) 맥켄지에게 모든 당 자산을 청산하고 모든 수익을 캐나다 수령국에게 돌려줄 것을 지시했다. 당의 지시에 따라 맥켄지는 거절했다. 2년간의 협박 편지 끝에 오타와는 맥켄지 기소를 거부했는데, 맥켄지는 현재 캐나다에서 '최고의 수배자'라는 별명을 갖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2001년 선거운동 당시 입었던 고질라 슈트 때문에 별명을 얻은 브라이언 '고질라' 살미는 브리티시컬럼비아 지방 선거에 도전하기 위해 코뿔소 당을 부활시키려 했다. 이들이 일부 언론의 취재를 받는 장난을 치는 동안 1000달러짜리 후보 등록금이 재정난이라고 주장하면서 후보 2명(벤쿠버-마운트 플레전트의 Laar Lairer, 밴쿠버-버라드의 Helvis)만 투표장에 나타났다. 미등록 후보로는 '잠재 투자자들에게 코카인과 창녀'를 약속했다는 이유로 전국 유선 서비스를 받은 제프 버너가 포함됐다.[46] 그 당은 그 직후 해산했다.

후계자

후에 유명한 코뿔소인 프랑수아 박은 1990년대에 여러 캐나다 정치인들의 얼굴에 크림 파이를 심으며 관심을 끌었던 또 다른 정치 운동인 엔타티스트들을 시작했다.[47] 2006년에는 코뿔소당 정신을 탈환하기 위해 Neorhino.ca을 설립한 단체를 이끌었고,[48] 2007년 아웃레몬트 보궐선거에서 네오르히노 후보로 출마했다.

다른 코뿔소 당원들은 퀘벡의 지방 정치와 비슷한 관점을 가져오려고 했던 파르티 유자론(레몬당)을 창당했다.[27]

정당 해산 이후 다수의 무소속 선거 후보들이 더 이상 당 자체가 존재하지 않았는데도 비공식적으로 코뿔소 당 꼬리표를 달았다. 코뿔소를 합법적으로 통합한 정당으로 부활시키려는 시도도 여러 차례 실패했지만 이는 Neorhino.ca이 되어서야 완전히 달성되었다.

Neorhino.ca

2007년 8월 7일, 당시 코뿔소당 총재였던 브라이언 살미는 1993년 자신의 당의 등록 자격을 박탈한 선거 개혁법을 둘러싼 5천만 달러의 소송을 발표했다.

법적으로 사탄으로 이름을 바꾼 그는 2007년 9월 보궐선거에서 코뿔소 기치 아래 출마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1993년의 이전 법률은 등록 당사자들이 그들의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50회 이상 라이딩에 1,000달러의 비용으로 후보들을 운영해야 한다고 명시했다. 새 법에 반발해 당은 기권할 계획이었다.피에르 킹슬리 당시 캐나다 선거관리본부장은 기권을 거부하고 당에 캐나다 정당 등록에서 탈퇴할 것을 명령했다. 이 소송은 킹슬리 씨가 국가 정당 등록부에서 삭제한 결과로 제기되었다. 살미가 법적으로 이름을 바꿨기 때문에 소송은 사탄 vs. 여왕 폐하.

이 소송은 2004년 한 정당이 연방 선거나 연방 보궐선거에서 한 명의 후보자만 출마하면 등록이 된다는 새로운 법률이 통과되면서 기각됐다.[8]

선거기록부

현재까지 아마존닷컴과 코뿔소 정당의 후보들은 선거 승리를 기록하지 않고 있다. 2007년 연방 재선거에서 아웃레몬트와 생 히아신테-바고트의 제거를 지지하는 Neorhino.ca 후보 이전에, 아마존닷컴과 코뿔소 당은 브라이언 골드가 1990년 뉴브런즈윅 선거구 베우세주르에서 보궐선거에 실패한 이후 후보를 내지 않았다.

아마존닷컴 후보는 2007년 재보선, 2008년 연방선거, 2011년 연방선거에서 의석을 하나도 얻지 못했다.

