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콧 루텐베르크
Scott Routenberg스콧 루텐베르크 | |
---|---|
![]() | |
배경 정보 | |
태어난 | 1978년(43~44세) 미국 조지아 주 애틀랜타 |
장르 | 재즈, 클래식, 일렉트로니카 |
직업 | 작곡가, 음악가, 악사, 교육자 |
계기 | 피아노 |
년 활동 | 2000-현재 |
레이블 | EMI 레코드, 서밋 레코드 |
관련 행위 | 스콧 루텐베르크 트리오 |
웹사이트 | ScottRoutenberg.com |
스콧 루텐버그(Scott Routenberg, 1978년 출생)는 미국의 작곡가, 재즈 피아니스트, 아르랑거, 그리고 Orchestrator이다.[1]현재 인디애나 주 먼시에 있는 볼스테이트 대학에서 음악을 가르치고 있는 [2]그는 재즈 앙상블을 위한 전곡 작곡과 여러 개의 스튜디오 앨범을 출판했다.그의 2003년과 2006년 독립 개봉작 모두 "재즈에서 영감을 받은 전자음향 하이브리드"를 탐구한다.[2]2004년 존 레논 작사 콘테스트 맥셀 송(Maxell Songing Conference Maxell Song)을 비롯해 JLSC의 재즈 부문 대상을 수상하기도 했다.[1][3]
메트로폴 오르케스트 등의 앙상블과 빈스 멘도자 등의 지휘자도 루텐베르크의 작품을 의뢰해,[2] 몽트로 재즈 페스티벌, 북해 재즈 페스티벌 등 국제 공연장에서 공연한 바 있다.[1]재즈 바이올리니스트 크리스티안 하우스는 "스코트 루텐버그는 현대 재즈 피아노를 최고 수준으로 연주한 경험과 우아하고 긴 형태의 교향곡을 작곡한 규율을 모두 갖춘 드문 음악가"라고 말했다.[4]
조기 생활, 교육
루텐버그는 1978년 조지아주 애틀랜타에서 태어났다.[5]애틀랜타에서 부모가 자란 그는 우크라이나 서부 출신이다.[6]루텐버그는 15세 때 성악가 겸 피아니스트인 삼촌에게서 영감을 받아 재즈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했다.[1]루텐베르크의 첫 재즈 피아노 교사 중에는 브라질의 보사노바 피아니스트 겸 밴드 리더 만프레도 페스트도 있었다.[7]루텐버그는 1997년부터 채플힐에 있는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에 다녔으며 2001년 음악과 통신학 학사 학위를 받고 졸업했다.[1]
그는 2001년부터 2008년까지 마이애미 대학의 프로스트 오브 음악 학교에서 3개의 대학원 학위를 취득했다.먼저 2001년부터 2003년까지 빈스 마르지오(피아니스트 오스카 피터슨 학생)의 스튜디오에서 재즈 피아노 연주 석사를 공부했다.그 후 루텐버그는 2005년 미디어 작사 및 제작 분야에서 음악 석사, 2008년 재즈 작곡 분야에서 음악 박사 학위를 받았다.[1]그의 재즈 피아노 선생님들 중에는 테드 하우, 스콧 워너 박사, 칩 크로포드, 빈스 마조 등이 포함되어 있다.[1]마이애미에 있는 그의 선생님들 중에는 작곡과 편곡을 위해 게리 린지와 론 밀러가 있었다.린제이는 박사학위 자문위원이었고 [8]루텐베르크 교수는 밀러의 모달 재즈 개념을 자신의 작사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꼽았다.밀러는 기타리스트 팻 메테니도 가르쳤다.[9]
그의 박사학위 논문 제목은 아메리카나 스위트: 풀 오케스트라, 빅 밴드, 재즈 챔버 앙상블의 미국 마스터 페인팅에서 영감을 받은 작곡이며, 프로퀘스트 러닝 컴퍼니에서 출판되었다.[1]그는 또한 인디애나 음악 교육자 협회에서 발행하는 INform Magazine의 자료를 저술했다.[1]
음악 경력
2000-06: 솔로 앨범
- 샤페시프터(2000년)
2000년에 루텐버그는 그의 첫 솔로 앨범인 재즈를 테마로 한 샤페쉬프터를 발매했다.이 앨범은 "브라질의 위대한 피아니스트 만프레도 페스트, 멘토이자 친구인 만프레도 페스트에게 헌정되었다. 그는 나에게 재즈 피아노의 시대를 초월하는 예술을 사심없이 가르쳐 주었다."[10]
- 로트 오브 펄프(2003)
"Lots of Pulf는 동료 마이애미 학생들과 함께 녹음한 훌륭한 앙상블 앨범이다.그 속에서 그는 오렌지 주스가 잔에 쏟아지는 액체 소리, 동전 자루가 떨어지는 소리, 와인잔을 포크로 쳐서 만든 종 같은 음색 등 자신의 원곡을 끊는 수백 가지의 효과를 활용한다.루텐버그는 전자음악에 익숙한 젊은 관객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재즈 형태를 좀 더 쉽게 만들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
— 2004년[5] 아일랜드 패킷 |
