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횡단 교통망

Trans-European Transport Network
네트워크 맵

TEN-T(Trans-European Transport Network)는 유럽 연합의 도로, 철도, 공항 및 물 기반 구조의 계획된 네트워크다. TEN-T 네트워크는 통신망(eTEN)과 제안된 에너지 네트워크(TEN-E 또는 텐-Energy)를 포함하여, 트랜스 유럽 네트워크(TEN)의 광범위한 시스템의 일부다. 유럽 위원회는 1990년에 초유럽 네트워크에 대한 첫 번째 실행 계획을 채택했다.[1]

TEN-T는 1차 도로, 철도, 내륙 수로, 공항, 항만, 내륙 항만 및 교통 관리 시스템의 개선 사항을 조정하여 통합적이고 모듈형 간 장거리 고속 항로를 제공한다. TEN-T 채택 결정은 1996년 7월 유럽의회와 의회에서 이루어졌다.[2] EU는 리더쉽, 조정, 가이드라인 발행, 개발 자금 지원 측면을 결합하여 네트워크를 촉진하기 위해 노력한다.

이러한 프로젝트는 2013년 12월 31일 유럽 횡단 교통 네트워크 집행 기관(TEN-T EA)을 대체한 혁신 네트워크 집행 기관(INEA)이 기술적으로, 재정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10번째이자 최신 프로젝트인 스트라스부르-다뉴브 회랑(Strasbourg-Danube Corridor)은 2014-2020 회계 기간 동안 발표되었다.[3]

역사

TEN-T 가이드라인은 유럽 의회의 결정 번호 1692/96[2]/EC와 유럽 횡단 교통망 개발을 위한 지역사회 가이드라인에 대한 협의회의 지침으로 1996년 7월 23일에 처음 채택되었다. 2001년 5월, 유럽의회와 의회는 1346/2001/EC의 결정을 채택하여 항구, 내륙항, 터미널 간 TEN-T 지침을 개정하였다.[4]

2004년 4월, 유럽의회와 의회는 884/2004/EC(결정 번호 884/2004/EC에[5] 의해 목록에 추가됨)를 채택하여 유럽 횡단 교통망 개발을 위한 지역사회 지침에 대한 의사결정 번호 1692/96/EC를 개정하였다. 2004년 4월 개정안은 EU의 확대와 그에 따른 트래픽 흐름의 변화를 수용하기 위한 TEN-T 정책의 보다 근본적인 변화였다.[6]

2017년, 유럽 횡단 교통망을 동유럽으로 확장하고 동유럽 파트너십 회원국을 포함하기로 결정했다.[7][8] 2019년 2월 유럽 횡단 교통망의 가장 먼 동쪽 확장이 아르메니아에 도달했다.[9]

우선순위 축 및 프로젝트

2013년 10월 17일 9개 프로젝트가 발표되었고, 이후 10개로 늘어났다.[10] 다음은 다음과 같다.

  1. 발트-아드리아 회랑(폴란드-체코아/슬로바키아–)오스트리아-이탈리아);
  2. 북해발트 회랑(핀란드-에스토니아-라트비아-)리투아니아-폴란드-독일-네덜란드/벨기에)
  3. 지중해 회랑(스페인-프랑스-북이탈리아-슬로베니아-크로아티아-)헝가리);
  4. 오리엔트/동메드 회랑 (독일-체코 공화국-)헝가리-로마니아-불가리아-그리스-키프로스)
  5. 스칸디나비아-중간 회랑(핀란드-스웨덴-덴마크-독일)–오스트리아-이탈리아);
  6. 라인 알핀 회랑(네덜란드/벨기에-독일-스위스-스위스)이탈리아);
  7. 리스보아-스트라스부르 회랑(포르투갈-스페인-프랑스)
  8. 북해중복도(아일랜드-)영국-네덜란드-벨기에-룩셈부르크-프랑스 남부, 브렉시트 때문에 아일랜드-벨기에-네덜란드, 아일랜드-프랑스)
  9. 라인 다뉴브 회랑[11](독일)–오스트리아-슬로바키아-헝가리-로마니아, 수로 초점);
  10. 스트라스부르-다뉴브 회랑(스트라스부르-만하임-프랑크푸르트-위르츠부르크-뉴르츠부르크-레겐스부르크-파사우-웰스/린츠-)비엔-부다페스트-아라드-브라쇼프-부쿠레슈티-콘스탄타-술리나).[12]

코어 네트워크

이것은 TEN-T 핵심 네트워크 회랑의 전체 목록이다.[13][14]

자금조달 타임라인

TEN-T 가이드라인 이행을 위한 재정적 지원은 다음 규칙에서 비롯된다.

