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버사이드(밴드)
Riverside (band)리버사이드 | |
---|---|
![]() 2009년 리버사이드. 왼쪽부터: 피오트르 코지에라츠키, 피오트르 그루지슈스키, 마리우스 두다, 미차우 우와프지. | |
배경 정보 | |
기원 | 폴란드 바르샤바 |
장르 | 프로그레시브 록, 프로그레시브 메탈 |
년 활동 | 2001-현재 |
레이블 | 인사이드 아웃, 미스틱 프로덕션 |
관련 행위 | 증오, 루나틱 소울 |
웹사이트 | 리버사이드 밴드.텀블링하다 |
회원들 | 마리우스 두다 피오트르 코지에라츠키 미차우 와파지 마키 멜러 |
과거 구성원 | 야체크 멜니키 피오트르 그루지스키(2016년 사망) |
리버사이드(Riverside)는 폴란드 바르샤바 출신의 프로그레시브 록 밴드다. They were founded in 2001 by friends Mariusz Duda, Piotr Grudziński, Piotr Kozieradzki and Jacek Melnicki, who shared a love for progressive rock and heavy metal, although Duda, the main lyricist and composer of the band, was originally a fan of electronic, ambient, experimental music, like Radiohead, Massive Attack, Dead Can Dance, Tangerine Dream, 피터 가브리엘 그리고 나중에 핑크 [1]플로이드, 러쉬, 마릴리언, 그리고 스래시 메탈 같은 프로그 록.[2] 리버사이드(Riverside)는 대기 암석과 금속 원소가 어우러져 뽀르쿠파인 나무, 구원의 고통, 드림 시어터(Dream Theater)와 비슷한 소리를 내는 것으로 묘사할 수 있다.[2]
역사
내 시작과 외향
천년이 바뀔 무렵의 어느 날, 짧은 운전 중에 피오트르 코지에라츠키는 피오트르 그르지슈스키를 위해 그의 차에서 마리옹을 연기했다. 드러머 피오트르 '미틀로프' 코지에라즈키는 도미니언과 헤이트, 피오트르 그루지츠키는 메탈 밴드 '노나잇'에서 기타를 연주한 적이 있지만, 둘은 프로그레시브 록에 대한 깊은 애정을 나누었다. 그들은 이미 프로듀서 겸 키보드 연주자 Jacek Melnicki와 친구였고, 그는 또한 자신의 스튜디오를 소유하고 있었다. 세 사람은 프로그레시브 음악을 실험하기로 했지만 라인업을 완성하려면 베이스 연주자가 필요했다. 밴드 자나두의 보컬이자 다중 악기 연주자인 마리우스 두다는 제이스크의 요청으로 2001년 늦가을 리허설에 참석하기로 합의했다. 이 네 명의 숙련된 기악가들 간의 첫 만남에 대한 반응은 매우 긍정적이었다.
몇 번의 리허설 후, 멤버들은 자신들이 뭔가 특별하고 깊은 만족감에 빠져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일단 몇 곡의 작사가 완성되고 나면 마리우스는 자신의 언어로 노래를 부르려고 시도했는데, 비록 미래의 모든 보컬과 가사가 영어로 쓰여지기는 했지만, 아마도 그들의 미래 트랙인 "커튼 폴스"의 발성과 비슷했을 것이다. 이리하여 마리우즈는 베이스 연주자 역할뿐만 아니라 보컬리스트 역할도 맡기 시작했다. 결성 약 1년 후인 2002년 10월, 이 밴드는 바르샤바에서 한 쌍의 공연을 했다. 약 500장의 데모가 배포된 후, 이 밴드는 2003년 초 다시 한번 바르샤바의 작은 클럽에서 공연을 했다. 밴드가 계속해서 정규 발표를 위해 더 많은 자료를 쓰면서, 키보드 연주자 제이스크와 리버사이드의 다른 멤버들 사이에 불협화음이 커졌다. Jacek은 그의 스튜디오 활동을 계속하기를 원했고 그래서 2003년 후반에 그는 그룹에서 분리되었다.
