샐리 크룩생크
Sally Cruikshank샐리 크룩생크 | |
---|---|
![]() Sally Cruikshank는 "Quasi" 애니메이션 반바지를 제작했던 1970년대 Snazelle Films의 Sally Cruikshank | |
태어난 | 사라 크룩생크 1949년 (72-73세) |
직업 | 애니메이터 |
년 활동 | 1971-현재 |
배우자 | 존 데이비슨 (1984년–현재) |
아이들. | 디나 데이비슨 |
사라 크룩생크(Sarah Cruikshank[1], 1949년 출생)[2]는 미국의 만화가 겸 애니메이터로, 어린이 텔레비전 워크샵 프로그램인 세서미 스트리트의 애니메이션을 포함하고 있으며, 단편 "Quasi at the Quakadero"(1975)가 미국 국립 영화 등록부에 등록되었다.
전기
조기생활과 교육
샐리 크룩생크는 뉴저지 주 채텀에서 부모 로즈와 어니스트의 딸로 태어났다.[3][4]그녀의 부모는 둘 다 남부인으로, 뉴욕주 인근 뉴욕시에서 일하던 회계사인 그녀의 아버지가 노스캐롤라이나 듀크 대학의 파이 베타 카파 열쇠를 들고 있었다.어니스트의 어머니는 이전에 성으로 알려진 기숙학교의 총장이었다. 그 주에 있는 Mary's College.[5]크룩생크에게는 형제가 있고,[6][7] 1991년 사망한 캐롤이라는 여동생이 있었다.[8]그들의 이모인 베아는 1910년대부터 1940년대까지 화가였는데, 그의 작품에는 프랭클린 델라노 루즈벨트 미국 대통령의 초상화 의뢰가 포함되어 있었다.[9]크룩생크는 스미스 칼리지에서 예술을 공부했는데,[3] 그 곳에서 미술 교사 엘리엇 오프너는 그녀의 색연필과 점토 릴리프 온 페이퍼 도면의 슬라이드를 심사위원회에 보냈고, 그 결과 두 달간의 예일 서머 아트 스쿨에 장학금을 받게 되었다.그곳에서 같은 반 친구인 워너 와다의 권유로 그녀는 자신의 그림 스타일을 애니메이션에 맞추는 것을 고려하기 시작했다.[10]3학년 때 스미스에게 돌아가 Preston Blair의 애니메이션 입문서를 받은 크룩생크는 추가 연구와 함께 애니메이션 특별강좌를 준비했다.데이비드 배첼더 강사가 제작한 사진확대기에 볼렉스 카메라로 구성된 애니메이션 스탠드를 장착하고 3분16㎜의 첫 애니메이션 단편 '덕키'[10]를 제작했다.수채화와 종이 애니메이션을 완성한 이 작품은 한 작가가 "벅지 앞니, 두꺼운 안경, 빨간 망토를 가진 유아용 오리"라고[11] 특징지은 미래의 되풀이 캐릭터인 준의 원형 버전을 주연으로 했다.[12]크룩생크는 그녀의 의인적인 캐릭터를 묘사하면서 "내 오리들은 칼 바크스의 만화에서 나온 오리들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그런데 사람들이 서로 별로 닮지 않은 것 같아 기억력이 뒤틀린 모양이야."[11]
"Ducky"의 반응에 고무된 크루익상크는 졸업 후, 영화 제작을 공부하기 위해 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샌프란시스코 예술 연구소에 등록했다.래리 조던 강사 밑에서 수채화, 크레용 마커, 컷아웃, 콜라주 등을 사용한 5분짜리 애니메이션 단편 'Fun on Mars'(1971)를 만들었다.100달러에 제작되었으며, 그녀의 트레이드마크인 오리 크리에이터의 초기 버전도 선보였다.그녀의 다음 단편인 "초 펀"(1972)은 PBS와 연계해 400달러의 보조금을 받고, 혼합 종이 애니메이션과 컷아웃을 애니메이션 셀에 붙여 만들었다.[11]
콰카데로의 콰시
크룩생크는 공간과 영화 장비도 빌려준 상업영화사 샌프란시스코 스나젤필름에서 '초펀'을 편집하던 중 직원의 권유로 일주일 뒤 "일이 있을 때 애니메이션 실험과 TV광고를 해달라"[13]는 일을 사장 E. E. E. Greggg Snazelle에게 보여줬다.1972년 여름 말, 크루익상크는 그곳에서 수석 애니메이터가 되었다.[14]2009년, 그녀는 Snazelle과의 시간을 회상했다.