2007/2008년 재보선

후보 투표 % 배치 날짜
프랑수아 박 145 0.6 6/12 아웃레몬트 2007년 9월 17일
크리스티안 윌리 바나세 384 1.2 6/7 생하신테—바고트 2007년 9월 17일
존 터너 111 0.4 5/6 밴쿠버 쿼드라 2008년 3월 17일

2008년 연방 선거

선거 후보자 수 득표수 일반 투표율 제거 실행 중 % 좌석 수
2008 7 2,263 0.02% 0.67% 0

2009년 재보선

후보 투표 % 배치 날짜
가브리엘 앤틸 129 0.7 6/8 호켈라가 2009년 11월 9일

코뿔소 파티

이 당은 2010년 중반에 neorhino.ca에서 코뿔소 당의 새로운 정식 명칭으로 바뀌었다. 그것은 또한 캐나다 선거와 함께 새로운 로고를 등록했다.

선거 후보자 수 득표수 일반 투표율 제거 실행 중 % 좌석 수
2011 14 3,800 0.026% 0.57% 0
2015 27 7,263 0.04% 0.52% 0
2019 43 9,408 0.04% 0.45% 0

2011년 후보

라이딩 후보 직업 메모들 투표 % 배치
아힌시치 퀘벡 주 장 올리비에 베르티아움 299 0.64 6/6
베스티에—마키농게 퀘벡 주 마틴 주빈빌 373 0.66 6/6
치쿠티미—르 피오르드 퀘벡 주 마리엘 쿠튀르 340 0.67 6/6
호켈라가 퀘벡 주 휴고 삼손 베일렛 246 0.53 6/8
호노레-메르시에 퀘벡 주 발레리 셰브레필-라툴리페 181 0.38 6/7
라살—에마드 퀘벡 주 기욤 베르거 리차드 208 0.50 7/7
로리에——사인테 마리 퀘벡 주 프랑수아 요 박 398 0.79 6/9
아웃레몬트 퀘벡 주 토미 고데 160 0.41 6/7
로즈몬트—La Petite-Patrie 퀘벡 주 장 패트릭 베르티아움 정치인[49] 생제르메에서 태어난 베르티아누메는 2008년 연방 선거에서 로즈몬트-라 쁘띠-패트리(La Petite-Patrie)를 후보로 내세웠다.[50] 그는 2011년 코뿔소 당의 노동운동가 데 라 데모크라티(LSD)의 지도자였다.[51] 417 0.77 6/7
셔브룩 퀘벡 주 크레디블 베를링고트 랜드리 233 0.45 6/6
트로이스리비에르 퀘벡 주 프랜시스 아소노 256 0.51 7/7
웨스트마운트—빌 마리 퀘벡 주 빅토리아 핼리버턴 140 0.34 6/7
피스 강 앨버타 도노반 에크스트롬 345 0.72 6/6
카리부—조지 왕자 브리티시 컬럼비아 조던 터너 204 0.47 7/7

2015년 후보

세바스티앵 코리노 코리보 2014년부터 코뿔소당 대표가 2019년 이곳에 모습을 드러냈다.

8월 17일 세바스티앵 CôRhino는 몬트레알에서 팀 호튼스를 국유화하고 동시에 로열 캐나다 육군을 민영화할 용의가 있다고 선언했다. "우리는 5년 후, 10년 후, 50년 후, 그리고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다른 경제 분야도 국유화해야 하는지 아니면 국유화해야 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민영화되다." 몬트리올 후보인 벤 97도 수도를 온타리오 주 카푸스카싱으로 옮기고 싶다고 공개적으로 밝혔다. 카푸스카싱은 캐나다의 중심에 있기 때문에, 그것은 캐나다인들에게 민주주의를 더 가까이 가져다 줄 것이다.[52][53]

