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사랑하는 장소
The Place I Love내가 사랑하는 장소 | ||||
---|---|---|---|---|
![]() | ||||
스튜디오 앨범 기준 | ||||
방출된 | 1974년 9월 20일 | |||
녹음된 | 1973년 중반 – 1974년 8월 | |||
스튜디오 | FPHOT, 옥스퍼드셔 주 | |||
장르. | 락, 포크록 | |||
길이 | 36:18 | |||
라벨 | 다크호스 | |||
프로듀서 | 조지 해리슨 | |||
스플린터 연대기 | ||||
| ||||
더 플레이스 I Love의 노래들 | ||||
|
《Place I Love》는 1974년 9월 다크호스 레코드를 통해 발매된 영국 보컬 듀오 스플린터의 데뷔 앨범이다. 다크호스 레이블이 발매한 첫 앨범으로, 앨범도 함께 제작한 조지 해리슨이 소장하고 있었다. 녹음 세션은 옥스퍼드셔에 있는 해리슨 프리어 파크 홈 스튜디오에서 열렸으며, 기타, 키보드 및 기타 악기와 게리 라이트, 빌리 프레스턴, 짐 켈트너, 앨빈 리 등의 참가자들뿐만 아니라 해리슨으로부터 폭넓은 음악적 기여를 받았다. 이 앨범의 첫 번째 싱글인 "코스타파인 타운"은 영국을 비롯한 다른 나라에서 20개의 히트곡을 냈다.
발매되자마자, 이 앨범은 비틀즈, 배드핑거, 플라스틱 오노 밴드에 그것의 소리를 비유한 많은 비평가들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오랫동안 사용할 수 없었던 The Place I Love는 2015년 CD로 발매되었다.
배경
스플린터의 바비 퍼비스와 빌 엘리엇은 조지 해리슨과 함께 일하기 전 한동안 비틀즈와 연계를 맺어왔는데,[1] 애플 레코드의 탤런트 스카우트 역할을 맡은 말 에반스가 이 듀오(당시 뉴캐슬 밴드 하프 브리드에서 연주)를 발견하고 매니저가 된 이후였다.[2][3] 음악 다큐멘터리 라가(1971년)와 방글라데시를 위한 콘서트(1972년)에 참여한 이후 해리슨이 처음으로 장편 영화 제작에 나선 것은 스튜어트 쿠퍼가 감독을 맡았고 1973년 2월과 3월 주로 랭커셔에서 촬영된 [4][5]리틀 말콤(1974년)이었다.[6] 에반스가 퍼비스 작곡 '또 다른 찬스 I Let Go'를 제안하고, 이어서 '론리 맨'을 리타이틀하는 등 영화의 중추적인 장면에 노래가 필요했다.[1][2] 해리슨은 이 곡을 리틀 말콤의 발매와 동시에 싱글로 발매할 목적으로 런던 중심부의 애플 스튜디오에서 인상 깊었고 녹음하기 위한 세션을 주선했다.[2][3] 해리슨이 프로듀서로 나서 그의 대표 슬라이드 기타를 기부하면서, 퍼비스와 엘리엇은 이름 없는 베이시스트와 드러머인 애플 밴드 배드핑거의 피트 햄의 지원을 받았다.[7]
그러나 쿠퍼에 따르면 이후 전체 영화 프로젝트는 애플 군단을 둘러싼 소송에 얽매여 리틀 말콤의 개봉을 무기한 연기하게 되었다.[8] 해리슨은 이런 발전 전부터 푸르비스의 노래를 더 많이 듣고 이 듀오를 초대해 정규 앨범을 녹음했다.[2][9] "스플린터는 해리슨이 존경했던 모든 자질을 풍성하게 지니고 있었다." 사이먼 렝은 전 비틀의 음악 전기인 "While My Guitar Sleeves"에서 작곡가로써의 푸비스의 강인함, 엘리엇의 파워풀한 보컬, 그리고 두 사람의 "러쉬 하모니"[2]에 주목했다. 애플 레코드의 축소 이후 다른 아티스트들을 위한 음반 제작자 겸 멘토로서의 역할을 계속하기를 열망하는 해리슨은 1974년 5월에 다크호스로 출시할 자신의 레이블을 설립하기 시작했다.[10][11][12][13] 스플린터는 Terminital Records를 고려한 후 라벨에 서명된 첫 번째 락 액트였으며,[15] 인도의 클래식 음악가 Ravi Shankar가 그 뒤를 이었다.[14][16]
