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자와 사토시

Satoshi Kanazawa
가나자와 사토시
태어난 (1962-11-16) 1962년 11월 16일 (59세)
미국[1]
시민권미국
영국
모교애리조나 주의 대학교
과학 경력
필드진화심리학
기관런던 경제 대학

가나자와 사토시(1962년 11월 16일생)는 미국 태생의 영국인 진화심리학자 겸 작가다.[2] 그는 현재 런던 경제대학원경영학부 독서를 하고 있다. 그의 작품은 사회학, 경제학, 인류학과 같은 사회과학을 분석하기 위해 진화심리학을 이용한다.[3] 카나자와가 인종과 지능, 건강과 지능, 다문화주의, 신체적 매력과 지능의 관계에 대해 발언하고 연구한 결과 관찰자와 동료들의 비난이 이어지고 있다. 그는 이것을 정치적 올바름검열 탓으로 돌리는 반면,[4] 그의 비평가들은 그의 주장을 유사과학적이고[5][2] 인종차별주의적이라고 묘사했다.[6][7]

사하라 사막 이남의 흑인 아프리카 국가들은 그들의 사람들이 IQ가 낮기 때문에 만성적인 가난과 질병에 시달리고 흑인 여성들은 다른 인종 여성들보다 객관적으로 덜 매력적이기 때문에, 그는 심리학 투데이 기사에서 해고되었고, 그의 고용주인 런던 에코 스쿨은 그의 견해에 대한 계속되는 논란에 대해, 그는 면직되었다.유목민들, 12개월 동안 비매장 매장에서 출판하는 것을 금지했다.[8] 68명의 진화심리학자들이 '카나자와의 나쁜 과학은 진화심리학을 나타내지 않는다'는 제목의 공개서한을 발표해 그의 견해를 일축했고,[9] 같은 주제로 35명의 학자들이 미국 심리학자의 논문을 게재했다.[10]

인생과 경력

가나자와는 2003년에 런던 경제대학원에서 일하기 시작했다.[11]

사바나 원리

'사바나 원칙'은 사바나에서 초기 호모(호모)의 조상의 환경에 어느 정도 적응한 인간의 행동이 현대(산업 또는 후기 산업) 환경의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원칙을 위해 2004년 가나자와 사토시(가나자와)가 만든 용어다. 가나자와는 이 차이를 "많은 사회적 어려움"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한다. 예를 들어, 설탕이 많고 기름진 음식을 갈망하는 조상들은 그렇지 않은 조상들보다 더 오래 살고 더 건강했는데, 그러한 것들이 상대적으로 부족했던 시기였다. 오늘날, 그러한 유혹의 풍부함은 비만심장병으로 이어진다. 비슷한 시나리오는 텔레비전,[12] 섹스, 질투와 함께 묘사된다.

가나자와는 2004년 사바나의 원칙이라는[13][14] 짧은 저널의 형태로 이 주장을 제시했으며, 2007년 일반 청중을 대상으로 한 책 《아름다운 사람들은 왜 더 많은 딸을 갖는가》에 자세히 서술했다.[15]

2006년 가나자와는 「사바나 원칙」을 이용하여 건강과 IQ 대 건강과 부의 상관관계를 설명하였다. 그는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는 다른 곳보다 IQ에 대한 선택적 압박이 적은 "진화적 친숙한" 환경을 나타내기 때문에 IQ가 IQ보다 세계 대부분의 부나 불평등보다 건강에 대한 더 좋은 예측 변수라고 주장했다.[16]

2010년 논문에서 가나자와는 사바나-IQ 상호작용 가설을 제안했다. '사바나 원리'에 바탕을 둔 이 가설은 보다 많은 지성인이 진화적으로 참신한 행동에 관여할 가능성이 높고, 정치적 자유주의처럼 참신함에 대한 더 큰 욕구를 조장하는 가치를 믿는다고 제안한다.[17] 그것은 타당성이 없고 모순된 예측을 한다는 비난을 받아왔다.[18]

