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is a goo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로버트 R.윌슨

Robert R.
로버트 R.윌슨
RobertWilsonFNAL.jpg
로버트 R.페르밀라브 기공식장 윌슨 선수단
태어난(1914-03-04) 1914년 3월 4일
죽은2000년 1월 16일(2000-01-16) (85세)
모교버클리 캘리포니아 대학교
수상
과학 경력
필드물리학
기관
논문사이클로트론 이론 (1940)
박사학위 자문위원어니스트 로렌스
서명
Robert R. Wilson signature.jpg

로버트 래스번 윌슨(Robert Rathbun Wilson, 1914년 3월 4일 ~ 2000년 1월 16일)은 제2차 세계 대전맨해튼 프로젝트에 관한 연구로, 조각가로서, 그리고 1967년부터 1978년까지 초대 이사로 활동한 페르미 국립 가속기 연구소(Fermilab)의 건축가로서 잘 알려진 미국의 물리학자였다.

버클리 캘리포니아대(BA, 박사)를 졸업한 윌슨은 버클리 방사선 연구소에서 사이클로트론 개발에 관한 연구로 어니스트 로렌스의 감독 아래 박사학위를 받았다.그 후 그는 헨리 드울프 스미스함께 우라늄 동위원소의 전자기 분리에 대해 연구하기 위해 프린스턴 대학교로 갔다.1943년 윌슨과 그의 많은 동료들은 맨해튼 프로젝트로스 알라모스 연구소에 들어갔고, 그곳에서 윌슨은 사이클로트론 그룹(R-1)의 수장이 되었고, 이후 그 연구(R) 부서의 수장이 되었다.

전쟁이 끝난 후, 윌슨은 잠시 하버드 대학교의 부교수로 입사했고, 그 후, 코넬 대학교 물리학과 교수와 새로운 핵 연구소의 소장으로 갔다.윌슨과 코넬의 동료들은 4개의 전자 싱크로트론을 만들었다.1967년 그는 페르밀랍으로 알려진 국립가속기 연구소의 이사직을 맡았다.그는 간신히 제시간에 예산 미달로 시설을 완성했지만, 동시에 미적으로 쾌적하게 만들었고, 의도적으로 보바이스 대성당을 연상케 하는 주 행정 건물과 아메리카 비손 떼를 거느린 복원된 대초원이 있었다.그는 1978년 불충분한 정부 자금에 대한 항의로 사임했다.

초년기

로버트 랏분 윌슨은 1914년 와이오밍 프론티어에서 플랫 엘빈과 에디트 엘리자베스([1]랏분) 윌슨의 아들로 태어났다.그에게는 언니 메리 제인이 있었다.[2]그의 부모는 그가 여덟 살 때 별거하였고,[3] 가끔 어머니와 함께 살았지만 아버지에게는 양육권이 주어졌다.[4]그의 어린 시절의 상당 부분은 소 목장에서 보내졌다.그는 학교를 자주 옮겼고,[3] 할머니가 일했던 일리노이주 우드스톡의 토드스쿨 등 다수의 학교에 다녔다.[4]

윌슨은 1932년 버클리 캘리포니아 대학에 입학했으며 1936년 학사학위우등으로 받았다.[3]그는 어니스트 O에 합류했다. 당시 로렌스와 J. 로버트 오펜하이머의 노력으로 실험물리학과 이론물리학 모두에서 미국 최고의 사이트로 발돋움하고 있던 로렌스방사선 연구소가 각각 꽃을 피웠다.[5]윌슨은 "사이클로트론의 이론"[6]에 대한 논문으로 1940년에 철학박사(PhD)를 받았다.그 해에 그는 제인 이네즈 셰이어와 결혼했다.[7]