나머지 밴드는 그들의 첫 번째 앨범을 혼용하도록 남겨두었는데, 이 앨범은 "Out of Myself"라는 제목이 붙게 되었다. 2003년 말 폴란드에서 발매되었다. 폴란드에서의 앨범의 성공과 라이브는 밴드가 2004년 9월 미국 음반사 레이저 엣지에 앨범 발매를 이끌어냈다는 것을 보여주는데, 이번에는 트래비스 스미스의 커버 아트, 오페스, 카타토니아, 아나테마, 데빈 타운젠드 등의 밴드의 화가였다. 앨범 Out of Myself는 메탈 해머와 벨기에 프로그-노즈와 같은 많은 잡지와 웹사이트에서 최고의 데뷔를 했다.
내 머릿속과 세컨드라이프 증후군의 목소리
2003년에 데뷔한 Out of Myself와 2004년에 이은 성공에 이어, 이 밴드는 처음에는 미스틱 프로덕션이라는 레이블을 통해 폴란드를 독점적으로 발매한 "Voice in My Head"라는 제목의 EP 작업을 시작했다. 폴란드 출신의 4중주단은 네덜란드의 도시 바알로에서 열린 프로그파워 축제에서 첫 해외 공연을 펼쳤다. 이 밴드는 2005년 10월 말에 SL 신드롬을 출시하면서 주요 프로그 레이블인 Inside Out에 의해 영입되었다. 이 앨범은 Out of Myself보다 훨씬 더 밴드의 활동 범위를 넓히는 등 엄청난 성공을 거두었다. 이 앨범은 Prog Archives 100대 프로그 앨범과 2005년 1위 등급 앨범에서 62위로 만만치 않은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3] 2006년 폴란드에서만 발매된 EP인 Voices in My Head는 InsideOut 레이블로 재출시되었으며, 현재 Out of Myself 앨범에 3개의 고품질 라이브 트랙이 수록되어 개편되었다. 게다가, 이 밴드는 2006년 6월 24일 펜실베이니아 베들레헴의 NEARFest에서 첫 해외 공연을 했다. 곧이어, 이 밴드는 리얼리티 드림 시리즈의 세 번째 정규 앨범과 마지막 편곡을 쓰기 시작할 것이다.[4]
빠른 눈의 움직임과 미치광이의 영혼
2007년 10월, 이 밴드는 InsideOut 레이블 아래 다시 한번 앨범 Rapid Eye Movement를 발매했다. 유럽 앨범은 표준 9곡이 있었지만 미국 앨범은 두 가지 버전이 나왔다. 하나는 앨범의 9곡이 수록된 싱글 CD였고, 02 패닉 룸 싱글의 3곡이 더해졌다. 이 싱글 CD는 미스틱 프로덕션의 전유물이어서 대부분 해외 팬들에게는 제공되지 않았다. 다른 버전에는 2장의 CD가 들어 있었는데, 첫 번째 앨범 트랙과 두 번째 디스크에는 싱글의 세 곡이 수록되어 있었고, 두 번째 디스크에는 새로운, 더욱 분위기 있는 두 곡이 수록되어 있었다. 발매 전, 밴드는 유럽 투어에서 드림 시어터를 응원하기 위해 순회 공연을 했고, 그들을 훨씬 더 많은 잠재 팬들에게 노출시켰다. 마리우스 두다는 2008년 10월 13일 Kscope의 새 프로젝트 Lunatic Soul에서 자칭 데뷔 앨범을 발매했다.[5]
아노 도미니 고화질 고화질과 내 머릿속의 추억
이 4인조의 다음 앨범은 "Anno Domini High Definition"[6]이었다. 마리우스 두다는 2009년 1월 27일 이 앨범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우리는 바르샤바에서 떠났고, 스튜디오와 프로듀서를 바꿨다. 우리는 일관성 있는 레코드를 만드는 것에 깊이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그렇기 때문에 아마 대부분 5곡만 수록될 것이다. 그 소재는 에너지 넘치고, 다양하며, 그리고 - 그러길 바래 - 라이브 공연에 매우 좋을 것이다. 유동적인 현대성, 끊임없이 서두르는 삶, 미래에 대한 스트레스와 불안감에 대한 이야기가 될 것이다. 1920 x 1080 정의의 우리 시대 사진."