라이딩 후보 이름 직업 메모들 투표 % 배치
아비티비—바이제임스—누나빅—이유 퀘벡 주 마리오 가건 258 0.75 6/6
아비티비—테미스카밍게 퀘벡 주 파스칼 르 푸 게리나스 425 0.85 6/6
아힌치카르티르빌 퀘벡 주 캐서린 가스콘 데이비드 285 0.51 6/6
아비뇽—라 미티스—마탄—마타페디아 퀘벡 주 에릭 노만드 175 0.48 7/7
콤프턴—스탠스테드 퀘벡 주 케빈 체테 315 0.56 6/6
에드먼턴 센터 앨버타 스티븐 스토퍼 257 0.48 5/6
에드먼턴 그리스바흐 앨버타 분 번 톰프슨 144 0.30 7/8
에드먼턴 스트라스코나 앨버타 도노반 에크스트롬 133 0.24 7/10
엘긴—미들섹스—런던 온타리오. 루 베르나르디 185 0.32 6/6
가스페시—레 실 드 라 마들렌 퀘벡 주 막스 부드로 300 0.76 6/6
호켈라가 퀘벡 주 니콜라스 르메이 411 0.79 6/8
욘키에르 퀘벡 주 마리엘 쿠튀르 382 0.79 6/6
킹스—목격자 노바스코샤 메간 브라운 호지스 184 0.39 5/7
라 푸앵테데엘실레 퀘벡 주 벤 97 베누이트 358 0.65 6/8
레스브리지 앨버타 솔리 크리지에르 페인 209 0.37 6/6
롱구일—Charles-Lemoyne 퀘벡 주 매슈 아이아코프 리버먼 325 0.63 6/7
몽마니—L'Islet—카무라스카—리비에르-듀루프 퀘벡 주 비엔그라스 가네 287 0.58 6/6
무스 턱—레이크 센터—라니건 서스캐처원 로버트 토머스 208 0.50 5/5
오타와 센터 온타리오. 콘라트 루카우스키 167 0.22 6/8
파피나우 퀘벡 주 토미 고데 선거 후 캐나다 총리가 된 저스틴 트뤼도 자유당 지도자에 도전 323 0.64 7/10
리치먼드—아스타바스카 퀘벡 주 앙투안 두부아 384 0.66 6/6
리모스키—니게트—테미스코우아타—레 바스크 퀘벡 주 세바스티앵 시리노 시리보 당 대표 273 0.61 6/6
리비에르 뒤 노르드 퀘벡 주 A의 포보즈. 체테 261 0.46 6/6
로즈몬트—La Petite-Patrie 퀘벡 주 로랑 아글라트 495 0.85 6/8
Saskatoon—대학 서스캐처원 에릭 매슈 샬름 93 0.21 5/5
셔브룩 퀘벡 주 휴버트 리처드 265 0.46 7/7
빌-마리—르 수드-오우에스트—이슬-데스-서어즈 퀘벡 주 대니얼 울프 161 0.32 6/7

2019년 후보

후보 목록 및 선거 결과:[54][55]