윌슨은 사이클로트론 작업을 하던 중 로렌스의 가혹한 검소함으로 곤경에 처했고 방사선 연구소에서 두 번이나 해고당했다.처음은 37인치 사이클로트론에서 고무도장을 잃어버려서 잠재적 기증자에게 시연할 때 고무도장을 사용하지 못하게 된 것이었다.이후 루이스 알바레스의 재촉에 재취임했지만 용접 도중 값비싼 플라이어를 녹여 다시 해고당했다.직장을 다시 제안했지만, 그는 대신 프린스턴 대학교로 가서 헨리 드울프 스미스와 함께 일하기로 결정했다.[8][4]

맨해튼 프로젝트

프린스턴에서 윌슨은 결국 Smyth의 프로젝트를 인수하여 핵폭탄 제조의 핵심 단계인 훨씬 일반적우라늄-238에서 우라늄핵분열 우라늄-235 동위원소를 분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로렌스의 칼루트론 방식에서 전자기 분리에 대한 대안적 접근법을 개발했다.1941년까지 이 프로젝트는 "이소트론"이라고 불리는 장치를 생산했는데, 이 장치는 칼루트론과 달리 자기장이 아닌 우라늄을 분리하기 위해 전기장을 사용했다.[8]

로버트 R.로스앨러모스의 윌슨 신분증 배지 사진

프린스턴에서의 작업은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맨해튼 프로젝트의 로스 알라모스 국립 연구소인 오펜하이머의 원자폭탄 연구 비밀 연구소가 1943년에 문을 열면서 종료되었다.윌슨은 "전문군인 무리처럼"이라며 "로스 알라모스에 가기 위해 일괄적으로 가입했다"고 회상했다."[9]

윌슨은 프린스턴의 일부 직원과 하버드 대학의 사이클로트론(Cyclotron)을 데리고 그곳으로 이동했고, 오펜하이머에 의해 사이클로트론 그룹(R-1)의 수장으로 임명되었다.20대 후반에야 실험부문에서 최연소 그룹장이었다.[10][7]사이클로트론은 플루토늄중성자 단면 측정에 사용된다.[11]

1944년 8월 오펜하이머가 실험실을 개편해 내포형 핵무기 개발에 주력하자 윌슨은 R(Rearch) 부서의 책임자가 되었다.[11]As such he had four groups reporting to him: the Cyclotron Group (R-1), still headed by himself; the Electrostatic Group (R-2), headed by John H. Williams; the D-D (Deuterium-Deuterium) Group (R-3), headed by John H. Manley; and the Radioactivity Group (R-4), headed by Emilio G. Segrè.1945년 3월 R사단은 1945년 7월 삼위일체 핵실험을 위한 계측기 개발이라는 추가 책임을 취득했다.윌슨은 그 전에 있었던 100톤 테스트를 위해 폭발물 상자를 쌓는 것을 도왔다.[10]로스 알라모스에서 그는 마을 의회에서도 활동하며 지역 사회에서도 활동했다.[12]

1945년 5월 나치 독일이 항복하고, 독일의 핵에너지 프로젝트가 수 년이나 뒤처져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충돌 원폭 프로젝트의 초기 동기가 소멸되자, 윌슨은 그들이 일을 계속해야 하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이 소식은 맨해튼 프로젝트의 책임자인 레슬리 그로브스 소령으로부터 냉랭한 환영을 받았다.만년에 오스카상 후보에 오른 다큐멘터리 <트라이니티 다음 날>(1980년)에서 인터뷰를 할 때 윌슨은 독일의 항복 이후 폭탄에 대한 작업을 중단하는 것을 강력하게 고려했어야 했다고 말하고, 어느 정도 그러지 못한 것을 후회할 것이다.[13]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의 원폭 투하 후, 윌슨은 로스 알라모스 과학자 협회(ALAS)를 조직하는 것을 도왔고, 이 협회는 과학자들의 탄원서를 가지고 원자력의 국제적 통제를 요구했다.[14]이 청원서는 오펜하이머에 의해 워싱턴 D.C.로 옮겨졌고, 결국 헨리 L. 스팀슨 전 장관을 거쳐 해리 S. 대통령에게 전달되었다. 트루먼.[15]