생산
세션스는 '론리 맨'의 녹음 직후부터 스플린터의 앨범에 참여하기 시작했는데, 이 곡처럼 1973년 애플 스튜디오에서 '사랑은 충분하지 않다'[17][nb 1]가 녹화되었지만, 이 밴드의 세 번째 앨범인 '투맨 밴드'(1977년)에서 발매될 예정이었다. '사랑하는 장소에서의 일'은 해리슨이 퍼비스와 엘리엇에게 스튜디오에서 보컬 음색을 다듬고 노래를 다시 작업하도록 독려하면서 자신의 아이디어를 많이 추가하면서 17개월이 걸렸다고 한다.[19] 런던에서 데모를 마친 후, 녹음은 옥스퍼드셔 프라이어 파크에 있는 해리슨의 최신 홈 스튜디오인 FPSHOT로 이전되었다.[17] 렝에 따르면, 이 프로젝트에 공헌한 해리슨의 음악가 친구 중 한 명인 [1]게리 라이트는 "소리 나는 보드 겸 뮤지컬 아마뉴엔시스" 역할을 했다고 한다.[20] 필 맥도널드는 해리슨의 최근 앨범인 리빙 인 더 머티리얼 월드(1973년)에 출연했던 것처럼 녹음 엔지니어였다.[21] 그 외 백트랙에 초대할 정상급 뮤지션으로는 클라우스 보오만(전기 및 어쿠스틱 베이스), 빌리 프레스턴(오르간 및 피아노), 윌리 위크스(베이스), 짐 켈트너(드럼스) 등이 있다.[22][23]
1974년 1월 말, 한 달 동안 인도로 떠나기 전 해리슨은 스플린터의 미완성 곡인 '그래비 트레인', '썸바디 시티', '하루 종일 마셔라', '내가 사랑하는 곳', '차이나 라이트'의 일부를 음반 산업계의 보스 데이비드 게펜의 테이프에 포함시켰다.[24][25] 해리슨은 자신의 초창기 음반 레이블로 미국 배급사를 확보하기를 바라며, 스플린터가 "다크호스 왕관의 보석"[1]을 고려하면서, 이 밴드의 "정말 좋은" 작사를 게펜에게 강조하는 코멘트를 덧붙였다.[25][26][nb 2]
이 앨범의 오버더빙 국면은 "몇 개월 동안" 렝이 쓰고, 해리슨은 "모자극을 만들듯 함께 찍는다"[17]고 썼다. 엘리엇과 푸르비스가 보컬 파트를 완성한 가운데 앨빈 리는 '그래비 트레인'과 '해븐 갓 타임'에 기타를 추가했고 멜 콜린스의 '잘 타겟된 뿔 차트'는 3개 트랙에 수록됐다.[28] 해리슨이 앨범 전반에 걸쳐 직접 기고한 것은 다양한 전기 기타와 어쿠스틱 기타 파트를 비롯해 도브로, 베이스, 하모니움, 무그 신시사이저, 만돌린, 다양한 퍼커션 악기 등이 포함됐다.[23] 그가 아직 애플과 계약 중이었기 때문에, 이 모든 부분은 해리슨 가명 세 개에 기인할 것이다. 해리슨 가명은 점점 더 기록적인 구매자들에게 잘 알려지고 있다.[22] Hari Georgeson, Jai Raj Harisein, P. 로듀서.[29] 스플린터는 프로듀서가 "24시간 연속으로"[1] 작업할 수 있는 능력에 감명을 받았고, 후에 퍼비스는 해리슨이 "우리를 행복하게 하기 위해 거꾸로 구부렸다"고 렝에게 말했다.[20] In truth, however, Harrison's commitment to Splinter's debut, and to the Shankar projects Shankar Family & Friends (1974) and Music Festival from India, had a detrimental effect on his own career,[30][31] since he would be forced to rush-record his Dark Horse album (1974) while preparing for a North American tour (again with Shankar) at the end of the year.[9][32] 과잉진압으로 해리슨은 목소리를 잃고 결국 로스앤젤레스에서 리허설 도중 후두염에 걸렸다.[9][33][nb 3]
