롤스 오브 올레론

Rolls of Oléron
롤스 오브 올레론
Cleirac ordonnances et coutumes de la mer seconde partie.jpg
창조했다1160년에서 1286년 사이
목적해상법

롤스 오브 올레론[1](프랑스어: Jugements de la mer, Rlesles d'Oléron)은 중세의 선적을 규제하는 가장 오래되고 잘 알려진 해법이다. 올레론 호는 1180년 이전인 12세기 말프랑스 올레론 섬에서쓰여진 최초의 공동해상법이었는데,이후 북유럽을 아우르도록진화한 것이다. 북유럽에서 쓰여진 어떤 나중의 해양법칙은 주로 Rôles d'Oléron에 기초하거나 영감을 받는다. 때로는 "플레론의 법칙"[2]으로 알려져 있는 그들은 또한 17, 18세기 해적들 사이에서 비슷한 합의의 기초를 형성하기도 했다.

기원

올레론 호는 원래 브리타니노르망디에서 영국, 스코틀랜드, 플랑더스에 이르는 와인 거래를 규제했으나 중세 후기에 널리 보급되어 중요한 해상법이 되었다.

서로 다른 출처

올레론 호가 언제 어떻게 생겨났는지에 대해서는 역사학자들 사이에 약간의 의견 차이가 있다. 가장 오래된 믿음 중 하나는 아키타인의 엘리노르가 성지에서 돌아왔을 때 1160년경에 법을 기록했다는 것이다.[3] 또 다른 이론은 그녀의 아들 리처드 1세가 12세기 말에 성지에서 돌아온 후 그것들을 기록하였다는 것이지만, 그럴 가능성은 매우 낮다.[4] 롤스에는 왕이나 왕비처럼 중요한 사람이 그 창조와 관련이 있다는 흔적은 없다.[5]

최근의 몇몇 역사학자들은 롤스가 1224년과 1286년 사이에 13세기에 쓰여졌다고 주장해왔다. [6]

어원

올레온의 롤은 불명확한 이유로 올레론 섬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한 가지 이론은 이 섬에 보관되어 있던 '주그멘츠 드 라 메르'의 예시에서 원고 중 하나를 베꼈고 그 이름이 붙었다는 것이다.[7]

롤 오브 올레론(Rolle of Oleron)은 '올레론(Rules of Oléron)',[8] '올레론(Law of Oléron)',[9] '바다의 심판(Charter of the Oléron)', '올레론(Oléron)' 등 다양한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플랑드르어 번역은 "본네스 반 담메"로 알려지게 되었다.

구조 및 내용

올레론 롤스의 원문에는 24개의 기사가 수록되어 있었으나, 이후 여러 사본에서 일부 기사가 누락, 분할 또는 결합되었기 때문에 살아남은 본문에는 때때로 다른 수의 판단이 포함되어 있다. 각 조항은 난파선의 경우 화물의 대금 지급, 손해 배상, 선박과 화물의 확보 등 해상 운송의 측면을 규정한다.

유통 및 공용

프랑스에서는 올레론 호가 1364년까지 정식 해양법으로 채택되었다.[10]

이 문서는 원래 프랑스어로 쓰여졌고 후에 스페인어, 스코틀랜드어, 플랑드르어/더치어로 번역되었다.[10] 스코틀랜드어 번역은 유사성 때문에 프랑스어 번역본에 기반을 두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11] 애버딘의 법원이 번역본을 법적 관행에서 사용한 것 같지는 않다.[12]

플랑드르/더치 번역은 Vonesse van Damme로 알려져 있다.[13] 현존하는 롤의 가장 오래된 사본은 브리스톨[14] 리틀 레드 북리버 혼에 있다.[15] 14세기 후반, 네덜란드 주이더제 지역에 오디난치호가 새로운 해양법으로서 등장했다. 대부분의 원고에서, 그 법은 Vonesse van Damme과 결합되었다. 일부 역사학자들은 오디난시가 롤스의 보충물로 쓰여졌다고 주장해 왔지만, 오디난시에 있는 두 가지 법칙이 롤스에서 직접 베껴 나왔고, 나머지는 롤스와 거의 동일한 주제를 규제하고 있기 때문에 그럴 가능성은 없다.[16]

올레론 호는 에드워드 3세 왕에 의해 영국에서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다: 1351년 브리스톨 조사 결과 그 호가 법령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부분의 와인은 영국 선박과 승무원으로 선적되었다. 따라서, 승무원들은 규칙을 알 필요가 있었다.[17] 알브레히트 코데스에 따르면 14세기에 올레론의 영향력은 스페인까지 뻗쳤고, 가장 중요한 것은 플란더스까지 뻗쳐 플랑드르로 옮겨져 플랑드르로 옮겨졌다고 한다.[18] 그러나 올레론의 굴프는 1180년 산 세바스티안 나바레즈 헌장에 통합되었는데, 칸타브리아 해(비스케이의 굴프) 연안과 유럽 대서양 연안 전체에서 이미 사용되어 온 우마르스식 관행이 그것이다.[19] 올레론 호는 다른 현대 해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았고, 따라서 가장 사용하기 쉬운 해법 중 하나였다고 볼 수 있다.[18]

오늘

올레론 호는 1336년 해군성 블랙북에 수록되었으나, 원서는 불행하게도 19세기 초 해군성 고등법원의 등기부에서 사라졌다.[20] 이 책의 일부분, 1420년에 만들어진 일부분들의 필사본만이 현존하고 있으며 영국 도서관보들리언 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다. 그 법률들은 여전히 미국 법원에 의해 종종 권위로 인용된다.[21]

원천

  1. ^ 룬얀 1975.
  2. ^ Berger, Klaus Peter. "The Lex Mercatoria (Old and New) and the TransLex-Principles". www.trans-lex.org (in German). Retrieved 21 October 2021.
  3. ^ 테틀리 2002, 페이지 4.
  4. ^ 프랭코트 2012, 페이지 12-13.
  5. ^ Frankot 2012, 페이지 27, 각주 37.
  6. ^ Frankot 2012, 페이지 27, 각주 36.
  7. ^ 프랑코트 2007, 페이지 168.
  8. ^ 올레론의 법칙
  9. ^ 올러론의 법칙
  10. ^ a b 프랭코트 2007, 페이지 153.
  11. ^ 프랑코트 2010, 페이지 138.
  12. ^ 프랭코트 2012, 페이지 195.
  13. ^ 프랭코트 2012, 페이지 161.
  14. ^ 알브레히트 코데스의 중세 렉스 메르카토리아 수색. 2020년 9월 10일 액세스
  15. ^ 프랭코트 2012, 페이지 13.
  16. ^ 프랭코트 2012, 페이지 6.
  17. ^ Runyan 1975 페이지 99.
  18. ^ a b 13세기 해양법 갈등: 알브레히트 코데스의 유럽 항구 5개 비교 2020년 9월 17일 액세스
  19. ^ "4 El fuero de San Sebastián". www.ingeba.org. Retrieved 2021-06-07.
  20. ^ 개요: 2020년 9월 17일에 접근한 올레론의 법칙
  21. ^ 니콜라스 J의 해양법 힐리, 2020년 9월 10일에 접속

참고 문헌 목록

추가 읽기

외부 링크

참고 항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