뢰그발드 브루손

Rögnvald Brusason

1037년경부터 토르핀 시구르드손과 공동으로 오크니 백작을 지냈던 로그발드 브루손(Rognvald Brusson, 1046년 사망). 그의 생애는 오크네잉가 사가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역사

로그발트는 아버지에 의해 올라프 하랄손의 궁정으로 끌려갔습니다. 그때 브루시와 토르핀이 아이나르 윌리머스의 세 번째 백작 지분을 상속받기 위해 그곳으로 갔습니다. 올라프는 스스로 아이나르의 몫을 지키고, 그것을 관리할 브루시를 임명하고, 로그날트를 자신의 법정에 세웠습니다.[1]

오크니잉가 사가(Orkneyinga Saga)는 로그발트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습니다.

Rognvald는 실크처럼 매끄러운 황금빛 머리를 가진 가장 잘생긴 남자 중 한 명이었습니다. 어린 나이에 그는 키가 크고 힘이 세어졌으며, 그의 기민함과 예의범절로 큰 명성을 얻었습니다.[2]

로그발트는 나중에 성 올라프가 된 올라프 하랄드손(Olaf Haraldson)의 후원자로 키에반루스(Kievan Rus)에서 망명 생활을 함께 했으며, 1030년 스티클스타드 전투 이후 하랄드 하드레이드(Harald Hardraade)로 더 잘 알려진 형 하랄드 시구르드손(Harald Sigurdsson)이 탈출하는 것을 도왔습니다. 하랄드가 콘스탄티노폴리스로 가는 동안, 로그발트와 다른 망명자들은 야로슬라프 2세를 섬기며 루스에 머물렀습니다. 1035년 Olaf의 아들 Magnus the Good과 함께 노르웨이로 돌아갔습니다.[3]

Rognvald가 해외에 있는 동안, 그의 아버지는 사망했고, 토르핀 시구르드손은 오크니 백작령 전체를 통치하고 있었습니다. 로그발드는 마그누스 왕에게 백작의 세 번째 부분을 요청했고, 마그누스는 그에게 세 척의 배를 주고 마그누스 자신의 세 번째 몫의 스튜어드십을 허락했습니다. 오크니에 도착한 로그발트는 삼촌 토르핀에게 마그누스가 준 백작령의 3분의 2를 달라고 부탁했습니다. 토르핀은 그의 아버지의 세 번째 것을 로그발트에게 주기로 동의했고, 마그누스가 협상을 주장한 세 번째 것을 주기로 동의했지만, 그는 마그누스의 주장을 인정하지 않았고, 이것을 로그발트의 도움에 대한 답례로 선물로 제시했습니다. 토르핀과 로그발트는 8년 동안 긴밀히 협력하며 헤브리디스 제도의 적들과 싸웠고 스코틀랜드영국을 습격했습니다.[4]

하지만 결국에는 얼이 빠졌습니다. 이야기에 따르면, 그들의 다툼의 대략적인 원인은 토르핀의 아내 잉기보르그 핀스도티르의 삼촌 칼프 아르네손이 도착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칼프는 많은 추종자들을 거느리고 있어서 백작의 재정에 큰 부담을 주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그에게 그의 많은 지출을 고려할 때, 그가 그 섬의 3분의 2를 갖게 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습니다.[5]

Rognvald와 Kalf Arnesson은 친구가 아니었습니다. 오크네잉가 사가에 따르면 성 올라프의 든든한 후원자였던 로그발트가 마그누스에게 지지를 맹세하러 왔을 때, 아르네손 중 홀로 올라프를 배신한 루스의 칼프를 공격하기 위해 접근했다고 합니다.[6] 그 이유로, 다른 이유가 없다면, Rognvald는 Thorfinn이 요구한 세 번째 것을 넘겨주기를 거부했습니다. 그 이후로 관계는 악화되었습니다. 로그발트는 해상 전투에서 패배했고 토르핀이 백작령을 장악하는 동안 마그누스와 함께 노르웨이로 피난처를 찾았습니다.[7]

단 한 척의 배와 선택된 사람들로 이루어진 선원들과 함께, Rognvald는 그 놀라움이 그가 백작을 탈환할 수 있기를 바라며 오크니로 돌아갔습니다. 그는 성공했지만, 토르핀이 카이스니스로 도망칠 수 있었기 때문에 완전히 성공한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Rognvald는 자신의 차례에 놀랐지만, 자신의 애완견이 짖는 소리에 밀려 도망치다가 포스터인 토르켈에게 죽임을 당합니다.[8]

Rognald는 Papa Westray에 묻혔습니다. 오크니잉가 사가(Orkneyinga Saga)는 로그발트에 대해 '모든 사람들은 그가 모든 오크니 백작들 중 가장 인기 있고 재능이 있었고, 그의 죽음은 많은 사람들에 의해 애도되었다는 것에 동의한다'고 평가합니다.[9]