라이딩 후보 이름 직업 메모들 투표 % 배치
퀘벡 퀘벡 세바스티앵 코리노 코뿔소 당의 지도자 겸 영원한 선한 유머의 지휘관 파티딜러 349 0.6 7/8
보스 퀘벡 맥심 버니에 1,072 0.8 7/7
Laurentides—라벨레 퀘벡 루도비치 슈나이더 265 0.4 7/8
빌-마리—르 수드-오우에스트—이슬-데스-서어즈 퀘벡 토미 두툴로그 고데 165 0.3 7/10
호켈라가 퀘벡 치누크 블라이스 레두크 301 0.6 7/9
테레 드 블랭빌 퀘벡 알랭 라몬테인 213 0.4 7/8
라살-에마르-베르둔 퀘벡 리노 자크 벨랑거 261 0.5 8/9
로리에——사인테 마리 퀘벡 멜리사 아치 도덕 샤론 203 0.4 7/10
아웃레몬트 퀘벡 마크 존 히엠스트라 151 0.4 7/7
웨스트 밴쿠버—Sunshine Coast—Sea to Sky Country 브리티시 컬럼비아 고든 제프리 206 0.3 6/7
드러먼드 퀘벡 레알 바트리노 205 0.5 7/8
콤프턴—스탠스테드 퀘벡 조너선 테리엔 250 0.4 7/7
손힐 온타리오. 네이선 브레그먼 217 0.4 5/6
메간틱—레라블 퀘벡 데미안 로이 250 0.5 7/8
에드먼턴 센터 앨버타 도노반 에크스트롬 201 0.4 6/8
베스티에—마키농게 퀘벡 마르틴 아세타리아 카이사르 주빈빌 161 0.3 7/9
캘거리 신호 힐 앨버타 크리스티나 바셋 505 0.8 6/7
새로운 시장—Aurora 온타리오. 로리 고블 101 0.2 7/7
셔브룩 퀘벡 스티브 A C aé DelaTrack 221 0.4 7/8
파피나우 퀘벡 장 패트릭 "카세레코" 베르티아누메 저스틴 트뤼도 총리 도전 334 0.7 6/11
몬타르빌 퀘벡 토머스 티보 빈센트 208 0.4 7/7
헐—아일머 퀘벡 세바스티앵 그르니에 191 0.4 8/8
글렌가리—프레스코트—러셀 온타리오. 마르크 앙투안 가니에 작가와 유튜버 187 0.3 8/8
가스페시—레 실 드 라 마들렌 퀘벡 카우보이 제이 353 0.9 6/7
도르발—라신—라살레 퀘벡 사비에 왓소 169 0.3 8/8
치쿠티미—르 피오르드 퀘벡 라인 "월러스" 벨랑거 290 0.7 7/7
로즈몬트—La Petite-Patrie 퀘벡 조스 기타레 라부이 342 0.6 6/9
리무스키-나이제트—테미스코우아타—레 바스크 퀘벡 리산 피커 파킨 176 0.4 7/7
브롬—미시스쿼이 퀘벡 스티브 클로티에 307 0.5 7/8
레지나——쿠아펠 서스캐처원 에릭 노만드 도전장을 낸 보수당 공식 야당 대표 앤드루 쉬어 75 0.2 8/8
윈저 웨스트 온타리오. 콘라트 루카우스키 해당 없음 해당 없음 해당 없음
테레본 퀘벡 폴 베지나 252 0.4 7/8
토론토 센터 온타리오. 숀 카슨 코미디언 겸 작가 143 0.3 6/9
오타와—바니에 온타리오. 데릭 밀러 339 0.5 7/10
킹스—목격자 노바스코샤 니컬러스 탄 147 0.3 6/7
알고마—마니툴린—카푸스카싱 온타리오. 마르말레이드 후작 124 0.3 6/6
리치먼드 힐 온타리오. 오토 균류 웨버스 126 0.3 6/6
아비뇽—라 미티스—마탄—마타페디아 퀘벡 마티외 카스통구이 웹 프로그래머 178 0.5 7/7
해밀턴 웨스트—앤캐스터—둔다스 온타리오. 스펜서 로치 선생님 159 0.2 6/6
해밀턴 산 온타리오. 리처드 플렛 사업가 109 0.2 7/7
레지나——쿠아펠 서스캐처원 대니얼 가그넌 거부됨 해당 없음 해당 없음 해당 없음
레지나——쿠아펠 서스캐처원 라이언 후어드 펌웨어 개발자 거부됨 해당 없음 해당 없음 해당 없음

플랫폼

2019년 캠페인:

