템즈 터널
Thames Tunnel좌표: 51°30′11″n 0°03′07″W / 51.503°N 0.052°W
템즈 터널은 런던의 템즈강 아래에 있는 터널로 로테르히테와 와핑을 잇는 터널이다. 가로 35피트(11m) 세로 20피트(6m) 높이, 세로 1300피트(396m)로, 만조 때 측정한 강 표면 아래 75피트(23m) 깊이에서 달린다. 항해할 수[1] 있는 강 아래에 성공적으로 건설된 것으로 알려진 최초의 터널로, 1825년에서 1843년 사이에 마크 브루넬과 그의 아들 아이삼바드가 장로 브루넬과 토마스 코크란이 새로 개발한 튜닝 실드를 사용하여 건설했다.
이 터널은 원래 말이 끄는 마차용으로 설계됐지만 보행자들이 주로 이용하면서 관광명소가 됐다. 1869년에 동런던 노선에 의해 철도 터널로 전환되었고, 2010년부터 런던 교통의 소유 하에 런던 오버그라운드 철도 네트워크의 일부가 되었다.
역사와 발전
건설
19세기 초에는 템스 강의 남북 제방 사이의 새로운 육지 연결이 절실히 요구되어 강 양쪽에 확장되어 있는 부두들을 연결하였다. 엔지니어인 랄프 도드는 1799년 그레이브센드와 틸버리 사이에 터널을 건설하려 했으나 실패했다.[2]
1805-09년 리처드 트레비딕을 포함한 코니쉬 광부 집단은 로테르히테와 와핑/라임하우스 사이의 더 높은 강에 터널을 파려고 했으나 땅의 어려운 조건 때문에 실패했다. 코르니쉬 광부들은 단단한 바위에 익숙했고 부드러운 점토와 모래에 대한 방법을 수정하지 않았다. 이 템즈아치웨이 프로젝트는 총 1,200피트(366m)의 1,000피트(305m)가 발굴되었을 때 두 차례나 최초의 파일럿 터널(드립웨이)이 범람하면서 중단되었다.[3] 그것은 가로 2-3피트, 세로 5피트(61-91cm, 세로 1.5m) 밖에 측정되지 않았으며 승객을 위한 더 큰 터널의 배수구로 의도되었다.[4] 템즈아치웨이 프로젝트의 실패로 엔지니어들은 "지하 터널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5]는 결론을 내렸다.
그러나 영불의 엔지니어 마크 브루넬은 이 결론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1814년 그는 러시아의 알렉산더 1세 황제에게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네바 강 아래에 터널을 건설하는 계획을 제안했다. 이 계획은 거절되었지만(대신 다리가 건설되었다) 브루넬은 새로운 튜닝 방법에 대한 아이디어를 계속 개발했다.[2]
브루넬은 1818년 1월 튜닝 기술의 혁명적인 진보인 튜닝링 실드에 특허를 얻었다. 1823년 브루넬은 로테르히테와 와핑 사이의 터널에 대한 계획을 세웠는데, 이 터널은 그의 새로운 방패를 이용해 파게 될 것이다. 웰링턴 공작 등 개인 투자자들로부터 곧 자금조달이 발견되었고, 1825년 2월부터 시작된 프로젝트인 1824년에 템즈 터널 회사가 설립되었다.[3]
첫 번째 단계는 강둑에서 150피트(46m) 떨어진 로테르히테의 남쪽 둑에 대형 갱도를 건설하는 것이었다. 그것은 지상에서 직경 15m의 철제 고리를 조립하여 파냈다. 그 위에 높이 12m, 두께 3피트(91cm)의 벽돌 벽이 세워졌는데, 강력한 증기 엔진이 그것을 뛰어넘어 굴착 펌프를 구동한다. 전체 기구의 무게는 1000t으로 추정됐다.[2] 반지의 날카로운 하단 가장자리 아래의 흙은 브루넬의 인부들에 의해 수동으로 제거되었다. 따라서 전체 샤프트는 거대한 페이스트리 절단기처럼 부드러운 땅을 헤치며 자신의 무게로 점차 가라앉았다. 갱도는 가라앉는 동안 주변의 지구의 압력이 그것을 제자리에 단단히 고정시키면서 한 지점에 고착되었다. 그것의 하강을 계속하기 위해 추가 무게가 필요했다; 5만 개의 벽돌을 임시 무게로 추가했다. 이 문제는 샤프트의 옆면이 평행하기 때문에 발생했다는 것이 밝혀졌다. 수년 후 와핑 샤프트가 건설되었을 때, 그것은 윗부분보다 아랫부분이 약간 더 넓었다. 이 비실런트 테이퍼링 설계는 그것이 고착되지 않도록 보장했다. 1825년 11월에 로테르히테 축이 설치되었고 튜닝 작업이 시작될 수 있었다.[3]