카나자와가 사바나-IQ 상호작용 가설을 이용한 지능연구와 진화심리학을 통합하려고 시도한 후속 논문에 대해 심리학자 스콧 배리 카우프만 콜린 G.[19] 드영, 디어드레 레이스, 제레미 R. 그레이는 리다 코스메디즈와 처음 제안된 사회관계 맥락에서 와슨 선택과제의 70개 항목 전산화된 버전을 112과목들에게 제공한 후 "비임의적이고 진화적으로 친숙한 문제에서의 수행은 임의적이고 진화적으로 새로운 문제에서의 수행보다 일반적 지능과 더 강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개작 마인드'의 존 토비는 일반적 지능이 진화적으로 익숙한 문제보다는 진화적으로 생소한 성과에만 연관되어 있다는 가나자와씨의 주장을 반박한다.[20][21]

기타 견해, 출판물 및 논란

일반

가나자와는 앨런 밀러와 함께 세 권의 책을 공동 저술했다.

  • 아름다운 사람들이 왜 더 많은 딸을 낳는가: 데이트, 쇼핑, 기도에서부터 전쟁에 나가고 억만장자가 되는 것—두 명의 진화 심리학자가 우리가 하는 일을 설명하는 이유
  • 남성 도박과 여성이 신발을 사는 이유: 진화가 어떻게 우리가 행동하는 방식을 형성했는가
  • 사고별 주문: 현대 일본에서의 적합성의 기원과 결과

그는 또한 2011년 해고될 때까지 "The Scientific Frinstitutionist for Pychology Today"라는 블로그를 썼다.[22]

가나자와는 사바나 원칙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인간의 두뇌"가 오늘날의 도시 산업 사회와는 현저히 다른 환경인 수십만 년 전에 아프리카에서 진화했기 때문에 사회적 어려움이 존재한다는 이론을 나타낸다.[23] 2003년 그는 '인성 연구 저널'에 실린 기고문에서 과학자들이 일반적으로 30대 중반 이전에 가장 큰 발견을 했다는 것을 보여주며 이 생산성 곡선을 범죄자의 그것과 비교했다고 주장했다.[24]

자식의 매력과 성별

2006년에 그는 매력적인 사람들이 수컷 자손을 가질 확률이 26% 낮다고 주장하면서 이론 생물학 저널에 기사를 실었다.[25][26] 컬럼비아 통계학자 앤드루 겔만은 매력적인 사람이 딸을 낳을 가능성이 높다는 가나자와의 주장에 대해 편집자들에게 보낸 서한에서 가나자와가 인정하는 오류로 가나자와가 분석한 회귀계수에 대한 올바른 해석은 매력적인 사람이 딸을 가질 확률이 8% 더 높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27][28] 겔만은 카나자와 교수의 분석이 설득력 있게 인과관계를 보여주지 못하는 것은 다중 비교에서 통계적 의의에 대한 문제적 해석뿐 아니라 내분성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가나자와는 전자의 오류는 "미리 언어학"이며, 후자의 두 가지를 초기 기사에서 다루었다고 주장하지만, [26]겔만은 자신의 원래 비판은 여전히 유효하다고 주장한다.[29]

인종과 매력

2011년 5월, 그는 '심리학 오늘'에 흑인 여성이 '전국 청소년 건강 종단 연구'에서 다른 인종보다 덜 매력적으로 평가된 이유를 탐구한 기사를 실었다. 이후 결과에 대한 비판적 독립적 분석 결과, 청소년 건강의 국가 종단연구에서 4가지 데이터 세트 중 3가지에 대해 보유하는 평가 매력도의 차이가 나타났고, 젊은 여성들에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인종 차이만 있었을 뿐이며, 성년 초까지 사라졌다는 것을 보여주었다.[30] 가나자와도 같은 추리를 남성에게 적용하면서, 일반적으로 흑인 남성이 흑인 여성보다 더 매력적이라고 생각될 것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가나자와는 또한 자신의 분석에 사용된 매력에 대한 주관적 면접 평가의 공통 요인이 객관적 매력 척도에 해당한다고 주장하여 비판을 받았다.[2]

