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페드 산작

Safed Sanjak
팔레스타인과 하우란과 인접한 지역 윌리엄 휴즈 1843년

사페드 산작(아랍어: سنقق ; turkish; 터키어: Safed Sancağ)은 1517–1660년 다마스쿠스 아이알레(다마스쿠스오토만 주)의 산작(지구)이었으며, 그 후 시돈 에얄레(오토만 주)의 일부가 되었다.산작은 사페드에 집중되어 갈릴리, 자발 아밀, 그리고 해안 도시인 아클레와 타이어에 걸쳐 있었다.사페드 시는 이슬람교와 유대교 마을 사람들로 이루어져 있었고, 나머지 산작 지역은 수니파 이슬람교도와 유대인 농민, 베두인 부족민, 시아 무슬림드루즈 농민들이 거주하고 있었다.

지역 및 인구 정보

사페드 산작의 영토는 북쪽의 자흐라니 강과 남쪽의 카르멜 산(하이파 근처) 사이의 지역, 동쪽의 갈릴리 해와 서쪽의 지중해 사이의 지역으로 구성되었다.사페드 외에도 아클레티레의 항구도시와 갈릴레이자발아밀 일대가 포함되어 있었다.그 지방에는 농민베두인 인구가 섞여 있었다.자발 아밀 지역의 주민은 주로 시아파 회교도였고, 갈릴레이는 농민과 베두인 등 수니파 회교도 다수와 드루즈 소수파가 많았다.[1]그 지방에는 유대인 공동체도 포함되어 있었다.[2]

행정 구역

16세기에 사페드 산작(Safed Sanjak)은 다음과 같은 5개의 나와히(노래: 나히야; 3급 행정 구역)와 a'mal(노래: 아말; 4급 행정 구역)으로 나뉘었다.[3][4]

  • 지라의 나히야 — 사페드 시를 둘러싸고 있는 동부 갈릴레이 상부와 대략 일치한다.지라라는 이름은 '근처'를 뜻하는 아랍어인 자르의 파생어일 가능성이 높으며, 나히야는 사페드를 포위했기 때문에 이전에 아랍어인 알 준나르가 알려져 있었다.[5]
    • 바르 사파드의 아말
  • 아클레의 나히야 — 대략 서쪽의 갈릴레이 상부와 일치한다.
  • 티베리아스의 나히야 — 대략 하갈릴리 강과 일치하고, 지라의 나히야와 분리되는 경계의 일부는 와디 알루부디예(잘몬) 하천이었다.[6]
  • 티브닌의 나히야 — 대략 남동쪽 자발 아밀과 일치하고 대안으로 빌라드 바니 비샤라라고 불렸다.[8]비록 맘루크 소식통들은 바누 비샤라가 이 지역에 살았던 시아 무슬림 부족이었다고 추측하지만, 비샤라는 술탄 살라딘으로부터 이 지역을 iqta로 허가받은 아이유비드 장교였을지도 모른다.[9]아클레의 나히야에서 남쪽으로 분리되는 경계는 현대 이스라엘-레바논 국경에서 남쪽으로 약 5km(3.1mi) 떨어진 와디 알칸의 넓은 계곡이었다.[6]
  • 샤키프의 나히야 — 대략 북동쪽 자발 아밀과 일치하고, 리타니와 하스바니 강가에 의해 티브닌의 나히야에서 남쪽으로 분리되는 경계선에 해당한다.[6]
    • 아말 오브 샤키프

17세기 사페드 산작의 행정 구역에 대해서는 이용할 수 있는 정보가 없다.18세기에 이르러 사페드 산작(Safed Sanjak)은 10나하(nawahi)로 나뉘었다.[10]

역사

행정 기원과 오스만 정복

오스만 통치 이전에 사페드는 카이로에 본부를 둔 맘루크 술탄국가의 자체적인 맘라카(도)의 수도였다.[11]맘라캇 사파드에 대한 행정 정보는 주로 1370년대 사페드의 콰디(이슬람 부장판사)와 샴스 알딘 알우트마니, 맘루크 역사학자 알 칼카샨디 등 두 가지 출처에서 유래한다.[11]맘라카에 대한 대부분의 정보는 1260년에서 1418년 사이의 기간을 다루고 있는 반면, 1516년 마르즈 다비크 전투에 이은 오스만 정복 이전의 맘루크 통치 마지막 세기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12]15세기 여행자들의 설명은 기근, 재앙, 자연재해, 정치적 혼란에 의해 촉발된 사페드 주변 지역의 전반적인 쇠퇴와 그들의 마을에서 주요 마을로의 농민들의 비행 또는 유목주의의 채택을 묘사하고 있다.[12]