헨리 모드슬레이의 람베스 작품에서 제작되어 로테르히테 갱도에 조립된 튜닝링 방패는 브루넬이 템즈 터널을 건설하는 데 중요한 열쇠가 되었다. 일러스트레이티드 런던 뉴스는 그것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이 위대한 발굴이 이루어진 모드는 방패라고 하는 강력한 기구에 의한 것으로서 12개의 큰 틀로 이루어져 있고, 책장 선반 위에 많은 책장처럼 서로 가까이 놓여 있고, 3단계나 이야기로 나누어 각각 1명의 일꾼을 위해 36개의 세포실을 제시하고, 후면에 개방하는 방식이었다. 이동 가능한 판자로 정면을 닫았다. 전면을 지면에 대어 제거하였고, 작업자는 판자 하나를 제거하여 그 뒤의 흙을 지시된 깊이까지 굴착하여 노출된 새 표면에 판자를 배치하였다. 판자는 그 후 세포보다 먼저 있었고, 소품들에 의해 제자리에 보관되었다. 그래서 모든 판자를 진행시켰고, 각 세포는 머리와 발에 각각 나사 두 개씩 전진했다. 그리고 완성된 벽돌공사에 기대어 돌리면 빈 공간으로 앞으로 밀어넣었다. 그 후 다른 한 무리의 사단들이 전진했다. 광부들이 세포의 한쪽 끝에서 일했기 때문에, 벽돌공들은 다른 쪽 끝, 옆쪽, 바닥에 형성되었다.[6]
방패의 12개 틀은 각각 7톤이 넘는 무게가 나갔다.[4] 튜닝 실드의 핵심 혁신은 붕괴 위험을 줄이기 위해 앞과 주변에 선이 없는 지반을 지원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브루넬 본인을 포함한 많은 노동자들은 곧 위 강에서 더러운 하수 범람으로 인한 열악한 환경으로 인해 병에 걸렸다. 이 오수는 광부들의 석유 램프에 의해 점화된 메탄가스를 방출했다. 상주 엔지니어인 존 암스트롱이 1826년 4월 마크의 아들 Isambard Kingdom Brunel이 20세의 나이로 즉위하자 병이 났다.[citation needed]
작업은 느려서 일주일에 겨우 8~12피트(3~4m) 정도 진행되었다. 터널로부터 얼마간의 수입을 얻기 위해 회사 이사들은 방문객들이 운영 중인 방패를 볼 수 있도록 허락했다. 그들은 그 모험을 위해 1실링의 비용을 청구했고, 약 600-800명의 방문객들이 매일 그 기회를 이용했다.
발굴도 위험했다. 이 터널은 549피트(167m)가 뚫린 1827년 5월 18일 갑자기 침수됐다.[3] Isambard Kingdom Brunel은 강바닥의 구멍을 보수하기 위해 보트에서 다이빙벨을 내려 터널 지붕의 틈새로 점토로 가득 찬 가방을 던졌다. 수리와 터널의 배수에 이어 그 안에서 연회를 열었다.
폐쇄
터널은 이듬해인 1828년 1월 12일 다시 범람해 6명이 사망했다. Isambard는 매우 운이 좋게도 살아남았다; 6명의 남자들은 비상구가 잠겨있는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에 메인 계단으로 나아갔다. 대신에 Isambard는 잠긴 출구를 위해 만들어졌다. 바이시쉬라는 도급업자가 그곳에서 그의 말을 듣고 문을 부수어 버렸고, 의식을 잃은 이스암바드가 끌려나와 되살아났다.[citation needed] 그는 브리스톨 근처의 브리스틀링턴으로 보내져 요양했다. 그곳에서 그는 클리프톤 현수교를 건설하기 위한 경쟁에 대해 들었다.