그 기사는 격분하여 널리 비난을 받았다. 첫 번째 비판은 블로그스피어에 게재되어 Change.org페이스북에 카나자와를 해고하라는 청원이 만들어졌다.[31] 그러나 또한 공동 성명을 발표하는 진화심리학자 그룹을 포함한 다른 과학자들은 가나자와 교수의 연구와 진화심리학의 규율을 거리를 두고 비판을 쏟아냈다.[9] 심리학투데이는 이 기사를 끌어냈으며 2011년 5월 27일, 불쾌감을 느낀 적이 있는 사람에게 사과문을 발표하고, 가나자와 기사의 발행 전 검토하지 않았다고 진술했으며,[32] 앞으로 논란이 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더 엄격하게 경찰하겠다고 밝혔다.[22]

2011년 9월, 가나자와는 LSE 이사 주디스 리스에게 사과하며, 블로그의 "미필요한 결과"를 "깊이 후회한다"고 말했고, "그의 주장 중 일부는 결함이 있고 이용 가능한 증거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았을 수 있다"고 받아들였다. LSE 내부 조사 결과, 가나자와는 학교를 불명예스럽게 만들었고, 1년 동안 비평가의 출판을 금지한 것으로 밝혀졌다.[33] 논란이 일자 카나자와 거리를 두고 진화심리학을 옹호하는 68명의 진화심리학자들이 공개서한에는 "인간의 심리학과 행동연구에 진화론을 적용하는 원리가 건전하며, 수준 높고 뉘앙스적이며 문화적으로 민감한 evo가 많이 있다"고 썼다.오늘날 영국과 다른 곳에서 진행중인 lutionary research".[9] 이에 대응하여, 23명의 과학자로 구성된 국제 단체는 타임즈 고등교육에 가나자와의 연구를 옹호하는 편지를 게재했다.[34]

건강과 지능의 상관관계

2006년 가나자와는 「사바나 원칙」을 이용하여 건강과 IQ 대 건강과 부의 상관관계를 설명하였다. 그는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는 다른 곳보다 IQ에 대한 선택적 압박이 적은 "진화적 친숙한" 환경을 나타내기 때문에 IQ가 IQ보다 세계 대부분의 부나 불평등보다 건강에 대한 더 좋은 예측 변수라고 주장했다.[35] 조지 엘리슨(2007)은 논문에 대한 비판에서 "불법화된 가정, 의심스러운 데이터, 부적절한 분석, 편파적 해석"에 근거한 결론이라고 주장했다.[36]

동성애와 지성

신경과학자 사이먼 르베이에 따르면, 학문의 초기 리뷰는 게이들과 레즈비언들이 자원봉사의 편견으로 고통받았을지 모르지만, 게이들과 레즈비언들이 그들의 또래들보다 더 똑똑하다는 것을 시사했다. 그러나 가나자와 교수는 2012년 미국과 영국의 3개 대규모 무작위 표본 연구를 분석한 결과 남녀 모두 동성애가 지능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LeVay는 이러한 발견들이 동성애와 지능의 연관성에 대한 "제안적"이라고 쓰지만, 똑똑한 사람들이 덜 똑똑한 사람들보다 그들의 성에 대해 더 개방적일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들 또한 편견에 시달릴 수 있다고 언급한다.[37]

이슬람교, 테러리즘, 심리학 투데이

심리학 투데이가 주최한 그의 블로그 The Scientific Frinstitutionist에서 가나자와는 무슬림, 이슬람, 중동 등에 대해 자주 게재했다. 출판물 '심리학 투데이'는 이후 카나자와가 더 논란이 많은 일부 기사에 이어 부정적이면서도 건설적인 피드백과 비판을 상당 부분 받았다.