제2차 세계 대전 후

I. I. Rabi (1950년 C. Robert Wilson)와 제인, 로버트 윌슨 (I. Rabi (1950년)

전쟁이 끝난 후, 윌슨은 또한 미국 과학자 연맹을 결성하는 것을 도왔고 1946년에 회장을 역임했다.그는 하버드에서 부교수로 임명되는 것을 받아들였지만, 1946년 8개월을 버클리에서 로스 알라모스로 데려간 것을 대체할 새로운 150 MeV 사이클로트론을 디자인하는 데 보냈다.[7]하버드대에서 윌슨은 양성자 치료 분야를 설립한 세미논문 '빠른 양성자의 방사선학적 이용'을 발표했다.[16][17]

코넬

1947년 윌슨은 코넬 대학교 물리학 교수 겸 새로운 핵 연구소의 소장으로 갔다.코넬에서 윌슨과 그의 동료들은 4개의 전자 싱크로트론을 만들었다.첫번째, 300 MeV 싱크로트론, 그가 도착했을 때 건설 중이었다.[7]1948년 해군 연구소에 제출한 보고서에서 그는 그들의 목적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핵물리학의 가장 중요한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핵이 만들어지는 기초 입자는 무엇이며, 이러한 입자들을 함께 지탱하는 힘의 본질은 무엇인가?보다 일반적이지만 연관된 문제는 우리의 싱크로트론에 의해 생성될 것과 같은 높은 에너지에서의 전기 법칙의 일반적인 표현에 관한 것이다.우리의 실험은 세 가지 문제를 모두 공격하기 위해 계획되어 있다.따라서 우리는 아마도 기초 입자인 인공 중자를 생산하고 핵과의 상호작용을 연구하기를 희망한다.또한, 높은 에너지의 정확한 전기 이론을 가리키는 증거를 찾기 위해 전자 및 양성자와 높은 에너지 전자의 전기적 상호작용을 탐구해야 한다.[7]

윌슨은 1952년에 1.4 GeV 싱크로트론 건설을 시작했다.1948년 그가 예견했던 대로 인공 K 중수rho 중원을 생산했고, 단거리에서 양자 전자역학을 실험했다.그가 코넬에서 마지막으로 만든 기계는 1977년에서 1999년 사이에 제작된 코넬 전자 저장 링(CESR)의 인젝터로 남아 있는 12개의 GeV 싱크로트론이었다.[18]그것은 현재 윌슨 싱크로트론 연구소로 알려진 곳에 위치해 있다.[19]

윌슨은 전자와 양성자가 시작입자 샤워모형화하는 데 사용한 몬테카를로 방법을 사용한 최초의 물리학자들 중 한 명이었다.그는 고에너지 X선 빔의 강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정량계를 발명했다.[20]

페르밀랍

윌슨은 페르미 국립가속기 연구소의 심미적 디자인에 직접적인 역할을 했다.여기 보이는 것은 로버트 래스번 윌슨 홀이다.

1967년 그는 코넬로부터 휴직하여 그 때까지 건설된 최대 입자 가속기(Glarge Electron-Positron Collider, 1989년 CERN에서 가동되기 시작할 때까지 그대로 유지될 예정) 일리노이주 바타비아에 있는 초기 국립 가속기 연구소의 이사직을 맡았다.1969년, 윌슨은 수백만 달러짜리 이 기계를 정당화하기 위해 국회 원자력 공동위원회에 불려갔다.Wilson은 오늘날의 추세를 거스르면서, 그것이 국가 안보와 전혀 관련이 없다고 오히려 다음과 같이 강조했다.