이어 8월에는 방패 바로 뒤에 벽으로 막혀 있던 터널이 7년 동안 방치되는 등 재정적인 문제가 이어졌다.
완성
1834년 12월 마크 브루넬은 공사를 계속할 수 있는 충분한 자금 조달(재무부로부터 24만7000파운드의 대출 포함)에 성공했다.[3]
1835년 8월부터 녹슨 낡은 방패를 해체하여 제거하였다. 1836년 3월에 이르러 개선되고 무거워진 새 방패가 제자리에 조립되어 지루한 일이 재개되었다.[4]
추가 홍수에 의해 방해받아 1837년 8월 23일과 1837년 11월 3일, 1838년 3월 20일, 1840년 4월 [4]3일) 메탄 및 황화수소 가스의 화재와 누출로 인해 나머지 튜닝은 5년 6개월 후인 1841년 11월에 완료되었다. 엄청난 지연과 반복적인 홍수는 이 터널을 메트로폴리탄 유머의 버팀목으로 만들었다.
굿 무슈 브루넬
염세적인 말로 하자.
당신의 일이 반쯤 완성되어 병으로 시작되었다는 것;
조심하지 않고 지루하게 하다.
자갈과 진흙을 통해
터널의 성공을 의심하지 마십시오.
그 불상사는,
템즈강이 틈새를 막았을 때
수달의 서식지로 적합하게 만들었고
당신의 계획이 증명되었다.
헛된 꿈은 아니다.-
그들은 "결코 물을 담을 수 없을 것"이라고 말할 수 없다.— James Smith, "The Thames Tunnel", in Memoirs, Letters, and Comic Miscellanies in Prose and Verse, of the Late James Smith, p. 185, H. Colburn, 1840
템즈 터널은 1841–1842년에 조명, 도로, 나선형 계단으로 설치되었다. 현재 브루넬 박물관이 들어서 있는 로테르히테 쪽의 엔진 하우스도 터널을 배수하기 위한 기계장치를 수용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이 터널은 마침내 1843년 3월 25일 대중에게 개방되었다.[3]
보행자용도
토목공학의 승리였지만 템스 터널은 재정적인 성공이 아니었다. 발굴에 45만 4천 파운드가 들었고, 최초 추정 비용보다 훨씬 많은 18만 파운드가 들었다.[2] 바퀴 달린 차량을 수용하기 위해 입구를 확장하자는 제안은 비용 때문에 실패했고, 그것은 보행자들만 이용했다. 연간 약 200만 명이 몰리는 등 주요 관광명소가 되었고,[7] 각각 1페니를 내고 통과하며 대중가요의 주제가 되었다. 미국인 여행자 윌리엄 앨런 드류는 "터널을 방문하지 않고 런던에 가는 사람은 없다"고 평하면서 "세계 8대 불가사의"[7]라고 평했다. 그는 1851년 스스로 그것을 보았을 때 "그것에 실망한 것이 있다"고 선언했지만 여전히 수송동맥이라기 보다는 지하시장과 같은 그것의 내부를 생생하게 묘사했다.
강과 거리를 구분하는 [와핑에 있는] 건물들 사이에서 우리는 팔각형의 대리석을 볼 수 있다. 우리는 몇 개의 큰 문들 중 하나로 들어가, 직경 50피트의 로툰다에 있고, 바닥은 파란색과 흰색의 대리석으로 모자이크 작업을 하고 있다. 벽에는 스투코팅이 되어 있고, 그 주위에는 종이, 팜플렛, 책, 제과점, 맥주, &c의 판매대가 있다. 일종의 감시소는 강 옆에 있는 로툰다 옆에 서 있는데, 그 옆에는 뚱뚱한 공민, 즉 세금을 거두는 사람이 있다. 그의 앞에는 놋쇠 개찰구가 있는데, 그 개찰구를 통과하면 그에게 1페니를 지불하고 문을 들어서면, 넓은 플랫폼으로 내려가는 아주 긴 대리석 층계의 비행으로 갱도를 내려가기 시작한다. 그 다음 계단은 반대 방향으로 내려간다. 축대 벽은 원형이고, 석고로 마감되었으며, 그림이나 다른 신기한 물건들이 걸려 있다. 첫 번째 플랫폼에서 잠시 멈춰서 그 일부를 차지하는 거대한 오르간의 음을 들으며 훌륭한 음악을 좌절시킨다.
