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빼앗기
Taking Liberties자유 빼앗기 | ||||
---|---|---|---|---|
![]() | ||||
컴파일 기준 앨범 | ||||
방출된 | 1980년 11월(미국) | |||
녹음된 | 1977–80 | |||
장르. | 펑크 록, 새로운 물결 | |||
길이 | 50:45 | |||
라벨 | 컬럼비아 | |||
프로듀서 | 엘비스 코스텔로, 닉 로우 | |||
엘비스 코스텔로 연대기 | ||||
|
Takeing Liberies는 엘비스 코스텔로 컴파일 앨범으로, 미국에서 발매된 것과 같이 이전에 그의 앨범에 발표되지 않은 트랙들로 구성되어 있다.주로 B사이드로 구성돼 있지만 기존에 공개되지 않은 3개의 녹음이 특징이다.이 앨범은 미국과 캐나다에서만 발매되었다. 이 앨범의 트랙 리스트는 영국 개봉작인 Ten Bloody Marys & Ten's How's Your Fathers와 매우 유사하다.차이점은 후자의 경우 '나이트 랠리', '선데이 베스트', '(나는) 첼시에 가고 싶지 않다' 등의 트랙이 '탐정들 보기', '라디오, 라디오', '(뭐가 그렇게 웃긴)' '평화, 사랑, 이해'로 대체된다는 점이다.[1]
그레그 겔러의 소매 노트는 1958년 앨범 'A Gene Vincent Record Date'에서 거의 직립한 것으로, 이름과 노래 제목이 적절하게 대체되었다.
LP버전은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컬럼비아 라벨을 특징으로 한다.사이드원 레이블의 레전드는 'COLUMBIA'가 아닌 'COSTELLO'라고 올해의 모델과 비슷한 방식으로 표기하고 있다.
점수 검토 | |
---|---|
출처 | 순위 |
올뮤직 | ![]() ![]() ![]() ![]() ![]() |
빌보드 | (등급 미지정)[2] |
로버트 크리스토퍼 | (B) 링크 |
트랙리스트
표시된 것을 제외하고 엘비스 코스텔로가 작곡한 모든 노래.
사이드 원
- "Clean Money"(이전 미공개) – 1:57
- "걸스 토크"("떨어지는 것을 참을 수 없다", 1980년) – 1:56
- "Talking in the Dark"(A-side, 1978년) – 1:56
- "라디오 애인" ("0점 이하", 1977) – 2:24
- "흑백의 세계"(데모 버전)(기존 공개되지 않음) – 1:51
- "큰 눈물"("펌프 잇 업"의 B측, 1978년) – 3:10
- "Just a Memory"("New Amsterdam, 1980년"의 B측) – 2:14
- "나이트 랠리"(영국판 올해의 모델, 1978년) – 2:41
- "집안의 괴물" (A-side, 1978년) – 3:01
- "Clowntime Is Over"(버전 2) ("High Perfession", 1980) – 3:44
2면
- "Geting Mighty Coy"(Van McCoy)("High Perfidence", 1980년 B-side) – 2:05
- "후버 공장"(이전 공개되지 않음) – 1:43
- "티니 스텝" ("라디오, 라디오", 1978년 B 측) – 2:42
- "(나는 가고 싶지 않다) 첼시"(영국판 올해의 모델, 1978년) – 3:07
- 루터 박사의 조교 (1980년 뉴암스테르담 B측) – 3:28
- "일요일 최고" (영국판, 1979년) – 3:22
- "미국행" (사운드트랙에서 아메리카톤, 1979년) – 2:52
- "수요일 주간"("Talking in the Dark", 1978년 B 측) – 2:02
- "My Funny Valentine"(리처드 로저스, 로렌츠 하트) – 1:25
- "고스트 열차"("뉴 암스테르담, 1980년"의 B측) – 3:05
인원
- Elvis Costello – 보컬, 기타, 키보드; "블랙 앤 화이트 월드", "후버 팩토리", "My Funny Valentine" 및 "고스트 트레인"에 있는 모든 악기
- 더 어트랙
- Steve Nieve – "Radio Sweet", "Black and White World", "Huver Factory", "Dr. Luther's Assistant", "My Funny Valentine", "Ghost Trainer", "Stranger in the House"를 제외한 모든 트랙의 키보드
- 브루스 토마스 – "라디오 애인", "흑백의 세계", "Just A Memory", "Huver Factory", "Dr. Funny Valentine", "Ghost Train" 및 "Stranger in the House"를 제외한 모든 트랙의 베이스
- 피트 토마스 – "라디오 애인", "흑백의 세계", "Just A Memory", "Huver Factory", "My Funny Valentine", "Ghost Train", "Stranger in the House"를 제외한 모든 트랙의 드럼통
- 추가인원
- Dave Edmunds – "Clean Money"에 대한 백 보컬
- 존 맥피 (클로버) - "라디오 애인"과 "집 안의 괴물"의 기타
- "라디오 애인"의 닉 로위 베이스
- 미키 샤인 (클로버) - "라디오 애인"과 "집 안의 괴물"에 드럼을 친다.
- 믹 존스 - "Big Tears"의 리드 기타
- Sean Hopper(클로버) – "Stranger in the House"의 키보드
- Johnny Ciambotti(클로버) – "Stranger in the House"의 베이스
차트
앨범
연도 | 차트 | 포지션 |
---|---|---|
1980 | 빌보드 200 | 28 |
참조
- ^ Cohen, Debra Rae (11 December 1980). "Taking Liberties". Rolling Stone. Retrieved 31 July 2019.
- ^ "Review: Elvis Costello – Taking Liberties" (PDF). Billboard. Vol. 85, no. 40. 4 October 1980. p. 108. ISSN 0006-2510. Retrieved 30 May 2020 – via American Radio H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