그의 두 번째 솔로 앨범인 로트 오브 펄프는 2003년에 독립적으로 발매되었다.[1]장르로는 재즈, 클래식, 일렉트로닉 등이 있으며,[5] 모든 트랙은 루텐베르크에 의해 작사, 편곡, 제작, 혼합, 숙달되어 일부 트랙에 공동 작사가가 있었다.루텐버그는 발견된 음향 샘플링, 드럼 머신, 보컬 타악기, 키보드, 펜더 로즈, 피아노 등 바이올린의 빌리 콘트레라스, 트럼펫의 패트릭 로페즈 등 객원 아티스트들이 참여했다.[10]2004년 The Island Packet에 따르면, Loth of Pulf Routenberg는 "주황색 주스가 잔에 부어지는 액체 소리 등, 그의 원곡을 끊는 수백 가지의 효과를 활용한다"고 한다.[5]
- "대역폭"과 재즈트로니쿠스(2006)
2004년에 그는 빅 밴드와 일렉트로닉a가 혼합된 프로그램된 드럼 부분을 가진 그의 노래 "Bandwidth"[1]로 존 레논 작사 콘테스트 올해의 맥셀 송을 수상했다.재즈 싱어송라이터에게 상을 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이 곡은 JLSC의 재즈 부문 대상을 수상하기도 했다.[3]그 해 여름, 그는 로스앤젤레스의 헨리 맨시니 연구소의 작곡가 학자로, 작곡가 빈스 멘도자, 잭 스말리와 함께 공부했다.[2]
'밴드폭'은 2005년 EMI Records에 의해 싱글로 발매되었으며, 이후 루텐베르크의 정규 앨범 《Jazztronicus》에 수록되었다.[1]재즈트로니쿠스는 2006년에 발매되었으며, 대부분의 곡은 루텐베르크가 작사, 편곡하였다.이미 EMI 에이프릴 뮤직이 발표한 '밴드폭'을 제외한 모든 곡은 덴마스터 뮤직이 발표했다.루텐버그는 키보드와 프로그래밍을 담당했고 빌리 콘트레라스는 바이올린을, 소피아 크라예프스카는 보컬을 맡았으며 여러 곡을 공동 작곡했다.[10]재즈와 일렉트로닉a의 장르를 모두 아우르는 디지털 버전이 2010년에 출시되었다.
2000-07: 제1회 수상
2000년 첫 솔로 앨범을 발매한 이후, 그는 많은 상을 받았거나 후보에 올랐다. 예를 들어, 그는 2002년, 2003년, 2006년에 ASCAP 영 재즈 작곡가 상을 받았다.[1]2003년에는 힐튼 헤드 재즈 소사이어티 장학금 피아노 연주 부문에서 1위를 차지했고,[5] 다음 해에는 그의 노래 "Through Your Eyes"로 ASCAP 재단 그랜트 프로그램을 수상했다.[11]2006년에는 다운비트 학생 음악상을 '도브'로 수상했으며,[1] 2006년 테로니우스 몽크 국제 재즈 피아노 콩쿠르에서는 18명의 피아니스트 중 한 명이었다.[1]2007년 리처드 벨리스와 함께 텔레비전 및 영화 채점 워크숍에 참가한 후, ASCAP 재단 데이비드 로즈 장학금을 수상하였다.[12]또한 2007년에 그는 마이애미 대학 협주곡 콩쿠르에서 재즈 바이올린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으로 작곡상을 받았다.[13]
2000-19: 작곡 및 공연
'뉴욕 나이트'는 1929년 미국의 유명한 전위 예술가 조지아 오키프가 그렸다.오키프의 작품에서 영감을 받은 나의 작문은 그녀의 그림의 분위기와 20세기 초 미국 아방가르드 운동의 심미적 이상을 불러일으키려 한다.이 음악은 오키프의 놀라운 야행성 팔레트와 빛과 형태에 대한 그녀의 독특한 처리를 모방한다.밤의 리듬과 색채, 소리가 '절대 잠들지 않는 도시'에서 연주되고 있다.'"[14] |
— 스콧 루텐버그[14] |
그는 2007년 뉴욕시 링컨 센터에서 작곡한 뉴욕 나이트가 초연되면서 뉴욕 유스 심포니에 의해 퍼스트 뮤직 시리즈의[14] 일부로 위촉된 다섯 번째 작곡가였다.[14]New York Night는 Americana Suite라는 제목의 확장된 구성의 단 하나의 움직임이다.[14]
그의 관현악단 팝스 편곡은 다른 지휘자들과 앙상블들 중에서 아틀란타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문시 교향악단과 마이클 크라우스스키가 맡았다.[1]그의 재즈 편곡은 멘도자가 메트로폴 오르케스트의 수석 지휘자로 재임하는 동안 작곡가 빈스 멘도자에 의해 의뢰되고 공연되었다.[2]다른 위원들 중에는 Béla Fleck과 Flecktones의[10] 피아니스트 하워드 레비와 싱가포르의 재즈 피아니스트와 빅 밴드 리더인 Jeremy Monteiro가 있다.[15]2011년부터 루텐버그는 네덜란드의 메트로폴 오르케스트의 감독이었다.그의 오케스트라 팝스 편곡은 애틀랜타, 휴스턴, 볼티모어, 인디애나폴리스, 피닉스, 올랜도, 나폴리 등 미국의 교향악단에 의해 연주되었다.월드 프리미어에는 우크라이나, 네덜란드,[1] 중국 등이 있으며, 그의 음악은 카네기 홀, 링컨 센터,[16][14] 암스테르담의 콘서트게부, 로스앤젤레스의 폭스 뉴먼 채점 스테이지에서 초연되었다.[1]