당신은 다음 이야기, 즉 대리석 플랫폼에 도달할 때까지 당신의 아래로 내려가는 여행을 재개한다. 그곳에서 당신은 휴식을 취하는 동안 당신의 관심을 끌 다른 호기심의 대상들을 발견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80피트 아래까지 내려가고, 벽에는 그림, 조각상 또는 석고, &c에 새겨진 형상이 박혀 있다. 맨 아래에 도착해서, 당신은 거리에서 들어온 것과 일치하는 로툰다, 둥근 방, 직경 50피트의 대리석 바닥이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벽 근처에는 이집트 괴짜들과 점쟁이들부터 춤추는 원숭이까지, 돈을 벌기 위한 온갖 종류의 기구들이 있다. 그 방은 가스로 불이 켜져 있고, 눈부시다.
이제 네 앞에 있는 템즈 터널을 들여다봐. 아름다운 아치 두 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강 건너편까지 뻗어 있다. 이 아치들은 각각 가로 14피트, 높이 22피트의 길목과 3피트 넓이의 보행자들을 위한 길을 포함하고 있다. 터널은 공기가 축축하지도 않고 가깝지도 않아 환기가 잘 되는 것 같다. 터널의 전체 길이를 달리는 이 아치들 사이의 칸막이는 가로 아치들로 잘려져 있고, 한 도로상에서 다른 도로로 이어진다. 모두 50개가 있을 수 있으며, 이것들은 세련된 대리석 카운터, 태피스트리 라이닝이 금박으로 장식된 선반, 그리고 모든 것을 이중으로 보이게 하는 거울을 가진 가장 부유한 방식으로 화려하고 장난감 가게로 마무리된다. 최신 유행의 드레스를 입고 웃는 얼굴을 한 아가씨들은 테임즈 터널의 기억술사로서 집에 가져갈 예쁜 물건을 살 기회를 주지 않고 안에서 기다리며 어떤 신사도 지나가지 못하게 한다. 아치는 태양처럼 밝은 가스 버너로 불을 밝히고, 아치들은 항상 움직이는 남녀노소 떼로 붐비고 터널의 구조를 살피거나, 아치형 아치형 아치형 아치형 아치형 아치형 소녀들이 전시한 화려한 물건, 장난감, &c를 점검한다. 약간의 호기심을 사지 않고는 통과할 수 없다. 대부분의 기사에는 "템즈 터널에서 사십시오"라는 라벨이 붙어 있다. "템즈 터널에서 가져온 선물"[7]이라는 라벨이 붙어 있다.
드류는 매춘부들과 그 아치 아래 숨어 지나가는 행인들을 강탈하는 '터널 도둑'들의 행락지로 여겨지게 된 터널에 대해 아마도 자비로운 생각이었을 것이다.[8] 1855년에 쓴 미국 작가 나다니엘 호손은 드류 이후 몇 년 후 터널을 방문했을 때 훨씬 더 부정적인 견해를 보였다.
그것은 간간히 긴 것으로 보이는 아치형 복도로 구성되었고, 일정한 간격으로 가스가 뿜어져 나오는 음울한 불빛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거의 또는 전혀 그곳에서 일생을 보내는 사람들이 있을 것이라고 추측한다. 아마도 아침에 약간만 제외하고, 어떤 햇빛을 보더라도 말이다. 이 복도 전체에 걸쳐 작은 알코브에는 주로 여성들에 의해 유지되고 있는 상점들이 있다. 여성들에 의해 주로 관리되고 있다. 그들은 여러분이 다가갈 때, 황혼을 통해 판매를 위한 제물들을 통해 보여진다. 다양한 종류의 쓰레기들... 현재 사용에 관한 한 터널은 완전한 실패다.
