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군 (이탈리아)

10th Army (Italy)

제10군단(이탈리아어: 10ª Armata)은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이탈리아 북아프리카에서 싸운 왕립 이탈리아군야전군이었다.

제1차 세계 대전

포메이션

카포레토 전투(1917년 11월) 이후 이탈리아 육군(레지오 에세르시토)아르만도 디아스에 의해 재편성되었다. 1918년(동지 전투 이후) 여름, 사령부는 이러한 변화를 계속 수정하였고, 1918년 10월로 계획된 이탈리아 공세에 대비하여 10월 14일에 새로운 10번째 이탈리아 군대가 결성되었다.[1] 카반 백작이 지휘하는 영국-이탈리아 군대였다.[2] 으로 구성되었다.

  • 이탈리아 육군 1개 군단, 중위의 XI 군단(이탈리아인) (Corpo d'Armata) 주세페 파올리니 장군.[3]
    • 소장으로37번길 조반니 카스타뇰라 장군(브리지의 브리가타 마케라타) 플로렌지오 타글리아페리 장군, 121 및 122 보병 연대; 브리지의 브리아타 포기아. 라파엘레 라디니 테데스키 장군, 280, 281 보병 연대)
    • 버사글리에리 23사단 구스타보 파라 장군(브릿지의 VI 여단) 조반니 데오 장군, 8연대와 13연대, 7여단 준장. 알레산드로 피르지오 비롤리 장군, 2차 및 3차 연대)
  • 제임스 바빙턴 장군의 영국 XIV 군단 2개 사단.[4]
    • 소령 7사단 토머스 허버트 쇼브리지[5] 장군(20, 22, 91 보병여단, 22, 35 야전포병여단, 참호 박격포 2개 포대와 개척대대.
    • 소령 제23사단 H.F 장군 틸리어[6](68·69·70보병여단, 기병대대대, 102·103 야전포여단, 참호 박격포 2개 포대와 또 다른 개척 대대)는 기병여단이다.

동시에 프랑스의 장 세사르 그라지아니 장군은 또 다른 새로운 이탈리아 육군(공동)을 지휘하라는 요청을 받았고, 이 군단(이탈리아), 52사단 – 알피니(이탈리아), 23사단(프랑스)으로 구성된 12군단은 이 군단이다.[7]

파이널 배틀

새로 구성된 10군단은 비토리오 베네토 전투(1918년 10월~11월)의 승리에 참가했다. 피아베 강에서 이탈리아 8군단과 3군단 사이에 육군이 투입되었다.[8] 8군단은 피아베 강을 건너 비토리오로 진격하여 오스트리아-헝가리 트렌티노 군단을 피아베를 방어하는 군대와 갈라놓을 예정이었다. 10군단은 그들의 오른쪽 측면을 보호하는 것이었다. 그들은 또한 강에 있는 큰 섬인 Grave di Papadopoli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방어를 깨뜨려 피아베강을 건널 것으로 예상되었다.

10군단은 전투에 앞서 다음과 같은 이탈리아군의 증원에 의해 증강되었다.

  • XI Reparto D'Assalto (아르디티).
  • 제11 카발레제리 디 포기아의 기병대대.
  • 기술자 3개 대대 : 교량 건축 부대 2개, 세이퍼 부대 1개.
  • 10번과 14번 장갑차 편대.
  • 포병: 야전 포병 연대 2개, 폭탄군 1개.
  • 해군 50명 (제18대 폰티에리 회사[9])

폰티에리는 전투가 시작되기 전에 그곳의 오스트리아-헝가리 수비대를 기습하고 섬을 장악하기 위해 영국군 부대를 배를 타고 섬으로 수송하는 중요한 준비 역할을 했다.[10]

10군단은 강물의 높고 빠른 물(홍수)에도 불구하고 강의 왼쪽 둑에 교두보를 마련하면서 전투 초기 성공 사례 중 하나를 제공했다. 사실 8군단의 요소들은 처음에 강을 건넌 다음 비토리오의 포획을 이루기 위해 10군단의 건널목을 즉흥적으로 만들어 사용해야 했다.[11] 10군단은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이 급속히 후퇴했다가 무너지자 타구이슈토 강을 건너 이탈리아 시골을 가로질러 1)톨메초(XIV군단)와 2)우디네(XI군단)를 향해 속도를 내기 시작했다.

이어서 10군단은 영국 XIV 군단의 일부로서 332 보병 연대(미국)에 의해 전투에 참가하게 되었는데, 미국 연대는 그 군단의 선발대를 형성하고 있다.[12] 이탈리아 휴전이 발효된 11월 4일 10군단은 바사글리아펜타-메레토 디 톰바-코세아노-S였다. 다니엘레 [13]핀자노

제2차 세계 대전

1940년 10군단은 키레나이카(리비아 동부)에 근거지를 두고 영국의 동맹국인 이집트 왕국에서 영국군과 대치하였다. 제5군프랑스 튀니지 맞은편 트리폴리타니아(리비아 서부)에 근거지를 두고 있었다.

