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이슨 몰리나
Jason Molina제이슨 몰리나 | |
---|---|
![]() 2009년 몰리나 공연 | |
배경 정보 | |
생년월일 | 제이슨 앤드류 몰리나 |
태어난 | 오벌린, 오하이오, 미국 | 1973년 12월 30일
죽은 | 2013년 3월 16일( 미국 인디애나 주 인디애나폴리스 | 39세)
장르 | |
기기 |
|
액티브 년수 | 1995–2009 |
라벨 | 비밀리에 캐나다인 |
웹 사이트 | songsohia |
제이슨 앤드류 몰리나(Jason Molina, 1973년 12월 30일 ~ 2013년 3월 16일)는 미국의 음악가, 가수, 작곡가이다.오하이오 북부에서 자란 그는 Songs:로 연주와 녹음으로 두각을 나타냈습니다. 오히아는 솔로 프로젝트와 1990년대 후반에 돌아가면서 출연했던 음악가들과 함께 했다.2003년부터, 그는 매그놀리아 일렉트릭과 함께 그의 앨범으로 더 많은 인디 팬을 모았습니다.
몰리나는 그의 두 음악 프로젝트와 솔로 [1]발매 사이에 총 16장의 스튜디오 앨범, 8장의 EP, 그리고 수많은 싱글 앨범을 제작하며 다작의 경력을 가지고 있다.그의 전체적인 음반 목록은 인디 록, 블루스, 얼터너티브 컨트리 요소들과 그의 테너 보컬 음역을 혼합한 것으로 비평가들에 의해 주목받았다.
2009년 몰리나는 건강상의 문제를 이유로 윌 존슨과의 투어를 취소했다.그는 이후 4년간 알코올 중독과 싸웠고, 결국 2013년 [2]3월 다발성 장기 부전으로 사망했습니다.
초기 생활
몰리나는 1973년 12월 30일 [4]오하이오주[3] 오버린에서 태어났다.그의 아버지는 중학교 [4]교사였다.그에게는 남동생 애런과 여동생 [4][5]애슐리가 있었다.몰리나는 클리블랜드에서 서쪽으로 25마일 떨어진 산업도시 오하이오주 로레인에서 자랐고, 이리 [4]호수의 한 폭 트레일러에서 자랐다.그는 [4]10살에 기타를 연주하기 시작했다.몰리나는 애드미럴 킹 고등학교에 다녔고 [6]1992년에 졸업했습니다.학교 다닐 때, 그는 베이스 기타를 연주했는데, 특히 메탈 밴드 스피너라이더스와 [7]함께 연주했다.
몰리나는 오버린 대학에 입학하여 1996년에 [8][3][4]미술사 학사 학위를 받고 졸업했습니다.클리블랜드와 그 주변의 다양한 메탈 밴드에서 베이스 기타를 연주한 후, 몰리나는 가칭 밴드 이름으로 솔로 가수가 되었고, 필요에 따라 각 프로젝트를 위해 다른 음악가를 모집했다.그는 "Songs: Albian", "Songs: Radix" 및 "Songs: Radix"를 포함한 다양한 이름으로 여러 개의 홈 음반을 만들었다.'유니타스'는 라이브 공연에서 직접 배포한 곡이다.
직업
노래 : 오히아 : 1995년 ~2003년
노래: 오히아는 주로 몰리나를 중심으로 한 리볼빙 뮤지션들의 프로젝트였고 유일한 안정 멤버였다.그 밴드의 장르는 일반적으로 인디 록, 로피, 포크 또는 알트 컨트리로 여겨진다.이 이름의 두 번째 부분은 하와이안 나무 '오히아 레화'와 몰리나의 고향인 오하이오주를 암시한 것이다.
첫 번째 곡:오히아는 1995년 팰리스 레코드에서 싱글로 발매되었으며, Nor Stop You Never Now.[9]1997년 정규 앨범 Songs: 오히아는 인디애나주 블루밍턴에 위치한 시크릿 캐나디안 레이블에서 발매되었다.
