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ka Anoa'i
Sika Anoa'iSika Anoa'i | |
---|---|
![]() 야생 사모아인 아파와 시카, 1983 | |
태명 | Leati Sika Amituana'i Anoa'i[1] |
태어난 | [1][2] 레온[1], 투툴라, 아메리칸 사모아 | 1945년 4월 5일
배우자 | 패트리샤 후커[1] |
아이들. | 5, 로제와 로마 통치를[3] 포함하여 |
가족 | 아노아이[3] |
프로레슬링 경력 | |
링네임 | 사모아인 #2 시카 Sika Anoa'i 시카 사모아 야생 사모안 #2 |
청구높이 | 6피트 2인치(188cm)[4][5] |
청구중량 | 319lb(145kg)[5] |
청구처 | 사모아 [3][5]섬 |
교육받은 사람 | 아파 아노아이[3][1] 쿠르트 폰 슈타이거 |
데뷔 | 1973 |
은퇴한 | 1991 |
레아티 시카 아미투아나이 아노아이(, 1945년 4월 5일 ~ )는 미국의 은퇴한 사모아계 프로레슬링선수입니다. 그는 그의 형 아파와 함께하는 태그팀 와일드 새먼즈의 절반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습니다. 아노아이가 선수 생활 동안 개최한 선수권 대회에는 WWF 월드 태그 팀 챔피언십이 포함됩니다. 2007년 WWE 명예의 전당, 2012년 프로레슬링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습니다. 그는 아노아이 가문의 일원이며 프로 레슬러인 로지와 로만 레인즈의 아버지입니다.[3][1][5][2]
초기생
아노아이는 1945년 4월 5일 미국령 사모아의 투툴라 섬에 있는 레오네 마을에서 아미투아나와 토발레 아노아이 사이에서 태어난 13명의 자녀 중 한 명입니다. 1959년, 14살의 나이로, 아노아이는 그의 가족과 함께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로 이사를 갔습니다. 이사 직후, 아노아이는 미국 상선에 입대하여 필리핀과 일본으로 항해하는 배에서 일했습니다. 아노아이는 1969년 상선에서 퇴역하여 조수로 일하다가 형 아파와 같은 프로 레슬러가 되기로 결심했습니다.[1][4][6]
프로레슬링 경력
초기 경력 (1973–1980)
아노아이는 1973년 스탬피드 레슬링에서 "시카"로 데뷔하면서 형 아파와 커트 폰 슈타이거에 의해 레슬링 선수로 훈련을 받았습니다. 스스로를 "야생 사모아인"이라고 부르는 이 형제는 크고, 야생 아프리카, 사롱, 그리고 맨발로 씨름하고 링 안에서 생선회를 먹는 습성 때문에 악명을 얻었습니다.[3][1][6][7] 1970년대에 걸쳐, 와일드 사모아인들은 빅 타임 레슬링, 대륙 레슬링 협회, 걸프 코스트 챔피언십 레슬링, NWA 올스타 레슬링, NWA 미드 아메리카, 스탬피드 레슬링, 그리고 세계 레슬링 위원회를 포함한 프로모션들과 함께 등장했고, 여러 태그 팀 챔피언십에서 우승했습니다.[8] 1977년부터 1979년까지 사모아인들은 국제 레슬링 엔터프라이즈와 함께 일본 투어를 반복했고 1978년 1월에는 IWA 월드 태그 팀 챔피언십을 잠시 개최했습니다.[9]
세계레슬링연맹 (1980)
1980년 1월, The Wild Samoans는 루 알바노를 감독으로 하여 세계 레슬링 연맹에 데뷔하였고, 일련의 결정적인 승리를 통해 태그 팀의 힘으로 빠르게 자리매김하였습니다. 이 형제는 태그 부문에서 경쟁하는 것 외에도 싱글로 레슬링을 했고, 아노아이는 1980년 3월 WWF 챔피언십에서 밥 백룬드에게 도전했지만 실패했습니다.[10][6][7]
1980년 4월 12일, 와일드 사모아스는 이반 푸츠키와 티토 산타나를 꺾고 WWF 월드 태그 팀 챔피언십에서 우승했습니다. 그들의 통치 기간은 1980년 8월 9일 시어 쇼다운에서 백룬드와 페드로 모랄레스에게 패할 때까지 지속되었습니다. 백룬드가 당시 WWF 챔피언이었기 때문에, 그와 모랄레스는 챔피언 자리를 비워야 했고, 1980년 9월 9일 WWF 챔피언십 레슬링 편에서 토니 가레아와 르네 귈레를 꺾고 챔피언 자리를 되찾았습니다. 그들의 두 번째 통치 기간은 1980년 11월 8일까지 지속되었는데, 그 때 가레아와 릭 마르텔에게 패했습니다.[10][11][12][2] 1980년 12월 야생 사모아인들이 WWF를 떠났습니다.