오스만족은 야곱의 딸들을 통해 마믈라카의 영토로 들어가 사페드 안이나 주변에서 어떠한 저항도 하지 않았다.[13]그들은 도시를 우회하여 마믈라카에 위치야곱의 다리 딸들, 칸 쥬브 유수프, 칸 알 민야, 칸 알 투자르에 진을 치고 나서 맘루크 이집트를 정복했다.[13]셀림 1세가 이집트에 있는 동안 사페드에서는 그가 살해되었다는 소문이 퍼져 마을 사람들이 새로운 당국에 의해 진압되기 전에 오스만족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키게 되었다.[14]

16세기 초중반의 번영

오스만 제국에 편입된 후 사페드는 행정적으로 다마스쿠스 아이알레산작 지역으로 개편되었다.[1]그것의 관할권은 대략 맘라캇 사파드의 영토와 일치했다.[12]사페드 산작(Safed Sanjak)은 적어도 오스만 통치 초기 60년 동안 번창했는데, 실향민들은 마을로 돌아가고 사페드 마을은 유럽에서 온 유대인들의 안식처가 되어 이 마을을 양털 생산 중심지로 만들었다.[15]산작에서 처음 알려진 오스만 땅과 세무 조사는 1525/26년에 이어 1538/39년에 두 번째 조사가 이루어졌다.두 번째 조사는 인구와 세수의 상당한 증가를 보여주는데, 아마도 소작농들이 그들의 마을로 돌아오고 오스만 초기 통치자들이 가져온 안정의 결과일 것이다.[16]1547-48년 사파드 산작에는 총 287개의 마을이 있었다.[3]

16세기에는 서카스 출신 시아파 무슬림인 카나의 수둔족과 시아 세이예드(종교 지도자들)의 가문인 아이나타의 알 슈크르가 산작의 빌라드 비샤라 나히야를 지배하였다.[17]

드루즈의 강세

산작의 초기 번영은 16세기 말에 이르러 쇠퇴해 갔으며, 19세기까지 다소 연장되었다.[18]사페드 알 칼리드 알 사파디(d. 1625년)의 토착 고질러와 하나피 무프티(hanafi mufti)는 그의 저술에서 산작에서의 16세기 말기는 황폐와 황폐로 점철되어 있으며, 이는 오스만 정부 기록에 일반적으로 반영되어 있다고 지적했다.[19]

1602년 츄프 본거지인 마왕조의 드루제 치프테인(Druze chieftain)과 시돈베이루트(Sidon-Beirut)의 주지사 파흐르 알딘 2세가 사페드의 총독으로 임명되었다.파흐르 알딘은 이 지역에서 점점 더 강력한 인물이 되었고 당시 오스만 정부의 지원을 받았다.그는 사페드에서 드루제보다 수니파 오스만족에게 일반적으로 더 부정적으로 보는 시아파 회교도 일족들을 통제하는 임무를 맡았고, 이 지역의 드루제족과 베두인족처럼 사향목 비축과 세금 납부를 거부하는 등 반란이 빈번했다.[20]파흐르 알딘이 부임한 지 3년 후 오스만인들은 그를 "나라를 지키고 베두인족을 견제하며 인구의 복지와 평온을 보장하고 농업을 증진시키고 번영을 증대시킨다"[21]고 칭찬했다.파흐르 알딘의 고문이자 실질적인 법정 역사가가 된 칼리디도 산작의 고속도로를 따라 베두인 준장이 파흐르 알딘 밑에서 중단되어 평화와 안위를 얻었으며 농업이 새롭게 번창하고 있다고 증언했다.[21]

1614년, 시돈에 기반을 둔 새로운 아이알레(도)가 만들어졌고, 사페드는 거기에 합병되었다.그 해 말에 지방은 해산되었고 사페드 산작(Safed Sanjak)은 다시 다마스쿠스 에얄레로 돌아갔다.[1]1613년과 1619년 사이에 파흐르 알딘의 망명 기간 동안, 시아 무슬림 하푸시 왕조는 이를 통제하려고 시도했으나 실패했다.[22]비슷한 시기인 1617년, 빌라드 비샤라에서 마족들의 대항마로 알 슈크르와 함께 뮌카르의 시아파 회교도 일족과 알리 알 사히르의 집이 등장했다.[17]투스카니에서 5년간의 망명 후 파흐르 알딘은 이 지역에서 그의 지위를 다시 확립했고 1635년 오스만 제국군에 의해 살해될 때까지 그의 권력은 1630년대에 정점에 도달했다.[23]Ali al-Saghir and his brother Husayn, who traced their origins to an old, influential Shia Muslim tribe, eliminated the rival clans of Sudun in 1639 and Al Shukr in 1649, thereafter establishing their family as the sole leaders of the Shia Muslim clans across Jabal Amil, including the areas of Tibnin, Hunin, Qana and Ma'araka.[17]