  • 내셔널 디펜스
    • 코뿔소당은 국방이 최우선 과제라고 말한다.[65]
  • 이코노미
    • 코뿔소 당은 경제가 최우선 과제라고 말한다.[65]
    • 한국당은 모든 지방에 조세피난처를 열어 외국인 자금을 '지역'으로 유지할 계획이다.[65]
    • 2022년까지 이전 정부가 시작한 상원 민영화 완성을 공약으로 내걸고 있다.[65]
    • 상원과 하원에서 광고를 허용하여 국가의 재원을 충원한다.[65]
    •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만약 당선된다면, 그 당은 25센트를 30센트로 바꿀 것이다. 이렇게 하면, 납세자들은 16%[65]의 소득 증가를 보게 될 것이다!
  • 교육
    • 코뿔소 당은 교육이 최우선이라고[65] 말한다.
    • 휴가 중인 교사들을 유명한 과학자들의 사진으로 대체한다.[65]
  • 고용
    • 코뿔소 당은 고용이 최우선이라고[65] 말한다.
    • 2020년까지 모든 시민들은 직업을 가질 것이고 어떤 사람들은 심지어 두 개의 직업을 가질 것이다.[65]
    • 월 1회의 휴일을 추가하려면 노동법을 다시 작성하십시오. 4월 1일과 당 대표 생일도 휴일이 된다. 마지막으로, 휴일 다음날 일하는 것은 금지될 것이다.[65]
    • 모든 근로자를 버블랩으로 포장하여 공장 내 사고 발생 건수를 줄인다.[65]
  • 그린 플랜
    • 코뿔소 당은 환경이 최우선이라고[65] 말한다.
    • 캐나다에서는 녹색 자동차가 충분한 숫자로 이용되지 않는다.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숲 녹색, 연녹색, 카키 녹색, 네온 그린 등 더 많은 녹색 자동차를 만들도록 강요 받을 것이다.[65]
    • 과학자들은 앞으로 20년 안에 지구온난화가 인간의 존재를 위협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그 당은 그들이 10년 안에 그것을 실현시킬 수 있다고 말한다![65]
    • 지구온난화와 싸우기 위해 모든 시민들은 여름에 창문을 열어두고 최대한 에어컨을 가동해야 할 것이다.[65]
    • 기상 네트워크 주최자들에게 뇌물을 주어 주말에 더 많은 햇빛을 받고 겨울에는 눈이 덜 온다고 발표하십시오.[65]
    • 지구온난화를 캐나다에 유리하게 사용하라. 캐나다를 더 따뜻하게 만들고, 겨울을 짧게 하고, 그 지역에 농업이 생기게 한다.[66]
  • 정의
    • 코뿔소 당은 정의가 최우선이라고[65] 말한다.
    • 캐나다 전 지방의 형평성 차원에서 1970년 10월 특권이 없었던 9개 지방에는 전쟁대책법이 적용된다.[65]
  • 캐나다의 유산
    • 코뿔소 당은 캐나다 유산이 최우선 순위라고[65] 말한다.
    • "Sorry"를 캐나다의 새로운 공식 모토로 만드세요.[65]
    • 베이컨을 국유화하다.[65]
    • 보다 평등주의적인 캐나다를 만들기 위해 모든 지도가 사스카치완처럼 직사각형으로 되도록 모든 지도가 다시 그려질 것이다.
    • 문맹을 캐나다의 세 번째 공용어로 만드세요.[65]
  • 국제 관계
    • 코뿔소 당은 국제 관계가 최우선이라고[65] 말한다.
    • 트뤼도 정부의 무작전에 따라 자석은 캐나다에서 러시아로 이동했다. 코뿔소 당은 그것을 다시 가져오기로 약속했다.[65]
    • 끝났어, 대사 임명 당파적이고 자의적인 방식으로! 대사 자리는 이제 최고 입찰자에게 팔릴 것이다.[65]
    • 메사추세츠를 합병하여 다시 챔피언 스포츠 팀을 갖게 되었다.[65]
  • 건강
    • 코뿔소 당은 건강이 최우선이라고[65] 말한다.
    • 대기실을 없애 캐나다 전역의 응급실 교통량을 줄인다.[65]
    • 의사와 간호사의 부족에 대처하기 위해, 모든 직원들은 그들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 스테로이드를 제공할 것이다.[65]
  • 공안
    • 코뿔소 당은 공안이 최우선이라고[65] 말한다.
    • 신분 도용 피해자를 돕기 위해 신청하는 시민들에게 새로운 이름과 생년월일을 제공한다.[65]
    • 캐나다 어린이의 안전을 높이기 위해서는 신생아 이름이 대문자, 숫자, 특수문자 등 최소 12자 이상이어야 한다.[65]

캐나다 코뿔소당(Canada)은 선출될 경우 다음과 같이 약속했다.