1940년 6월 10일 이탈리아가 전쟁을 선포했을 때 10군단은 5개 사단으로, 5군단은 9개 사단으로 구성되었다. 6월 말 프랑스 함락 이후 5군단으로부터 여러 사단을 이관받아 10군단을 강화하였고, 이를 10개 사단으로 증원하였다.

이탈리아의 이집트 침공

1940년 9월 13일, 10군단의 약 4개 사단이 이탈리아군의 이집트 침공을 감행하였다. 보병 4개 사단과 말레티 그룹은 나흘 만에 100km(62mi)를 진군한 뒤 시디 바라니에서 멈췄다. 말레티 그룹은 북아프리카M11/39 중형 전차 대부분을 포함했고 수많은 L3 전차들도 포함했다. 수비 진지는 이탈리아인들이 요새화된 진영에서 준비했다.

영국의 역습

1940년 12월 작전 컴퍼스 동안 영국군은 이집트 내 이탈리아 진영에 대한 5일간의 공습으로 반격을 가했다. 이탈리아 캠프는 과잉 운영되었고 나머지 10군단은 이탈리아 리비아로 점점 더 밀려났다. 많은 이탈리아 군인들은 영국군이 바디아토브룩과 같은 요새화된 장소에 포위되자 항복했다.

베다폼의 파괴

베다폼 전투(1941년 2월 6일~7일)에서는 퇴각하는 10군단의 나머지 대부분은 7군단(미하엘 오모레 크리흐 소대장)의 소규모 전진수비대인 컴베포스(Liytenant-Colonel John Combe)에 의해 고립되었다. 컴베포스는 이탈리아군의 퇴로를 차단하기 위해 광야를 가로지르는 지름길을 택했고, 호주 6사단은 해안 추격을 계속했다. 험한 지형에 의해 힘이 지체되어 컴베포스는 분단되고 가벼워지고 빠른 원소들이 분리되어 가로채기를 완료하여 추적된 차량들이 뒤따르게 되었다.

1차 원소는 2월 4일 오후 늦게 Msus에 도착하여 지역 수비대를 정리했다. 다음날 밤과 낮 동안 진격은 계속되었고 2월 5일 오후 4시까지 영국의 포병대와 보병대가 해안도로를 가로질러 제자리에 배치되었다. 퇴각하는 이탈리아기둥의 우두머리가 30분 뒤에 도착했다. 이탈리아인들은 자신들의 힘이 크게 과대평가된 베다폼에서 그들을 가로막고 있는 영국군을 발견하고 아연실색했다. 호주인들이 추격하고 있는 가운데, 새로 도착한 피아트 M13/40 중전차 대대가 영국군의 진지에 맞서 크게 패퇴하는 절박한 전투가 이어졌다. 2월 6일 오후, 제7기갑사단 전차가 도착하여 이탈리아 동부 측면을 괴롭혔다.

2월 7일 아침, 이탈리아인들은 돌파를 위한 마지막 필사적인 시도를 시도했다. 이 단계까지 영국 부대는 식량, 가솔린, 탄약이 거의 바닥났다. 영국의 차단선은 거의 뚫릴 뻔했고 차단력의 압도적인 크기와 힘을 확신하며 포위된 이탈리아 부대가 항복했다. 10군단은 파괴되었다.[14]

지휘관

전투순서

참고 항목

참조

  1. ^ L'Esercito Italiano Nella Grande Guerra(1915–1918), V권 V Le Operazioni Del 1918, Stato Maggiore Dell'Esercito, Upacio Storico, 페이지 142
  2. ^ L'Esercito Italiano, V권 1988, 페이지
  3. ^ L'Esercito Italiano, V권 1988, 페이지
  4. ^ L'Esercito Italiano, V권 1988, 페이지
  5. ^ 윌크스, 에일린, 1917–1918 이탈리아 영국군, 레오 쿠퍼(1998), 페이지 40
  6. ^ 윌크스, 1998, 페이지 40
  7. ^ L'Esercito Italiano, V권 1988, 페이지
  8. ^ L'Esercito Italiano, V권 1988, 페이지
  9. ^ Cavelero, Gaetano V, 최종 승리에서의 재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해체 … , 제3권 XLibris(2009) 페이지 543
  10. ^ 영국군 최고사령관이 1918년 12월 4일 전쟁사무소에 보고, 장군 카반 백작, K.P., K.C.B., M.V.O. 이탈리아 주둔 영국군 사령관, 항목 11항
  11. ^ Goch, John, 이탈리아 군대와 제1차 세계 대전, 2014년 캠브리지, 페이지 295
  12. ^ 유럽, 워싱턴 D.C.에 있는 미군과 전장: 미군 역사 센터, 1992페이지 430-431
  13. ^ 카반 백작, 1918년 제27호
  14. ^ Keegan, John; Macksey, Kenneth (1991). Churchill's Generals. London: Cassell Military. pp. 194–196. ISBN 0-304-367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