2008년 3월 6일 '미움만 있으면 된다'는 부제 기사에서 그는 독자들에게 (i)2001년 9월 11일 트윈타워가 내려왔을 미국 대통령은 조지 W.부시가 아니라 쿨터라는 것을 기만해 달라고 부탁하며 '작은 생각 실험'을 제안했다. 그때는 어떻게 되었을까? 9월 12일, 콜터 대통령은 중동 전역에 35개의 핵폭탄을 투하하도록 미군에게 명령했을 것이며, 우리의 실제적이고 잠재적인 적 전투원들과 그들의 아내와 아이들을 모두 죽였을 것이다. 9월 13일, 전쟁은 끝났고, 단 한 명의 미국 생명도 잃지 않고 승리했을 것이다." 그는 (y)es, 우리는 백악관에 여자가 필요하지만, 출마하는 사람은 아니다"라고 결론짓고, 그의 의견으로는 앤 쿨터 같은 사람이 더 낫다고 암시한다.[38]

2010년 1월 10일 그는 '무슬림들이 그럴까'라는 제목의 글을 올렸다. 그는 이 책에서 "무슬림인들은 모두 이슬람교도라는 독특한 정체성에 의해 가치와 목표에 단결되어 있다"고 주장하면서 "이러한 관찰을 무시하는 것이 빈발할 수도 있고 테러리스트들이 '극단주의자' 또는 '지하디스트'라고 말하는 것이 "정치적으로 올바르고 위안이 된다"고 주장했다.[39] 그는 7일 뒤인 1월 17일 같은 웹사이트의 다른 기사에서 자신의 견해를 더 상세히 설명했다. 그것의 도입부에서 그는 "인종 프로파일링이 효과가 있고 생명을 구한다"고 주장한다. 비록 어느 순간 그는 이 기사를 통해 "모든 이슬람교도들이 테러리스트는 아니지만 모든 테러리스트들은 이슬람교도"라고 표현된 이슬람 혐오 고정관념을 일축하고, 자신의 글과 함께 "전 세계 이슬람교도들 중 절반은 테러리스트들이거나 그들의 아들, 형제들을 격려할 테러리즘의 적극적인 지지자들이다"라고 썼다. 자폭할 조카들도."[40]

당시 컬럼비아대 역학학자 겸 허프포스트 기고자였던 압둘 엘사예드는 카나자와 교수의 글을 인용, 편협함과 외국인 혐오증을 조장하기 위해 (그들의) 지적 정체성을 이용하는 학자들이 늘고 있는 현상을 다른 저자들의 글과 함께 인용했다."이슬람과 무슬림을 얻는다" 엘세이드는 "학문의 대중적 생각에 묘사된 근본적인 메시지는 글렌 벡이나 러시 림보의 거친 횡설수설과 다를 바 없으며, 몇 배나 더 큰 피해를 준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그는 "박사학위 논문 목록과 학계는 일반 대중이 '지식'과 '과학'의 무게 있고 객관적인 뒷받침을 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에 이미 왜곡된 시각과 이슬람과 종교에 대한 혐오적 견해를 갖고 있는 사람들에게 어떻게 정당화되느냐"고 설명한다. 이슬람교도들"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 학문적인 독단주의자들은 냉정하고 측정된 객관성 톤으로 (아마도 박사학위 후드 아래) 이슬람 공포증의 불을 지피고 있다"고 지적한다.[41]

가디언지에 기고된 난잘라 냐볼라는 가나자와씨의 주장을 "인종차별적인 헛소리"라고 일축했다. 그녀는 또한 심리학 오늘날의 위치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당시, 문제, 또한 다양한 학자들과 그들 사이의 수많은 공공 intellectuals,[10]에 의해 표현된에 대한 경고했다 미하일 Lyubansky는은``특별한 주장(특히고 손상을 다쳤다 점을 출판을 비난했다 같은 출판의 authors,[6].marginalified groups)는 특별한 증거와 편집감독을 요구한다."[42] 마찬가지로, 크리스토퍼 라이언은 "러시 림보, 빌 오렐리, 쿨터가 과학을 공부했다면, 그들은 가나자와의 일부 기사들처럼 글을 쓰고 있었을 것이다"라고 언급하며, 카나자와의 견해와 글을 비판하였다.[43][44]

<독립신문>이 <우리의 진화에 대한 불온한 진실>[45]이라는 글에서 가나자와씨의 주장 중 10개의 최종 목록을 요약했다.