  • 캐나다는 금본위제 폐지, 대신[67] 설본위제 경제 활성화 선택
  • 중력[67] 법칙을 폐지
  • 더 높은 학교를[67] 지어 고등 교육을 촉진한다.
  • 마릿타임즈[67] 주차장을 더 많이 만들 수 있도록 펀디
  • 미국인들[67] 훔치지 않도록 천섬을 세어라.
  • 몬트리올의 루 스테 캐서린을 세계에서 가장 긴 볼링장으로[67] 바꾸십시오.
  • 반 형편없는 캐나다 겨울[67]
  • 범죄를[67] 끝내기 위해 모든 법을 폐지하라.
  • 알베르탄인들이 태평양 일몰을[67] 볼 수 있도록 로키산맥을 허물어라.
  • Outremont, QC[67] 잔디 깎기 폐지
  • 총과 버터 금지—둘 다 죽인다[67].
  • 현금 경품을 상원 임명으로[67] 대체하여 소매 복권 제도를 개혁한다.
  • 두 개의 공용어가 있는 것을 잊어버려라; 두 개의 공식 귀로[67] 대체한다(프랑스어에서는 같은 단어가 "언어"와 "통어"에 사용된다)
  • 퀘벡주[67] 버킹엄에 있는 캐나다의 여왕 자리에 앉기
  • 여왕의[68] 사유화
  • 암시장에[68] 과세하다.
  • 국유화호튼스[69]
  • 국가 수도를 온타리오카푸스카싱으로 이동하여 국가 중심부에 더 가까이 접근
  • 자동차 풀링을 늘리고 주행 속도를 줄이려면 자동차 제조업체가 브레이크 페달을 조수석 쪽으로 옮겨야 한다.[65]
  • 검은 얼음의 이름을 네온 옐로우 얼음으로 바꾸어라.[65]
  • 폭풍우 동안 모든 속도 제한은 캐나다인들이 충돌의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가능한 한 적은 시간을 도로에서 보내도록 하기 위해 없어질 것이다.[65]
  • 주요 도시에 도로를 건설할 때 콘크리트 대신 고무를 사용하여 자전거 이용자의 부상 횟수를 줄인다.[65]
  • 이제 빨간불에서 우회전할 수 있게 된 법의 성공에 고무된 한국당은 이제 그들이 좌회전하거나 직진할 수 있도록 허용할 것이다.[65]
  • 고고학자들이 몬트리올 포트홀 아래에 도로의 잔해가 실제로 존재하는지 여부를 발견하도록 명령한다.[65]
  • 매일 층을 넘나들게 함으로써 MP의 건강을 증진시키십시오.
  • 석유와 가스를 파이프라인 대신 블림프로 수송한다.

보관소

캐나다 도서관 자료실에 코뿔소 파티가 있다.[70]

