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렝가누 FC

Terengganu FC
테렝가누
풀네임테렝가누 축구 클럽
닉네임페뉴 (거북이)
히탐 푸티(흑백)
약칭TFC
설립된1956년 11월 22일; 67년 전 (1956-11-22) (테렝가누 FA)
술탄 미잔 자이날 아비딘 경기장
용량.50,000
대통령히샤무딘 압둘 카림
최고경영자모드 사브리 아바스
부장님토미슬라프 슈타인브루크너
리그말레이시아 슈퍼리그
2023말레이시아 슈퍼리그, 14강 6차전
웹사이트클럽 홈페이지
현시즌

테렝가누 축구 클럽(Terengganu Football Club)은 말레이시아 테렝가누 쿠알라 네루스를 연고로 하는 축구 클럽으로 말레이시아 축구 리그 시스템의 1부 리그인 말레이시아 슈퍼리그에 참가하고 있습니다. 1956년 11월 22일에 테렝가누 축구 협회(Terengaganu Football Association)로 설립되었으며, 1972년에 테렝가누 축구 협회(Terengaganu Football Association)로, 2018년에 테렝가누 축구 클럽(Terengaganu Football Club)으로 이름을 변경했습니다.

그 클럽은 말레이시아 축구에서 주요 트로피를 받았습니다. 국내에서는 말레이시아 컵 1회, 말레이시아 FA 컵 2회, 말레이시아 채리티 실드 1회, 말레이시아 프리미어 리그 2회, FA 리그 1회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테렝가누는 1982년 리그가 도입된 이후 현재까지 상위 플라이트 M리그에서 우승하지 못한 유일한 주 팀입니다.

역사

이 클럽은 1970년대에 머데카 경기장에서 열린 경기에서 셀랑고르에게 2-1로 패하면서, 하룬 주소가 이끄는 말레이시아 컵 결승전에 단 한 번 출전하는 데 그쳤으며,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습니다.[1] 그것은 1980년대에도 마찬가지였고, 1982년에 또 한 번의 결승전을 치렀는데, 아이러니하게도 셀랑고르를 상대로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연장전 끝에 셀랑고르가 1-0으로 이긴 것과 같은 결과였습니다.[2]

테렝가누는 1989년 세미프로리그가 도입됐을 때 지난 시즌 최종 포지션을 기준으로 2부리그에 속해 있었습니다.[3]

이들은 네덜란드의 거함 수비수 말론 리카르도데어 산더와 싱가포르 듀오 아흐마드 파이잔노르할리스 샤피크를 영입해 선수단을 보강했고 신뢰할만한 4위로 시즌을 마쳤지만 결국 승격에는 실패했습니다.[4]

1990년 시즌에는 압둘라 모하메드 감독과 독일 공격수, 프랭크 파스토르 감독이 미드필더인 마르틴 부스아흐마드 파이잔의 도움을 받으며 2부 리그 챔피언으로 올라섰습니다.[5] 그들은 시즌 내내 리그에서 단 한 번 패배하여 동부 해안의 라이벌인 켈란탄 FA에게 3점 차로 이겼습니다.[6]

1992년 시즌, 테렝가누는 파항 FA의 준우승으로 리그 최고 성적을 기록했습니다. 엘리펀츠는 말레이시아 컵 대회 준결승전에서 두 팀 모두 180분간 경기에서 득점하지 못하자 또다시 거북이들의 마음을 아프게 했고, 경기는 연장전으로 돌입했습니다.[7]

이후 몇 시즌 동안 테렝가누는 고전했고 1997년에 최하위를 기록하여 1998년 말레이시아 리그가 다시 2부 리그로 바뀌었을 때 2부 리그에 속하게 되었습니다.[8]

그 시즌, 압둘 라만 이브라힘이 지휘봉을 잡으면서 테렝가누는 2부 리그 챔피언으로 떠올랐고, 새롭게 개장한 부킷 잘릴 국립 경기장에서 열린 말레이시아 컵 결승전까지 진출했습니다. Perak FA가 상대였고 두 팀 모두 10만 명의 관중들을 신나는 축구로 즐겁게 했습니다. 그러나 120분 동안 경기를 진행한 결과 1-1로 두 팀이 나뉘지 못했습니다.[9] 승부차기의 추첨은 승자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었고, 결국 테렝가누는 말레이시아결승전에서 5-3으로 패하며 세 번째로 불운했습니다.[10]

1999년에는 당시 테렝가누 회장이었던 체 마트 주소가 팀을 이끌도록 임명되었습니다. 2000년과 2011년 팀 테렝가누 챔피언, 2004년 FA컵 준우승을 성공적으로 이끌었습니다. 2001 시즌 말레이시아 컵에서 첫 우승을 차지했고 2011 시즌에는 준우승을 차지했습니다. 테렝가누는 2001 시즌에 말레이시아 자선 방패를 수상했습니다. 프리미어리그 2005/2006 시즌에 팀은 포지션 개선에 성공합니다. 그 팀은 시즌 동안 준우승을 차지했습니다. 2010 시즌, 테렝가누는 말레이시아 슈퍼리그에서 3위로 마감했습니다.