신일본 프로레슬링 (1981)
1981년 1월부터 2월까지, The Wild Samoans는 뉴 재팬 프로레슬링과 함께 일본 투어를 하며 각각 "The Samoan #1" (Afa)과 "The Samoan #2" (Sika)를 공연했습니다. 그들은 안토니오 이노키와 사카구치 세이지를 반복해서 상대하면서 새해 골든 시리즈에 출전했습니다. 와일드 사모아인은 1981년 11월과 12월에 매디슨 스퀘어 가든 태그 리그에 참가하여 일본을 두 번째 투어를 했습니다.
미들 사우스 레슬링 (1981-1982)
1981년 4월, The Wild Samoans는 오클라호마에 기반을 둔 프로모션 Mid-South Wrestling(중남부 레슬링)인 오클라호마 시티(Oklahoma City)에서 데뷔했습니다. 그들은 처음에 어니 래드가 관리하다가 그를 배신하고 스칸도르 아크바르와 일치시켰습니다. 와일드 새먼즈는 1981년 6월부터 1982년 5월까지 세 차례에 걸쳐 미들 사우스 태그 팀 챔피언십을 개최하여 정키어드 도그와 그의 파트너들과 다투었습니다. 그들은 1982년 5월에 프로모션을 떠났습니다.[8]
조지아 챔피언십 레슬링 (1982)
1982년 3월, 와일드 새먼즈는 소니 킹이 관리하는 조지아 챔피언십 레슬링인 애틀랜타를 위해 경쟁하기 시작했습니다. 1982년 8월, 그들은 NWA 전국 태그 팀 챔피언십에서 패뷸러스 프리버드를 물리치고 우승했습니다. 그들은 WWF로 복귀하기 위해 1982년 12월에 승격을 떠나면서 몇 달 동안 챔피언십을 유지했습니다.[8][2]
WWF 복귀 (1983년 ~ 1985년)
1983년 1월, 와일드 사모아인스는 WWF로 복귀하여 다시 한번 루 알바노를 감독으로 채택했습니다. 그들은 1983년 3월 8일 WWF 월드 태그 팀 챔피언십에서 수석 제이 스트롱보우와 쥘 스트롱보우를 물리치고 세 번째이자 마지막으로 우승했습니다. 그들의 통치 기간 동안, 아노아이는 부상을 입었고, 그의 조카 사무가 그를 대신하여 여러 타이틀 방어를 하였습니다. 1983년 11월 15일 알바노가 실수로 아파에게 의자를 들이받은 후 소울 패트롤(로키 존슨과 토니 아틀라스)에게 패하면서 와일드 사모아의 통치는 끝이 났습니다.[11][2]
Albano에서 갈라진 후, The Wild Samoans는 여러 차례 소울 패트롤에 도전했지만, 우승을 되찾지 못했습니다. 1984년 4월, 아노아이는 호건의 초기 타이틀 방어 중 하나인 WWF 챔피언십에 도전했지만 실패했습니다. 1984년 중반, 야생 사모아인들은 얼굴을 돌려 남북 연결(Adrian Adonis and Dick Murdoch)과의 오랜 불화를 시작했습니다. 그들은 1985년 1월에 WWF를 다시 떠났습니다.[13]
다양한 프로모션 (1985-1986)
와일드 새먼즈는 1985년과 1986년에 미국 레슬링 협회, 짐 크로켓 프로모션, 그리고 국제 챔피언십 레슬링을 포함한 다양한 프로모션과 함께 등장했습니다.
제2차 WWF 복귀 (1986-1988)
1986년 8월, Afa가 준은퇴한 상태에서 아노아이는 싱글 레슬러로 WWF에 복귀했습니다. 마법사의 감독을 받은 그는 1986년 11월 페드로 모랄레스에게 패하기 전까지 몇 주 동안 무패로 지냈습니다.
