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시아 올슨 SS
SS Cynthia OlsonSS 신시아 올슨 침몰; 일본 잠수함 I-26의 승무원 하야시 사부로가 찍은 사진. | |
역사 | |
---|---|
이름 |
|
연산자 | |
등록항 | ![]() |
빌더 | 위스콘신 주 매니토웍 조선회사 |
야드 번호 | 100 |
시작됨 | 1918년 11월 30일 |
서비스 중단 | 1941년 12월 7일 |
식별 |
|
운명 | 1941년 12월 7일 시애틀에서 서쪽으로 약 1200마일 떨어진 일본 잠수함 I-26에 의해 침몰되었다. |
일반적 특성 | |
유형 | 화물선 |
톤수 | |
길이 | 등록 길이(76.3m) 250ft 5인치 |
빔 | 43피트 7인치(13.3m) |
깊이 | 20피트 1인치(6.1m) |
설치된 전원 | 정각로1250번길 |
추진 | 3중 팽창 증기 엔진 1개, 보일러 2개, 나사 1개 |
속도 | 10노트[1] |
크루 | 35 |
SS 신시아 올슨은 원래 1918년 SS 코키나로 위스콘신에서 건조된 화물선이었다.1940년에 개명된 그녀는 1941년 8월에 하와이로 물자를 수송하기 위해 미군에 의해 임대되었다.12월 7일 타코마, 워싱턴, 호놀룰루 사이를 지나던 중 일본 잠수함 I-26에 의해 요격당했고, 이로 인해 그녀는 총성과 함께 침몰했다.잠수함의 지휘관은 선원 전원이 보트로 탈출했다고 확신했지만, 한 명도 발견되지 않았다.신시아 올슨은 미국이 제2차 세계대전에 진입한 후 침몰한 최초의 미국 상선이었다.
건설
SS 코키나는 제1차 세계대전 중 미국 해운위원회의 명령을 받았다.그녀는 1918년 늦여름에 누웠고 조립식 강철 구역으로 건설되어 11월 30일에 발사될 수 있었다.[2]이 선박은 위스콘신 주 마니토웍에 있는 마니토웍조선소에서 발주한 '레이커, 마니토웍형'으로 알려진 9척의 긴급함대 설계 1044호 선체 중 하나였다.야적장은 1919년 4월 공식번호 217871과 신호문자 LQRK를 부여받아 야드 선체번호 100번인 코키나가 탑재된 선체 6개를 완성한 것으로 알려졌다.[3][4]선박의 특징은 1920년 등록에서 2,153 GRT로 바뀐 2140 GRT, 등록 길이 250ft 5 in (76.3 m)의 길이, 깊이 20ft 1 in (6.1 m)의 43ft 7 in (13.3 m) 빔이었다.[4][5][6]
서비스
1918년 11월 11일 휴전협정으로 끝난 적대관계는, 그녀는 요구조건에 과잉이었고, 완성되자마자 미시간 호수에 설치되었다.1919년 12월, 코키나는 미국에 금지를 도입했던 볼스테드 법으로 인해 팔리지 않게 된 위스키의 수출을 돕기 위해 임대되었다.뉴욕에서는 1925년 필즈버리와 커티스가 서부 해안 목재 거래를 위해 매입할 때까지 또 다른 기간 동안 놀고 있었다.개종 후 재장착을 한 후, 그녀는 캘리포니아 산 페드로 만에 도착했으나 다시 누워 있었다.1931년, 그녀는 로스엔젤레스 스팀쉽 회사에 10달러의 금액으로 다시 팔렸는데, 필즈버리는 맷슨 네비게이션의 자회사였다.1933년 그녀는 또 다른 매트슨 자회사인 캘리포니아 스팀쉽 컴퍼니에 매각되었고, 1936년에 모회사로 이직되어 마침내 목재를 싣고 서부 연안의 전세 항해에 착수했다.[2][3][6]1940년 1월 1일, 코키나는 매물로 나와 샌프란시스코의 올슨 브라더스에 8만 5천 달러에 구입되었고, 이 브라더스는 그녀의 신시아 올슨으로 이름을 바꾸었다.그녀는 1941년 8월 미 육군 교통부대에 의해 임대된 나룻배였다.[7][8]
싱킹
1941년 12월 6일, SS 신시아 올슨은 미군용 목재를 싣고 워싱턴 타코마와 하와이 호놀룰루 사이의 거대한 원 중간쯤에 태평양에 있었다.[1]하와이 시간으로 22시경에, 그녀는 신시아 올슨을 추월하고 밤새도록 수면 위로 그녀보다 앞서 달리면서 항로를 따라가는 일본 잠수함 I-26에 포착되었다.이 잠수함의 함장인 요코타 미노루 중령은 진주만 공격의 예정된 시간인 12월 7일 08:00까지 미국 함정에 대한 적대행위를 하지 말라는 명령을 받았다.공격 8시간 후인 1941년 12월 8일 일본의 대미 선전포고가 일본 신문에 실릴 예정이다.[9]0시간이 지나자 I-26은 신시아 올슨을 멈추게 하려는 14cm 데크포와 함께 경고 사격을 했지만 그녀는 계속 달렸다.그 후 잠수함은 빗나간 어뢰를 발사했지만 화물선을 정지시켰다.요코타는 총으로 그녀를 침몰시키기 전에 선원들이 배의 구명보트 두 척을 타고 가는 것을 지켜보았다.[10]배를 버리기 전에, 그 배의 무선 통신 사업자는 그들이 잠수함의 공격을 받고 있다는 조난 전화를 간신히 방송했다; 이것은 샌프란시스코로 향하는 상당히 먼 거리인 미국 정기선 SS 루라인이 받았다.[11]