갈릴리, 특히 사페드와 티베리아스의 정착지는 1653년 사페드 산작의 지배권을 궁극적으로 얻은 파흐르 알딘의 조카 물힘 이븐 유누스 마인에 의해 이 지역을 점령하기 위한 투쟁 중에 악화되었다.[24]이듬해 알리 알-사기르 일가는 다마스쿠스에서 와크프(종교신탁)를 위해 배정된 티레의 수입을 전달하지 않아 관계당국을 질타했다.[17]1655년과 1656년 후세인과 그의 아들 하산의 죽음으로 앞당겨진 그들의 쇠퇴를 앞당겼을지도 모른다.[17]1660년, 시돈 에얄렛이 다시 세워지고 사페드가 다시 거기에 합병되었다.[1]새로운 지방의 오스만 총독은 시아 봉건 영주들을 상대로 캠페인을 벌였고, 그 결과 알리와 그의 많은 아들들이 죽었다.[17]빈트 지빌의 자인족과 같은 덜 힘없는 시아족들은 세기의 끝을 향해 다시 뭉쳤으며 마족의 암묵적인 지지를 유지했을지 모르지만 그 여파로 지역 지도부의 공백을 메웠다.[25]

아흐마드마는 1697년 남성 자손 없이 사망하였고, 시돈베이루트 산작에 있는 마안 세무 농장은 오스만 정부에 의해 하이다르 시합으로 이관되었다.[26]17세기 후반에 마족들이 멸망하면서 사파드 산작도 크게 시합 왕조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22]The Shihabi emir, Bashir I, Haydar's uncle and the effective leader of the Shihab dynasty, launched a punitive campaign against the Ali al-Saghirs in Bilad Bishara in 1698, capturing Mushrif and his son Muhammad and transferring them to the custody of Sidon's governor Kaplan Pasha, brother of Tripoli Eyalet's governor and Shihab ally Arslan Mehmed 파샤.[25] 바시르는 그 후 사파드 산작 총독으로 임명되었다.[25]그는 1707년 나바티에에 있는 알리 알 사히르, 사브, 뮌카 시아 가문의 연합군을 패배시켰다.[27]빌라드 비샤라를 장악한 그는 드루즈 부관 마흐무드 아부 하르무시에게 그것을 허락했다.[27]

자이다니 지배

17세기 후반까지 베두인 바누 사크르 부족은 사페드와 나블루스 사이의 티베리아스 서쪽 지역을 실질적으로 지배했다.[28]사크르는 그들의 보호를 그 우두머리 밑에 있는 바누 자이단 일족에게까지 확대시켰는데, 그 이름은 출처에 정의되어 있지 않다.[28]추장의 아들 우마르자이다니(Umar al-Zaydani)는 바시르 1세에 의해 사페드의 무타살림(세금 농부인)으로 임명되었고, 바시르 1세는 자신의 아들 만수르(사파드 산작)도 임명하였다.[29]만수르는 1702년에 사망하고, 1706년 사망할 때까지 그 직책을 맡았던 우마르의 뒤를 이어 총독으로 취임하였는데, 같은 해 바시르 1세가 사페드에서 사망하였다.[29]

나블루스의 지역 세력의 지원을 받은 시돈 에얄레 총독은 마을을 습격하고, 여행자와 상업을 위태롭게 하고, 세금을 탈루한 것으로 명성을 쌓아온 사크르를 복속시키기로 결의했다.[30]사크르는 당국과 입장을 개선하기 위해 우마르 알 자이다니의 아들 자히르우마르에게 투자해 대표로 활동했다.[30]그들의 후원으로 자히르는 티베리아스를 장악하고 시돈을 설득하여 그의 세농을 임명하였다.[30]1738년까지 그는 사페드의 지역 강자와 세금 농부인 무함마드 나피에 의해 사페드의 항복을 받았다.[30]1746년 그는 아클레의 세원을 자신의 영토에 추가했고, 그와 다른 자이다니스는 갈릴레이의 나머지 지역에 대한 지배권을 공고히 했다.[31]자히르와 알리 알-사히르 일족의 나시프 알-나사르가 이끄는 자발 아밀의 시아 무슬림 일족은 25년간의 충돌과 협력 끝에 자히르를 시돈의 당국과 공식 대리인으로 하는 공식 동맹에 합의하고, 그들의 세금 납부를 감독하고 멀힘 S가 이끄는 드루제로부터 그들을 방어하기로 합의했다.그들의 군사 [32]지원을 받는 대가로 하이합