2000년에 몰리나는 세 개의 앨범을 발매했다.제작자 앤디 밀러가 알라스데어 로버츠와 아랍 스트랩 멤버들의 도움으로 글래스고에서 녹음한 '라이온스', 마이크 모기스가 녹음한 '고스트 트로픽', 라이브 쇼에서 판매되고 현재 절판된 솔로 앨범 '프로텍션 스펠스' 등이 있다.2000년까지, 몰리나는 그의 테너 기타를 일반적인 6현 일렉트릭 기타를 위해 휴식을 취했고 베이스와 기타의 롭과 댄 설리번, 드럼의 제프 패널, 오르간의 짐 그라보스키 형제를 포함한 완전한 밴드를 결성했다.같은 해 이탈리아 모데나 근교에서 라이브 앨범을 녹음해 2001년 현지에서 발매한 'Mi Sei Appso Come Un Fantasma.
2002년, 몰리나는 블루그래스 밴드 짐 & 제니 & 더 피네탑스의 멤버들과 함께 필라델피아에서 Did't It Rain을 녹음했다.마할리아 잭슨 노래의 이름을 딴 이 앨범에서 밴드는 고스트 트로픽의 짙은 느낌에서 크게 벗어난 거의 가스펠 사운드를 달성했다.끊임없이 신곡을 녹음하고 작곡하는 Songs:오히아는 2002년에 My Morning Jacket의 분할 EP와 윌 올드햄과 알라스데어 로버츠의 합작 EP를 포함한 소수의 싱글과 EP를 발매했다.
2003년 Magnolia Electric Co.는 Songs에 대한 방향 전환을 기록했습니다.오히아. 모든 곡들이 스튜디오에서 라이브로 녹음됐어요. 투어 밴드와 'Did't It Rain'의 뮤지션들과 함께요.
이 앨범의 사운드는 몰리나의 헤비메탈 뿌리뿐만 아니라 1960/70년대의 심장부 록과 포크 록에서 많은 것을 끌어냈다(영국의 메탈 개척자 블랙 사바스는 몰리나의 영향 중 하나로 종종 언급된다).
매그놀리아 전기: 2003–2012
2003년 3월 투어 중 몰리나는 밴드명을 매그놀리아 일렉트릭(Magnolia Electric Co.)으로 바꾸겠다고 발표했다.그는 또한 자신의 이름으로 솔로곡을 계속 발표했다.첫 번째 발매는 2004년 1월 전장 비닐 발매 피라미드 전기 회사였다.
매그놀리아전기와 피라미드전기는 원래 더블앨범으로 기획됐지만 스타일리시한 극과 극으로 보인다.
고스트 트로픽을 설계한 마이크 모기스가 설계한 피라미드는 목소리만, 피아노나 기타만 마이크에 대고 혼자 있는 몰리나를 발견했다.매그놀리아 전기의 첫 번째 공식 발매는 라이브 앨범인 "Trials and Errors"였고, 그 뒤를 이어 스튜디오 앨범인 "What Comes After the Blues"와 EP "Hard to Love a Man"이 2005년에 발매되었다.2006년, 몰리나는 두 개의 음반을 더 발매했다: 희박한 솔로곡인 Let Me Go, Let Me Go, Let Me Go와 매그놀리아 일렉트릭의 보다 전통적인 페이딩 트레일즈. 후자는 전년도 세 번의 세션에서 제외되었다.
Songs가 언제인지 완전히 명확하지는 않다.오히아는 매그놀리아 전기가 되었다.인터뷰에서 몰리나는 Songs의 재임 기간을 고려했다고 주장했다.오히아는 Did't It [10]Rain 이후 매그놀리아 일렉트릭을 새로운 이름으로 데뷔 앨범으로 만들 것이다."Songs"라는 이름:오히아는 앨범의 아트워크 어디에도 나타나지 않고 셀로판 포장의 홍보 스티커만 이전 이름과 연결된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시크릿 캐나디안은 여전히 Songs:오히아 별명.한편, Magnolia Electric Co.의 라이브 앨범인 Trials and Errors는 밴드가 Songs의 아래 투어를 계속하고 있던 2003년 4월 16일 브뤼셀의 Ancien Belgique 클럽에서 녹음되었습니다.오히아 이름피치포크 미디어는 나중에 [11]2003년 10월 스페인 투어 이후 명칭 변경이 공식화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만년 및 질병: 2009-2013
매그놀리아 일렉트릭의 밴드메이트 제이슨 그로스에 따르면,[12] 몰리나는 2003년까지 "복잡한 관계였다"고 한다.그의 알코올 중독의 전모가 2009년 [12]이후에야 많은 친한 친구들에게 드러났다.