우리가 서로를 존중하는 것, 인간의 존엄성, 문화에 대한 우리의 사랑...이는 다음 사항과 관련이 있다.우리는 훌륭한 화가, 훌륭한 조각가, 위대한 시인인가?우리 나라에서 정말 존경하고 존경하며 애국하는 모든 것들을 말하는 거야.그런 점에서 이 새로운 지식은 명예와 나라와 모두 관련이 있지만, 나라를 지킬 가치가 있는 것으로 만드는 것을 돕는 것 외에는 우리나라를 지키는 것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21]

로렌스로부터 매우 많이 채택된 경영 스타일인 윌슨의 재능 있는 리더십 덕분에, 그 시설은 제때에 예산으로 완성되었다.윌슨에 따르면, 글렌 T 원자력 위원회 위원장에게 주었다. 시보그는 승인받은 2억 5천만 달러의 예산을 초과하지 않을 것이며 그렇게 한다면 "지옥에서 썩을 것"이라고 확신했다.[22]이 시설은 4마일 둘레, 400 GeV 가속기를 중심으로 했다.[22]윌슨은 이어서 1 TeV 입자 가속기Tevatron의 설계를 시작했다.[20]국립가속기 연구소는 엔리코 페르미의 이름을 따서 1974년에 페르미 국립가속기 연구소로 개칭되었다.그것은 종종 "페르밀랍"이라고 불린다.[23]

비손은 페르미 국립가속기 연구소 근처의 대초원에서 풀을 뜯는다.

1961,[20]에서 안식 기간 중 윌슨은 아카데미아에서 벨 Arti 디 피렌체 디 이탈리아에 살고 그는 페르미 국립 가속기 연구소가 되기 매력적인 공간이 되기를 원했다 외부 화합적으로도 개인적으로 진부한"정부 실험실"처럼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애쓰고 나서, i.이 핵심적인 역할을 당내 화합을 장려할 수 있다며 조각을 공부하고 있었습니다n이s 설계와 [22]건축시설 주위에는 1969년 윌슨이 소 한 마리와 소 네 마리를 데려오면서 시작된 미국 바이슨 무리의 보금자리 역할을 했던 복원된 대초원이 있었다.[24]

그 자리에는 연못도 있었고, 의도적으로 보바이스 성당을 연상시키는 본관도 있었다.[22]페르밀랍은 또한 '모비우스 스트립', '과대칭 오벨리스크', '트랙틱한', '파손된 대칭성' 등 여러 작품을 선보이며 조각가로서의 역할을 자축하고 있다.또 다른 금속 조각품 "토폴로지 III"가 하버드 과학 센터 로비에 있다.[25]페르밀랍의 중앙 연구소 건물은 1980년 그를 기리기 위해 로버트 래스번 윌슨 홀(Robert Rathbun Wilson Hall)으로 명명되었다.[26]

윌슨은 1978년까지 페르밀라브 국장을 역임했으며, 그 때 연방 정부의 불충분한 자금 지원에 항의하여 사임했다.[27]그 후 엔리코 페르미 연구소의 리츠마 교수로 시카고 대학 교수에 입사했다.그는 1980년에 시카고 물리학과 명예교수가 되었다.그는 컬럼비아 대학교로 이사했고, 거기서 그는 내가 되었다.I. Rabi 1979년 과학 및 인간관계학 교수, Michael 1세. 1980년에는 퍼핀 물리학 교수, 1982년에는 명예 교수.1983년 은퇴한 뒤 다시 뉴욕 이타카로 이주했다.[7]

수상 및 수상

윌슨은 1964년 프랭클린 연구소에서 받은 엘리엇 크레슨 메달, 1973년 국립과학훈장, 1984년 에너지부 엔리코 페르미상 등 많은 상과 영예를 받았다.미국 국립과학원미국철학회에 선출되었고, 1985년 미국물리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28]1986년 윌슨은 미국 공로 아카데미 골든 플레이트 상을 받았다.[29]

죽음

Wilson은 1999년에 뇌졸중을 앓았고, 그 결과 그는 회복되지 않았다.2000년 1월 16일 85세의 나이로 뉴욕 이타카에 있는 요양원에서 사망하였고,[30] 페르밀랍 유적지의 19세기 개척자 묘지에 안장되었다.[31][32]그는 그의 아내 제인과 그의 세 아들 다니엘, 조나단, 랜드와 그의 여동생 메리 제인 그린힐이 생존했다.[32]그의 논문은 코넬 대학 도서관에 있다.[20]