참고 항목

참조

  1. ^ "Registered Political Parties and Parties Eligible for Registration". August 20, 2021.
  2. ^ "Registered Political Parties and Parties Eligible for Registration". Elections Canada. Retrieved September 18, 2021.
  3. ^ Canada, Elections. "Registered Political Parties and Parties Eligible for Registration". www.elections.ca. Retrieved December 6, 2018.
  4. ^ "Rhinos return to Canadian political landscape". Canada.com. CanWest. February 29, 2008. Retrieved November 23, 2011.
  5. ^ "Registered Political Parties and Parties Eligible for Registration". Elections Canad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8, 2015.
  6. ^ "List of Candidates for the 42nd General Election: Quebec". Elections Canada. 2015. Retrieved October 30, 2019.
  7. ^ Amélie Légaré (October 22, 2019). "Élections fédérales: Jean-Yves Duclos l'emporte par 215 voix". Mon Saint-Roch. Retrieved October 30, 2019.
  8. ^ a b "Rhino party escapes extinction to run in September byelection". CBC News. August 7, 200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November 9, 2012.
  9. ^ "Rhino party escapes extinction to run in September byelection". Canadian Broadcasting Corporation. August 7, 2007. Retrieved October 4, 2007.
  10. ^ Marika Kemeny. "A Writer's Voices – A Celebration of Jacques Ferron at Glendon". York University.
  11. ^ "Rhinoceros Party". The Canadian Encyclopedia.
  12. ^ Ingrid Peritz (August 8, 2007). "After years of near-extinction, the whacky Rhino party is back". The Globe and Mail.
  13. ^ Evan Kayne (January 12, 2006). "Federal election in dire need of laughs". FFWD Weekl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27, 2007.
  14. ^ 같은 농담을 하는 "All Hail Marx and Lennon"으로 널리 알려진 The Firesign 극단의 1969년 코미디 기록이 있다.
  15. ^ Ambroziak, Alycia (June 14, 1974). "Rhinoceros Party goes head-hunting this time". Montreal Gazette. p. 8.
  16. ^ a b Bill Whitelow (January 22, 1980). "Rhinoceros party wants island count". The Whig-Standard.
  17. ^ Beth McKenzie (January 25, 1980). "Flora running scared, Rhino candidate claims". The Queen's Journal.
  18. ^ a b c d e f g "The Rhinoceros Party". Canadian Broadcasting Corporation. August 8, 2007. Retrieved October 4, 2007.
  19. ^ "Whore Heroines and Heroes". Commercial Sex Information Services. March 3, 2004.
  20. ^ a b c Drouin, Linda (April 26, 1979). "Rhinoceros Party promises pie in the face". The Ottawa Citizen. p. 8.
  21. ^ Landrey, Wilbur (May 14, 1979). "Rhinos ride roughshod over Canadian issues". St. Petersburg Times. pp. 7–A.
  22. ^ a b c d Tetley, Jane (May 10, 1979). "Rhinoceros Party charges into election fray". The Montreal Gazette. p. 4.
  23. ^ SCHNURMACHER, Thomas (March 22, 1984). "Oh, Boy – The Rhinoceros Party's at it again". The Montreal Gazette. pp. D-9.
  24. ^ "Graham Ashley, Rhinoceros Party". The Ottawa Citizen. February 11, 1980. p. 5.
  25. ^ "Rhinoceros Party heralds backing of gravediggers". The Ottawa Citizen. August 11, 1984. p. 4.
  26. ^ "Canada Rhino Party Thunders Off Softly". The New York Times. Associated Press. May 1, 1985.
  27. ^ a b c d e Dan Brown (June 19, 2004). "The Heirs of the Rhino Party". Canadian Broadcasting Corporation. Retrieved October 4, 2007.
  28. ^ a b c "Ne tirez pas sur le rhinocéros! Jean-Simon Gagné Politique". La Presse (in Canadian French). Retrieved November 1, 2016.
  29. ^ MacIntyre, Iain. "Vancouver Sun columnist". National Post. National Post. Retrieved November 25, 2015.
  30. ^ a b c Ingrid Peritz (August 8, 2007). "After years of near-extinction, the whacky Rhino party is back". The Globe and Mai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15, 2007.
  31. ^ a b c 1979년 선거에서 The Beachs의 후보였던 Judi Scuce의 선거 문헌에서.
  32. ^ Patrick Lejtenyi. "Back from extinction". The Montreal Mirror. Retrieved October 4, 2007.