Molina & Johnson의 셀프 타이틀 앨범 지원을 위한 유럽 투어는 2009년 11월과 12월로 예정되어 있었다.투어는 시작 [13]3일 전인 11월 23일에 취소되었다.그 밴드의 웹 사이트에 대한 간략한 노트는 cancelations을 위하고 주목"건강 문제"(설명 없이)비난을 받은 "제이슨 몰리나는 더하지만 그가 도로는 현재 시간이 될 수 없어 실망했다.";존슨 투어 1월과 2월 2010년 동안지만 12월 초에 다른 사람과 취소되었다 예정됐던 몰리나 및 미국의 다리[13].그는 몰리나의 "현재 건강 문제"[14]를 언급하며 밴드의 웹사이트에 간단한 메모를 남겼다.이 발표 이후 몰리나는 사실상 공직에서 물러났다.
2011년 9월 19일 몰리나의 가족으로부터의 메시지는 "Jason Molina는 어디에 있는가?"라는 제목의 시크릿 캐나디안 레코드 웹사이트에 게시되었다. 그것은 몰리나가 지난 2년 동안 익명의 [citation needed]상태로 영국, 시카고, 인디애나폴리스, 뉴올리언스의 재활 시설과 병원을 방문했다고 말했다.그의 가족은 그가 "현재 웨스트버지니아에 있는 농장에서 1년 정도 염소와 닭을 기르고 있으며,[citation needed] 다시 멋진 음악을 만들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썼다.
2012년 5월 5일 매그놀리아 전기의 웹사이트에는 제이슨이 남긴 메모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15]몰리나는 "긴 병원 1년"이었다고 말하면서 팬들과 친구들로부터 [15]받은 금전적, 정서적 지원에 대해 감사와 감사를 표했다.그는 치료도 좋고 음악도 하기 싫은 일도 많이 하게 된다.내 친구들이 나를 포기하지 않았기 때문에 나는 포기하지 않았다.노트는 "멀리 있는 레이더 스크린"[15]에 음악 프로젝트가 몇 개 있었다고 말하며 낙관적으로 끝을 맺는다.
죽음과 유산
몰리나는 2013년 3월 16일 인디애나폴리스에서 알코올 남용과 관련된 장기 부전으로 사망했다.그는 [16][17]39세였다.그의 친구 헨리 오윙스는 그의 온라인 음악 잡지 청클렛에 몰리나가 알코올 중독과 싸워 사망에 이르게 했다는 기사를 실었다.오윙스는 또한 몰리나가 "토요일 밤 인디애나폴리스에서 그의 주머니에 핸드폰 한 개만 든 채 돈을 탕진했다"[18]고 썼다.몰리나는 [19]화장되었다.
2013년에 이어 타운즈 반 잔트와 블랙 사바스의 사후 7인치 싱글이 2장 발매됐다.2013년 5월, Graveface Records는 "지친 엔진 블루스: A Trivent to Jason Molina"라는 더블 CD를 발매했다.또한, 몰리나 전기인 제이슨 몰리나: 유령과 함께 달리는 것은 에린 [20]오스몬에 의해 2017년 5월에 출판되었다.몰리나를 추모하는 명패는 시크릿캐나다의 두 번째 [21]저장시설 입구에 세워졌다.2018년 1월, 인디 레이블 Dead Oceans는 Molina에게 경의를 표하여 케빈 모비와 왁사하치의 공동 싱글 Farewell Transmission b/w The Dark Don't Hide [22]It을 출판했습니다.Live at La Chapelle과 Eight Gates라는 두 장의 사후 앨범은 시크릿 캐나다인에 의해 2020년에 발매되었다.