  • 1995년 9월 18일 규정(EC) No 2236/95는[18] 유럽 전역 네트워크 분야에서 지역사회 재정 지원의 부여에 관한 일반 규칙을 포함하고 있다.
  • 유럽 의회와 1999년 7월 19일 의회의 규정 (EC) No 1655/1999는[19] 규정 (EC) No 2236/95를 개정한다.
  • 2004년 4월 21일 유럽 의회 및 이사회 규정(EC) No 807/2004는[20] 이사회 규정(EC) No 2236/95를 개정한다.
  • 유럽 의회와 2007년 6월 20일 이사회의 규정(EC) No 680/2007은[21] 유럽 횡단 교통 및 에너지 네트워크에 대한 지역사회 재정 지원을 위한 일반 규칙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TEN-T 프로젝트는 대부분 국가 또는 주 정부로부터 자금을 지원받는다. 기타 자금 출처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유럽 공동체 기금(ERDF, Cohesion Funds, TEN-T 예산), 국제 금융 기관(예: 유럽 투자 은행), 민간 자금 조달.

교통망 목록

운송 모드에는 네트워크가 있다. 네트워크:[2]

이전 우선순위

1994년 Essen에서 열린 회의에서, 유럽의회는 당시 위원회 부의장 Henning Christophersen이 주재한 그룹이 작성한 14개의 TEN-T '특정' 프로젝트 목록을 승인했다.[1] 2003년 Van Miert TEN-T 고위급 그룹의 권고안에 따라, 위원회는 2010년 이전에 착수할 30개의 우선순위 프로젝트 목록을 작성했다.[22]

30개의 축과 우선순위 프로젝트는 다음과 같다.[23]

  1. 베를린-베로나/밀란-볼로냐-나플레스-메시나-팔레르모 철도의 축
  2. 고속철도 축 파리-브뤼셀-콜로뉴-암스테르담-런던
  3. 유럽의 남서부 고속철도 축
  4. 동부 고속철도 축
  5. 베투웨 선
  6. 철도축 라이온-트리에스테-디바차/Koper-디바차-Ljubljana-부다페스트-우크라이나 국경[22]: 34
  7. 고속도로 축 이구메니차/파트라스-아텐스-소피아-부다페스트
  8. 멀티모달 축 포르투갈/스페인-유럽의 나머지 지역
  9. 철도축 코르크-더블린-벨파스트-스트란라어
  10. 말펜사 공항
  11. 외레순트 다리
  12. 노르딕 삼각형 철도/도로 축
  13. 영국/아일랜드/베넬룩스 도로 축
  14. 서해안 본선
  15. 갈릴레오
  16. 화물철도 축사인/알게시라스-매드리드파리
  17. 파리-스트라스부르-슈투트가르트-비엔나-브라티슬라바 철도축
  18. 라인/뮤즈-메인-다뉴브 내륙 수로 축
  19. 이베리아 반도에서의 고속철도 상호운용성
  20. 페힌 벨트 철도 축
  21. 바다의 고속도로
  22. 철도축 아테네-소피아-부다페스트-비엔나-프래그- 뉘른베르크/드레스덴
  23. 철도축 그단스크-와르사우-브르노/브라티슬라바-비엔나
  24. 철도축 라이온스/제노아-바슬-뒤스부르크-로테르담/안트베르프
  25. 고속도로 축 그단스크-브르노/브라티슬라바-비엔나
  26. 철도/도로 축 아일랜드/영국/대륙 유럽
  27. 발트해 철도의 축 바르샤바-카우나-리가-탈린-헬싱키
  28. 브뤼셀-룩셈부르크-스트라스부르 철도 축의 유로캡-레일
  29. 이오니아식/수동식 복도의 철도 축
  30. 내륙 수로 센-셸트

2019년 현재 2, 5, 11번 등 여러 개가 완료되었으며, 12번과 17번 등 다른 작업이 진행 중이며, 20번과 27번 등 시작되지 않은 것도 있다.