철도 터널로의 전환
이 터널은 1865년 9월 와핑(이후 리버풀 스트리트)과 사우스 런던 라인 사이의 상품과 승객들에게 철도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이 터널을 이용하려고 했던 6개의 간선 철도 컨소시엄인 이스트런던 철도 회사에 의해 매입되었다. 마차를 수용하려는 건축가들의 본래 의도에서 비롯된 터널의 넉넉한 헤드룸도 열차를 위한 충분한 적재량 측정기를 제공했다.
이 라인의 기술자는 존 호크쇼 경으로, 1864년에 완공된 이삼바드 브루넬의 오랫동안 버려져 있던 브리스톨의 클리프톤 현수교의 주요 재설계와 완공을 위해 W. Barlow와 함께 주목받았다.[9]
첫번째 열차는 1869년 12월 7일에 터널을 통과했다.[3] 1884년, 강 북쪽에 있는 터널의 불용된 건설 갱도가 와핑 스테이션으로 사용되도록 용도 변경되었다.
이스트런던 철도는 나중에 런던 지하철로 흡수되어 이스트런던 선이 되었다. 그것은 1962년까지 계속 상품 서비스에 사용되었다. 언더그라운드 시절, 템즈 터널은 튜브의 기반 시설 중 가장 오래된 지하 건물이었다.
캐나다 워터 역에 동런던 선과 주빌리 선 연장 사이의 교차로를 건설할 계획이었다. 건설은 동런던 선의 일시 폐쇄를 요하기 때문에, 이 기회에 터널에 대한 장기 정비를 실시하기로 결정되었고, 따라서 1995년에는 동런던 선이 폐쇄되어 건설과 정비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었다. 제안된 터널 보수방법은 콘크리트로 '삭제'해 누수방지 봉인하는 것으로, 원래 모습을 지워버려서 최대한 신속하고 저렴하게 공사를 끝내려는 런던지하철과 터널 보존을 원하는 건축계의 이해관계가 첨예한 갈등을 빚었다.의 용모양 건축 이익은 1995년 3월 24일(런던 언더그라운드가 장기 정비 공사를 시작하기로 예정했던 날) 터널의 2등급* 상장으로 획득되었다.[10][11][12]
터널의 한쪽 끝에 있는 짧은 구간을 처리하지 않고 나머지 구간을 더 동정적으로 처리하기로 합의한 후 1998년에 공사가 진행되어 당초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늦게 노선이 재개되었다. 이 터널은 2007년 12월 23일부터 다시 폐쇄되어 동런던 노선 연장 선로 선적을 허용하고 사임을 철회하였다. 그 연장 공사는 터널이 새로운 런던 오버그라운드의 일부가 되는 결과를 낳았다. 2010년 4월 27일 재개봉한 후 다시 간선 열차에 이용되었다.
영향
템스 터널의 건설은 많은 기술자들의 이전의 회의에도 불구하고 수중 터널을 건설하는 것이 실제로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 후 몇 십 년 동안 영국에는 몇 개의 새로운 해저 터널이 지어졌다: 런던의 타워 지하철, 세번 강 아래의 세번 터널, 그리고 머시 강 아래의 머세이 철도 터널. 브루넬의 튜닝링 실드는 나중에 정제되었는데, 제임스 헨리 그레이트헤드가 이 기술을 개발하는 데 특히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91년 미국 토목공학회와 토목공학회가 테임즈 터널을 국제역사 토목공학의 랜드마크로 지정하였다.[13]
1995년에 그 터널은 건축적 중요성을 인정받아 2등급*에 등재되었다.[3][11]
1835년 이탈리아 시인 지아코모 레오파르도는 '팔리노디아 알 마르체세 지노 카포니'[14]의 126~129행으로 템즈 터널 건설을 패러디했다.
방문하는
로테르히테 인근에는 브루넬의 엔진 하우스(배수펌프를 수용하기 위해 지어진)가 브루넬 박물관으로 방문객들에게 개방되어 있다.