2011 시즌, 테렝가누는 이르판 박티의 지도로 말레이시아 FA컵, 말레이시아 컵 준우승, 말레이시아 슈퍼리그 우승을 경험했습니다.[11]

테렝가누, 말레이시아 FA컵 2회 우승 따라서 2012년 AFC컵에 출전할 수 있는 자격을 얻었습니다. 노딘 앨리어스가 팀의 영웅이 되었습니다. 연장전에서 결승골을 넣었습니다.[12]

말레이시아 컵에서 테렝가누는 샤알람 경기장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네제리 셈빌란에게 졌습니다. 8강전에서 테렝가누는 라이벌인 켈란탄 F.A.를 이겨냈습니다. 준결승전에서 셀랑고르 F.A.는 또한 압둘 마나프 마마트에게 2골을 얻어 홈에서 2-0으로 이겼을 때 거북이들의 먹이가 되었습니다. 2차전에서 테렝가누는 2-1(아그 테렝가누 4-1 셀랑고르)로 승리했습니다.

결승전에서 테렝가누는 59분에 아샤리 삼수딘과 함께 득점의 포문을 열었습니다. 81분, 네게리 셈빌란이 S. 쿠날란을 통해 동점골을 넣었습니다. 하지만, 하이루딘 오마르는 86분에 그의 자전거 킥으로 테렝가누를 실망시켰습니다. Terengganu lost to Negeri Sembilan 1–2.

시즌이 끝나면, 이르판 박티 테렝가누 감독은 다음 시즌을 위해 다른 팀으로 이적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13]

2013년 시즌이 끝난 후 체마트 쥬소는 테렝가누 팬들의 요구대로 팀에 은제품을 가져오지 못하자 결국 회장직에서 물러났습니다.[14] 2013년 다툭아흐마드 니잠이 테렝가누를 인수하면서, 그는 다가오는 시즌에 테렝가누를 말레이시아 리그의 타이틀 경쟁자로 바꾸고 싶어합니다.

2018년에 이어 테렝가누 FC는 준결승에서 조호르 다룰 탁짐을 극적으로 꺾고 말레이시아 컵 결승에 올랐습니다.두 팀 모두 매우 훌륭하고 치열한 경기를 펼쳤지만 거북이들은 피, 땀, 눈물의 120분 후에 결승에 진출했습니다. 결승전에서 테렝가누 FC는 120분간 경기를 치른 후 페락 FC에게 패하고 테렝가누 FC가 4-1로 페널티킥을 얻은 후 승자는 페락 FC입니다.보스 고러스는 이번 경기에서 페락 FC가 약체가 되면서 멋진 복귀전을 치렀고 결승전에서 이겼습니다. 그러나 테렝가누 FC는 그날 밤 멋진 싸움을 보여주었고 그 경기는 놀라웠고 나중에 현대 시대 최고의 결승전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15]

2020년 팬데믹 기간

2020 시즌, 테렝가누는 말레이시아 슈퍼리그에서 3위를 차지할 정도로 좋은 성적을 거두었습니다.

테렝가누 FC와 페락 FA의 리그 첫 경기를 보기 위해 적어도 3만 명이 술탄 미잔 자이날 아비딘 경기장에 왔습니다. 그러나 테렝가누는 이 경기에서 1-3으로 졌습니다. 테렝가누는 원정팀 케다 FA를 상대로 4-3 승리를 거두고 셀랑고르 FA를 상대로 3-3 무승부를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이후 코로나19말레이시아 축구리그가 159일간 연기됐습니다.

테렝가누가 말레이시아 축구가 오랜만에 잠재운 경기는 페탈링 자야 스타디움에서 열린 페탈링 자야 시티 FC와의 경기로, 테렝가누는 피닉스를 상대로 2-0 승리를 거뒀습니다.

리그 최종전인 파항 FA전에서 테렝가누의 2-1 승리로 리그 최종 입지 확정.

테렝가누는 2020 말레이시아 컵에서 페탈링 자야 시티와 다시 맞붙어 1-0으로 이기고 8강에 진출해 페락 FA와 맞붙었는데, 페락은 연장전 끝에 승부차기로 3-3으로 패해 2018 말레이시아 컵에서 테렝가누를 꺾은 입니다. 그러나 말레이시아의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MFL의 항소를 정부가 거부함에 따라 대회가 취소되었습니다.

AFC컵 복귀

말레이시아의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2020년 말레이시아 FA컵2021년 AFC컵 조별리그 진출권을 획득할 예정이었던 말레이시아 축구협회에 의해 취소되고 무효가 선언되어 해당 시즌 리그에서 3위를 차지한 2020년 말레이시아 슈퍼리그 결과에 따라 결정되었습니다. 테렝가누는 3위를 차지함으로써 2021 AFC컵에서 비자카, 랄레녹 유나이티드, 게일랑 인터내셔널과 함께 I조에 편성되었지만 나중에 토너먼트에서 물러나는 자동으로 한 자리를 얻게 됩니다.

