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 엠파이어 보우먼
SS Empire Bowman역사 | |
---|---|
이름 | 엠파이어 보우먼 |
주인님. | 전쟁교통부 |
연산자 | 하인스팀쉽 |
등록항 | ![]() |
빌더 | C 코넬 & 코퍼레이션, 스코스툰 |
야드 번호 | 437 |
시작됨 | 1942년 4월 4일 |
완료된 | 1942년 5월 25일 |
서비스 중단 | 1943년 3월 30일 |
식별 | |
운명 | 북대서양에서 어뢰를 맞고 침몰했다.승무원 4명이 숨졌다. |
일반적 특성 | |
톤수 | 7,030 GRT |
길이 | 431ft 3인치(제곱.45m) |
빔 | 56피트 3인치(17.15m) |
깊이 | 35피트 2인치(10.72m) |
추진 | 3중 팽창 증기 엔진 1개 |
크루 | 44명, DEMS 포병 6명 추가 |
엠파이어 보우먼은 1942년 전쟁교통부(MoWT)를 위해 건조된 7,030 GRT 화물선이다.1942년 5월 완공된 그녀는 1943년 3월 30일 U-404에 의해 어뢰를 맞고 침몰할 때까지 복무했다.그녀의 선원 중 한 명은 침몰에서의 그의 행동으로 알버트 메달을 받았다.
설명
이 배는 Scotstoun의 C Cornell & Co Ltd에 의해 건조되었다.[1]그녀는 437 야드였다.[2]1942년 4월 4일에 발사된 그녀는 1942년 5월 25일에 완공되었다.[1][2]
이 배의 길이는 431피트 3인치(131.45m)로 빔은 56피트 3인치(17.15m)이고 깊이는 35피트 2인치(10.72m)이다.그녀는 실린더가 달린 3중 팽창 증기 엔진에 의해 추진되었다.24+1⁄2 인치(62 cm), 39 인치(99 cm) 및 70 인치(180 cm) 보어 x 48 인치(120 cm) 스트로크.이 엔진은 Glasgow의 Barclay, Curle & Co Ltd.에 의해 제작되었다.[3]
경력
엠파이어 보우만의 등기항은 글래스고였다.그녀는 하인스팀쉽의 경영으로 운영되었다.[3]엠파이어 보우먼은 2차 세계대전 당시 수많은 호위대의 일원이었다.
- ON 99
호송차 ON 99는 1942년 5월 29일 리버풀을 출발해 6월 12일 보스턴에 도착했다.엠파이어 보우먼은 이번 항해를 위해 비상했다.[4]
- SL 126
SL 126호는 1943년 3월 12일 시에라리온의 프리타운을 출발해 4월 1일 리버풀에 도착했다.[5]엠파이어 보우먼은 인도의 카라치에서 인도의 모르무가오를 거쳐 헐까지, 더반, 남아공, 프리타운까지 항해 중이었다.그녀는 일반 화물 5791톤과 망간 광석 2500톤이 포함된 화물을 싣고 있었다.[6]3월 30일, 엠파이어 보우먼은 U-404에 의해 어뢰 공격을 받았다.47°26′N 15°53′W / 47.433°N 15.883°WCoordinates: 47°26′N 15°53′W / 47.433°N 15.883°W, some 425 nautical miles (787 km) northwest of Cape Finisterre.선장과 39명의 승무원, 6명의 DEMS 포수들이 HMS Wear에 의해 구조되어 리버풀에 착륙했다.4명의 선원이 사망했다. 그들은 타워 힐 기념비에 기념되어 있다.[7]그녀의 두 번째 엔지니어인 고든 러브 바스티안은 침몰하는 배의 침수된 엔진룸에서 두 명의 스토커를 개인적으로 큰 위험을 무릅쓰고 구조했다.이 행동으로 그는 1943년 8월 17일 알버트 메달을 수여받았다.[8]
1943년 8월 17일 버클리 광장의 전쟁 교통부.
킹은 다음과 같은 상을 수상하게 되어 매우 기뻤다. —
알버트 메달.
고든 러브 바스티안, 엠빅, 엠빅, 상선해군 제2공학관
바스티안 씨가 타고 있던 배는 어뢰를 맞아 큰 피해를 입었다.배가 부딪혔을 때 바스티안 씨는 엔진룸에서 감시 중이었다.그는 즉시 엔진을 껐다.그리고 나서 그는 두 명의 소방관이 보초를 서고 있었다는 것을 기억했다.엔진실은 어둠에 잠겨 있었고 이미 그 안으로 물이 쏟아지고 있었다.스토크홀드와 엔진룸 사이 물샐틈없는 문을 열면 참담한 홍수의 위험이 컸지만, 바스티안 씨는 망설이지 않고 문으로 가는 길을 더듬어 문을 열었다.소방관 두 명이 물을 들이밀고 엔진룸으로 빨려 들어갔다.한 남자는 팔이 부러지고 발이 다쳤으며 다른 한 명은 심하게 멍들고 흔들렸다.바스티안 씨는 두 사람 모두를 붙잡으려고 노력했지만 한 사람을 잃었기 때문에 다른 한 사람을 탈출 사다리로 끌고 가서 갑판 위에서 그를 도왔다.그리고 나서 그는 다른 사람을 위해 돌아와 그를 안전하게 도왔다.더 중상을 입은 남자는 사실상 바스티안 씨에 의해 사다리를 들어 올려야 했는데, 바스티안 씨는 코르디트 연기에 반쯤 목이 메었다.
두번째 엔지니어인 바스티앙은 이미 물에 잠기고 어두워진 침몰선의 엔진룸에 물이 새지 않는 문을 여는 데 매우 큰 위험을 무릅썼고 두 사람 모두 의심할 여지없이 그의 뛰어난 용기와 힘과 정신력 덕분에 목숨을 건졌다.
1971년, 알버트 메달과 에드워드 메달의 모든 살아있는 홀더들에게 그들의 메달을 조지 십자가와 교환하라는 지시를 받았다.[9]따라서 바스티앙은 영국에서 용맹으로 가장 높은 민간인 상을 받았다.[10]
공식 번호 및 코드 레터
공식 번호는 IMO 번호의 전조였다.엠파이어 보우먼은 영국 공식 번호 168714를 가지고 있었고 코드 레터 BDWN을 사용했다.[3]
참조
- ^ a b Mitchell, W H, and Sawyer, L A (1995). The Empire Ships. London, New York, Hamburg, Hong Kong: Lloyd's of London Press Ltd. ISBN 1-85044-275-4.
- ^ a b "1168714". Miramar Ship Index. Retrieved 6 December 2009.
- ^ a b c "LLOYD'S REGISTER, STEAMERS & MOTORSHIPS" (PDF). Plimsoll Ship Data. Retrieved 6 December 2009.
- ^ "CONVOY ON 99". Warsailors. Retrieved 6 December 2009.
- ^ "Convoy SL.126". Convoyweb. Retrieved 6 December 2009.
- ^ "Empire Bowman". Uboatnet. Retrieved 6 December 2009.
- ^ "Empire Bowman". Convoyweb. Retrieved 6 December 2009.
- ^ "No. 36134". The London Gazette. 13 August 1943. p. 3680.
- ^ Hebblethwaite, Marion. "George Cross "Exchanges"". George Cross database. Chameleon HH Publishing Lt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February 2009. Retrieved 8 December 2009.
- ^ Hebblethwaite, Marion. "Gordon Love Bastian, GC, MBE". George Cross database. Chameleon HH Publishing Lt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July 2008. Retrieved 8 December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