  33. ^ a b c Doug Ronson (January 17, 1980). "Ted "not too" Sharp advocates lawn flamingo tax deductibility". The Queen's Journal.
  34. ^ Joanna Habdank (October 12, 2006). "Longtime Rhino candidate dies of cancer at 63 years of age". The Vancouver Su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November 10, 2012.
  35. ^ a b "Dateline-Montreal Grand Prix update". Forces Canada. September 5, 200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ne 25, 2007.
  36. ^ a b 캐나다 정치 입문 로빈슨 박사
  37. ^ Brian Salmi. "yo, csis, here's your chance". Rhinoceros Party of Canada. Retrieved February 20, 2008.
  38. ^ 글로브 및 메일: [1] 2020년 10월 13일 검색
  39. ^ Beth McKenzie (January 25, 1980). "Flora running scared, Rhino candidate claims". The Queen's Journal.
  40. ^ Jonathan Yardley (February 24, 2005). "Low and Inside". The Washington Post. p. CO2.
  41. ^ "Satirical party runs own candidate named Maxime Bernier in PPC leader's riding The Star". thestar.com. September 10, 2019. Retrieved October 6, 2019.
  42. ^ "People's Party of Canada leader Maxime Bernier defeated in Quebec riding of Beauce".
  43. ^ "History of Federal Ridings since 1867". Parliament of Canada.
  44. ^ 몬트리올 가제트(1965년 10월 26일 ~ ) "Qebec이 328개 필드로 선두"
  45. ^ Paul Hellyer (May 1, 1997). "Marginal characters – A guide to some of Canada's lesser-known political parties". Montreal Mirror.
  46. ^ "왕비수스" lawiscool.com, 2007년 9월 29일.
  47. ^ '피에 싸인 저격수' 1999년 1월 31일 가제트.
  48. ^ Sarah Babbage (September 13, 2007). "A new political animal is on the scene". The McGill Dail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21, 2007.
  49. ^ 1867년 이후 연방정부의 역사: ROSESMONT--LA PETITE-PATRIE (2011/05/02) 캐나다 의회는 2013년 11월 23일에 접속했다.
  50. ^ 베르티아누메는 319표(0.61%)를 얻어 6위에 그쳤다.
  51. ^ 2011년 4월 22일 루 마손의 "Jean-Patrick Berthiaume du parti Rinocéros: de la folie á la créativité"는 2013년 11월 23일에 접속했다.
  52. ^ "History of Federal Ridings since 1867". lop.parl.ca. Retrieved December 6, 2018.
  53. ^ "Anything but extinct: Rhinoceros Party back for 2015 federal election - CTV News". www.ctvnews.ca. August 23, 2015. Retrieved December 6, 2018.
  54. ^ "Nos Candidats". Parti Rhinocéros Party. Retrieved October 6, 2019.
  55. ^ "Canada Votes 2019". CBCNews. Retrieved August 19, 2020.
  56. ^ "Sébastien CoRhino". www.partyrhino.ca. Retrieved August 21, 2020.
  57. ^ "The Dealer". Parti Rhinocéros Party. Retrieved August 19, 2020.
  58. ^ "Marc-Antoine Gagnier". www.partyrhino.ca. Retrieved August 21, 2020.
  59. ^ "Sean Carson". www.partyrhino.ca. Retrieved August 21, 2020.
  60. ^ "Mathieu Castonguay". www.partyrhino.ca. Retrieved August 21, 2020.
  61. ^ "Spencer Rocchi". www.partyrhino.ca. Retrieved August 21, 2020.
  62. ^ "Richard Plett". www.partyrhino.ca. Retrieved August 21, 2020.
  63. ^ "Daniel Gagnon". www.partyrhino.ca. Retrieved August 21, 2020.
  64. ^ a b "Ryan Huard". www.partyrhino.ca. Retrieved August 21, 2020.
  65.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c ad ae af ag ah ai aj ak al am "The Promises". Parti Rhinocéros Party. Retrieved October 16, 2019.
  66. ^ Gray, Barry (October 10, 2019). "Holey moley! National party leader opts for mini putt over canvassing in Hamilton". The Hamilton Spectator. ISSN 1189-9417. Retrieved October 26, 2019.
  67.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14 weird platform promises from the now-defunct Rhinoceros Party". Macleans.ca. August 30, 2014. Retrieved November 7, 2017.
  68. ^ a b utiliser, Ne pas. "Promises". www.eatgoogle.com. Retrieved November 7, 2017.
  69. ^ a b "리노당은 호튼스를 국유화하고 자본을 카푸스카싱으로 옮기겠다고 약속한다." 2015년 8월 18일 토론토 스타.
  70. ^ "Rhinoceros Party fonds, Library and Archives Canada". July 20, 2017. Retrieved September 18, 2020.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