더 터틀스는 발리 유나이티드, 센트럴 코스트 매리너스, 스탤리온 라구나와 함께 2022 말레이시아 슈퍼리그 G조 2위로 2023-24 AFC컵 조별리그에 복귀했습니다. 2023년 9월 20일, 테렝가누는 호주의 센트럴 코스트 매리너스와의 홈경기에서 유명한 1-0 승리로 언론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클럽라이선스 규정

2018시즌

2019시즌

2020시즌

  • 테렝가누 축구 클럽은 현재 기업체가 운영하는 프로 축구 클럽입니다. 아브 라시드 주소 대표이사 선임, 모드 사브리 아바스 테렝가누 축구클럽 Sdn.Bhd COO 선임

라이벌리

테렝가누는 동부 해안 더비라고 알려진 두 동부 해안 클럽인 켈란탄과 오랜 라이벌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이 팀들은 1980년대 중반부터 말레이시아 동부 해안에서 지역 라이벌 관계를 형성했습니다. 하지만 2011년 말레이시아 FA컵 결승전에서 연장전 끝에 테렝가누가 2-1로 승리한 것은 동부 해안 더비가 처음이었습니다.

경기장

테렝가누 현 홈구장, 술탄 미잔 자이날 아비딘 스타디움

술탄 미잔 자이날 아비딘 경기장

테렝가누 주 홈구장은 현재 술탄 미잔 자이날 아비딘 경기장입니다. 경기장은 50,000명의 좌석을 수용할 수 있으며, 현재 테렝가누 통치자인 술탄 미잔 자이날 아비딘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습니다. 이 경기장은 말레이시아 반도의 동해안 지역에서 가장 큰 경기장이며 술탄 이스마일 나시루딘 경기장을 대체하기 위해 지어졌습니다. 술탄 미잔 자이날 아비딘 경기장은 테렝가누가 2008년 수크마 대회 개최권을 획득하면서 지어졌고 그해 4월 완공됐습니다. 2008년 5월 10일, 당시 제13대 양디페르투안 아공이었던 술탄 미잔 자이날 아비딘이 경기장을 맡았습니다.

테렝가누는 2008년 7월에 경기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기 시작했고, 멜라카는 2008년 7월 15일에 열린 더 터틀러스와의 경기에서 첫 상대가 되는 영광을 누렸습니다.

지붕의 첫번째 붕괴

그러나 2009년 6월 2일에 경기장의 지붕 구조물이 붕괴되어 테렝가누는 당시 철거 과정에 있던 술탄 이스마일 나시루딘경기장으로 다시 옮겨야 했습니다. 경기장의 원래 수용 인원을 2만 명으로 늘렸던 상부 구간은 철거됐고, 무거운 차량들이 몰리면서 경기장 상태가 좋지 않았습니다.

당시 상황이 급박했기 때문에 경기장은 빠르게 고쳐졌고, 말레이시아축구협회(FAM)의 최소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복구되었으며, 테렝가누는 다른 곳에서 홈경기를 치르지 않았지만 수용 인원은 15,000명에 불과했습니다.

테렝가누가 지난 시즌 2011 말레이시아 FA컵 우승에 이어 2012년 AFC컵 본선에 진출하면서 경기장에 추가 업그레이드가 설치됐습니다.

2015년 5월에. 술탄 미잔 자이날 아비딘 경기장은 테렝가누가 술탄 미잔 자이날 아비딘 경기장으로 복귀한 경기장에서 진행된 수리 및 업그레이드에 대해 경기위원들이 만족한 후 FAM으로부터 다시 경기를 개최할 수 있는 청신호를 받았습니다. 그러나 테렝가누 2세는 술탄 이스마일에 머물기로 결정했습니다. 나시루딘 샤 경기장.

군중문제

하지만 2015 말레이시아 FA컵 준결승전에서 테렝가누가 라이온스X에 밀려 탈락한 뒤 테렝가누 팬들이 난동을 부린 뒤 재오픈 후 열린 첫 경기는 관중 문제로 끝났습니다.경기 관계자의 판정에 대한 불만으로 인한 원정 다득점 규칙 2. 테렝가누는 FAM으로부터 벌금을 부과받았고, 무관중으로 두 경기를 치르라는 명령을 받았습니다.

원래 경기장의 수용 인원은 51,000명이었지만 안전상의 이유로 주 스탠드의 상단이 폐쇄되어 경기장의 수용 인원은 한 번에 35,000명으로 감소했습니다.

술탄 이스마일 나시루딘 샤 경기장

앞서 테렝가누는 1960년대 말 경기장이 완공된 이후 소형 술탄 이스마일 나시루딘경기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했으며 테렝가누의 피더팀인 테렝가누 2세의 홈구장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테렝가누는 2018 말레이시아 슈퍼리그 시즌을 위해 술탄 이스마일 나시루딘 샤 경기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할 예정이며, 이는 술탄 미잔 자이날 아비딘 경기장이 경기장의 질을 높이기 위해 다시 한 번 단장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16]

소유 및 재무

후원

계절

키트 제조사 셔츠 스폰서(가슴)
1990–1993 푸마 던힐
EON은행
1994-1995 아디다스
1996–1999 7호선
2000–2004 미즈노 텔레콤 말레이시아
2005–2010 프로닉
2011 사양
2012 탑아이티
2013 Desa Murni Batik
2014 엄브로
2015 라당 라at
2016 코베르트 주식회사 테렝가누
2017 치킨 코티지
2018
2019 AL 스포츠 주식회사 테렝가누
2020 다시 한 번
2021
2022–2023 엄브로 콜레버
2024-2025 ALX 히즈라 클리닉

2013년 초, Desa Murni Batik이라는 지역 섬유 회사는 400,000 RM에 해당하는 1년 동안 Terengaganu를 후원하기로 합의했고, 그것은 그 회사가 한 가장 큰 투자였습니다.