1860년대, 기차가 터널을 통과하기 시작했을 때, 로테르히테의 입구 갱도는 환기를 위해 사용되었다. 그 계단은 화재 위험을 줄이기 위해 제거되었다. 2011년 런던 오버그라운드 네트워크를 위해 터널이 개량되면서 철로 위 갱도 바닥 근처에 콘크리트 뗏목이 만들어졌다. 증기기관차의 연기로 벽이 검게 그을린 이 공간은 박물관의 일부를 이루고 때로는 콘서트 장소와 가끔 바 역할을 한다. 갱도 위에 옥상 정원이 세워졌다.[15] 2016년에는 150여년 만에 처음으로 샤프트에 접근할 수 있는 계단이 있는 입구 홀이 전시공간으로 문을 열었다.[16]
참고 항목
참조
- ^ "The Thames Tunnel". Brunel Museum. Retrieved 26 November 2012.; 바빌로니아인들이 거의 4,000년 전에 유프라테스 터널을 건설했을지도 모르지만 ()Browne, Malcomn W. (2 December 1990). "Tunnel Drilling, Old as Babylon, Now Becomes Safer". New York Times.
- ^ Jump up to: a b c d 존 팀스, 과학과 유용한 예술 분야의 발명가와 발견자에 관한 이야기, 1860년 켄트, 287쪽
- ^ Jump up to: a b c d e f g h Denis Smith, "런던과 템즈 계곡", 17페이지, Thomas Telford, 2001.
- ^ Jump up to: a b c d 2006년 ISBN 0-9504361-2-7
- ^ Nathan Aaseng, 건설: 임파서블 구축, 페이지 28, 올리버 프레스, 1999.
- ^ 삽화 런던 뉴스, 1843년 3월 25일
- ^ Jump up to: a b c 윌리엄 앨런 드류, 글립스, 모임 항해 중 그리고 1851년 여름 런던과 위대한 전시회를 방문하라, 페이지 242–249. 호만 & 맨리, 1852년
- ^ 수잔 셀러 / 수 로, 버지니아 울프의 캠브리지 동반자, 1955 페이지 캠브리지 대학 출판부, 2000년
- ^ Beaumont, Martin (2015). Sir John Hawkshaw 1811-1891. The Lancashire & Yorkshire Railway Society. pp. 68–69, 108–111. ISBN 978-0-9559467-7-6.
- ^ Cruickshank, Dan (22 March 1995), "The Great Bore in its time – a forgotten gem in ours", The Independent
- ^ Jump up to: a b Historic England. "Thames Tunnel (1242119)". National Heritage List for England. Retrieved 8 August 2009.
- ^ Doyle, N. (1995), "Last minute listing for Thames Tunnel", New Civil Engineer (NCE) (1122): 4–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May 2014
- ^ Rogers, Jerry R. (26 April 2012). I. K. Brunel (1806-1859) and His Extensive British Civil Engineering Contributions: Video of the Life of Brunel. World Environmental and Water Resources Congress 2011. doi:10.1061/41173(414)196.
- ^ Leopardi, Giacomo (1835). Canti.
- ^ "Inside Brunel's Thames Tunnel Shaft". blogs.nature.com. 15 February 2011. Retrieved 28 July 2021.
- ^ "Brunel's Thames tunnel (and accidental brothel) becomes new arts space". The Guardian. 15 April 2016. Retrieved 15 April 2016.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템즈 터널과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 "설기 시대 브리핑 역사" UCLA 공중보건학교
- 브루넬 박물관 – 런던의 로테르히테에 위치한 이 박물관은 템즈 터널을 건조하게 유지하기 위해 펌프가 들어 있는 건물에 소장되어 있다.
- 브루넬의 템즈 터널 BBC 뉴스 – 템즈 터널의 슬라이드쇼 이미지
- 런던에서 가장 오래된 수중 터널 – 라이프 매거진별 슬라이드쇼
- 템즈 터널: 터널 책 Flickr, 2006년 5월 23일 – 터널의 개통을 기념하는 홍보책 사진
- 템즈 터널 브루넬 포털
- 1882년에 출판된 웨이핑 맵은 실제로 올드맵스 터널을 표시한다.
- 템즈 터널 사진 세트 플리커, 2010년 3월 12일-13일
- 런던지하철 동런던선과 템즈 터널 사진
- 템즈 터널: '세계 8대 불가사의' – BBC 뉴스 (2014년 5월 26일) – 간략한 '포터드 역사'(터널에서 촬영된 2분 분량의 영상)
- 템즈 터널 회사 (1836) 로테르히테에서 와핑까지 템즈강 밑 터널의 작업에 대한 설명 - 린다 홀 도서관에서 디지털 팩시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