그의 더 인기 있는 관현악 작품 중 하나는 그의 재즈 바이올린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이다.2014년 6월 21일 우크라이나 리비브에서 미국 재즈 바이올리니스트 크리스티안 하우스가 '문화 외교 사절단'의 일환으로 키예프 주재 미국 대사관 초청으로 초연했다. 앤드류 폴 미 대사관 문화부장은 콘서트에서 "이 작품은 즉흥 바이올린 솔로를 사용한 획기적인 작품"이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6]
2016년 루텐버그는 조지 듀크의 유산을 기리는 제2회 ASCAP 재단/심포닉 재즈 오케스트라 커미셔닝 상 수상자로 선정되었다.[17]
재즈 피아니스트 루텐베르크(Routenberg)가 몬트레오 재즈 페스티벌, 재즈 아 비엔(Jazz a Vienne), 북해 재즈 페스티벌 등 국제 공연장에서 공연한 바 있으며 하워드 레비, 빌리 콘트레라스 등 뮤지션들과 함께 공연한 바 있다.[1][1]그는 종종 회전하는 음악가들로 구성된 라인업을 가지고 라이브 공연을 한다.
- 스콧 루텐베르크 트리오
루텐버그는 베이시스트 닉 터커와 드러머 카시우스 고엔스 3세와 함께 서밋 레코드에 재즈 피아노 트리오 앨범을 두 장 발매했다—Every End is a Begining(2017), [18]Supermoon(2018).[19]
루텐버그는 인디애나 주 문시에 있는 볼스테이트 음악대학의 재즈 피아노 조교수로, 그곳에서 다양한 연주, 이론, 역사 수업을 가르친다.[1][20]
스타일
루텐버그는 재즈, 클래식, 일렉트로닉아, 빅밴드 등의 장르를 활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그의 2003년과 2006년 앨범 모두 "재즈로 인한 전자음향 하이브리드"를 탐구한다.[2]
그는 재즈 피아노의 그의 작품에 영향을 준 것은 오스카 피터슨, 빌 에반스, 칙 코레아, 허비 핸콕, 그리고 베니 그린이라고 말했다.[1]루텐베르크의 협연자 겸 재즈 바이올리니스트 크리스티안 하우스는 "스코트 루텐베르크(Scott Routenberg)는 현대 재즈 피아노를 최고 수준으로 연주한 경험과 우아하고 긴 형태의 교향곡을 작곡한 규율을 모두 갖춘 드문 음악가"라고 말했다.[4]
사생활
루텐버그는 현재 인디애나 주 문시에 살고 있다.그는 소피아 크라예프스카와 결혼했다.우크라이나의 Lviv에서 Kraevska도 마이애미 대학에서 작곡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피아니스트 겸 작곡가이기도 하다.[6][21]
음반 목록
앨범
연도 | 앨범 제목 | 불출내역 |
---|---|---|
2000 | 샤페시프터 |
|
2003 | 많은 펄프 |
|
2006 | 재즈트로니쿠스 |
|
2017 | Every End is a every end is a starting |
|
2018 | 슈퍼문 |
|
2020 | [내부] |
|
싱글스
연도 | 제목 | 앨범 | 인증 |
---|---|---|---|
2004 | "Throughrough Your Eyes" | 해당 없음 | 마이애미 위너, 하이네켄 뮤직 이니셔티브 |
"대역폭" | 재즈트로니쿠스 | EMI 레코드 |
구성
연도 | 발매제목 | 데뷔 | 역할, 참고 사항 |
---|---|---|---|
2006 | 비둘기 | 작곡가 | |
2007 | 뉴욕 나이트 | 뉴욕 링컨 센터 | 작곡가 |
재즈 바이올린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 | 작곡가 | ||
2009 | This is Life: 사운드트랙 | 단편 영화 사운드트랙 | 작곡가 |
수상 및 지명
연도 | 상 | 노미네이트 | 카테고리 | 결과 |
---|---|---|---|---|
2003 | 힐튼 헤드 재즈 소사이어티 장학금 | 스콧 루텐베르크 | 피아노 퍼포먼스[5] | 원 |
2004 | 존 레논 작사 콘테스트 | "대역폭" | 올해의 맥셀 송 | 원 |
베스트 재즈 송 | 원 | |||
하이네켄 음악 이니셔티브/ ASCAP 재단 보조금 프로그램 | "Throughrough Your Eyes" | R&B 송라이터[11] | 원 | |
2006 | 다운비트 학생 음악상 | 비둘기 | 대학 오리지널 확장 구성 | 원 |
2007 | 마이애미 대학교 협주곡 콩쿠르 | 재즈 협주곡 바이올린과 오케스트라 | 구성[13] | 원 |
2016 | ASCAP 재단 보조금 프로그램/ 심포닉 재즈 오케스트라 커미셔닝상 | 뉴 커미션 | 구성[17] | 원 |
추가 읽기
참고 항목
참조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Bio". ScottRoutenberg.com. Retrieved 2014-07-25.