AL은 2019년부터 2021년까지 구단의 의류 후원사가 되었습니다.

2022년 알익산을 통한 엄브로 말레이시아는 다시 한 번 후원 가치 180만 RM으로 2022년과 2023년 시즌의 공식 후원사이자 테렝가누 키트 공급사로 합의했으며, 이는 현재 말레이시아의 클럽에 제공한 가장 큰 가치입니다. 엄브로가 테렝가누를 후원한 것은 2014시즌과 2015시즌이 마지막이었습니다.

2022년 1월 18일, TDC Holdings Sdn Bhd는 2022년과 2023년 시즌의 메인 스폰서로서 2년 계약을 체결하고, 야쿠르트 말레이시아와 레드원을 대체하는 테렝가누 FC의 새로운 플래티넘 스폰서가 되었습니다. 그들은 두 시즌 동안 총 450만 RM을 만들면서 현금 400만 RM과 상품 50만 RM을 주기로 합의했습니다.[17]

선수들

1군 선수단

2023년 12월 31일 기준

참고: 국기는 FIFA 자격 규칙에 정의된 국가대표팀을 나타냅니다. 선수들은 두 개 이상의 비 FIFA 국적을 가질 수 있습니다.

No. Pos. 국가 플레이어
1 GK Malaysia 마스 라하디즐리 라할림 U23
3 DF Malaysia 마스 Ubaidullah Shamsul U23
4 DF Netherlands NED 매튜 스틴부르덴 I
5 DF Malaysia 마스 샤룰 니잠 로스 하스니
7 FW Croatia CRO 이반 마무트 I
8 MF Philippines PHI 마누엘 오트 S
9 FW Nigeria NGA 이스마힐 아키나데 I
10 MF Uzbekistan UZB Nurillo Tukhtasinov A
11 FW Malaysia 마스 사파위 라시드 (조호르 다룰 타짐에게서 대출받음)
14 MF Malaysia 마스 아크람 마히난
16 MF Malaysia 마스 하키미 압둘라
17 DF Malaysia 마스 파리 라시드
18 MF Malaysia 마스 노하킴 하산
19 MF Malaysia 마스 시아피크 이스마일
No. Pos. 국가 플레이어
20 DF Malaysia 마스 하이리 하킴 마마트
22 FW Malaysia 마스 누르 샤키르 야콥
23 DF Malaysia 마스 아잠 아즈미 (조호르 다룰 타짐에게서 대출받음)U23
24 DF Malaysia 마스 사프완 마즐란 U23
25 DF Malaysia 마스 Alif Zakaria
29 GK Malaysia 마스 시드 무함마드 나스룰하크
33 FW Malaysia 마스 아키아르 라시드 (조호르 다룰 타짐에게서 대출받음)
36 DF Montenegro MNE 아르짐 레드 ž비치
38 GK Malaysia 마스 수하이미 후신
46 MF Malaysia 마스 Syahmi Zamri
60 MF Croatia CRO 마린필즈 I
88 MF Malaysia 마스 닉 샤리프 해시피
비고:

I 이 선수들은 국제 선수로 등록되어 있습니다.
A 이 선수들은 아시아 선수로 등록되어 있습니다.
S 이 선수들은 아세안 선수로 등록되어 있습니다.
U23 이 선수들은 23세 이하 선수로 등록되어 있습니다.

U19 이 선수들은 19세 이하 선수로 등록되어 있습니다.

대출중

참고: 국기는 FIFA 자격 규칙에 정의된 국가대표팀을 나타냅니다. 선수들은 두 개 이상의 비 FIFA 국적을 가질 수 있습니다.

No. Pos. 국가 플레이어
2 DF Malaysia 마스 아리프 파질라 아부 바카르 (쿠칭시 임대)
15 MF Malaysia 마스 Zuasyraf Zulkiefle (Kelantan Darul Naim F.C. 임대 중)
23 DF Malaysia 마스 Aqil Irfanuddin (페낭에서 임대 중)

기타 계약중인 선수

참고: 국기는 FIFA 자격 규칙에 정의된 국가대표팀을 나타냅니다. 선수들은 두 개 이상의 비 FIFA 국적을 가질 수 있습니다.

No. Pos. 국가 플레이어
MF Malaysia 마스 Azfar Fikri
FW Malaysia 마스 Muslihuddin Atiq
No. Pos. 국가 플레이어
MF Malaysia 마스 Amirul Syazwan
DF Malaysia 마스 샤피크 다니알

-->

개발대

Terengganu F.C. III(U-21)

Terengganu F.C. 3세는 말레이시아 프레지던트컵에 출전합니다.