1987년 3월, 아노아이는 카말라와 태그 팀을 결성하여 카말라의 매니저인 후지 씨와 핸들러인 김치 씨와 자신을 맞추게 됩니다. 그 2인조는 캔-암 커넥션을 상대로 연전을 치렀고 여러 대회에 참가했습니다. 팀은 1987년 8월 카말라가 WWF를 떠나면서 해체되었습니다. 1987년 9월, 아노아이는 킹 오브 더 링 토너먼트에 참가했고, 1라운드에서 S.D. 존스에게 패했습니다. 1987년 10월 3일 토요일 밤의 메인 이벤트 XII (1987년 9월 23일 녹화)에서 아노아이는 WWF 챔피언 헐크 호건에게 메인 이벤트에서 도전했지만 실패했습니다. 그는 계속해서 밤밤비글로우를 상대로, 그리고 제이크 로버츠를 상대로 레슬링을 했습니다. 1987년 12월 16일 슬래미 어워드 시상식에서 "올해의 노래" 부문은 수상자의 이름이 들어있는 봉투를 아노아이가 먹은 후 수상자가 없는 상태로 끝났습니다.[14]
1988년 초, 아노아이의 단골 상대는 래니 포포, 조지 스틸, 그리고 힐빌리 짐이었습니다. 1988년 3월 27일, 그는 레슬매니아 IV에서 열린 배틀로얄 경기에 처음으로 출연했습니다. 아노아이는 시합 후에 다시 WWF를 떠났습니다.
후기 경력 (1988년)
WWF를 떠난 후, 아노아이는 독립 순회 경기에서 몇 경기를 치렀습니다. 그는 대륙 레슬링 연맹에서 조카 코키나와 함께 단명 태그 팀을 결성하여 앨런 마틴이 관리했습니다. 그는 1989년과 1991년에 두 번의 세계 횡단 레슬링 연맹에 참가했습니다. 그는 이후 1991년에 은퇴했습니다.
은퇴(1988~현재)
은퇴 후에도 아노아이는 레슬링에서 활발한 활동을 이어갔습니다. 그는 플로리다 미니놀라에 있는 Afa가 운영하는 프로레슬링 학교인 Wild Samoan Training Center에서 레슬링 선수들을 훈련시켰습니다.
1997년 8월 15일, 두 남자는 노스캐롤라이나주 카나폴리스의 IWA Night Of The Legends에서 켄 팀스, 조지 러브, 제이 러브, 게리 로얄, 케인 아담스를 물리치고 디스코 인페르노, 진 리곤, 빅 치즈와 하룻밤 팀을 이루어 재회했습니다.
1999년, 그는 플로리다의 펜사콜라에 기반을 둔 독립적인 레슬링 프로모션인 XW 2000을 설립했습니다.
2007년 3월 31일 시카의 아들 매트와 아파의 아들 사무가 WWE 명예의 전당에 입성했습니다.[3]
Wild Samoans는 Roman Regress의 승리를 축하하기 위해 Hell in a Cell (2020)에 나타났습니다.[15]
개인생활
아노아이는 패트리샤 후커와 결혼했지만 현재는 별거 중입니다.[1] 이 부부는 다섯 명의 자녀를 두었는데, 두 명의 아들 매튜와 레아티 조셉이 모두 프로 레슬러가 되었습니다. WWE에서 "Rosey"로 경쟁한 것으로 가장 잘 알려진 매튜는 2017년 4월 17일 사망했습니다. 레아티 조셉은 2003년부터 2006년까지 조지아 테크에서 대학 미식축구 선수로 활동하다가 2010년 프로레슬링 선수 생활을 시작했고, 결국 WWE에 "로맨 레인즈"로 합류하여 여러 차례 WWE 챔피언십에서 우승했습니다.[3][16][17]
선수권대회 및 업적
- 빅 타임 레슬링
- NWA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 (디트로이트 버전) (2회) – Afa와 함께
- 콜리플라워 골목클럽
- 기타 명예자 (1997)
- 대륙별 레슬링 협회
- 조지아 챔피언십 레슬링
- NWA 내셔널 태그팀 챔피언십 (1회) – Afa와[8] 함께
- 걸프 코스트 챔피언십 레슬링
- NWA 걸프 코스트 태그 팀 챔피언십 (2회) – Afa와 함께
- 국제레슬링기업
- IWA 태그팀 챔피언십 (1회) – Afa와 함께
- 미들 사우스 레슬링
- 중남부 태그팀 챔피언십 (3회) – Afa와 함께
- NWA 올스타 레슬링
- NWA 캐나다 태그팀 챔피언십 (밴쿠버 버전) (1회) – Afa와[8] 함께
- NWA 미드 아메리카
- NWA 미국 태그팀 챔피언십 (중미 버전) (1회) – Afa와[20] 함께
- 프로레슬링 일러스트
- 프로레슬링 명예의 전당
- 스탬피드 레슬링
- 스탬피드 인터내셔널 태그팀 챔피언십 (2회) – Afa와[10][2] 함께
- 세계레슬링평의회
- WWC 북미 태그팀 챔피언십 (1회) – Afa와 함께
- 세계 레슬링 엔터테인먼트/세계 레슬링 연맹
- WWE 명예의 전당 (2007년 클래스)[3][23]
- WWF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 (3회)[3][5][23][24]
참고 항목
참고문헌
- ^ a b c d e f g h i Frederic Koehler Sutter (1989). The Samoans: A Global Family. University of Hawaii Press. p. 195. ISBN 978-0-8248-1238-6.