해제
다크호스 레코드는 1974년 9월 말 영국과 미국에서 다크호스 카탈로그 22001호를 발행하여 레이블의 첫 앨범 발매임을 알렸다.[38] '엘리-메이'로 뒷받침된 '코스타핀 타운'은 미국 개봉이 두 달이나 지연됐지만 영국에서 9월 13일 싱글로 발행됐다.[38][39] 앨범 표지 사진은 Terry O'Neill이 Friar Park에서 찍은 것으로,[40] 부동산의 호수 중 하나를 가로지르는 큰 돌 위에 서 있는 엘리엇과 푸르비스의 모습이 담겨 있다.[23] 앨범 홍보에는 멜로디 메이커의 특집 기사와 미국 음악 잡지 빌보드와[41] 서커스 라브스의 광고가 포함되었다.[23]
스플린터의 데뷔 앨범은 "코스타파인 타운"이 영국에서[42] 17위, 빌보드 핫 100에서 77위를 기록했고, 플레이스 아이 러브는 빌보드 탑 LPs & 테이프 차트에서 81위에 정점을 찍었다.[43][44] 또 '코스타파인 타운'은[45] 뉴질랜드에서 8위로 정점을 찍었고 호주에서도 톱10의 히트를 기록했다.[23] 1975년 2월에 발매된 영국에서 후속 싱글은 촌스러운 'Drink All Day'로, '피'[1]라는 단어를 담았다는 이유로 BBC로부터 금지당하자 곧바로 미국 앨범의 두 번째 싱글인 'China Light'가 뒤를 이었다.[46]
리셉션
점수 검토 | |
---|---|
출처 | 순위 |
올뮤직 | ![]() ![]() ![]() ![]() ![]() |
멜로디 메이커 | (변환 가능)[48] |
축음기 레코드 | (변환 가능)[49] |
NME 평론가 밥 워핀덴은 "코스타핀 타운"을 스플린터와 새로운 음반사 모두에게 "매우 유망한 시작"이라고 묘사했다.[27] 이 싱글을 검토한 빌보드는 이 밴드의 "강력한 하모니 보컬"에 대해 "매우 기분 좋은 AM 지향적인 컷"[50]이라고 녹음했다. 이 앨범은 1974년 11월과 12월 해리슨과 샨카르의 북미 쇼가 많이 열리기 전에 연주되어 콘서트 평론가의 긍정적인 평을 이끌어냈다.[22] 니콜라스 섀프너는 1977년 저서 비틀즈 포에버(The Beatles Forever)에서 플레이스 아이 러브(The Place I Love)에 실린 '특출한 음악'에 주목하면서 해리슨의 다크호스 앨범이 "그랬어야 하는 것"의 '고귀한 환상'이라고 여겼다.[22]
1974년 9월 Melody Maker에서 집필한 크리스 어윈은 <사랑하는 장소 I Love>를 "뛰어난 [데버트]라고 표현했는데, 해리슨의 "깨끗하고 어수선하지 않은 제작직"과 음악적 공헌은 물론 빌리 프레스턴의 작품에서도 혜택을 받았다. 어윈은 이 외부 참여가 없었다면 '그냥 또 다른 앨범'이었을 수도 있다고 제안했지만, 스플린터가 "분명히 현실적이고 신선한 것을 제공했다" "감명 깊은 곡 모음곡으로 그들만의 달콤하게 흐르는 스타일을 음반에 담았다"고 인정했다.[48] 그렉 쇼는 음성 기록 리뷰에서 "엘리엇과 푸르비스는 흠잡을 데가 없는 가수들로, 작곡가로서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썼다. 쇼는 '차이나 라이트', '코스타파인 타운', '시타 빈집', '썸바디 시티'를 히트 싱글로 꼽으며 "각각 장르 내에서는 흠잡을 데 없이 연출되며 동요하는 멜로디와 맛깔나는 작은 손길로 가득 차 있어 몇 년 동안 노래가 머릿속에 맴돌게 한다"고 덧붙였다. 쇼는 배드핑거와 후기 비틀즈에서 허드슨 브라더스에 이르기까지 밴드의 분명한 스타일리시즘적 영향에 대해 언급하면서, 비록 앨범이 "조지 해리슨 사운드 (또는 만토바니 사운드 업데이트)"를 사용했지만, 현대의 내슈빌 스튜디오 사운드 작업과 마찬가지로 스플린터는 r에 의해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열광적인 후원을 하는 [49]음악가들