자히르는 아크르를 요새화하여 아크르를 그의 팽창하는 셰이크돔의 수도로 삼고 팔레스타인으로부터의 면화 무역에 대한 독점권의 중심지로 삼았다.Acre's practical dominance of the sanjak under Zahir, who ruled until his death in 1775, and his Ottoman-appointed successors Jazzar Pasha (1775–1804), Sulayman Pasha al-Adil (1805–1819) and Abdullah Pasha (1820–1831) contributed to the political decline of Safed, which became a nahiya center with limited local influence, belonging to the Acre San작크[33]

참조

  1. ^ a b c d 아부 후세인 2004년 135페이지.
  2. ^ David와 Ordan 2010, 페이지 28.
  3. ^ a b 엘렌블럼 2003, 페이지 216.
  4. ^ 로드 1979, 페이지 28-30.
  5. ^ 로드 1979, 페이지 27–28.
  6. ^ a b c 로드 1979, 페이지 31.
  7. ^ 로드 1979, 페이지 30.
  8. ^ 로드 1979, 페이지 28.
  9. ^ 2010년 겨울, 페이지 126.
  10. ^ 로드 1979, 페이지 33.
  11. ^ a b 로드 1979, 페이지 16.
  12. ^ a b c 로드 1979, 페이지 17.
  13. ^ a b 로드 1979, 페이지 18.
  14. ^ 로드 1979, 페이지 18-19.
  15. ^ 로드 1979, 페이지 20.
  16. ^ 로드 1979, 페이지 21.
  17. ^ a b c d e f 2010년 겨울, 페이지 126.
  18. ^ 로드 1979, 페이지 21-22.
  19. ^ 아부 후세인 1985년, 페이지 93.
  20. ^ 아부 후세인 1985년 페이지 83–84.
  21. ^ a b 아부 후세인 1985년, 페이지 84.
  22. ^ a b 아부 후세인 2004년 136페이지.
  23. ^ 주단 1987, 페이지 13.
  24. ^ 팔라 1978, 페이지 38.
  25. ^ a b c 2010년 겨울, 페이지 127.
  26. ^ 2010년 겨울, 페이지 128.
  27. ^ a b 2010년 겨울, 페이지 129.
  28. ^ a b Joudah 1987, 페이지 20.
  29. ^ a b 주다 1987, 페이지 21.
  30. ^ a b c d 필립 2001, 페이지 32.
  31. ^ 필립 2001, 페이지 33-36.
  32. ^ 필립 2001, 페이지 37.
  33. ^ 압바시 2003, 페이지 50.

참고 문헌 목록

  • Abbasi, Mustafa (February 2003). "The Arab Community of Safad 1840–1918: A Critical Period" (PDF). Jerusalem Quarterly. 17: 49–58.
  • Abu-Husayn, Abdul-Rahim (1985). Provincial Leaderships in Syria, 1575-1650. Beirut: American University of Beirut.
  • Abu Husayn, Abdul Rahim (2004). The View from Istanbul: Ottoman Lebanon and the Druze Emirate. I.B.Tauris. ISBN 9781860648564.
  • David, Abraham; Ordan, Dena (2010). To Come to the Land: Immigration and Settlement in 16th-Century Eretz-Israel. University of Alabama Press. ISBN 9780817356439.
  • Ellenblum, Ronnie (2003). Frankish Rural Settlement in the Latin Kingdom of Jerusalem.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521871.
  • Falah, Salman (1975). "A History of the Druze Settlements in Palestine during the Ottoman Period". In Maoz, Moshe (ed.). Studies on Palestine during the Ottoman Period. Jerusalem: Magnes Press.
  • Philipp, Thomas (2001). Acre: The Rise and Fall of a Palestinian City, 1730–1831. Columbia University Press. ISBN 978-0-231-50603-8.
  • Rhode, Harold (1979). The Administration and Population of the Sancak of Safad in the Sixteenth Century (PhD). Columbia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