그 일은 애니메이션으로 실험하고, 일이 들어오면 그를 위해 광고를 하는 것이었다.그는 또한 내가 안경 없이 3-d를 푸는 방법을 알아내기를 바랐다.말할 필요도 없이 나는 3-d를 해결하지 않았다.10년 동안 광고도 별로 안 했는데 8시 30분에 나타나서 점심으로 한 시간 쉬고 5시 30분까지 일했어.나는 한 달에 350달러를 받았고, 그 때 나는 그것을 먹고 살 수 있었다.그는 나에게 큰 관심을 기울이지 않고 너그럽게 격려해 주었다요즘은 그런 기회가 존재한다면 캐릭터와 콘텐츠에 대한 모든 종류의 권리 진술서에 서명을 해야 할 텐데, 이건 스타워즈 전이었고 그는 내가 곁에 있어서 행복해 보였어.우리는 결코 특별히 가까운 사이가 아니었다.그 후 어떤 일이든 내 마음을 상하게 했다.나는 스나젤에서 일하는 동안 모든 'Quasi' 영화를 만들었다.[15]

1975년 크루익상크는 그녀의 캐릭터인 아니타와 준을 바탕으로 만화를 만들었는데, 이 만화는 지하 만화 잡지 아케이드 3호에 실렸다.[16]
스나젤에서 크루익상크는 "나는 오리와 함께 걸었다", "그 준을 잡아라", "Quasi Quacks Up"[14]을 포함한 그녀의 가장 잘 알려진 작품인 "Quasi at the Quakadero" (1975년)를 개발하기 시작했다.100개의 수채화 배경과 약 5,000셀의 짧은 10분 35mm는 크루익상크가 그리는데 2년이 걸렸고, 이어 사진 촬영과 사후 제작에 4개월이 걸렸다.[14]크룩생크는 주로 셀 페인팅, 사운드 레코딩, 랩과 카메라 작업을 위해 6,000달러의 예산을 독자적으로[17] 조달했다.당시 크룩생크의 남자친구였던 지하 만화가 킴 디치는 딥펜과 래피도그래프를 이용해 잉킹의 일부를 하였고, 캐서린 레니한은 대부분의 셀 페인팅을 했다.[14]이 단편에는 디치가 목소리를 내는 준, 한 작가가 "새로운 물결 의상을 입은 베티 부프"라고 묘사하고 있는 아니타, 그리고 그의 매웨스트 같은 목소리는 크루릭상크가 공급했으며, 로봇 롤로 또한 크루릭상크가 목소리를 냈다.[12]'노후'나 '100년 후'를 볼 수 있는 타임 미러 홀, 난간에 기대어 기원전 300만년의 라이브 조각을 볼 수 있는 타임 홀 등 코니 아일랜드의 사이드쇼를 통해 진행된다.[18]캘리포니아 버클리, 더 싸구려 수트 세레나데스에 의해 만들어진 이 음악은 1920년대/1930년대 댄스밴드 음악의 "이상하고 갤로피 느낌"[19]이라고 불리는 것을 만들기 위해 슬라이드 플루트, 실로폰, 우쿨렐레, 오리콜, 보트 휘파람, 백파이프를 사용했다.
