삭시 (증인)
Sakshi (witness)시리즈의 일부: |
힌두교 |
---|
![]() |
시리즈의 일부: | |
힌두교 철학 | |
---|---|
![]() | |
정통파 | |
| |
이단설 | |
| |
힌두교 철학에서 사크시(산스크리트어: सषīीाक)는 세상을 목격하지만 영향을 받거나 관여하지 않는 '순수한 자각'을 의미합니다.삭시는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고 경험과 경험의 삼단일체입니다. 삭시는 모든 생각과 말과 행동을 방해하거나 영향을 받지 않고 목격합니다.삭시(Sakshi) 또는 시바(Shiva)는 샤크티(Shakti, 의지/에너지/운동)와 함께 힌두교의 고대 철학 문헌에서 드러난 가장 근본적인 상태인 모든 힘의 개념 그 자체인 브라만을 나타냅니다.
어원과 의미
'관찰자', '목격자' 또는 '최고의 존재'는 아트만, 즉 불변의 영원한 현실, 순수한 의식과 [2]지식입니다.생각과 [3]사물의 세계에서 이 모든 끊임없는 흐름과 변화를 목격하는 것은 '목격자'나 '자아', 즉 개인의 인격을 인식하는 능력인 영원한 존재입니다.
그것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마음, 결정을 내리는 지성, 기억 그리고 환상 [4]자아로 구성된 미묘한 신체의 "에고" 부분에 그 빛(치차야)을 부여합니다.
우파니샤드
시베타슈바타라 우파니샤드의 다음 구절에서 사용된 स्षीīṣकाs (사크)라는 단어와 관련하여,
- एको देवः सर्वभूतेषु गूढः सर्वव्यापी सर्वभूतान्तरात्मा
- कर्माध्यक्षः सर्वभूताधिवासः साक्षी चेता केवलो निर्गुणश्च
- "주님은 모든 사람의 마음 속에 숨겨져 있습니다.
- 영원한 증인, 순수한 의식,
- 그는 우리의 일을 내부에서, 그 너머에서 지켜봅니다.
- 총(마음의 속성)의 범위."
- (슈베타슈바타라 우파니샤드 제6권 11절, 에크나트 이스와란 옮김)
바라하 우파니샤드(IV)는 부미카('지혜의 발달 단계')를 가리키며, 이는 스툴라('총량'), 수카마('작은'), 비자씨드('사유'), 사크시('목격자')의 차이 때문에 형성되거나 분할된 프라나바('옴 또는 '옴')의 형태입니다.re – '잠', '잠', '꿈 없는 잠', '투리야'.'투리야'인 삭시가 [5]본질입니다.
파니니
Panini states that the same indicates a direct seer or eyewitness (Panini Sutras V.ii.91),[6] Sakshi means Ishvara, the चेता (cetā), the sole Self-consciousness, who is the witness of all, who gives consciousness to every human being, thereby making each rational and discriminatory.[7]
베단타
베단타는 마음(치타) 또는 안타카라나('내부 악기')를 말하고, 물질은 하나의 동일한 현실의 미묘하고 징그러운 형태로 말합니다; 물질의 미묘한 측면인 정신은 유형의 현실이 아닙니다.마음의 장(치타카샤)은 순수한 의식의 장에서 이중성이 극복되는 선견자와 보이는 관찰자(drg)와 관찰자(drshya)의 이중성을 포함합니다.Drg-drshya-Viveka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 "형태가 관찰의 대상이거나 관찰의 대상일 때, 눈은 관찰의 대상일 때, 마음은 관찰자이고, 마음의 맥동이 관찰의 대상일 때, 삭시 또는 목격자 자아는 진정한 관찰자이며, 항상 관찰자이며, 스스로 빛납니다.절대 관찰 대상이 될 수 없습니다.하나는 육체라는 관념과 애착이 해체되고, 최고의 자아가 실현될 때, 사람이 어디를 가든 사마디를 경험하게 됩니다."
산카라는 지식은 파괴하거나 창조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빛을 [2]발할 뿐이며, 감각(인드리야)은 마음이 아니라 [8]마음이 그것을 도구로 사용한다고 설명합니다.
스와미 사르바프리야난다는 이렇게 [9]설명합니다.
- "보세요, 이 테이블은 제 눈에 경험의 대상입니다.내 눈과 몸은 내 마음에 경험의 대상입니다.그리고 제 마음은 경험의 대상입니다. 부인할 수 없습니다. 사실입니다. 무엇에 대한 것입니까?내면으로부터 마음을 경험하는 인식.객관화될 수 없는 인식.그것은 더 나은 용어가 없기 때문에 불려집니다. 왜냐하면 그것은 그것을 보고, 빛을 내고, 마음의 모든 움직임, 모든 생각, 모든 아이디어, 모든 기억, 모든 느낌을 비추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증인이라고 불립니다.산스크리트어: 삭시."
레퍼런스
- ^ Hinduism. Chinmaya Mission. 2006. pp. 69–70. ISBN 9781880687383.
- ^ a b Swami Ranganathananda (27 September 1991). Human Being in Depth. SUNY Press. pp. 86–87. ISBN 9780791406809.
- ^ T.N.Achuta Rao (September 2004). Manoniyantran. Gyan Books. p. 102. ISBN 9788178352909.
- ^ Vaman Shivram Apte. Sanskrit – English Dictionary. Digital Dictionaries of South Asia.
- ^ IslamKotob. Thirty Minor Upanishads. Islamic Books. p. 23.
- ^ Śvetāśvatatra Upanisad 1986 Ed. Advaita Ashrama. pp. 190–191.
- ^ Paramahamsa Hariharananda (2006). Kriya Yoga. Motilal Banarsidass. p. 133. ISBN 9788120831414.
- ^ Swami Akhilananda (12 October 2012). Hindu Psychology: Its Meaning for the West. Routledge. p. 55. ISBN 9781134617500.
- ^ "The Nature of Self: Hinduism/Buddhism, Atman/Anatman, Purna/Shunya". YouTu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