2001년에 쓴 올뮤직의 브루스 에더는 "사랑하는 장소 I Love"[47]를 "아주 좋은 배드핑거 아웃테이크"와 "아주 좋은 날 플라스틱 오노 밴드의 크로스"라고 묘사했다. 하이라이트로, 그는 "Somebody's City"(해리슨의 "가장 훌륭하고 빛나는" 기타 연주가 돋보이는 "절대 보석"), "Gravy Train" (실제로 'Get Back'의 속편), "Costafine Town" (기억할 만한 멜로디와 멋진 노래로 따뜻한 향수가 가득한 곡조)[47]을 꼽았다. 에더는 이 앨범이 아직 CD로 발매되지 않은 것에 대해 "스플린터는 기억될 만 했지만, 지금까지 그들의 인지도는 비틀즈 매니아들의 하드코어 언더그라운드 네트워크에서만 나온 것"[47]이라고 덧붙였다.
전 Mojo 편집자 Mat Snow는 The Place I Love를 "잃어버린 마이너 클래식"[51]이라고 묘사했다. 사이먼 렝은 해리슨이 1976년 다크호스 '서른 3&1/3'로 데뷔한 사이사이에서 작업한 베스트 앨범은 물론, "지나친 클래식"으로 보는 시각도 비슷하다.[20] 2006년 Material World 재 발행에 대한 리뷰에서 에더는 다시 한번 "다른 예술가들과 함께 조지의 가장 훌륭한 작품 중 일부"라고 여겨졌던 스플린터의 다크호스 레코딩이 불가능하다고 한탄했다.[52] "The Place I Love"는 마침내 2015년 한국 레이블인 빅 핑크 뮤직에 의해 CD로 발매되었다.[53]
트랙리스트
로버트 J. 푸르비스의 모든 노래, 언급된 곳을 제외하고.
사이드 원
- "Gravy Train" – 4:50
- "하루 종일 마시기(자신의 집으로 가는 길을 찾아라)" – 3시 20분
- "차이나 라이트"(Robert J. Purvis, William Elliott) – 4:35
- "썸바디 시티" – 5시 20분
2면
- "코스타핀 타운"(Robert J. Purvis, William Elliott) – 3:10
- "내가 사랑하는 장소" – 4:25
- "좌석 비움" – 4:00
- "엘리-5월" – 2:43
- "Haven't Got Time" – 3:55
인원
- 빌 엘리엇 – 보컬(모든 트랙)
- Bobby Purvis – 보컬(모든 트랙)
- George Harrison – acoustic guitar (2, 3, 4, 6, 8), electric guitar (1, 4, 6, 7, 9), 12-string acoustic guitar (2, 4), dobro (2, 6), mandolin (3), bass (5), 6-string bass (5), harmonium (2, 5), percussion (2, 4, 5, 6, 9), jew's harp (2), Moog synthesizer (8), backing vocals (7)
- 게리 라이트 – 피아노(4, 5, 8), 전기 피아노(6, 7)
- 클라우스 보오만 – 베이스(1, 4, 6, 9), 스탠드업 베이스(2, 8)
- Mike Kellie – 드럼 (1, 3, 4, 5, 6, 8, 9)
- Billy Preston – 오르간(3), 피아노(1)
- 윌리 위크 – 베이스(3, 7)
- 짐 켈트너 – 드럼(2, 7)
- 앨빈 리 – 전동 기타(1, 9)
- Graham Maitland – 아코디언 (5)
- 멜 콜린스 – 뿔 배열(1, 7, 9)
차트
차트(1975) | 피크 포지션 |
---|---|
오스트레일리아(켄트 음악 보고서)[54] | 69 |
메모들
- ^ 퍼비스와 엘리엇은 1975년 앨범 《Harder to Live》[18]에 나온 '론리 맨'의 새 버전도 녹음했다.