"Quasi at the Quakadero"는 상을 수상하여 로스앤젤레스 영화 박람회에서 상영되었고, 그 도시의 1890 Arch Street에 있는 당시 크루익상크의 집에서 멀지 않은 [17]버클리 노스사이드 극장에서 첫 연극 예약을 했다.[20]
기타 초기 프로젝트
크룩생크의 다음 쇼트인 8분 35mm의 "Make Me Simiciety" (1978년; 작업명 "Mesmeroid Madius")는 준과 아니타를 돌려주고, 매력적인 스노지를 더한다.잠재된 텔레키네틱 파워를 발휘하여 파티에서 슬랩스틱을 유발하는 장치를 중심으로 제작된 이 1만 4천 달러짜리 이 영화는 크룩생크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았으며, 더 많은 예산이 셀 화가들의 추가 고용과 실험실 비용 증가로 흘러갔다.크룩생크는 "사람들은 'Quasi'를 어떻게 생각해야 할지 몰랐다"고 말했다.한 번에 흡수하기가 꽤 힘들었어, 고체.그래서 사물을 단순화하고 차기작에 더 확실한 초점을 맞춰 보는 등 좀 더 눈을 연출해 보자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17]싸구려 수트 세레나데스는 다시 음악을 공급했다.[19]
1980년 크루익상크는 국립예술기금으로부터 1만 달러의 보조금을 받아 "최종 열대 나이트클럽을 열려는 쾌락주의자 오리 3마리"[19]가 포함된 만화영화 "준'스 카바레"의 스토리보드와 3분짜리 샘플 릴을 만들었다.그녀는 또한 컴퓨터 애니메이션이 자신을 모델로 한 예술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해학적인 공포 이야기"인 조이스틱과 정신 기관을 배경으로 한 코미디인 라이브 액션과 애니메이션을 결합한 피처 프로젝트들을 개발하려고 시도했다.게다가, 그녀는 "이상한 항공"에서 케이블 TV 방송망을 팔려고 시도했다. "이상한 항공"은 스노지가 차터 항공사의 소유주 조종사로, 아니타가 승무원으로 출연하는 3분짜리 반바지 시리즈로 기획되었다.[19]
나중의 일과 인생
크루익상크는 초현실적이고 환각적인 요소들로 인식 가능한 스타일을 진화시켰다.그녀의 영화 "Face Like a Frog" (1987년)는 그룹 대니 엘프먼이 자신의 노래 "Don't Go in the Library"[21]를 부르는 등, 오이고 붕고의 음악적 악보를 담고 있다.
크룩생크는 트와일라잇 존을 포함한 장편 영화에 애니메이션 시퀀스를 기여했다. 영화(1983)와 일급비밀!(1984)은 물론, '무정한 사람들'(1986), '마네킹'(1987), '러브보이'(1989), '매드하우스'(1990),[22] '스마일리 페이스'(2007)의 오프닝 타이틀 시퀀스까지.그녀는 또한 광고와 웹사이트 디자인에서도 일했다.크룩생크는 또한 1989-1999년 세서미 스트리트를 위해 많은 뮤직비디오를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했다.[23]
1990년대에 잠시 동안 크루익상크는 팔로 알토 연구소와 기술 인큐베이터 인터벌 리서치 주식회사에 애니메이터로 고용되었다.[24]
크루익상크는 2011년 현재 35mm 필름 형식으로 작품을 옮겨 보관하는 과정에 있으며,[25] 2012년 10월 현대미술관에서 35mm 인쇄물들이 상영되었다.[citation needed]
사생활
크루익상크는 1971-c. 1982년 기간 동안 지하 만화가 킴 디치와 관계를 맺고 있었다.[26][27]1984년 3월 17일,[28] 그녀는 프로듀서 존 데이비슨과 결혼했는데,[29] 그녀에게는 딸 디나가 있다.[30]
영향과 스타일
크루익상크는 플라이셔 스튜디오와 반 뷰렌 스튜디오와 같은 제작자들과 이른 밥 클램펫의 초기 뉴욕 애니메이션을 선호한다.[19]1981년 인터뷰에서 그녀는 당시 자신의 스타일에 대해 말했다.
나는 대부분의 애니메이터들과는 다른 동작의 개념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많은 현대 애니메이터들이 나를 괴롭히는 한 가지는 그들이 다른 애니메이터들로부터 언어를 배웠다는 것이다.같은 손동작, 같은 '깜짝' '깜짝' 캐릭터가 질문을 할 때 '깜짝'하는 것을 보게 된다.너무 많은 애니메이터들은 그것을 창조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움직임의 역동성을 상상하려고 하지 않는다.나는 그렇게 대단한 애니메이터는 아니지만, 나는 내가 세상을 색다른 시각으로 보는 움직임의 감각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19]
애니메이션 단편 영화
- "더키" (1971)
- "Fun on Mars" (1971년)
- "조우재미"(1972)
- 콰카데로에서의 준(Quasi at the Quakadero)(1975)
- "Make Me Symetic" (1978년)
- "Quasi's Cabaret 트레일러" (1980)
- "개구리 같은 얼굴" (1987년)
다른 몇 편의 단편 영화들이 크루익상크의 유튜브 채널에서 방영되고 있다.