아니요. 이름. 국적. 위치 디오비
골키퍼
1 무함마드 피르다우스 아즈미 Malaysia 지케이 1999
28 무함마드 샤즈완 유소프 Malaysia 지케이 2000
수비수
2 Wan Muhd Badrulmuhaat Wan Ismail Malaysia RB,RWB 2000
3 무하마드 아잠 모드 라잘리 Malaysia LB, LWB 1999
4 아흐마드 자프리 자카리아 Malaysia CB 1999
5 무함마드 아미룰 자이누딘 Malaysia CB 2000
7 파리 이크말 마마트 Malaysia RB,RWB 2000
19 무함마드 피르다우스 루스디 Malaysia LB, LWB 12/12/99
21 무함마드 샤피크 다니엘 모드 롬지 Malaysia CB 1999
23 닉 머드 아담 피트리 닉 소 Malaysia RB,RWB 1/2/99
24 무함마드 아즈룰 자프리 Malaysia CB,RB 22/1/99
미드필더
6 무흐드 누르 아즈파르 피크리 아즈하르 Malaysia CM 5/2/00
8 무함마드 시아이풀 하킴 샤룰 Malaysia CM 26/6/99
9 닉 무드 이샴 모드 일라히 Malaysia RM,RW 2000
10 Muhd Syahmi Mohd Khazani Malaysia AM,CM 2000
14 무흐드 파흐미 누만 모하맛 Malaysia AM,CM 2000
16 완 알리프 아이만 로스마이디 Malaysia CM, DM 1999
17 아킬 덴마크 아즈만 Malaysia CM 2000
20 무함마드 히샴 이스마일 Malaysia RW, RM 2000
25 아흐마드 누르 라만 압둘 라시드 Malaysia LW, LM 2000
27 아즈룰 이르판 모드 로스 Malaysia RW, RM 1999
30 무함마드 아라미 이스마일 Malaysia AM,CM 2000
포워드
11 무흐드 이사 라만 Malaysia 세인트 2000
13 모드 야우미자만 카마룰 핫타 Malaysia 세인트 1999
18 아흐마드 루크만 눌 하킴 자카리아 Malaysia 세인트 1999
22 완 아리프 하키미 완 아흐마드 Malaysia 세인트 2000

출처:[18]

Terengganu F.C. IV (U-19)

Terengganu F.C. IV는 말레이시아 유스컵에 출전합니다.

아니요. 이름. 국적. 위치 디오비
골키퍼
1 무함마드 파이즈 하키미 마르주키 Malaysia 지케이 2001
18 Afham Aizat Zakaria Malaysia 지케이 2002
24 아흐마드 이르판 이브라힘 Malaysia 지케이 2001
수비수
2 Muhd Adib Qusyairie Salim Malaysia RB/RWB 2002
3 니크 이크말 니크 아흐마드 아판디 Malaysia LB/LWB 2001
4 Syakiman Aqashah Fadzal Malaysia CB 2001
6 무함마드 사프완 마즐란 Malaysia CB 2002
7 무함마드 리잘미 익환 로자이 Malaysia CB 2002
12 아흐마드 수피안 심술 리잘 Malaysia LB/LWB 2001
14 무함마드 파리 마젤리 Malaysia CB 2002
16 무함마드 하지크 유소프 Malaysia RB/RWB 2001
22 아흐마드 바샤루딘 와합 Malaysia CB/RB/LB 2002
26 누르 아이말 아키프 아즈미노르카말 Malaysia LB/LWB 2002
미드필더
5 무함마드 샤룰 마카수프 Malaysia CM/DM 2001
8 무함마드 아마르 샤흐미 모드 아스비 Malaysia CM 2001
10 무함마드 샤히르 모드 파우지 Malaysia AM/CM 2002
11 아흐마드 아킬 아시라프 아왕 Malaysia LM/LW 2002
19 무함마드 샤히르 아킬 모드 자이디 Malaysia CM 2002
20 무함마드 리주안 무다 Malaysia AM/CM 2001
21 누르 무함마드 알라민 모드 자히드 Malaysia DM/CM 2002
23 무함마드 아이만 하키미 마후신 Malaysia RW/RM 200`
25 이크말 줄하이카 마즐란 Malaysia LW/LM 2002
28 무함마드 자힌 라이미 자마니 Malaysia DM/CM 2002
29 무함마드 아미르 아흐자 아즈마 Malaysia RM/RW 2002
포워드
9 Mohd Khala'if Mohd Naskam Malaysia 세인트 2001
13 카이룰 하피주딘 오마르 바키 Malaysia 세인트 2002
17 닉 무흐드 이사흐드 일라히 Malaysia 세인트 2002
27 무함마드 하즈완 쿠시아이리 하즈림 Malaysia 세인트 2001

출처:[19]

코칭스태프

위치 이름.
부팀장 Malaysia 캄롤 이삼 모드
스포츠 디렉터 Malaysia Zul Fadli Rozi
테크니컬 디렉터 공실
부장님 Croatia 토미슬라프 슈타인브루크너
대리 Malaysia 바드룰 아프잔 라잘리
피트니스 코치 Croatia 흐보제 브라다식
피트니스 코치 보조 Malaysia 모하맛 에핀디 모흐마드 살레
골키퍼 코치 Croatia 다모지 말로반
물리치료사 Malaysia Zulkifli Mohd Zin
팀 닥터 Malaysia 리렁텅
마수르 Malaysia 무함마드 리숭 킨
Malaysia 무함마드 파이즈 만자
팀 분석가 Malaysia 아미룰 무스타킴
키트맨 Malaysia Md Muzi Ismail
Malaysia 아흐마드 파흐루딘 압둘 아지즈
Malaysia 람리 우마트
U21 매니저 Malaysia 모드 라시디 하마트
U21 Ast. 부장님 Malaysia Zulkiflee Nawi
U21 감독 알 수 없는
U21 코치 Malaysia 압둘 잘릴 압둘 와히드
U21 골키퍼 코치 Malaysia 주비르 이브라힘
U21 피트니스 코치 Malaysia 모드 노루딘 압둘 마나프
U21 피지오 Malaysia 압둘 라작 모드 누르
U21 마수르 Malaysia 모드 솔라후딘 비딘
U19 매니저 Malaysia 야하야 모드 누르
U19 Ast. 부장님 Malaysia 람리 오스만
U19 사령탑 Malaysia 완 아드레미 인데라 완 아드난
U19 코치 Malaysia
U19 골키퍼 코치 Malaysia모드 심수리 무스타파
U19 피트니스 코치 Malaysia Shahrulnizam Mohamad
U19 피지오 Malaysia 툰사이풀 리주안 라잘리
학원장 Malaysia 모드 노루딘 압 마나프