- ^ 해리슨은 결국 A&M 레코드사와 레이블의 전 세계 유통업체로 계약을 맺었다.[13][27]
- ^ 또 다른 요인은 1973-74년 해리슨의 패티 보이드와의 결혼생활의 종말을 알리는 생활습관이었다.[34] 해리슨은 휴스턴 라디오 방송국 KLOL의 인터뷰에서 스플린터와 샨카 앨범에 대해 토론하던 중 청취자들에게 "The Place I Love"를 히트시킬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요청했고, 앨범 제작 과정에서 소비된 모든 브랜디의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서 앨범 500만 장을 팔아야 할 것이라고 농담을 했다.[35][36][37]
참조
- ^ a b c d e f 클레이슨, 346페이지
- ^ a b c d e 렝, 페이지 142.
- ^ a b 톰 브레넌의 스플린터 라이브러리 2011년 11월 26일(2012년 10월 25일 회수)는 "조지 해리슨은 말 에반스가 영화 (1974년)에서 스플린터와 '론리 맨'을 어떻게 발견했는지에 대해 이야기한다"고 밝혔다.
- ^ 로드리게스 201쪽
- ^ 시몬스, 84페이지
- ^ 배드맨, 페이지 90.
- ^ 톰 브레넌의 스플린터 라이브러리, 2011년 11월 26일(2012년 10월 25일 회수)의 "외로운 남자" 데모 세션.
- ^ 시몬스, 85쪽
- ^ a b c 매딩거 & 이스터, 페이지 442.
- ^ 눈, 페이지 47.
- ^ 잉글리스, 59페이지
- ^ 클레이슨, 345페이지.
- ^ a b 배드맨, 페이지 125.
- ^ 1974년 12월 21일 빌보드 'New on the Charts' 페이지 25(2015년 5월 27일 회수)
- ^ 다크호스 레코드 보도자료, 톰 브레넌의 스플린터 라이브러리, 2011년 11월 26일 (2012년 10월 25일 철회)
- ^ 클레이슨, 345-46쪽
- ^ a b c 렝, 페이지 143.
- ^ Aaron Badgley, "Splinter Harder Live", AllMusic (2012년 10월 26일 회수)
- ^ 렝, 페이지 143-45.
- ^ a b c 렝, 페이지 144.
- ^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재발행(EMI Records, 2006; Dhani & Olivia Harrison 제작).
- ^ a b c d 셰프너, 페이지 179.
- ^ a b c d e 선택: 앨범: The Place I Love, Tom Brennan's Splinter Library, 2011년 11월 26일 (2012년 10월 25일 반환)
- ^ 렝, 페이지 148.
- ^ a b 선택: 앨범: 플레이스 I Love / "다비드 게펜 테이프", 톰 브레넌의 스플린터 라이브러리, 2011년 11월 26일 (2012년 10월 25일 반환)
- ^ 렝, 페이지 142, 143.
- ^ a b 워핀든, 85쪽
- ^ 렝, 페이지 143-44.
- ^ 캐슬맨 & 포드라직, 200-06페이지.
- ^ 헌틀리, 페이지 107-08.
- ^ 47-48쪽 눈
- ^ 클레이슨, 페이지 335.
- ^ 해리슨, 312페이지.
- ^ 렝, 148쪽, 150~51쪽.
- ^ 매딩거 & 이스터, 페이지 443.
- ^ 2012년 10월 17일 (2013년 3월 17일) 콘트라 밴드 뮤직 "Hari's On Tour (압축)"
- ^ 배드맨 페이지 138.
- ^ a b 캐슬맨 & 포드라지크 138쪽
- ^ 배드맨 페이지 132.