이 음반은 폴란드에서 2009년 6월 15일 미스틱 프로덕션이 발매했다. Anno Domini High Definition은 6위에 이어 2주 동안 폴란드에서 가장 많이 팔린 앨범이 되었다.[7] 이 앨범은 유럽의 나머지 지역에서는 6월 6일에 발매되었고, 북아메리카에서는 7월 28일에 발매되었다. 이 밴드는 블로그와 웹사이트 annodomininihighdefinition.com(더 이상 등록된 도메인이 아님)을 더 이상 등록된 도메인이 아니다.
Anno Domini HD의 Limited Edition은 2디스크 세트다. 두 번째 디스크는 7곡 비디오 제작이 담긴 DVD다. 그 쇼는 암스테르담의 파라디소 극장에서 녹화되었다.
2011년 '내 머리 속의 추억'이라는 제목의 EP가 발매되었다.
신세대 노예의 신사
2013년 1월 리버사이드에서는 다섯 번째 정규 앨범 《신세대 노예들의 신전》을 발매하였다.[8]
Love, Fear and the Time Machine, Eye of the Soundscape와 Piotr Grandziński의 죽음
2015년 9월 초 정규 6집 《Love, Fear, Time Machine》이 발매되어 폴란드 외 지역에서 이전 앨범보다 최고 판매량을 기록했다.[9]
2016년 2월 21일 기타리스트 피오트르 그루지스키가 세상을 떠났다.[10] 그는 전날 밤 바르샤바에서 열린 와이너리 도그 콘서트에 참석했었다.[11] 지난 3월 4일 폐색전증으로 사망한 것으로 밝혀졌다. 리버사이드에서는 예정된 관광 일정의 취소를 발표했다.[12] 2016년 3월 10일 리버사이드에서는 리버사이드의 주변 곡과 악기 곡들을 편집한 새 앨범이 진행 중이라고 발표했다.[13] 8월 21일, 앨범의 제목은 "Eye of the Soundscape"로 발표되었고, 10월 21일에 발매되었다.[14]
9월 23일 리버사이드에서는 피오트르 그루지스키를 즉시 교체하지 않고 대신 3인조로 계속 활동할 것이라고 발표했다.[15] 마리우스 두다가 앨범에서 기타를 연주하고 세션 멤버들은 기타를 라이브로 연주한다. 2017년 2월 22일 기타 연주자 마키즈 멜러(Quidam, Meler Gowyniak Duda)가 투어링 멤버로 밴드에 합류한다고 공식 발표하였다.
황무지
2018년 9월 28일, 리버사이드에서는 7집 앨범을 발매했고, 첫 번째 앨범은 Grandziński, Wasteland가 발매되었다.
2020년 2월 3일, 리버사이드에서는 Maciej Meler가 공식 자격으로 밴드에 합류했으며, 8집 앨범의 작사 세션에 참여할 것이라고 발표했다.[16]
회원들
현재 구성원
전회원
|
타임라인

음반 목록
스튜디오 앨범
제목 | 앨범 상세 정보 | 피크 차트 위치 | 인증 (판매 임계값) | |||||||||||
---|---|---|---|---|---|---|---|---|---|---|---|---|---|---|
폴 [17] | NLD [18] | GER [19] | SWI [20] | 핀 [21] | BEL(FL) [22] | BEL(WA) [22] | ||||||||
Out of Myself | — | — | 13 | — | — | — | — | |||||||
세컨드 라이프 신드롬 | 22 | — | — | — | — | — | — | |||||||
래피드 아이 무브먼트 |
| 2 | 73 | — | — | — | — | — | ||||||
아노 도미니 고화질 |
| 1 | 58 | 94 | — | — | — | — |
| |||||
신세대 노예의 신사 |
| 2 | 28 | 33 | 51 | 41 | 130 | 109 |
| |||||
사랑, 공포 그리고 타임머신 |
| 2 | 4 | 18 | 25 | 31 | 73 | 51 |
| |||||
황무지 |
| 1 | 28 | 13 | 23 | 30 | 111 | 79 |
| |||||
"—"는 차트화되지 않았거나 해당 영역에서 공개되지 않은 기록을 의미한다. |
컴파일 앨범
제목 | 앨범 상세 정보 | 피크 차트 위치 | ||||||||||||
---|---|---|---|---|---|---|---|---|---|---|---|---|---|---|
폴 [33] | NLD [34] | GER [35] | SWI [20] | 핀 [21] | BEL(FL) [22] | BEL(WA) [22] | ||||||||
사운드스케이프의 눈[36] |
| 4 | 60 | 69 | 92 | — | 122 | 112 | ||||||
"—"는 차트화되지 않았거나 해당 영역에서 공개되지 않은 기록을 의미한다. |
비디오 앨범
제목 | 앨범 상세 정보 | 피크 차트 위치 |
---|---|---|