-->

감독 이력

날짜 이름 메모들
알 수 없는 Malaysia 압둘라 모하마드
알 수 없는 Malaysia 타주딘 노르
1983–1984 Malaysia 압둘 라만
1993 Bosnia and Herzegovina 마르코 빌리치
1998 Malaysia 압둘 라만
1998–2000 Malaysia 유누스 알리프
2001–2004 알 수 없는
2005–2008 Malaysia 유누스 알리프
2009 Malaysia 모하마드 니크
England 켄 워든
2010–2011 Malaysia 이르판 박티
2012 Malaysia 마트잔 마트 아리스
Malaysia 칼리드 모드 다한 관리인
England 피터 버틀러 FAM에 의해 6개월 정지됨
Malaysia E. Elavarasan
2013 Malaysia E. Elavarasan
2014 Malaysia 압둘 라만
2015-2016 Malaysia 아흐마드 유소프
2016 England 마이크 멀비
Malaysia 무스타파 카말 관리인
Malaysia 체쿠 마르즈키[20][21]
2017–2019 Malaysia 이르판 박티
2019–2022 Malaysia Nafuzi Zain 2019년말까지 관리인
2022– Croatia 토미슬라프 슈타인브루크너

관리팀

테렝가누 이사회

위치 직원
대통령 히샤무딘 압둘 카림
제1부사장
제2부사장 마르즈키 술롱
부사장 Tuan Kechil Tuan Tengah
비서 텡쿠 파록 후신 빈 텡쿠 압둘 잘릴

테렝가누 축구 클럽

사무실. 이름.
최고경영자 모드 사브리 아바스
최고운영책임자 Mohd Syahrizan
최고기술책임자
최고 마케팅 책임자 줄리 크람 아르핀
클럽 비서 Mohd Syahrizan
정보 기술 관리자 줄 아르만 샤
비즈니스&홍보담당 무함마드 샤즈완 모드 가잘리

아너즈

국내대회

리그

컵스

외국대회

AFC 경기

프리시즌 대회

  • 테렝가누 수석장관배[22]
    • 수상자 (1): 2018[23]

클럽기록

2023년 12월 18일 업데이트.

참고:

  • Pld = Played, W = Won, D = Draw, L = Lost, F = Goals for, A = Goals 상대, Pts = Points, Pos = Pos