관련 네트워크

다양한 TEN 외에도 주요 도시 중심지항만 사이의 경로인 범유럽 회랑 10개가 있는데, 주로 동유럽을 중심으로 주요 투자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국제 E-로드 네트워크유엔 유럽 경제위원회가 관리하는 유럽 주요 도로의 명명 시스템이다. 도로 번호는 "E"(예: "E1")로 시작하는 도로로 지정된다.

참고 항목

참조

  1. ^ Jump up to: a b 2005년 현재 TEN-T 우선 순위 축 프로젝트 타임라인 웨이백 머신에 2011년 11월 18일 보관, 페이지 7 PDF 문서, 14MB
  2. ^ Jump up to: a b c 유럽 횡단 교통망 개발을 위한 지역사회 지침에 대한 유럽 의회와 유럽 의회의 1692/96/EC 결정 1996년 7월 23일
  3. ^ "Improving infrastructure & framework conditions for Danube - Requirements from an Industry viewpoint" (PDF). ec.europa.eu. Retrieved 14 February 2020. Danube as new corridor “Strasbourg – Danube” in TEN T successor “CEF – Connecting Europe facility”
  4. ^ 결정 번호 1346/2001/EC
  5. ^ Jump up to: a b 결정 번호 884/2004/EC
  6. ^ 여기(13MB) 웨이백 머신에 2011년 1월 31일 보관
  7. ^ [1]
  8. ^ 우크라이나, 트랜스 유럽 교통 네트워크, UNIAN 가입(2017년 11월 27일)
  9. ^ [2]
  10. ^ http://europa.eu/rapid/press-release_MEMO-13-897_en.htm
  11. ^ "Corridors - European Commission". Europa. Retrieved 7 January 2017.
  12. ^ "PART I: LIST OF PRE-IDENTIFIED PROJECTS ON THE CORE NETWORK IN THE FIELD OF TRANSPORT" (PDF). televideo.rai.it. Retrieved 14 February 2020.
  13. ^ "TEN-T Core Network Corridors". green-ten-t.eu. Retrieved 13 February 2020.
  14. ^ "TRANS-EUROPEAN TRANSPORT NETWORK" (PDF). ec.europa.eu. Retrieved 14 February 2020.
  15. ^ Jump up to: a b c "Corridor descriptions - European Commission - Europa EU" (PDF). ec.europa.eu. Retrieved 15 February 2020. This 3200 km long corridor will connect the ports of the Eastern shore of the Baltic Sea with the ports of the North Sea.
  16. ^ "North Sea-Baltic Corridor" (PDF). ec.europa.eu. Retrieved 15 February 2020.
  17. ^ "Rhine-Danube". ec.europa.eu. Retrieved 13 February 2020. ...passing through the Romanian capital Bucharest to culminate at the Black Sea port of Constanta.
  18. ^ 1995년 9월 18일 이사회 규정 No 2236/95는 유럽 전역 네트워크 분야에서 지역사회 재정 지원의 허용에 관한 일반 규칙을 정했다.
  19. ^ 유럽 표준회의 1655/1999번 및 1999년 7월 19일 이사회 2236/95번 개정 규정(EC)은 유럽 전역 네트워크 분야에서 지역사회 재정 지원의 허용에 관한 일반 규칙을 제정했다.
  20. ^ 규정 (EC) 2004년 4월 21일 유럽 의회 및 이사회 규정 (EC) No 2236/95를 개정하여 유럽 전역 네트워크 분야에서 지역사회 재정 지원의 허용에 관한 일반 규정을 제정함
  21. ^ 유럽 전역의 교통 및 에너지 네트워크 분야에서 지역사회 재정 지원의 일반 규정을 정하여 유럽 의회와 2007년 6월 20일 의회의 규정 No 680/2007
  22. ^ Jump up to: a b 전체 Van Miert 보고서에 대한 링크, 부록 지도 포함 EC사이트 2009년 2월 1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
  23. ^ "Innovation and Networks Executive Agency - European Commission". Innovation and Networks Executive Agency. Retrieved 26 June 2017.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