메모들

  1. ^ McDaniel, Boyce; Silverman, Albert (April 2000). "Obituary: Robert Rathbun Wilson". Physics Today. 53 (4): 82–83. Bibcode:2000PhT....53d..82M. doi:10.1063/1.883056.
  2. ^ "Dowling Family Genealogy". Ancestry.com. Retrieved October 28, 2014.
  3. ^ a b c 맥대니얼 & 실버맨 2001, 페이지 4.
  4. ^ a b c "Oral History Transcript — Dr. Robert R. Wilson". American Institute of Physics. Retrieved February 15, 2013.
  5. ^ 헤르켄 2002 페이지 11-15.
  6. ^ Wilson, Robert R. (May 1940). Theory of the Cyclotron (PhD). -University of California. OCLC 29834068.
  7. ^ a b c d e f McDaniel & Silverman 2001, 페이지 5.
  8. ^ a b 헤르켄 2002 페이지 47-48.
  9. ^ Hoddeson1993, 페이지 59.
  10. ^ a b "A Reluctant Division Leader". Los Alamos National Laborator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February 19, 2005. Retrieved February 15, 2014.
  11. ^ a b Hoddeson1993, 페이지 78–79.
  12. ^ Segelken, Roger (January 20, 2000). "Robert R. Wilson, physicist and particle accelerator designer, dies at 85". Cornell Chronicl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19, 2012. Retrieved February 15, 2014.
  13. ^ The Day After Trinity. 1980.
  14. ^ 헌너 2004, 페이지 112–115.
  15. ^ 버드 & 셔윈 2005, 페이지 324–325.
  16. ^ "Robert R. Wilson: Remembered as "Father of Proton Therapy"".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Proton Therapy. Retrieved September 1, 2011.
  17. ^ Wilson, Robert R. (November 1946). "Radiological Use of Fast Protons". Radiology. 47 (5): 487–491. doi:10.1148/47.5.487. PMID 20274616. S2CID 27210693.
  18. ^ 맥대니얼 & 실버맨 2001, 페이지 7-8.
  19. ^ "Wilson Synchrotron Laboratory". Cornell University. Retrieved February 16, 2014.
  20. ^ a b c d "Guide to the Robert R. Wilson Papers, 1936–2000 Collection Number: 14-22-3093". Cornell University Library. Retrieved February 15, 2013.
  21. ^ "R.R. Wilson's Congressional Testimony, April 1969". Fermilab History and Archives Project. Retrieved August 14, 2013.
  22. ^ a b c d Wilson, Robert. "Starting Fermilab". Fermilab. Retrieved February 15, 2014.
  23. ^ "NAL Dedication". Fermilab. Retrieved February 15, 2014.
  24. ^ "Fermilab Bison and Prairie Info". Fermilab. Retrieved February 15, 2014.
  25. ^ Peterson, Ivars (March 17, 2003). "Möbius at Fermilab". Science News. Retrieved February 16, 2014.
  26. ^ "Robert Rathbun Wilson Hall". Fermilab. Retrieved February 15, 2014.
  27. ^ "Resignation of Bob Wilson" (PDF). CERN. Retrieved February 16, 2014.
  28. ^ McDaniel & Silverman 2001, 페이지 14.
  29. ^ "Golden Plate Awardees of the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 www.achievement.org.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
  30. ^ "Robert R. Wilson, Founding Director of Fermilab, Dies at Age 85". Fermilab. Retrieved February 15, 2014.
  31. ^ "What is Fermilab?". Retrieved March 7, 2012.
  32. ^ a b Glanz, James (January 18, 2000). "Robert R. Wilson, Physicist Who Led Fermilab, Dies at 85".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February 15, 2014.

참조

추가 읽기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