1위 또는 챔피언 2위 또는 2위 3등 승급 강등

계절 리그 아시아 상위 목표 점수
나누기 플드 W D L F A Pts 포스 자선. 말레이시아 FA 경쟁. 결과 플레이어 목표들
1952 이스턴[24] 2 1 1 0 5 4 4 첫 번째 준결승전
1953 리그 이스트 존 1 0 0 1 2 5 0 세번째 자격 없음
1954 리그 이스트 존 2 1 0 1 6 4 2 첫 번째 플레이오프 SF
1955 리그 이스트 존 2 1 0 1 5 4 2 두번째 자격 없음
1956 리그 이스트 존 2 0 0 2 2 6 0 세번째 자격 없음
1957 리그 이스트 존 2 1 0 1 4 7 2 두번째 자격 없음
1958 리그 이스트 존 2 0 0 2 1 8 0 세번째 자격 없음
1959 리그 이스트 존 4 0 0 4 1 25 0 세번째 자격 없음
1960 리그 이스트 존 4 0 0 4 2 16 0 세번째 자격 없음
1961 리그 이스트 존 4 0 1 3 5 18 1 세번째 자격 없음
1962 리그 이스트 존 4 1 0 3 5 8 2 두번째 자격 없음
1963 리그 노스 존 12 2 1 9 11 57 5 6일 자격 없음
1964
1965 리그 이스트 존 4 2 0 2 11 16 4 두번째 자격 없음
1966 리그 이스트 존 4 3 1 0 10 6 7 첫 번째 준결승전
1967 리그 이스트 존 4 2 2 0 10 5 6 첫 번째 준결승전
1968 리그 이스트 존 4 2 1 1 10 9 5 두번째 자격 없음
1969 리그 이스트 존 4 3 0 1 14 5 6 두번째 준결승전
1970 리그 이스트 존 6 2 3 1 15 9 7 두번째 자격 없음
1971 리그 이스트 존 6 1 1 4 8 12 3 세번째 자격 없음
1972 리그 이스트 존 4 2 1 1 11 4 5 첫 번째 준결승전
1973 리그 사우스 존 두번째 준우승
1974 리그 사우스 존 10 4 3 3 15 11 11 4일 자격 없음
1975 리그 사우스 존 10 2 4 4 9 18 8 5일 자격 없음
1976 리그 사우스 존 자격 없음
1977 리그 사우스 존 10 5 2 3 21 11 12 두번째 준결승전
1978 리그 사우스 존 10 4 4 2 18 9 12 세번째 자격 없음
1979 리그 15 7 3 5 28 20 17 7일 자격 없음
1980 리그 15 5 5 5 20 19 15 9일 자격 없음
1981 리그 16 6 5 5 15 22 17 9일 자격 없음
1982 말레이시아 리그 준우승
1983 말레이시아 리그 15 24 27 10 14일 자격 없음
1984 말레이시아 리그 15 4 5 6 20 21 17 11일 자격 없음
1985 말레이시아 리그 15 9 2 4 29 17 29 4일 준결승전
1986 말레이시아 리그 15 7 4 4 17 12 25 6일 준준결승
1987 말레이시아 리그 16 9 4 3 27 13 31 5일 준준결승
1988 말레이시아 리그 16 6 5 5 18 21 23 10일 자격 없음
1989 세미프로리그2 14 5 7 2 26 14 22 4일 자격 없음
1990 세미프로리그2 14 10 3 1 16 16 23 첫 번째 조별리그 1라운드
1991 세미프로리그1 18 8 2 8 17 20 18 6일 조별리그 1라운드
1992 세미프로리그1 18 8 5 5 24 23 21 두번째 준결승전 준결승전 Slovakia 마리안 발라흐 8
1993 세미프로리그1 18 3 5 10 19 36 14 8일 자격 없음 1라운드
1994 프리미어리그 28 12 7 9 46 42 43 7일 조별리그 Malaysia 아리핀 오스만 18
1995 프리미어리그 28 12 3 13 43 53 39 8일 조별리그 Nigeria 에드워드 디프리 12
1996 프리미어리그 28 4 8 16 16 55 20 13일 자격 없음
1997 프리미어리그 28 6 4 18 26 55 22 15일 자격 없음 준결승전
1998 프리미어2 14 9 3 2 32 12 30 첫 번째 준우승 1라운드
1999 프리미어 1 18 4 7 7 15 19 23 8일 준결승전 준우승
2000 프리미어 1 22 8 10 4 36 22 34 4일 조별리그 챔피언스
2001 프리미어 1 22 12 5 5 37 20 41 두번째 챔피언스 챔피언스 2차
2002 프리미어 1 26 12 5 9 36 24 41 5일 준우승 조별리그 준준결승 Malaysia 사피안 와히드 13
2003 프리미어 1 24 4 3 17 24 52 15 13일 자격 없음 2차 Malaysia 텡쿠 아담 로슬리 8
2004 프리미어리그 24 8 11 5 33 27 35 5일 자격 없음 준우승 Togo Alfa Fotowabawi
Brazil 주란디르 도스 산토스
13
2005 프리미어리그 21 13 4 4 34 18 43 두번째 준결승전 준준결승 Brazil 주란디르 도스 산토스 10
2005/06 프리미어리그 21 12 5 4 47 21 41 두번째 준준결승 준준결승
2006/07 슈퍼리그 24 13 5 6 41 29 44 4일 준결승전 32강
2007/08 슈퍼리그 24 10 7 7 41 31 37 6일 준결승전 준결승전 Brazil 글리슨 프레이어 11
2009 슈퍼리그 26 15 2 9 46 29 47 5일 준결승전 16강 Malaysia 아샤리 삼수딘 22
2010 슈퍼리그 26 16 5 5 54 24 53 세번째 준결승전 준준결승
2011 슈퍼리그 26 16 5 5 54 26 53 두번째 준우승 챔피언스 Malaysia 압둘 하디 야히야 24
2012 슈퍼리그 26 11 8 7 41 33 41 5일 조별리그 준결승전 AFC컵 16강 Liberia 프랜시스 포키 도 21
2013 슈퍼리그 22 7 6 9 25 31 27 9일 조별리그 준결승전 Cameroon Effa Owona 14
2014 슈퍼리그 22 10 6 6 38 28 36 4일 준준결승 32강 Malaysia 노파르한 8
2015 슈퍼리그 22 12 2 8 40 33 38 4일 조별리그 준결승전 Brazil 파울로 랑겔 16
2016 슈퍼리그 22 5 4 13 21 44 19 12일 조별리그 2차 Canada 이세이 나카지마 7
2017 프리미어리그 22 15 2 5 42 27 47 두번째 조별리그 준결승전 Ivory Coast Kipré Tchétché 12
2018 슈퍼리그 22 10 4 8 32 31 34 5일 준우승 3라운드 Ivory Coast Kipré Tchétché 24
2019 슈퍼리그 22 7 9 6 35 37 30 7일 준준결승 준준결승 Ivory Coast Kipré Tchétché 14
2020 슈퍼리그 11 6 1 4 24 14 18 세번째 취소된 취소된 Mauritania 도미니크 다 실바 9
2021 슈퍼리그 22 10 6 6 33 20 38 4일 준결승전 취소된 AFC컵 아세안 지역 취소 Brazil 다비드 다 실바 7
2022 슈퍼리그 22 14 2 6 39 20 44 두번째 준결승전 준우승 Ivory Coast Kipré Tchétché 13
2023 잘 하는 군요

리그

26 11 7 8 45 34 40 6일 준우승 준우승 준결승전 AFC컵 그룹.