수상 및 수상
1986년 크루익상크는 스탠 브라카게, 백남준과 함께 미국영화연구소가 수여하는 독립 영화 및 비디오 아티스트로 초기 마야 데렌상을 수상했다.[31]
2009년, 미국 국립 영화 등록부에 "Quasi at the Quakadero"가 의회도서관에 의해 보존 대상으로 선정되었다.[32]이 책은 1994년 저서 '50대 만화: 1,000명의 애니메이션 전문가에 의해 선택됨.[33]
참조
- ^ "Hating Sarah". Sally Cruikshank's official blog. September 9, 20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14, 2011.
- ^ Dixon, Wheeler Winston (2000). The Second Century of Cinema: The Past and Future of the Moving Ima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p. 236. ISBN 978-0-7914-4516-7.
Well, I was born in New Jersey in 1949.
- ^ a b 카운트, 카일."Sally Cruikshank의 짧은 인생", Starlog가 만화 장면 #7, 1982년 1월, 페이지 40을 제시한다.
- ^ 2008년 12월 29일 크룩생크 블로그 "More Party"
- ^ 딕슨, 휠러 윈스턴, 에드수집된 인터뷰: 20세기 영화관에서 온 목소리들.일리노이주 카본데일: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2001, 페이지 208.ISBN 0-8093-2417-2
- ^ 2009년 11월 28일 크룩생크 블로그 "10 리틀 인디언"
- ^ 크룩생크 블로그, 2008년 11월 11일 "Carol에서 1958년 7월 17일"
- ^ 2008년 12월 05일 Cruikshank 블로그 "Out of here"
- ^ 2008년 9월 10일 크룩생크 블로그 "Auntie Bea's photo of my sister"
- ^ a b 카운트, 페이지 40-41
- ^ a b c 카운트, 페이지 41
- ^ a b 카운트, 페이지 43
- ^ 카운트, 페이지 41-42
- ^ a b c d 카운트, 페이지 42
- ^ "Quasi's Big Day," 2009년 12월 30일 크루익상크 블로그
- ^ "Sally Cruikshank - Lambiek Comiclopedia".
- ^ a b c 카운트, 페이지 44
- ^ 카운트, 페이지 43-44
- ^ a b c d e f 카운트, 페이지 45
- ^ "1981년 1월 18일 편지" 크룩생크 블로그, 2009년 12월 23일
- ^ 포트폴리오: "개구리 같은 얼굴" 화성의 재미 (공식 사이트)
- ^ 2009년 3월 30일 크룩생크 블로그 "스마일 페이스 타이틀"
- ^ 2011-07-11, 웨이백 머신(Fun on Mars)(공식 사이트)에서 아카이빙된 2011-07-11
- ^ Landekic, Lola (May 27, 2015). "Sally Cruikshank: A Career Retrospective, Part 2". ArtOfTheTitle.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ne 23, 2015. Retrieved June 23, 2015.
- ^ 2011년 11월 29일 Cruikshank 블로그 "Obsolete 형식"
- ^ 디치, 김. "Mad About Music: My Life in Records: Part 10: Comic Tunes," The Comics Journal (SEP. 9, 2011)
- ^ Murphyao, Amanda, in
{{cite book}}
: 총칭(도움말) - ^ 2009년 3월 18일 크룩생크 블로그 "3월 17일 더 굿"
- ^ 딕슨, 인터뷰 수집, 페이지 209
- ^ 2010년 2월 8일 크룩생크 블로그 "10일 정도!"
- ^ Taylor, Clarke (February 1, 1986). "AFI Gives 1st Award For Independent Film Makers". Los Angeles Ti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November 27, 2012.
- ^ "Michael Jackson, the Muppets and Early Cinema Tapped for Preservation in 2009 Library of Congress National Film Registry" (Press release). Library of Congress. December 30, 200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14, 2011.
- ^ Beck, Jerry, ed. (1994). The 50 Greatest Cartoons: As Selected by 1,000 Animation Professionals. Atlanta, Georgia: Turner Publishing. ISBN 1-878685-49-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