- ^ a b c d e f g Harris M. Lentz III (October 21, 2003). Biographical Dictionary of Professional Wrestling, 2d ed. McFarland. pp. 318–319. ISBN 978-1-4766-0505-0.
- ^ a b c d e f g h i j "The Wild Samoans". WWE.com. WWE. Retrieved October 9, 2017.
- ^ a b Brian Solomon (June 15, 2010). WWE Legends. Simon and Schuster. p. 191. ISBN 978-1-4516-0450-4.
- ^ a b c d e Steve Pantaleo (March 24, 2015). WWE Ultimate Superstar Guide. DK Publishing. p. 173. ISBN 978-0-241-23501-0.
- ^ a b c Brian Solomon (June 15, 2010). WWE Legends. Simon and Schuster. pp. 192193–. ISBN 978-1-4516-0450-4.
- ^ a b Bob Backlund; Robert H. Miller (September 15, 2015). Backlund: From All-American Boy to Professional Wrestling's World Champion. Sports Publishing. p. 340. ISBN 978-1-61321-696-5.
- ^ a b c d e f Harris M. Lentz III (October 21, 2003). Biographical Dictionary of Professional Wrestling, 2d ed. McFarland. p. 9. ISBN 978-1-4766-0505-0.
- ^ Kreikenbohm, Philip. "The Samoans - matches - International Wrestling Enterprise". Cagematch.net. Retrieved July 25, 2023.
- ^ a b c Brian Shields (June 15, 2010). Main Event: WWE in the Raging 80s. Simon and Schuster. p. 143. ISBN 978-1-4516-0467-2.
- ^ a b "History of the World Tag Team Championship". WWE.com. WWE. Retrieved October 10, 2017.
- ^ Larry Zbyszko (December 15, 2010). Adventures in Larryland!. ECW Press. p. 51. ISBN 978-1-55490-322-1.
- ^ Matt Hunter (2013). Hulk Hogan. Infobase Learning. pp. 1, 972. ISBN 978-1-4381-4647-8.
- ^ James Guttman (December 15, 2010). World Wrestling Insanity Presents: Shoot First...Ask Questions Later. ECW Press. p. 136. ISBN 978-1-55490-328-3.
- ^ Garretson, Jordan (October 25, 2020). "Universal Champion Roman Reigns def. Jey Uso". WWE. Retrieved February 2, 2021.
- ^ "Player Bio: Joe Anoai". Ramblin Wrec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November 6, 2007. Retrieved October 12, 2007.
- ^ a b John Grasso (March 6, 2014). Historical Dictionary of Wrestling. Scarecrow Press. p. 28. ISBN 978-0-8108-7926-3.
- ^ Duncan, Royal; Will, Gary (2006) [2000.]. "(Memphis, Nashville) Tennessee: Southern Tag Team Title [Roy Welsch & Nick Gulas, Jerry Jarrett from 1977]". Wrestling title histories: professional wrestling champions around the world from the 19th century to the present. Waterloo, Ontario: Archeus Communications. pp. 185–189. ISBN 0-9698161-5-4.
- ^ "Southern Tag Team Title". Wrestling-Titles. Retrieved January 19, 2020.
- ^ Royal Duncan and Gary Will (2000). "Tennessee: U.S. Tag Team Title". Wrestling Title Histories. Archeus Communications. p. 194. ISBN 0-9698161-5-4.
- ^ "Pro Wrestling Illustrated's Top 500 Wrestlers of the PWI Years". Wrestling Information Archiv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ly 7, 2011. Retrieved October 11, 2007.
- ^ "Pro Wrestling Illustrated's Top 100 Tag Teams of the PWI Years". Wrestling Information Archiv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21, 2011. Retrieved October 11, 2007.
- ^ a b Dean Miller (March 30, 2017). The WWE Book of Top 10s. Dorling Kindersley Limited. p. 178. ISBN 978-0-241-31440-1.
- ^ Tim Hornbaker (January 3, 2017). Legends of Pro Wrestling: 150 Years of Headlocks, Body Slams, and Piledrivers. Skyhorse Publishing Company, Incorporated. p. 445. ISBN 978-1-61321-875-4.
외부 링크
- Sika on WWE.com
- Leati Anoaʻi at IMDb
- Sika Anoa'i의 프로필 Cagematch.net , 인터넷 레슬링 데이터베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