대학 및 참여 논란

68명의 진화심리학자들이 '카나자와의 나쁜 과학은 진화심리학을 나타내지 않는다'는 제목의 공개서한을 발표해 그의 견해를 일축했고,[9] 같은 주제로 35명의 학자들이 미국 심리학자의 논문을 게재했다.[10]

  • 2011년 5월, 그리고 그의 최근 블로그 사건 이후, 런던 대학교 연합 상원은 그의 연구를 비난하는 데 만장일치로 찬성표를 던졌다.[46]
  • 2008년 2월, 그는 "과학적 근본주의자"라고 불리는 심리학 투데이 블로그를 시작했다. 2011년 6월, 이 출판사는 가나자와가 자신의 "왜 흑인 여성들이 다른 여성들보다 육체적으로 덜 매력적인가?"라는 기사에 대한 반응으로 영원히 기각했다.[47]
  • 2011년 9월 런던경제대학(LSE)은 가나자와가 논페어 검토 저널에 어떤 자료도 게재하지 못하도록 1년간 정지시켰고, 카나자와는 그 게시물이 '허위'라는 내용의 사과문을 발표했다.[48][49]
  • 2012년 9월, LSE로부터 비(非)피어(non-peer) 리뷰 아웃렛 출간이 금지된 12개월의 기간을 거쳐 블로그 빅씽에 기고 편집자로 채용되어 2013년 3월 29일 협업이 중단되었다.[5][50]
  • 2018년 12월 노스웨스턴대 학생들은 대학 측이 가나자와 교수의 에반스톤 연구 수행 승인 신청을 번복해달라는 탄원서에 며칠 만에 4000여 명의 서명을 모았다.[51]