섬지리학

오르케닌야 사가 종종 지명에 대해 언급하지만, 지리적 기반에서 공동 고둥이 어떻게 작동했는지에 대한 주제에 대해서는 대체로 침묵하고 있습니다. 브루시 시구르드손은 오크니 본토의 북쪽에 위치한 섬들일 가능성이 있으며, 그의 형제인 아이나르 시구르드손의 섬은 원래 동쪽 본토와 남쪽 섬들이었고, 수말리디 시구르드손의 섬은 서쪽 본토였을 가능성이 있습니다.온스랜드의 오카다디안 분포에 기초한 이 이론은 원래 1920년대에 J. Storer Clouston에 의해 연구되었으며 Smith(1988)에 따르면 "엄청나게 영향력이 있지만" 또한 "전설적"이었습니다.[10] 그러나, 브루시의 몫이 노르드 시대에 걸쳐 백작령의 일부를 형성했던 셰틀랜드였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 가능성은 나중에 Rognvald를 "셰틀랜드인들의 영주"라고 언급함으로써 뒷받침되고 Thompson(2008)은 셰틀랜드가 Brusi의 소유였다는 것에 대해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말했습니다.[11][12] 페어 아일은 그 당시와 이후의 공동 묘지에서 이들 공유 사이의 경계를 표시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13]

레거시

12세기 칼리 콜슨 백작은 "칼리의 어머니가 모든 오크니 백작들 중에서 가장 유능한 사람은 Rognvald Brusson이었고, 사람들은 이것을 행운의 표시로 여겼기 때문에" Rognvald라는 이름을 얻었습니다.[14]

오크니잉가 사가(Orkneyyinga Saga)는 로그발트의 사생활에 대해 대체로 침묵하고 있으며 결혼이나 자녀에 대한 언급은 없습니다. 그러나 안데르스 스톨렌(Annders Stölen)은 마그누스 바레그스(Magnus Barelegs)의 어머니가 æ틀레겐(Sunnmørs Sydneyttleggen)의 족보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라그발드 자를"(Ragnvald jarl)의 딸이라고 주장했습니다. Ola Kvalsund는 이 Ragnvald를 Rognvald Brusason으로 확인했습니다.[16]

메모들

  1. ^ 오크니잉가 사가, cc. 17–19; 성 올라프 사가, cc. 100–102.
  2. ^ 오크니잉가 사가, c. 19; 성 올라프 사가, c. 100.
  3. ^ 오크니잉가 사가, cc. 19와 21; 하랄드 시구르트손의 사가, c. 1.
  4. ^ 오크니잉가 사가, cc. 21–22; 크로포드, pp. 77–78.
  5. ^ 오크니잉가 사가, c. 25.
  6. ^ 오크니잉가 사가, c. 21; 크로포드, pp. 77–78.
  7. ^ 오크니잉가 사가, cc. 25-27.
  8. ^ 오크니잉가 사가, cc. 27-29.
  9. ^ 오크네잉가 사가, c. 29.
  10. ^ 스미스 (1988), 23-24쪽
  11. ^ Smith (1988), 21쪽
  12. ^ Thomson (2008), pp. 70–73
  13. ^ Smith (1988), 32쪽
  14. ^ 오크니잉가 사가, c. 61.
  15. ^ Stölen (1988), p. 259
  16. ^ Larsen & Sullebust (1994), 213쪽

참고문헌

  • 앤더슨, 앨런 오어, 스코틀랜드 역사의 초기 출처 A.D 500–1286, 1권. 수정된 내용으로 다시 인쇄되었습니다. 폴 왓킨스, 스탬포드, 1990. ISBN1-871615-03-8
  • 아논, 오크네잉가 사가: 오크니 백작의 역사, tr. 헤르만 팔슨과 폴 에드워즈. 펭귄, 런던, 1978년. ISBN 0-14-044383-5
  • 크로포드, 바바라, 스칸디나비아 스코틀랜드. 레스터 대학 출판부, 레스터, 1987. ISBN 0-7185-1282-0
  • Larsen, Stein Ugelvik; Sulebust, Jarle (1994). I balansepunktet: Sunnmøres eldste historie (in Norwegian). Sunnmørsposten Forlag (with Studiegruppa for Sunnmøre, Universitetet i Bergen). ISBN 82-91450-00-5.
  • Smith, Brian (1988), "Shetland in Saga-Time: Re-reading the Orkneyinga Saga", Northern Studies, Edinburgh: Scottish Society for Northern Studies, 25: 21–41
  • Stølen, Anders (1988). "Frå Jarleætta på Sunnmøre til Blindheim-ætta og Smør-ætta". Norsk slekthistorisk tidsskrift (in Norwegian). 31: 259–277. ISSN 0029-2141.
  • 스투를루손, 스노리, 하임스크링글라: 노르웨이 왕들의 역사, tr. 이엠. 홀랜더. 텍사스 대학교 출판부, 오스틴, 1992. ISBN 0-292-73061-6
  • Thomson, William P. L. (2008), The New History of Orkney, Edinburgh: Birlinn, ISBN 978-1-84158-69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