단계.

Croatia 이반 마무트 11

출처:[25][26]

대륙별 기록

계절 경쟁. 라운드 상대 집입니다 떨어져 집합체
2012 AFC컵 F조 Vietnam 송람응안
6–2
1–0
2nd out of 4
Hong Kong 키치
0–2
2–2
Singapore 탐핀스 로버스
0–2
1–0
16강 Malaysia 켈란탄
2–3
2021 AFC컵 1조 취소된
2023–24 AFC컵 G조 Australia 센트럴 코스트 매리너스
1–0
1–1
2nd out of 4
Indonesia 발리 유나이티드
2–0
1–1
Philippines 스탤리온 라구나
2–2
3–2

개인선수상

말레이시아 슈퍼리그 골든 부츠 – 종합 득점 1위

연도 플레이어 총 목표
2010 Malaysia 아샤리 삼수딘[27] 18
2011 Malaysia 압둘 하디 야히야[28] 20
2012 Liberia 프랜시스 도[29] 15

참고문헌

  1. ^ "Malaysia 1973". Rec.Sport.Soccer Statistics Foundation. Retrieved 2 December 2020.
  2. ^ "Malaysia 1982". Rec.Sport.Soccer Statistics Foundation. Retrieved 29 February 2012.
  3. ^ "Malaysia - List of Second Level Champions". Rec.Sport.Soccer Statistics Foundation. Retrieved 7 February 2019.
  4. ^ "Malaysia - List of Second Level Champions". Rec.Sport.Soccer Statistics Foundation. Retrieved 7 February 2019.
  5. ^ "Liga Semi-Pro 1990" (in Malay). Malaysia football dimos. 4 December 201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November 2021. Retrieved 24 November 2021.
  6. ^ "Malaysia - List of Second Level Champions". Rec.Sport.Soccer Statistics Foundation. Retrieved 7 February 2019.
  7. ^ "Malaysia 1992". Rec.Sport.Soccer Statistics Foundation. Retrieved 19 April 2003.
  8. ^ "Malaysia 1997". Rec.Sport.Soccer Statistics Foundation. Retrieved 19 June 2003.
  9. ^ "Malaysia 1998". Rec.Sport.Soccer Statistics Foundation. Retrieved 19 April 2003.
  10. ^ "Malaysia 1998". Rec.Sport.Soccer Statistics Foundation. Retrieved 19 April 2003.
  11. ^ "Terengganu naib juara Liga Super 2011". Sokernet.com. 6 July 2011. Retrieved 6 July 2011.
  12. ^ "Supersub Ahmad Nordin on cloud nine after heroic feat". The Star Online. Retrieved 13 June 2011.
  13. ^ "Jurulatih Irfan tinggalkan Terengganu buru cabaran baru". Utusan Malaysia. Retrieved 31 October 2011.
  14. ^ "Terengganu FA President Che Mat Jusoh to step down". Goal.com. 8 August 20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September 2018. Retrieved 8 August 2013.
  15. ^ "Datuk Wan Ahmad Nizam Presiden baru PBSNT". Utusan Malaysia (in Malay). 17 September 20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1 December 2013. Retrieved 17 September 2013.
  16. ^ 하리안 메트로, 2018년 1월 15일 (말레이)
  17. ^ Muhammad, Malik (18 January 2022). "TFC terima tajaan RM4.5 juta". Berita Harian (in Malay). Retrieved 27 February 2022.
  18. ^ "Terengganu U21 2020". FAM. Retrieved 9 June 2020.
  19. ^ "Terengganu U19 2020". FAM. Retrieved 9 June 2020.
  20. ^ "TERENGGANU TAGIH SENTUHAN AJAIB CHE KU MARZUKI" (in Malay). Terengganu Sebelas. August 2016. Retrieved 28 July 2021.
  21. ^ Faizul Azlan Razak (16 August 2016). "Dua jurulatih bergabung 'selamatkan' Terengganu" (in Malay). Berita Harian. New Straits Times Press (M) Bhd. Retrieved 28 July 2021.
  22. ^ "Piala Menteri Besar Terengganu uji lagi kemampuan TFC I" (in Malay). Berita Harian at Wayback Machine. 13 January 201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January 2018. Retrieved 13 January 2018.
  23. ^ "TFC I juara Piala Menteri Besar Terengganu" (in Malay). Harian Metro at Wayback Machine. 21 January 201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July 2021. Retrieved 13 July 2021.
  24. ^ Karel Stokkermans (11 January 2018). "Malaysia 1952". Rec.Sport.Soccer Statistics Foundation. Retrieved 31 July 2021.
  25. ^ "Summary - Super League - Malaysia - Results, fixtures, tables and news - Soccerway".
  26. ^ "Malaysia 2016".
  27. ^ "Ashari rangkul Kasut Emas 2010". Kosmo. Retrieved 1 July 2010.
  28. ^ "Hadi gembira menang kasut Emas 2011". Berita Harian. Retrieved 8 July 2011.
  29. ^ "Forkey Doe, Owona dinobat pemenang kasut emas". Sinar Harian. Retrieved 20 July 2012.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