- ^ 슬리브 크레딧, The Place I Love LP (Dark Horse Records, 1974; George Harrison 제작)
- ^ 다크호스 레코드 무역 광고, 빌보드, 1974년 10월 5일 페이지 11(2014년 10월 5일 철회)
- ^ 공식 차트 회사(2014년 10월 5일 회수)의 "Artist: Spplinter"
- ^ Castleman & Podrazik, 페이지 355, 365.
- ^ "분할기: Awards", AllMusic(2012년 10월 25일 회수)
- ^ 스플린터 (영국) – 코스타파인 타운 (노래)," charts.org.nz (2016년 5월 16일)
- ^ 캐슬맨 & 포드라직, 147페이지, 149페이지.
- ^ a b c d 브루스 에더, "Splinter The Place I Love," AllMusic (2012년 10월 24일 회수)
- ^ a b 크리스 어윈 "스플린터: The Place I Love (Dark Horse)," Melody Maker, 1974년 9월 21일.
- ^ a b 그레그 쇼 "스플린터: "The Place I Love," 1974년 12월, 음성 기록, Rock's Backpage(가입 필요; 2014년 10월 5일 검색됨)에서 이용 가능.
- ^ 1974년 11월 23일 빌보드, 빌보드 '톱 팝 싱글 픽스' 페이지 76(2014년 10월 5일 회수)
- ^ 눈, 페이지 48.
- ^ 브루스 에더, "조지 해리슨 리빙 인 더 머티리얼 월드 (Bonus Tracks)", 올뮤직 (2014년 10월 4일 회수)
- ^ "Splinter – The Place I Love," Amazon.com (2016년 5월 16일 방영)
- ^ Kent, David (1993). Australian Chart Book 1970–1992 (illustrated ed.). St Ives, N.S.W.: Australian Chart Book. p. 288. ISBN 0-646-11917-6.
원천
- 키스 배드먼, 비틀즈 다이어리 2권: 1970-2001년 해체 후 옴니버스 프레스 (런던, 2001; ISBN 0-71119-8307-0)
- 해리 캐슬먼 & 월터 J. 포드라지크, 올투게더 지금: The First Complete Beatles Discography 1961–1975, Ballantine Books (뉴욕, NY, 1976; ISBN 0-345-25680-8)
- 앨런 클레이슨, 조지 해리슨, 성소 (런던, 2003; ISBN 1-86074-489-3)
- 올리비아 해리슨, 조지 해리슨: 물질 세계에 살고 에이브럼스 (뉴욕, 뉴욕, 2011; ISBN 978-1-4197-0220-4)
- 엘리엇 J. 훈틀리, 신비로운 원: 조지 해리슨 – 비틀즈의 해체 후 게르니카 에디션 (토론토, ON, 2006; ISBN 1-55071-197-0)
- 이언 잉글리스, 조지 해리슨의 말과 음악, 프래거(샌타 바바라, CA, 2010; ISBN 978-0-313-37532-3)
- 사이먼 렝, 내 기타가 부드럽게 눈물을 흘리는 동안: The Music of George Harrison, Hal Leonard (밀워키, WI, 2006; ISBN 1-4234-0609-5)
- 칩 매딩거 & 마크 이스터, 팔팔로 홀드 유: 솔로 비틀즈 컴펜디움, 44.1 프로덕션(체스터필드, MO, 2000; ISBN 0-615-11724-4)
- 로버트 로드리게스, 팹 포 FAQ 2.0: 비틀즈의 솔로이어즈, 1970–1980, 백비트 북스(밀워키, WI, 2010; ISBN 978-1-4165-9093-4)
- 니콜라스 섀프너, 비틀즈 포에버, 맥그로우 힐(뉴욕, NY, 1978; ISBN 0-07-055087-5)
- 마이클 시몬스, "Cry for a Shadow", Mojo, 2011년 11월, 페이지 74–87.
- 맷 스노우, 비틀즈 솔로: The Illustrated Chronicles of John, Paul, George, Ringo After The Beatles (3권: George), 레이스 포인트 출판 (뉴욕, 2013; ISBN 978-1-937994-26-6)
- 밥 워핀든, 비틀즈 어따르, 프로테우스 (런던, 1981; ISBN 0-906071-89-5)