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피바이러스과
Aspiviridae오피오바이러스 | |
---|---|
![]() | |
![]() | |
(위) 감귤류 건초바이러스(아래) 미라피오리 양상추 빅베인 바이러스 게놈 전자현미경 촬영 | |
바이러스 분류 ![]() | |
(순위 미지정): | 바이러스 |
영역: | 리보비리아 |
왕국: | 오르토나비라과 |
문: | 네가르나비리코타 |
클래스: | 밀네빌리세테스 |
주문: | 서펜토비랄레스 |
패밀리: | 아스피바이러스과 |
속: | 오피오바이러스 |
종. | |
Aspiviridae(이전의 Ophioviridae)는 식물을 감염시키는 분할된 음성 가닥 RNA 바이러스 과이다.구성원 바이러스는 나선대칭의 [1]가늘고 긴 필라멘트와 유연한 핵캡시드를 특징으로 한다.그것은 오피오바이러스라는 [2]한 속만을 포함하는 단형 분류군이다.독수리과(Aspiviridae)는 또한 독수리목의 유일한 과로, 밀네빌리세테스목의 [3]유일한 목이다.
역사
아스피바이러스과라는 이름은 바이러스과의 [4]접미사와 함께 모양을 가리키는 라틴어 아스피스(뱀 또는 독사)에서 유래했다.오피오바이러스는 고대 그리스어 오피스에서 유래한 것으로 뱀은 바이러스 속이라는 [5]접미사를 가지고 있다.마찬가지로, 서펜토비랄레스는 바이러스 [4]오더의 접미사인 -virales와 함께 "servent"에서 유래했습니다.밀네비리세테스는 오피오바이러스를 [4][6]기술한 첫 번째 논문의 마지막 저자인 로버트 G. 밀네를 기리고 있다.
바이러스학
구조.
단백질 캡시드는 비포장형이며 1500~2500nm의 일정한 직경과 3nm 또는 9nm의 폭을 가진다.캡시드는 구부러진 원을 형성하며,[3] 스프링과 같은 선형 이중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붕괴될 수 있습니다.
게놈
회원 바이러스는 분할된 음성 RNA 게놈을 가지고 있다.전체 게놈은 11000~12000개의 뉴클레오티드 길이다.[3][7]
분류법
이 과에는 오피오바이러스라는 한 속(속)이 있으며, 7종이 알려져 있다.이 과와 이 속은 모두 [3]오피오바이러스라고 불린다.
- 과 : 아귀바이러스과
레퍼런스
- ^ García, María Laura; Bó, Elena Dal; da Graça, John V.; Gago-Zachert, Selma; Hammond, John; Moreno, Pedro; Natsuaki, Tomohide; Pallás, Vicente; Navarro, Jose A.; Reyes, Carina A.; Luna, Gabriel Robles; Sasaya, Takahide; Tzanetakis, Ioannis E.; Vaira, Anna María; Verbeek, Martin (21 June 2017). "ICTV Virus Taxonomy Profile: Ophioviridae". Journal of General Virology. 98 (6): 1161–1162. doi:10.1099/jgv.0.000836. PMC 5656789. PMID 28635587.
- ^ "Virus Taxonomy: 2018 Release". International Committee on Taxonomy of Viruses (ICTV). Retrieved 14 January 2019.
- ^ a b c d "ICTV Report Ophioviridae".
- ^ a b c Wolf, Yuri; Krupovic, Mart; Zhang, Yong Zhen; Maes, Piet; Dolja, Valerian; Koonin, Eugene V.; Kuhn, Jens H. "Megataxonomy of negative-sense RNA viruses" (docx). International Committee on Taxonomy of Viruses (ICTV). Retrieved 12 January 2019.
- ^ "Aspiviridae – Aspiviridae – Negative-sense RNA Viruses - ICTV". talk.ictvonline.org. Retrieved 2020-12-09.
- ^ García, Maria Laura; Dal Bó, Elena; Grau, Oscar; Milne, Robert G. (1 December 1994). "The closely related citrus ringspot and citrus psorosis viruses have particles of novel filamentous morphology". Journal of General Virology. 75 (12): 3585–3590. doi:10.1099/0022-1317-75-12-3585. ISSN 0022-1317. OCLC 107178738. PMID 7996151.
- ^ ICTVDB 관리 (2006)00.094.0.01.오피오바이러스입력: ICTVDB: Universal Virus Database 버전4 。미국 뉴욕 컬럼비아 대학교 C. (Ed) Büchen-Osmo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