핀 [37] | ||
리얼리티 드림 |
| 8 |
라이브 앨범
제목 | 앨범 상세 정보 |
---|---|
리얼리티 드림 |
|
분실물 'N' 발견 - 틸버그에 거주 |
|
EPs
제목 | 세부 사항 |
---|---|
내 머릿속의 목소리 |
|
내 머릿속의 추억 |
|
어쿠스틱 세션[40] |
|
싱글스
연도 | 제목 | 피크 차트 위치 | 인증 (판매 임계값) | 앨범 | |||||
---|---|---|---|---|---|---|---|---|---|
폴 | |||||||||
2003 | "루즈 하트"[41] | — | Out of Myself | ||||||
2005 | "컨시빙 유"[42] | — | 세컨드 라이프 신드롬 | ||||||
2007 | "02 패닉 룸"[43] | — |
| 래피드 아이 무브먼트 | |||||
2008 | "정신분열 기도"[45] | — | |||||||
2013 | "연예인 터치"[46] | — | 신세대 노예의 신사 | ||||||
2016 | "샤인"[47] | — | 사운드스케이프의 눈 사랑, 공포 그리고 타임머신 | ||||||
2018 | "눈물의 계곡" | — | 황무지 | ||||||
"아래 강물" | — | ||||||||
"라멘트" | — | ||||||||
"-"는 차트화되지 않은 릴리스를 의미한다. |
참조
- ^ "BACKGROUND MAGAZINE Interview Mariusz Duda (Riverside, Lunatic Soul)". www.backgroundmagazine.nl. Retrieved 2017-11-15.
- ^ a b "Band". riversideband.p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6-01-05.
- ^ "Progarchives top 100 albums". 2009-01-23. Retrieved 2009-01-23.
- ^ "RAPID EYE MOVEMENT, REALITY DREAM". riversideband.pl.
- ^ "Kscope present Lunatic Soul". Kscopemusic.com. Retrieved 2015-09-13.
- ^ [1] 2009년 6월 21일 웨이백머신에 보관
- ^ [2] 2015년 6월 27일 웨이백머신에 보관
- ^ "Riverside - Shrine of New Generation Slaves". Riversideband.pl. Retrieved 2015-09-13.
- ^ "Riverside - Riverside are entering the studio to record their sixth album "Love, Fear and the Time Machine"". Riversideband.pl. Retrieved 2015-09-13.
- ^ "RIVERSIDE Guitarist PIOTR GRUDZINSKI Dead At 40". Blabbermouth.net. February 21, 2016. Retrieved February 21, 2016.
- ^ "Mike Portnoy on Twitter: "Just received the shocking news that Riverside guitarist Piotr Grudzinski passed away after attending last nights Winery Dogs show in Warsaw"". Twitter. 2016-02-21. Retrieved 2016-03-05.
- ^ "Riverside - Chcielibyśmy bardzo serdecznie podziękować w..." Facebook. Retrieved 2016-03-05.
- ^ "Riverside - I wrote "Towards the Blue Horizon" in honour... Facebook". www.facebook.com. Retrieved 2016-03-10.
- ^ ""Eye of the Soundscape" - new Riverside album!". Riverside. 21 August 2016. Retrieved 9 September 2016.
- ^ Munro, Scott (23 September 2016). "Riverside to continue as trio". Prog Magazine. Retrieved 23 September 2016.
- ^ Ewing, Jerry (3 February 2020). "Riverside announce they're a quartet again". Loudersound. Retrieved 4 February 2020.