참고 항목

참조

  1. ^ Kanazawa, Satoshi (2012). The Intelligence Paradox: Why the Intelligent Choice Isn't Always the Smart One. ISBN 978-0-470-58695-2.[페이지 필요]
  2. ^ a b c Khadijah, Britton (23 May 2011). "The Data Are In Regarding Satoshi Kanazawa". Scientific American. Retrieved 1 May 2020. [...] Dr. Satoshi Kanazawa, an evolutionary psychologist associated with the London School of Economics [...].
  3. ^ 런던 경제대학원의 카나자와 사토시 박사. 2006년 9월 6일 회수
  4. ^ "Psychology Today: "If the truth offends, it's our job to offend", 20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December 2015.
  5. ^ a b "The bad science of Satoshi Kanazawa". Big Think. 26 March 2013. Retrieved 31 May 2019.
  6. ^ a b Nyabola, Nanjala (18 May 2011). "Satoshi Kanazawa's racist nonsense should not be tolerated". The Guardian. Retrieved 31 May 2019.
  7. ^ Lee, Adam (12 September 2012). "Doesn't This Place Have Standards?". Big Think. Retrieved 1 July 2019.
  8. ^ LSE 강사인 가나자와 사토시 박사가 레이스 블로그 '유감'에 대해 "BBC, 2011년 9월 16일"
  9. ^ a b c d "Kanazawa Statement Academia Science". Scribd.com. 29 March 2016. Retrieved 28 April 2018.
  10. ^ a b c Scott Barry Kaufman (18 May 2011). "Satoshi Kanazawa Does Not Speak for All of Evolutionary Psychology". HuffPost. Retrieved 30 May 2019.
  11. ^ "Dr. Satoshi Kanazawa". personal.lse.ac.uk. Retrieved 31 May 2019.
  12. ^ Satoshi Kanazawa. "Why the less intelligent may enjoy television more than the more ..." (PDF). Retrieved 5 November 2007.
  13. ^ 경영의사결정 경제 25 (1), 2004, 페이지 41–54
  14. ^ Kanazawa, Satoshi (1 January 2004). "The Savanna Principle". Managerial and Decision Economics. 25 (1): 41–54. doi:10.1002/mde.1130. ISSN 1099-1468.
  15. ^ 가나자와, 사토시 아름다운 사람들이 왜 더 많은 딸을 낳는가(2007) 모두 ISBN 978-0-399-53365-5.
  16. ^ Kanazawa, Satoshi (11 November 2006). "Mind the gap... in intelligence: Re-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equality and health" (PDF reprint). British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1 (4): 623–642. doi:10.1348/135910705X69842. PMID 17032488.
  17. ^ Kanazawa, Satoshi (16 February 2010). "Why Liberals and Atheists Are More Intelligent". Social Psychology Quarterly. 73 (1): 33–57. CiteSeerX 10.1.1.395.4490. doi:10.1177/0190272510361602. ISSN 0190-2725. S2CID 2642312.
  18. ^ Dutton, Edward (September 2013). "The Savanna-IQ interaction hypothesis: A critical examination of the comprehensive case presented in Kanazawa's The Intelligence Paradox". Intelligence. 41 (5): 607–614. doi:10.1016/j.intell.2013.07.024. ISSN 0160-2896.
  19. ^ Kanazawa, Satoshi (May–June 2010). "Evolutionary Psychology and Intelligence Research" (PDF). American Psychologist. 65 (4): 279–289. doi:10.1037/a0019378. PMID 20455621. Retrieved 16 February 2018.
  20. ^ Cosmides, Leda; Tooby, John (1995) [1992]. "3. Cognitive Adaptations for Social Exchange". In Barkow, Jerome H.; Cosmides, Leda; Tooby, John (eds.). The Adapted Mind: Evolutionary Psychology and the Generation of Cultur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p. 179–206. ISBN 978-0195101072.
  21. ^ Kaufman, Scott Barry; DeYoung, Colin G.; Reis, Deidre L.; Gray, Jeremy R. (May–June 2010). "General intelligence predicts reasoning ability even for evolutionarily familiar content" (PDF). Intelligence. 39 (5): 311–322. doi:10.1016/j.intell.2011.05.002. Retrieved 16 February 2018.
  22. ^ a b "Psychology Today Agrees to remove Controversial Author Satoshi Kanazawa from Website; Implements New Policies to Prevent Inflammatory Content". Color of Change. 1 June 2011.
  23. ^ 카나자와, 사토시(2004) 사바나 원칙. 경영 및 의사결정 경제학, 25 페이지 41-54. ISSN 0143-6570
  24. ^ Kanazawa, Satoshi (2003). "Why productivity fades with age: The crime–genius connection".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37 (4): 257–272. doi:10.1016/S0092-6566(02)00538-X.
  25. ^ "아름다운 사람들에게는 여자가 있다" 존 본 라도위츠, News.com.au, 2006년 8월 2일
  26. ^ a b Kanazawa, Satoshi (2007). "Beautiful parents have more daughters: A further implication of the generalized Trivers–Willard hypothesis (gTWH)". Journal of Theoretical Biology. 244 (1): 133–140. doi:10.1016/j.jtbi.2006.07.017. PMID 16949101.