한편, 18발의 포탄이 신시아 올슨을 침몰시키지 못했기 때문에 요코타는 잠수하여 아무런 성과도 없이 두 번째 어뢰를 발사했다.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면서 29발의 포탄이 더 발사되었고,[11] 마침내 그녀는 그녀의 좌현으로 넘어갔고, I-26은 약혼 시작 5시간 후 현장을 떠났다.[10]다음날 일본 잠수함 I-19호는 생존자 중 일부에게 식량을 제공했지만, 그 뒤를 이어 33명의 승무원과 2명의 육군 승객의 흔적은 발견되지 않았다.[11]신시아 올슨은 미국이 전쟁에 돌입한 후 침몰한 최초의 미국 국기 상선이었다.[12]다음날 프랭클린 D대통령. 루즈벨트는 오명 연설로 알려지게 된 미국 의회 합동회의 연설에서 그녀의 손실을 암시했다.[13]
참고 항목
- USS 스트랫퍼드(AP-41) 자매선
- USS 제미니호(AP-75) 자매선
참조
- ^ a b Allen, Tony (April 28, 2008). "SS Cynthia Olson (+1941)". www.wrecksite.eu. The Wrecksite. Retrieved May 7, 2020.
- ^ a b Harding, Stephen (2016). Dawn of Infamy: A Sunken Ship, a Vanished Crew, and the Final Mystery of Pearl Harbor. Boston MA: Da Capo Press. ISBN 978-0306825033. 제1장
- ^ a b McKellar, Norman L. "Steel Shipbuilding under the U. S. Shipping Board, 1917-1921, Contract Steel Ships, Part IV" (PDF). Steel Shipbuilding under the U. S. Shipping Board, 1917-1921. ShipScribe. p. 233. Retrieved 12 May 2020.
- ^ a b Fifty Second Annual List of Merchant Vessels of the United States, Year ended June 30, 1920. Washington, D.C.: Department of Commerce and Labor, Bureau of Navigation. 1920. p. 78. Retrieved 12 May 2020.
- ^ Fifty First Annual List of Merchant Vessels of the United States, Year ended June 30, 1919. Washington, D.C.: Department of Commerce and Labor, Bureau of Navigation. 1919. p. 78. Retrieved 12 May 2020.
- ^ a b Historical Collections of the Great Lakes. "COQUINA". Bowling Green State University. Retrieved 12 May 2020.
- ^ Grover, David (1987). U.S. Army Ships and Watercraft of World War II. Naval Institute Press. p. 6. ISBN 0-87021-766-6. LCCN 87015514.
- ^ Priolo, Gary P. "USAT Cynthia Olson". www.navsource.org. NavSource Naval History. Retrieved 7 May 2020.
- ^ Prange, Gordon W. (1991). December 7, 1941: The Day the Japanese Attacked Pearl Harbor. Random House Publishing. p. 40. ISBN 978-0517066584.
- ^ a b 프란지 1991, 페이지 89
- ^ a b c Nelson, Craig (2016). Pearl Harbor: From Infamy to Greatness. Thorndike Press. p. 208. ISBN 978-1410494733.
- ^ "Cynthia Olson". navylog.navymemorial.org. United States Navy Memorial. Retrieved May 7, 2020.
- ^ 하딩 2016, 페이지 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