예술성
음악 비평가들은 몰리나의 음악이 블루스, 얼터너티브 컨트리, 로피 음악과 인디 록의 독특한 혼합으로 "러스트 벨트 기개와 아메리카나 음악의 전원적인 이미지"[3][23]를 결합한 것으로 주목했다.뉴욕 타임즈의 윌리엄 야들리는 몰리나를 "가슴이 [4]아픈 발라더"라고 묘사했다.그는 테너 [4]음역을 가지고 있었다.
몰리나에 따르면, 그는 [24]하루 8시간 동안 작곡을 하며 음악가로서 자신의 작품을 표준 직업처럼 대했다."저는 제가 쓴 것의 대부분을 버립니다,"라고 그는 2006년 인터뷰에서 말했습니다.예술가가 주는 자유에 대해 죄책감을 많이 느껴요.저는 자문합니다. '왜 나는 쓰레기를 비우는 사람이 아니고, 왜 그 사람이 쓰레기를 비우는 것을 보고 있는 사람일까?'"[24]
사생활
몰리나는 Darcie Schoenman [25]Molina와 결혼했다.그들은 아이가 없었고 그가 [18]죽었을 때 사이가 틀어졌다.
음반 목록
달리 명시되지 않은 한 Secrety Canadian 라벨의 모든 릴리스.
노래 : 오히아
- 스튜디오 앨범
- 1997: 노래: 오히아(일명 블랙 앨범)
- 1998년 : 임팔라 (원래 해피고 럭키에서 발매)
- 1999년: Axess & Ace
- 2000: 암사자
- 2000: 고스트 트로픽
- 2002: 비가 오지 않았나요?
- 2003년 매그놀리아 전기
- 2018: 사랑과 일: 암사자 세션
- 라이브 앨범
- 2001년 : 미세유닛소 Come Un Fantasma (페이퍼컷 레코드)
- 2020년 : La Chapelle 라이브
- 2022: 라이브: 밴퀴서(네덜란드 틸부르크). 2000년 10월9일)
- 투어 전용 릴리즈
- 1999: The Ghost (투어 전용 릴리즈)
- 2000: Protection Spires (투어 전용 릴리즈)
- EP
- 1997: Hecla & Griper
- 1998: 델의 황금비율 (Acuarela)
- 2001: 하울러 (압살롬)
- 2001: 상수여행(임시거주)
- 싱글
- 1996년: "Nor Stop You Never Now"(팔레스 레코드)
- 1996년 '영광의 한 발음'
- 1999년 : 제목 없음 (웨스턴 비닐)
- 2002년: '회색 타워'/'블랙 링크 투 파이어 링크'
- 2002년: "Keep It Stable" / "United or Lost Alone"
- 2004년: "물 위에 달은 없다"/인 더 휴먼 월드(Chunklet)
제이슨 몰리나
- 앨범
- 2004년: 피라미드 전기.
- 2006: Let Me Go, Let Me Go, Let Me Go
- 2012년 가을새 노래 (그레이브페이스)
- 2020년 : La Chapelle 라이브
- 2020: 8개의 관문
매그놀리아 전기
- 앨범
- EP
- 2005: 남자를 사랑하기 어렵다
- 2009: It's Made Me Cry
- 싱글
- 2009년: 라이더.Shadow.늑대
콜라보레이션
- 앨범
- EP
- 싱글
- 1998년: "No, Tis Not Death"(대체) (부록 아웃 포함) (액화제국)
- 1999년: "Journey On" (7인치)와 오네이다(Jagjaguwar)의 스플릿판
- 1999년: 렉스와 7인치 스플릿한 "How to Be Perfect Man" (임시 거주지)
- 2000: 7인치 싱글, Alasdair Roberts 탑재
- 2000: Glen Hansard(로드 에리카리시)와 7인치 스플릿으로 Fade St.