  27. ^ Gelman, Andrew (2007). "Letter to the editors regarding some papers of Dr. Satoshi Kanazawa". Journal of Theoretical Biology. 245 (3): 597–599. doi:10.1016/j.jtbi.2006.11.005. PMID 17184794.
  28. ^ Kanazawa, Satoshi; Reyniers, Diane J. (2009). "The role of height in the sex difference in intelligence".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ology. 122 (4): 527–536. JSTOR 27784427. PMID 20066931.
  29. ^ Gelman, Andrew; Weakliem, David (2009). "Of Beauty, Sex and Power". American Scientist. 97 (4): 310. doi:10.1511/2009.79.310.
  30. ^ "Black Women Are Not (Rated) Less Attractive! Our Independent Analysis of the Add Health Dataset".
  31. ^ 앵거스 허치슨 흑인 여성이 매력적이지 않은 블로그 포스트: 분노가 커진다." 국제 비즈니스 타임즈, 2011년 5월 20일
  32. ^ Perina, Kaja (27 May 2011). "An Apology from Psychology Today". Psychology Today.
  33. ^ Jack Grove (15 September 2011). "LSE scholar admits race analysis was 'flawed'". Times Higher Educ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October 2012.
  34. ^ 2011년 6월 16일 타임즈 고등교육 "죄가 아닌 죄에 대한 죄"
  35. ^ Kanazawa, Satoshi (2006). "Mind the gap…in intelligence: Re-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equality and health". British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1 (4): 623–642. doi:10.1348/135910705X69842. PMID 17032488.
  36. ^ Ellison, George T. H. (2007). "Health, wealth and IQ in sub-Saharan Africa: Challenges facing the Savanna Principle as an explanation for global inequalities in health". British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2 (2): 191–227. doi:10.1348/135910707X180972. PMID 17456282.
  37. ^ LeVay, Simon (2017). Gay, Straight, and the Reason why: The Science of Sexual Orient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p. 58. ISBN 978-0-19-029737-4.
  38. ^ "Why we are losing this war". Psychology Today. 6 March 2008. Retrieved 30 May 2019.
  39. ^ Satoshi Kanazawa (10 January 2010). "What's Wrong with Muslims?". Psychology Today. The Scientific Fundamentalist blog. Retrieved 30 May 2019.
  40. ^ Satoshi Kanazawa (17 January 2010). "Naked Air". Psychology Today. The Scientific Fundamentalist blog. Retrieved 30 May 2019.
  41. ^ El-Sayed, Abdulrahman; Professor, ContributorAssistant; University, Columbia (4 April 2010). "Is Your Professor an Islamophobe?". HuffPost. Retrieved 30 May 2019.
  42. ^ Mikhail Lyubansky Ph.D. (16 May 2011). "Beauty May Be In Eye of Beholder But Eyes See What Culture Socializes". Psychology Today. Retrieved 30 May 2019.
  43. ^ Christopher Ryan Ph.D. (18 May 2011). "Satoshi Kanazawa Is the Rush Limbaugh of Evolutionary Psychology". Psychology Today. Retrieved 30 May 2019.
  44. ^ Christopher Ryan Ph.D. (10 November 2008). "Is Evolutionary Psychology a Used Car?". Psychology Today. Retrieved 30 May 2019.
  45. ^ "Inconvenient truths about our evolution?". The Independent. 30 November 2010. Retrieved 30 May 2019.
  46. ^ Sample, Ian; correspondent, science (19 May 2011). "LSE academic's claim 'black women less attractive' triggers race row". The Guardian. Retrieved 31 May 2019.
  47. ^ "Psychologist Fired For "Why Black Women Are Unattractive" Study". News One. 6 June 2011. Retrieved 31 May 2019.
  48. ^ Editor, LSE Web. "Dr Satoshi Kanazawa - findings of internal review and disciplinary hearing - 09 - 2011 - News archives - News and media - Website archive - Home". www.lse.ac.uk. Retrieved 31 May 2019.CS1 maint: 추가 텍스트: 작성자 목록(링크)
  49. ^ "Times Higher Education - LSE scholar admits race analysis was 'flawed'". 27 October 201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October 2012. Retrieved 31 May 2019.
  50. ^ Hopkins, Phillip (29 March 2013). "The End of a Bold Experiment: Big Think and Satoshi Kanazawa". Big Think.
  51. ^ Colleen Flaherty (19 December 2018). "Northwestern students want a controversial scholar off their campus". www.insidehighered.com. Retrieved 30 May 2019.

외부 링크

진화심리학 유전자 중심 진화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