- ^ a b c d e f "Scott Routenberg". Ball State University. Retrieved 2014-07-25.
- ^ a b "The John Lennon Songwriting Contest's Maxwell Song of the Year Goes to Jazz Songwriter for the First Time" (PDF). John Lennon Songwriting Contest. July 21, 2005. Retrieved 2014-07-25.
- ^ a b "Jazz Violin Concerto Challenges Soloist and Orchestra, Blending Americana and Impressionism". Christian Howes. May 1, 2014. Retrieved 2014-07-25.
- ^ a b c d e f "Scholarship winners to appear in jazz concert". The Island Packet. January 2, 2004. Retrieved 2014-07-25.
- ^ a b c "Jazz Violinist Christian Howes and Conductor Douglas Droste Represent America in Ukraine With Jazz/Orchestral Diplomacy Mission". Market Wired. July 4, 2014. Retrieved 2014-07-25.
- ^ "The John Lennon Songwriting Contest 'Maxell Song Of The Year' Goes To Jazz Songwriter For The First Time". Rock and Roll Report. 2005. Retrieved 2014-07-25.
- ^ "Gary M. Lindsay Profiles Frost University of Miami". miami.edu. Retrieved 2014-07-30.
- ^ "Modal Jazz Comp & Harmony: Ron Miller: Amazon.com: Book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3-06-28. Retrieved 2014-07-30.
- ^ a b c d e "Discography". ScottRoutenberg.com. Retrieved 2014-07-25.
- ^ a b "2005 Heineken Songwriter Grants". Heineken Music Initiative/ASCAP Foundation R&B Grant Program. 2005. Retrieved 2014-07-25.
- ^ "2007 ASCAP Television and Film Scoring Workshop with Richard Bellis". ASCAP. September 1, 2007. Retrieved 2014-07-25.
- ^ a b c d e f Routenberg, Scott. "Scott Routenberg". New York Youth Symphony. Retrieved 2014-07-25.
- ^ "Video: Jeremy Monteiro Big Band - We Three Kings - feat Greg Lyons - Soprano Sax & Tamagoh - Drums". YouTube: Jeremy Monteiro. Feb 3, 2010. Retrieved 2014-07-25.
- ^ "Ensemble Spotlight Series / Patton, Gatchalian, Kim, Ngo / Anderson, Glière, Beethoven, et al". InstantEncore. 23 March 2008. Retrieved 2014-07-25.
- ^ a b "The Winner is Selected for The ASCAP Foundation/SJO Commissioning Prize". sjomusic.org. 2016. Retrieved 2017-07-21.
- ^ [1] Every End는 시작, 서밋 레코드, Retried 2019-02-14이다.
- ^ [2] Supermoon, Summit Records, Retried 2019-02-14.
- ^ [3] Ball State University, Jazz Ludents, Scott Routenberg, Retried 2019-02-14.
- ^ "Biography". SofiaKraevska.com. Retrieved 2014-07-25.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스콧 루텐버그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