- 2001년: Skout Niblet와 함께 7인치 스플릿으로 'Lioness'(버전)
레퍼런스
- ^ Masters, Clay (April 22, 2014). "Remembering Jason Molina, a musician who refused to look back". NPR. Retrieved October 4, 2017.
- ^ Yardley, William (March 26, 2013). "Jason Molina, a Balladeer of Heartbreak, Dies at 39". The New York Times. ISSN 0362-4331. Retrieved January 17, 2020.
- ^ a b c True, Everett (March 19, 2013). "Jason Molina obituary". The Guardian. Retrieved October 4, 2017.
- ^ a b c d e f g h Yardley, William (March 26, 2013). "Jason Molina, a Balladeer of Heartbreak, Dies at 39".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October 5, 2017.
- ^ Geffen, Sasha (June 19, 2017). "Jason Molina's Long, Dark Blues". MTV. Retrieved October 4, 2017.
- ^ Jason Molina Lorain Schools Alumni Assoc. Inductee 2019, retrieved May 7, 2021
- ^ Blau, Max (October 2, 2014). "Jason Molina's long dark blues". Chicago Reader. Retrieved May 7, 2021.
- ^ Jason Molina Lorain Schools Alumni Assoc. Inductee 2019, retrieved May 7, 2021
- ^ 노래 : Ohia at All Music
- ^ "record.hospital.molina". Record Hospita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November 4, 2008. Retrieved October 23, 2007.
- ^ "Pitchfork: Daily Music New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ugust 23, 2003. Retrieved October 28, 2006.
{{cite web}}
: CS1 maint: bot: 원래 URL 상태를 알 수 없습니다(링크). - ^ a b 비치독: "목련 전기회사 투어 다이어리, 2009년 8월 24일"
- ^ a b Breihan, Tom (November 23, 2009). "Molina and Johnson Cancel Euro Tour". Pitchfork Media. Retrieved October 4, 2017.
- ^ "Jason Molina & Will Johnson cancel tour in support of their new Secretly Canadian album". Brooklyn Vegan. December 1, 2009. Retrieved October 4, 2017.
- ^ a b c Magnoliaelectricco.com 게시물: "웨이백 머신에 있는 Jason Archived 2013-03-18의 노트"
- ^ Snapes, Laura (March 18, 2013). "R.I.P. Jason Molina". Pitchfork Media. Retrieved March 18, 2013.
- ^ "Jason Molina of Songs: Ohia and Magnolia Electric Co. Passed Away Saturday". Western Vinyl. March 18, 20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21, 2013. Retrieved March 19, 2013.
- ^ a b 청클릿 기사: "Jason Molina RIP"
- ^ "Bloomington / gravesite?". jasonmolina.org. Retrieved May 7, 2021.
- ^ Jason Molina: Riding with the Ghost, By Erin Osmon, 9781442268678 – Rowman & Littlefield
- ^ Blau, Max (October 1, 2014). "Jason Molina's long dark blues". Chicago Reader. Retrieved June 22, 2018.[영구 데드링크]
- ^ "Farewell Transmission b/w The Dark Don't Hide It by Kevin Morby & Waxahatchee". January 2018. Retrieved June 22, 2018.
- ^ Saunders, Hilary (May 16, 2017). "The 13 Best Songs by Jason Molina". Paste Magazine. Retrieved October 4, 2017.
- ^ a b Hopper, Jessica (November 12, 2006). "Late bloomer Jason Molina is approaching indie icon status". Chicago Tribune. Retrieved October 4, 2017.
- ^ 데일리 엔터테인먼트 뉴스 기사: "Darcie Schoenman Molina – 인디 가수 Jason Molina's Wife"
추가 정보
- Blau, Max (October 1, 2014). "Jason Molina's long dark blues". Chicago Reader. Retrieved June 22, 2018.
- Osmon, Erin (2017). Jason Molina: Riding with the Ghost. Rowman & Littlefield. ISBN 978-1-4422-686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