- ^ 폴란드의 최고 차트 위치:
- 세컨드 라이프 신드롬:
- 신속한 눈 움직임:
- Anno Domini 고화질:
- 신세대 노예의 신사:
- Love, Fear, Time Machine:
- 황무지:
- ^ Steffen Hung. "Dutch Charts". dutchcharts.nl. Retrieved 2015-09-13.
- ^ "Discographie von Riverside". GfK Entertainment. Retrieved 19 February 2021.
- ^ a b Steffen Hung. "Die Offizielle Schweizer Hitparade und Music Community". Hitparade.ch. Retrieved 2015-09-13.
- ^ a b Steffen Hung. "Finnish charts portal". finnishcharts.com. Retrieved 2015-09-13.
- ^ a b c d "Riverside - Shrine Of New Generation Slaves". ultratop.be. 2013-01-26. Retrieved 2015-09-13.
- ^ "Out of Myself by Riverside on iTunes". Itunes.apple.com. Retrieved 2015-09-13.
- ^ "Second Life Syndrome by Riverside on iTunes". Itunes.apple.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5-07-08. Retrieved 2015-09-13.
- ^ "Rapid Eye Movement by Riverside on iTunes". Itunes.apple.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5-07-08. Retrieved 2015-09-13.
- ^ "Anno Domini High Definition - EP by Riverside on iTunes". Itunes.apple.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4-08-21. Retrieved 2015-09-13.
- ^ "Albums certified Gold in 2011". Bestsellery.zpav.pl. Retrieved 2016-03-05.
- ^ "Shrine of New Generation Slaves by Riverside on iTunes". Itunes.apple.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4-11-01. Retrieved 2015-09-13.
- ^ "Albums certified Gold in 2013". Bestsellery.zpav.pl. Retrieved 2016-03-05.
- ^ "Facebook". Facebook.com. Retrieved 2020-03-08.
- ^ "Riverside - Wasteland".
- ^ "Riverside - Dzisiaj przemiĹ'y wieczĂłr - zĹ'ota pĹ'yta za..." Facebook.com. 2019-11-20. Retrieved 2020-03-08.
- ^ 폴란드의 최고 차트 위치:
- 사운드스케이프의 눈:
- ^ Steffen Hung. "Dutch Charts". dutchcharts.nl. Retrieved 2015-09-13.
- ^ "Die ganze Musik im Internet: Charts, Neuerscheinungen, Tickets, Genres, Genresuche, Genrelexikon, Künstler-Suche, Musik-Suche, Track-Suche, Ticket-Suche". musicline.de. Retrieved 2015-09-13.
- ^ "INSIDE OUT MUSIC - Riverside: : 5.1 mix edition of "Love, Fear and the Time Machine" out now + "Eye of the Soundscape" release announced".
- ^ "Musiikkituottajat - Tilastot - Suomen virallinen lista - Musiikki DVD:t". Ifpi.fi. Retrieved 2015-09-13.
- ^ "Voices In My Head by Riverside on iTunes". Itunes.apple.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5-07-12. Retrieved 2015-09-13.
- ^ "Memories In My Head by Riverside on iTunes". Itunes.apple.com. Retrieved 2015-09-13.
- ^ "FINALE OF OUR 'WASTELAND ADVENTURE'". riversideband.pl.
- ^ "Riverside - Loose Heart". Riversideband.pl. 2004-03-06. Retrieved 2015-09-13.
- ^ "Riverside - Conceiving You". Riversideband.pl. 2005-10-01. Retrieved 2015-09-13.
- ^ "Riverside - 02 Panic Room". Riversideband.pl. 2007-06-10. Retrieved 2015-09-13.
- ^ "Albums and singles certified Gold in 2008". Bestsellery.zpav.pl. Retrieved 2016-03-05.
- ^ "Riverside - Schizophrenic Prayer". Riversideband.pl. 2008-03-17.
- ^ "Celebrity Touch - Single by Riverside on iTunes". Itunes.apple.com. Retrieved 2015-09-13.
- ^ "RIVERSIDE - Shine". riversideband.pl.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리버사이드(밴드)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